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 한국 컬렉션: 수집, 전시, 운영의 시기별 변화 연구

        김수미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2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4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trajectory of the Korean collection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Met) in New York, which is distinguished as a “universal” museum. The trans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exhibition, and management of the Korean collection from its early stage to the present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et’s achievement of its mission statement and South Korean cultural institutions’ practices. Transition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allery in 1998 and the presence of a diverse range of its collections in further exhibitions were the major components of the completion of the museum’s global universality from the Met’s perspective. The achievement of the Met’s mission reflects a remarkable shift that can open up the development of Korean collection in universal space. As a part of world culture and history, the study alludes to a suggestive way to expand the investigation of Korean art and culture in world cultural history. 세계적 컬렉션을 세계의 관람객을 위해 수집, 전시, 보존, 교육하는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은 미션(설립취지)을 통해 세계 보편적 미술관의 가치와 운영의 지향점을 표명해왔다. 본 연구는 메트로폴리탄미술관에서 한국 컬렉션이 아시아 컬렉션의 일부로서 주목받지 못한 채 수집 및 보관되었던 20세기 중반까지의 컬렉션 형성 초기 단계, 한국미술 해외 순회전시가 열리고 자체 컬렉션 구입이 증가한 20세기 중후반, 문화기관의 후원과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물 대여로 1998년 개관한 상설 전시실 설립의 전환적 시기, 그 이후 다양한 특별전시를 운영하는 현재 시기까지의 한국 컬렉션의 운영상 변화를 조명한다. 메트로폴리탄미술관의 아카이브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 컬렉션의 형성, 전시, 운영의 변화 양상을 탐구하여 의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역사와 문화연구의 한 부분으로서 세계사 및 세계문화 속 한국 문화사를 들여다보는 확장적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미국-영국 선교사와 외교관이 주도한 근대한국학 전문화와 시스템 만들기, 1900-1940년: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Korean Branch 분석을 중심으로

        육영수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1

        The article aims to reappraise the characteristics and legacy of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RASKB) and its official Journal,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in the historiography of modern Korean studies. By analysing its membership, interpreting the contents/subject-matters, and examining the new mode of writing strategies of the Transactions published from 1900 to 1940, the author is very convinced that both RASKB and Transactions had played a critical and indispensable role in professionalizing and systematizing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e Transactions, a forum dominated by British and American missionaries and diplomats, demonstrates the maturity of modern Korean studie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us standing at the apex of “the First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Imperial Japanese scholars imitated and appropriated the Western-made First Wave and had established “the First and Half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for the purpose of legitimizing colonialization of Korea. And “the Second Wave of Modern Korean Studies” during the 1930s, which emphasized the Korean Studies by Koreans and for Koreans, was to a certain degree the extended and reinvented outcome founded on the previous two Waves. The author concludes that modern Korean studies is a hybrid (re)production of multiple nationalities and that transnational perspectives would shed an alternative light to disclose non-nationalist and post-colonial peculiarities of ‘Knowledge/Power’ usually known as ‘the discourse on Korea.’ 이 글은 영국왕립아세아학회 한국지부와 그 학술지가 1900-1940년 사이에 한국학 담론 창출과 전문화에 기여한 성과와 영향력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창기에 한국학을 주도했던 프랑스 선교사들이 퇴조하고 영국과 미국 선교사들이 한국학 담론을 지배했다. 둘째, 코리안 리포지터리 · 코리아 리뷰 와 비교하면 트랜잭션 은 참고문헌을 밝히고 이미지 자료를 활용하는 등 좀 더 전문적이며 체계적인 학문적 포럼이었다. 셋째, 생태환경사와 같은 새로운 주제를 발굴하고 미래 한국학 학자를 키우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담당했다. 필자는 근대한국학의 계보를 객관적·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지식 네트워크의 트랜스내셔널 뒤엉킴에 특별히 주목할 것을 요청한다. 서양선교사들이 19세기말을 전후로 발명·국제화하고 20세기 초반에 심화했던 한국학의 제1의 물결, 일본제국이 한국의 식민지 통치를 정당화하고 피지배자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구하려는 의도로 재생산한 한국학의 제1.5 물결, 그 사이 공간에서 등장한 한국인의,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을 위한 한국학의 제2물결―이런 세 갈래 물결이 부딪히고 뒤섞이며 서로를 밀고 당기며 상승하여 한국학의 역동적인 무늬와 다양한 색채를 만들었다고 필자는 강조한다.

