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ACUM 기법을 활용한 CS강사의 직무분석

        박지우(Park, Jiu),윤관식(Yoon, Gwansik) 한국서비스인력개발학회 2022 서비스HRD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uty and task performed by CS instructors through job analys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job to the first CS instructor,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cess to foster CS instructors. For the above research, DACUM workshops were conducted centering on field exper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s CS instructors to derive responsibilities, tasks, and work factors. The content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were verified by a group of four experts with a related degree and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at the manager level in the CS education fiel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of a CS instructor was derived from 6 responsibilities, 26 tasks, and 111 working elements. The derived responsibilities are 'A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B employee service monitoring', 'C CS education plan establishment', 'D CS education development and progress', 'E CS education follow-up management', and 'F CS education promotion marketing', and each responsibility includes 3 to 5 tasks. Second,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or each task were derived to perform 26 tasks. Among the six responsibilities, the most work and work elements were derived from 'Monitoring B Employee Service' and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DCS Edu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to perform them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분석을 통해 CS강사가 수행하게 되는 책무(duty)와 작업(task)을 도출하고, 작업별 작업요소와 지식·기술·태도를 도출하여 초임 CS강사에게 직무의 방향을 제시하고, CS강사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과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해 CS강사로써 10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현업전문가를 중심으로 DACUM 워크숍을 실시하여 책무와 작업, 작업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내용은 관련 학위를 소지하고 CS교육 현장에서 관리자급으로 15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4명의 전문가그룹에 의해 검증단계를 거쳤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S강사의 직무는 6개의 책무, 26개의 작업, 111개의 작업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책무는 ‘A 고객만족도 조사’, ‘B 직원 서비스 모니터링’, ‘C CS교육 계획 수립’, ‘D CS교육 개발 및 진행’, ‘E CS교육 사후관리’, ‘F CS교육 홍보마케팅’이며, 각각의 책무마다 3∼5개의 작업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26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작업에 대한 지식·기술·태도를 도출하였다. 6개의 책무 중 ‘B 직원 서비스 모니터링’과 ‘D CS교육 개발 및 진행’에서 가장 많은 작업과 작업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기술·태도의 양이 상당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반부패·청렴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박지우(Jiu Park),황윤정(Yoon-Jung Hwang) 한국서비스인력개발학회 2023 서비스HRD Vol.2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반부패·청렴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지금까지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10년간 국내 학술지를 수집하여 총 14편을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전체 분석대상 문헌의 연구시기, 연구대상, 주제어, 연구방법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로 나누어 각각의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부패·청렴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는 빈도수와 증가율이 높지 않아,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연구대상에 대한 접근의 어려움으로 제도적인 측면의 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대상별로 분석한 결과, 크게 청소년과 공직자로 양분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청렴에 대한 개념이 공직자뿐 아니라 모든 사회구성원이 지켜야 할 부분이므로, 민주시민 양성 교육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방법을 살펴보았을 때, 질적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주로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았으며, 이에 대한 수치적 검증으로 연구의 완결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질적연구의 방법론을 살펴보았을 때, 조선시대의 사상을 탐색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역사적인 내용에서 교훈을 찾는 것은 물론 중요한 부분이나, 현대사회의 청렴에 대한 의식과 개념을 재구성하여 교육생의 입장에서 반부패·청렴의 필요성을 검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anti-corruption and integrity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to identify the trends of research so far and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To this end, a total of 14 domestic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ver the past 10 years from 2013 to 2022. Bas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object, subject word, and research method of the entire analysis target literature were analyzed, and each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Domestic research on anti-corruption and integrity education did not have a high frequency and increase rate, indicating that research was not being activat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study subject, it was largely divided into adolescents and public officials. Since integrity is a part that not only public officials but also all members of society should protect, it is necessary to expand to education for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Third,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litative research. There were many studies mainly on content development. Fourth, when examining the methodology of qualitative research, the most common research was to explore the ideas of the Joseon Dynasty to derive implications. Historical lessons are also important, but efforts should be made to review the need for anti-corruption and integrity from the perspective of trainees by reorganizing the consciousness and concept of integrity in modern society.

      • 항공사 승무원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박지우(Jiu Park) 한국서비스인력개발학회 2023 서비스HRD Vol.2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항공사 승무원 대상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양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지금까지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연구가 처음 진행되었던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11년간 국내 학술지를 수집하여 총 21편을 분석하였다. 전체 분석대상 문헌의 연구시기, 주제어, 측정도구와 하위요인을 분석하였고, 변인 간 관계를 고찰하여 긍정심리자본이라는 변인의 역할을 규명하여, 이에 대한 통합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국내 양적 연구는 2012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주제어는 어느 한쪽에 편중되어 있지는 않았으며, 리더십, 조직 내 갈등, 개인의 부정적 정서와 관련된 변인이 다수 발견되었다. 셋째, 측정도구는 원문항 그대로 사용되기보다는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일부 문항만 수정되어 연구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긍정심리자본의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긍정심리자본이 매개변인으로 사용된 연구가 10편으로 가장 많았고, 선행변인으로 사용된 연구가 7편이었으며, 조절변인으로 사용된 연구는 5편이었다. 결과변인으로 사용된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변인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전체 영향 관계에 대한 통합 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quantitative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airline flight attendants in Korea to identify the trends of research so far and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intende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for airline flight attendants. To this end, a total of 22 domestic academic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ver the past 11 years from 2012 to 2022. The research period, subject word, measurement tool, and sub-factors of the entire analysis target literature were analyzed, and the role of the variable call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identifi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an integrated model was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omestic quantitative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airline flight attendant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2. Second, the subject word was often studied along with negative variables such a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Third, rather than using the original question as it is, the measurement tool was often studied by modifying only some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er. Fourth, in terms of the role of variables, 10 studies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7 studi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5 studies were used as regulatory variables. No studies were found used as dependent variables. Finally,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 integrated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presented.

      • 장애인 대상 외적 이미지메이킹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고난이(Ko, Nani) 한국서비스인력개발학회 2022 서비스HRD Vol.1 No.1

        본 연구는 장애인 대상 외적 이미지메이킹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22년간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수집하여 총 22편을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전체 분석대상 문헌의 연구시기, 연구대상, 출판형태, 주제어, 연구 방법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연구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연구 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인 대상 외적 이미지메이킹에 관한 연구는 2000년 이후로 꾸준히 수행되고 있으며,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기는 하나 그 빈도수가 높지 않았다. 연구대상은 주로 성인여성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와 혼합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주제어 중 ‘자아존중감’과 ‘여성 장애인’이 가장 자주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별 분석에서 양적 연구는 주로 관계분석이 가장 많았고, 질적 연구는 개발연구와 실천연구가 있었으며, 혼합연구는 실천연구 이후 양적 분석방법으로 효과성을 검증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external image making for the disabled,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tasks. To this end, a total of 22 analyses were conducted for 22 years from 2000 to 2021. Bas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publication form, subject word, and research method of the entire analysis target literature were analyzed, and each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by subdividing them into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stud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Research on external image making for the disabled has been conducted steadily since 2000, and although it is an increasing trend, the frequency has not been high. In many cases, this study was mainly aimed at adult women, and the research and mix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research time were one week. And the 'self-esteem' and 'disabled women' of the central control center appear most often. In the analysis by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mainly had the most relationship analysis, qualitative research had development research and practic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was most frequently used as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after practical research. Limitations based on research beyond current events and presentation of directions for future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