      • KCI등재

        미국의 한국학 교육 현황의 역사성: 역사적 맥락에서 하버드와 캘리포니아 주립대학(UCLA)의 한국학 프로그램의 비교

        김지원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4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2

        Ever since the University of St. Petersburg opened Korean language class in 1897, overseas Korean studies have been expanded in numbers of researchers and students. Many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 Korea and world-wide had promoted overseas Korean studies. In particular, the Harvard University and UCLA has been supporting overseas Korean studies from academic perspectives. This paper will examine what has been done and to propose what will have to be done to promote overseas Korean studies, centered on programs and activities of Harvard University and UCLA. This study examines a comprehensive evaluation to apply Korean studies of two representative universities, which might be a sort of standard table of evaluation for major institutions in the U.S. Korean Studies program at Harvard University since 1952 was characterized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to fulfill the professional and academic objectives of students from the world. Although the program has provided the maximum amount of education to learn diverse subjects of Korea, few students except Koreans are interested in traditional Korean history and literature. While the Korean Studies program at UCLA since 1993 has greatly developed around West Coast areas which was characterized of diversity of courses and pre-modern period. Nevertheless, the Korean Studies program at Harvard university and UCLA need to expand the diversity of its students by offering diverse classes of art, cine.ma, and visual studies 1897년 최초로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에 한국학 과목이 개설된 후 지난 100년 동안 한국학은 많은 발전을 이룩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한국학은 급격히 성장했는데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대학에 한국학 과정이 늘어났고, 많은 교수직이 추가되었다. 역사와 문학에 사회과학과 시각문화에 관한 새로운 강좌가 부가되었고, 한국학 관련 수업을 받는 대학원생의 수도 점진적으로 늘어났다. 해외 대학의 한국학 발전의 동향을 어떤 기준에 의해 평가할 것인가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한국정부의 지원정책 및 해당지역의 학문적 기반과 특성에 따라 여건이 다르므로 수평적인 비교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다양한 해외의 대학을 비교했을 때 그 차이점과 기관들의 특징을 구분해 볼 수도 있다고 본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다면 해외 한국학의 특성과 흐름을 교육적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도 의미가 깊을 것이다. 1990년 이후 한국학의 개념, 방법론, 그리고 진흥방안 등에 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실질적으로 한국학 발전에 많은 공헌을 해 온 해외 대학들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은 거의 부재했다. 교육적 분석은 한국학 발전 동향과 역사적 고찰에 관한 나름대로 객관적 기준이 될 수 있으므로 중요한 척도라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동부지역의 대표적인 한국학 기관인 하버드 대학과 서부지역에서 한국학 진흥을 위해 중추적 역할을 해 온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한국학 교육 프로그램의 기원과 흐름을 살펴보면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미국의 시기별 한국학 발전 현황을 간략히 검토하고 그러한 역사적 맥락 안에서 두 대학의 한국학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을 시작년도, 개설강좌, 그리고 교원 등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할 것이다. 또한 한국학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최근에 두 대학이 추진하는 전략 및 동향도 검토하고자 한다.

      • KCI등재

        1950년대 북한 사회주의 건설과 민족문화유산 계승 문제

        류승주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2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4

        한국전쟁 후 북한은 국가를 정비하고 전후복구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내적 통합과 내부 자원의 동원을 필요로 하였다. 이에 따라 민족문화유산은 이념과 실용의 양 측면에서 더욱 중요시되었다. 1955년 김일성은 ‘주체’ 확립 방침을 제시하였고, 민족문화의 전통은 ‘주체’의 일부분을 구성하였다. 1956년 사회주의 건설 방침이 확립된 이후 민족문화유산 계승사업은 사회주의 건설 사업의 일부로서 진행되었다. 북한은 특히 실학사상 속에서 선진적·개혁적 면모를 발견하여, 사회주의 개조의 이념과 동력을 이끌어냈다. 민족문화유산은 사회경제적 자원으로서 북한 사회주의 건설에 직접 활용·적용되고 주민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전통을 계승하여 현 시대에 구현하고 인민에게 향유하도록 하는 것은 ‘주체’의 확립인 동시에 인민주권적 지향의 실천이었다. 북한 사회주의가 민족문화전통과의 깊은 관련 속에서 건설된 것은, 북한 체제 내 민족주의적 성격이 뿌리내린 하나의 요인이었다. The policy of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has been a consistent policy of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In the early 1950s, North Korea needed internal integration and mobilization of internal resources in order to reorganize the Workers’ Party and the state system and to carry out post war reconstruction projects.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was further emphasized in terms of both ideology and practical use. In 1955, Kim Il-sung directed the establishment of ‘Juche’ based on the National Cultural Tradition and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Tradition. After the policy of socialist construction was fixed at the 3rd Congress of the Workers’Party of Korea in 1956, the project to inherit national cultural heritage was carried out with the goal of socialist construction. In particular, the advanced and reforming aspects were rediscovered in Silhak ideology. North Korea justified its radical socialization path through the ideology of Silhak. On the other hand, national cultural heritage in each sector, such as traditional science, architecture, weaponry, medicine, crafts, musical instruments, and clothing, was directly utilized and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in North Korea as socio-economic resources, and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residents. Inheriting the tradition and realizing it in the present era was the realization of Juche, and it contained the orientation of the people's sovereignty in the sense that the people enjoy the nation’s treasures. Through the inheritanc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North Korea’s socialist construction was ideologically reversed and utilized practically. In this way, North Korean socialism and national cultural traditions were closely related, and thus the nationalistic character took root in the North Korean socialist system.

      • KCI등재후보

        U.S. Korea Policy, 1942-1950: Vacillating Formative Period

        장준갑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08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19

        본고는 1940년대 미국의 초기 대한정책의 특징을 논한 글이다.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국은 1942년부터 전후 세계질서 문제를 영국, 소련 등과 논의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인본의 식민지였던 한국문제도 언급되었다. 한국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주로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에 의해 주도적으로 제시되었고 영국과 소련이 동의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전후 강대국에 의한 한반도의 신탁통치 합의도 이런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한반도 신탁통치 구상은 미국의 최초의 한국정책이었다. 그 정책은 한반도 분단의 기원이 되었지만 한반도의 역사적․정치적 상황과는 전혀 무관한 동기에 의해 결정되었다. 루즈벨트는 소련의 태평양 전쟁 참여를 유도하고, 소련과 전후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반도의 통치에 소련의 참여를 허용하였던 것이다. 즉 미국의 핵심적 이해관계가 교차하는 유럽이나 일본 등에서 소련을 배제하는 데 따른 소련의 반발과 미국의 부담을 비교적 덜 중요한 한반도에서 해결하려는 정책적 구상의 결과였던 것이다. 이렇게 시작된 미국의 한국정책은 트루먼 정부에서 또 한번 변화를 겪게 된다. 루즈벨트의 대소련 유화정책 대신에 강경한 봉쇄정책을 채택한 트루먼은 한반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들게 이어가고 있던 미소공동위원회의 협상에서 유연성을 제거하였으며 미국의 의지와 조건이 관철되지 않는다면 협상은 없다고 선언하였다. 국제정치적 고려에서 성립된 일시적 분단이 반영구적으로 고착화되는 길을 걷게 된 것이다. 한반도의 입장에서 보면 한국전쟁 이전까지 국제정치에 대한 미국의 정책변화에 따라 무원칙하고 변화무쌍하게 한반도 정책이 바뀌면서 미국의 필요에 따라 한반도가 둘로 분할되기도 하고 그 분단이 고착화되었으며, 남한정부 수립으로 미국에 떠안게 된 정치적 부담을 UN으로 이전시켰고, 주한미군을 철수시킴으로써 군사적 부담도 벗어났고, 미의회의 남한원조 예산 대폭 삭감으로 경제적 부담도 벗어남으로써 한반도를 고립무원의 상태로 만들었던 것이다. 분단, 분단 고착화, 한반도 포기라는 무책임하고 우유부단한 미국의 초기 대한정책은 한국전쟁에서 그 대가를 비싸게 치르게 된다.

      • KCI등재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문화 요소들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 대하소설 『혼불』에 재현된 세시의례를 중심으로 -

        김형민,이재호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2

        The roman-fleuve Honbul, written by Myung-Hee Choi, is especially characterized by her wide and comprehensive knowledge about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elements. In Honbul the author Myung-Hee Choi restored and reproduced forgotten and forgetting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materials with her keen powers of observation, creative words, elaborative and fine writing style, delicate and multi-layered description etc. based on thorough cultural-historical research. Honbul differs greatly from the majority of other Korean epic novels in that it didn’t completely dissolve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elements into narrative events, but reproduced them in their own way. In this work Myung-Hee Choi restored various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materials such as birth rites, coming-of-age rites, wedding rites, funeral rites, ancestral rites, food, clothing, shelter, status system, feng shui, shamanism, things Korean, play, myth, legend etc. In this sense Honbul is estimated to open a new literary genre of ethnographic novel. We, the researchers, have an ultimate goal to extract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materials represented in Honbul according to lifetime rites, seasonal customs rites, territory rites and so on, and to develop extracted materials into cultural contents by designing them afresh and creatively, to reform developed cultural contents into items of cultural industry which are appropriate to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our eventual objective a series of advanced works are, however, required. As one of such advanced works our study is planned. This paper focuses on the extraction of Korean traditional tangible and intangible folkloric-cultural elements concerning seasonal customs rites represented in Honbul through a deconstructive reading of ethnographic novel.(Sogang University/Soongsil University) 최명희의 대하소설『혼불』은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과 풍속에 대한 작가의 해박한 지식이 특히 두드러진다. 작가 최명희는 이 작품 속에서 잊힌 그리고 잊히고 있는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문화 요소들을 철저하게 문화사적으로 고증하여, 그것들을 예리한 관찰력, 창의적인 언어, 정교하고 수려한 문체, 섬세하고 다층적인 기술로 복원하고 재현했다.『혼불』은 한국의 전통적인 민속·문화 요소들을 서사적 사건과 서사적 상황 속으로 완전히 용해하지 않고, 그것들 자체를 독자적으로 재현했다는 점에서 다른 대하소설과 큰 차이를 보인다. 최명희는 이 작품 속에서 출산의례, 관례, 혼인의례, 상례, 제례, 세시의례, 의식주 생활, 신분제, 풍수, 무속신앙, 풍물, 놀이, 신화, 전설 등 다양한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자료들을 복원했다. 그래서 『혼불』이 ‘민속지적 소설’이라는 새로운 문학 장르를 열었다는 평가가 있다. 본 연구자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혼불』에 재현된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문화 요소들을 평생의례, 세시의례, 영역의례 등 영역별로 추출하고, 추출된 민속·문화 요소들을 새롭고 창의적으로 기획하여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개발된 문화콘텐츠를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걸맞게 문화산업의 아이템으로 발전시킬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우리의 최종 목표를 위해서는 일련의 사전 작업이 요구된다. 그런 사전 작업 중 하나로서 본 연구가 기획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민속지적 소설의 해체 읽기 작업을 통해 세시의례와 관련하여『혼불』에서 재현된 한국 전통 유·무형의 민속·문화 요소들을 추출하는 것에 집중한다.

      • KCI등재

        비동맹운동(Non-Aligned Movement)의 세계사적 위치와 성격

        김정배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2

        1961년 제1차 베오그라드회의에서 설립된 비동맹운동(Non-Aligned Movement)은 모든 나라가 타국의 체제와 상관없이 서로 공존하며, 민족해방운동을 지지하고, 강대국의 군사동맹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적 정책을 추구하려는 신생 독립국들의 국제기구였다. 비동맹운동의 이념과 대의는 기존 세계질서를 극복할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비동맹운동은 두 진영 사이의 관계가 변질될 경우 흔들릴 수밖에 없었다. 주로 두 가지 이유 때문이었다. 첫째, 비동맹운동의 내적 모순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그것은 식민지를 경험한 신생국의 모임으로 식민지 경험을 제외하면 동질성이 거의 없었다. 그들은 나름의 개별적, 지역적, 그리고 냉전 강대국과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었다. 그래서 그들이 단오 대오를 형성하는 것은 무리였고 남남 갈등은 오히려 당연한 일이 되었다. 둘째, 세계자본주의체제 자체가 비동맹운동의 대의와 주장이 실현되기 어렵게 만들었다.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를 재편하고 새로운 세계질서를 추구하려는 미국의 정책은 제3세계 일반은 물론이고 비동맹운동의 존재 기반을 위협했다. 특히 개별 비동맹운동 국가들의 권력투쟁은 미국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빌미가 되었다. 신생국에게 국가건설과 정권유지 비용은 구조적이고 치명적인 약점이었다. 비동맹운동은 인류사회를 위한 숭고한 대의를 천명하고 실현을 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태생적 모순과 세계자본주의체제의 막강한 힘 때문에 1970년대 중반 이후 약화되었다. 그럼에도 그 역할 때문에 비동맹운동은 식민지 이후 국가의 성격, 냉전의 의미, 그리고 20세기 후반 세계사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The concept of Nonalignment fused ideas of neutrality with ideals and agendas specific to the eras of de-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It did not mean non-engagement or neutral to all kinds of conflict, but positive reaction against imperialism, colonialism, and the Cold War. Non-Alignment Movement was the organization of solidarity of the newly emerging Afro-Asian States which their positions were uncommitted in relation to the Cold War. Even though its lofty Cause, Non-Alignment Movement failed to realize their vision and program, because of following two reasons. Firstly, Non-Aligned Movement which constituted with smaller and weaker new nations lacked persistent coalition which created from respective personal and national interests. Secondly, Mechanism of world-system of capitalism operation itself led to the rise and fall of Non-Aligned Movement. As early as 1970s, US-led world capitalism becoming to prevail the Second World and Thirdism. Non-Aligned Movement was one of very important factors of the world history since the second world war. That is a core reason why have to revisit the era of the Cold War.(Silla University)

      • KCI등재

        전후 독일 사회와 전쟁의 기억담론 - 볼프강 보르헤르트(Wolfgang Borchert)의 ‘문 밖에서’를 중심으로 -

        최선아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5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4

        German society underwent drastic changes from extreme poverty and turmoil to post-war reconstruction after World War II. German people shared the so-called "collective memory" during the war and the division of the nation into East Germany and West Germany. Nowadays the generations who experienced World War II has gradually disappeared, and the war will become as a sort of myth in the near future. When there is no more living witness of history, society is bound to rely on two different ways in association with the past. One is academic, historical research, and the other is media-aided "cultural memory."A noteworthy thing related to memory is the form of autobiography. An autobiography requires the identity of the writer, the narrator and the main character. This is a story that a person reminisced his or her own personal life and life history in prose, and the subject matter of it is himself or herself. In this perspective, Wolfgang Borchert's text can be one of important themes for research into the memory of post-war Germ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e problem of generation" in German and European society after World Wars I and II and the memory of the wars in German society by analyzing Wolfgang Borchert's work "Drauβen vor der Tür." It's specifically meant to look into criticism by post-war returned generations including W. Borchert against "creating a myth of hero" through history or the arts in German society, and into another criticism against the new "anti-hero" era and discussions on the responsibility of the wars. 2차 세계대전 후 독일 사회는 극도의 궁핍과 혼란, 전후 복구 사업으로 이어지는 변화를 겪었다. 전쟁과 동․서독 분단이라는 상황 속에서 독일인들은 이른바 ‘집단기억’을 형성하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과 관련한 세대가 점차로 사라지고 있는 오늘날, 머지않아 2차 세계대전은 하나의 신화가 될 것이다. 역사의 산증인이 없을 경우, 사회는 과거와 관련한 두 개의 상이한 방식에 의존하게 된다. 그것은 학문적-역사적 연구와 매체에 의존한 ‘문화적 기억’에 의존하는 방식이다. 기억과 관련해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자서전의 형식이다. 자서전이란 작가의 상황과 극 중 화자와 주인공의 동일성이 완전히 충족되어야 한다. 자서전이란 한 실제 인물이 자기 자신의 존재를 소재로 하여 개인적인 삶, 특히 자신의 인생의 역사를 중심으로 이야기한 산문으로 쓴 과거회상형의 이야기다. 이런 맥락에서 볼프강 보르헤르트(Wolfgang Borchert)의 텍스트는 전후 독일 사회 기억 연구의 중요한 테마가 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양차대전을 전후하여 독일 및 유럽 사회에 등장한 ‘세대문제’를 살펴보고, 볼프강 보르헤르트(Wolfgang Borchert)의 <문 밖에서>에 반영된 독일 사회의 ‘전쟁의 기억 문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기존 독일 사회에서 보여 주었던 역사, 예술 활동을 통한 ‘영웅의 신화 만들기’ 작업이 보르헤르트(W.Borchert)를 대변하는 전후 귀환 세대들에게 비판받고 새로운 ‘반(反)영웅’의 시대 비판과 전쟁 책임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어 가는 양상을 고찰할 수 있다. 현대 사회 인류 최대의 비극인 제 1, 2차 세계 대전을 통해 전쟁의 비참함, 잔학성, 비인간성을 자각하게 되었고 전쟁에 대한 반성과 책임문제에 대한 논의로서 역사와 문학을 고찰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볼프강 보르헤르트는 실제 전쟁에 참전하여 전쟁의 충격과 고통을 몸소 겪었던 자신의 체험으로, <문 밖에서>를 통해 2차 대전 후 전쟁의 책임에서 도피하려고 한 전후(戰後) 독일 사회에 대한 고발과 경종을 울렸다고 할 수 있다. 세기말 이후 등장한 독일 청년운동은 독일 현대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900년을 전후한 시기에 태어난 이들은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부자(父子)관계의 변화와 수적인 증가, 삶과 노동의 성인세계로부터의 분리, 사회동질성의 전통적 형태의 약화를 통해서 자신들을 하나의 세대로 자각했다. <문 밖에서>는 "전쟁의 패망이 지난 후 전장과 포로수용소로부터 귀향하는 병사들의 운명과 현존하는 주변 세계와의 갈등과 긴장을 다루면서, 내․외적 세계의 새로운 가치와 질서의 수립, 그리고 파국을 청산하려는 생존자들의 재고 조사"라고 할 수 있는 전후(戰後)의 귀향문학이다. <문 밖에서> 작품 속 베크만은 기존 독일 사회에서 숭배받던 영웅이 아니라 전형적인 반(反)영웅이고, 독일 사회에 전쟁에 관해 책임을 묻는 질문자라 할 수 있다. 보르헤르트는 작품 <문 밖에서>를 통해 책임회피를 하는 동시대의 전쟁 책임자들에게 자기 인식과 독일 사회의 정체성 재정립의 계기를 마련하려 하였다.

      • KCI등재

        찰스 클라크(Charles A. Clark, 곽안련) 선교사의 한국 불교 연구

        방원일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scription of Korean Buddhism in Religions of Old Korea by Charles Allen Clark, a Protestant missionary. Clark’s work is the result of the encounter between the experience of the mission field and the theory of the academic world. He visited temples throughout Korea and met monks in 1919. He had intensive interviews with Hankyung Park, an elite monk. Encounters with the natives served as the basis for refuting the views of previous Western researchers on Korean Buddhism. He reinforced his methodology by taking courses of Comparative Religion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in 1920, and composed the outline of the manuscript through addressing a lecture in 1921. He has written an unparalleled book on Korean religion and Buddhism by putting his experiences in Korea in the American academic format. Unlike his previous missionaries, he observed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from the viewpoint of religious practice, and as a result, he left a study that preserved the vivid aspects of Korean Buddhism in the 1910s. 본 연구는 개신교 선교사 찰스 클라크(Charles Allen Clark, 곽안련)의 저서 옛 한국의 종교 (Religions of Old Korea)의 한국 불교 서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클라크의 저서는 선교사로서의 한국 경험과 서양의 학문 담론 사이의 만남의 산물이다. 그는 불교 연구를 위해 1919년에 한국 곳곳의 절을 방문하고 승려들을 만났으며, 근대 불교 교육을 주도한 승려 박한경과 집중적인 인터뷰를 가졌다. 현지인과의 만남은 그가 다른 서양 연구자의 견해를 반박하는 근거가 되었다. 그는 1920년 시카고대학에서 비교종교학을 수강함으로써 방법론을 보강하였고, 1921년에 강연을 통해 원고의 골자를 구성하였다. 그는 한국 현지의 경험을 미국 학계의 형식에 담아내어 한국종교와 불교에 관한 독보적인 저작을 저술하였다. 그는 이전의 선교사와는 달리 종교 실천의 관점에서 한국 불교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1910년대 한국 현장의 모습을 반영한 연구를 남겼다.

      • KCI등재

        제2차 세계대전과 미국의 동양인 지위의 변화, 1939-1945

        김지원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9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2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status of Asi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from 1939 to 1945. Using Oral histories, special collections, government documents, and contemporary studie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status of Asian Immigrants diversified after the breakdown of the World War II. Their legal status was "Aliens of ineligible to citizenship" because they had to bear the brunt of the racial hierarchy in the United Stat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uring this period were concentrated on the Attack on Pearl harbor and Japanese relocation camp. So this study focused on the Alien Registration act of 1940, Attack on Pearl Harbor, and repeal of Chinese Exclusion act in 1943 as main factors to influence the change of status of Asian immigrants. According to the Alien Registration act of 1940, Asian immigrants were divided by 'enemy aliens' and 'friendly aliens.' Also after the attack on Pearl Harbor, Japanese on the West Coast had to relocated to several camps. However, Asian immigrants except Japanese immigrants had experienced remarkable change since the repeal of the Chinese Exclusion Act in 1943 because wartime mobilization afforded almost Asians socioeconomic mobility. Above all, this period was important turning point for the change of status of Asian immigrants in American immigration history and their status and lives was greatly diversified.(Daejin University) 미국 건국 이후로 고착되었던 동양인에 대한 차별정책은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크게 변화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시민권을 획득할 수 없는 외국인’의 지위도 크게 달라지기 시작했다. 미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출신국이 연합국인가 추축국인가에 의해 적국외국인과 우호외국인으로 양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동양인에 관한 이민정책과 지위의 변화 과정을 1940년 외국인 등록법, 1941년 진주만 공격, 1943년 중국인 배척법 철폐 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려고 한다. 즉 분수령의 시기 동안 동양인 중에서도 특히 일본인, 중국인, 한인 등의 삶과 지위는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 양상과 특징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은 동양인의 지위와 정체성이 가장 극명한 변화 양상을 보였던 시기일 뿐만 아니라 이전 시기와는 달리 인종적 요건보다는 정치적 이해와 경제적 요건이 주된 변수였다고 할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동양인에 관한 정책에서 인종 문제가 배제되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동양인 완화정책과 일본인 집단 이주라는 극단적인 변동이 동시에 존재했던 분수령이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 시기의 동양계 이민자에 관한 정책의 변화는 미국의 이민정책뿐만 아니라 1952년 맥카란 워터법과 1965년 신이민법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이민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기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깊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