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동산에 대한 상사유치권의 성립과 효력 - 일본 최고재판소 2017. 12. 14. 판결의 검토 -

        김영주 ( Kim Young-ju ) 한국상사판례학회 2020 상사판례연구 Vol.33 No.1

        본 논문에서는 2017년 일본 최고재판소 판결을 통해 부동산에 대한 상사유치권의 성립 여부와 그 효력 범위를 검토해 보았다. 2017년 최고재판소 판결은 일본 상법 제521의 ‘문리해석’에 기초하여 상사유치권의 대상이 되는 물건에 부동산이 포함된다는 점을 명시함으로써, 그 동안의 하급심 판결간의 대립을 종결하였다. 다만 본 판결은 상사유치권과 저당권의 경합이 다루어진 사안이 아니었고, 또 이에 대해서는 별다른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법리 적용상의 한계도 갖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에 이미 대법원 2012다39769ㆍ39776 판결에서 부동산에 대한 상사유치권의 성립 여부가 논의되어 이를 긍정한 바 있다. 같은 해, 상사유치권과 저당권의 문제가 다루어진 대법원 2010다57350 판결에서는 상사유치권의 대항력 범위를 제한하여 유치권 행사를 부정한 바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는, 일본에 비해, 상사유치권의 성립과 효력에 관한 문제들이 이미 판례법상 일단락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민사유치권과 같이, 상사유치권에 있어서도 부동산을 대상으로 한 유치권 악용 사례가 빈발하고, 특히 경매절차에서는 유치권 제도의 남용이 경매질서를 어지럽히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법해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를 입법으로 해결하여야 한다는 지적들도 많지만, 입법 이전의 현실 반영 역시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실정법상 제약이 힘든 유치권 제도의 부작용을 판례법상 제약하여 관련 당사자들의 후생을 확보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Supreme Court of Japan, Judgment of December 14, 2017, 2017 (Ju) 675, Minshu Vol. 71, No. 10, on validity and requirements of rights of retention between merchants on real estate. The Civil Code of Japan provides that ‘Things’ under the same code are real estate and movables, which are tangible objects (Article 85 and Article 86), while providing that the subject of a right of retention is a ‘Thing’, without excluding real property from such subject. On the other hand, Article 521 of the Commercial Code provides that the subject of a right of retention is ‘any object or negotiable instruments’, with no words suggesting that real property is excluded from such subject. The Court has found no other grounds for construing that the term ‘object’ as referred to in the said article is different from the term ‘Thing’ under the Civil Code. The Supreme Court of Japan held that the intention of Article 521 of the Commercial Code is to specifically give the obligee the right to retain any object, etc. owned by the obligor of which the obligee has taken possession by way of a commercial transaction, in order to secure the claim arising from the act constituting the commercial transaction for the benefit of both parties, with the intention of ensuring the maintenance and safety of credit transactions between merchants. In light of the actual circumstances where transactions of real property between merchants are widespread, the understanding that real property can constitute the subject of a right of retention under the same article is consistent with the intention described above. This paper, also, understands that it is appropriate to understand that real property constitutes an ‘object’ as referred to in Article 58 of the Commercial Code of Korea as the subject of a right of retention of merchants.

      • KCI등재

        2018년 상법총칙·상행위법 주요 판례의 검토

        노미리 ( Noh Mie-ree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9 상사판례연구 Vol.32 No.1

        이 글은 2018년 한 해 동안 공간된 대법원 판례 중 상법총칙·상행위법이 주요 쟁점이 된 판례 5건을 살펴본 것이다. 이 글에서 다루어진 대법원 판례의 주요 쟁점은 ① 상사법정이율의 적용범위(대법원 2018. 2. 12. 선고 2013다 26425 판결), ② 다수채무자의 연대책임(대법원 2018. 4. 12. 선고 2016다39897 판결), ③ 상인자격의 취득시기와 상사소멸시효의 적용범위(대법원 2018. 4. 24. 선고 2017다205127 판결), ④ 부당이득반환채권의 소멸시효(대법원 2018. 6. 15. 선고 2017다248803 · 2017다248810(병합) 판결), ⑤ 국제사법상 준거법의 판단(대법원 2018. 8. 1. 선고 2017다246739 판결)이다. 위 대법원 판례들은 대부분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판결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위 판결들의 주요 판시사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특정금전신탁에서 투자자 보호의 일환으로 설명의무를 인정하고 있고, 설명의무를 다하지 않은 경우 채무불이행이 아닌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책임의 경우에는 상사법정이율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이다. ① 판결은 종래 대법원 판결의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② 영농조합법인의 채권자에 대하여 영농조합법인과 그 구성원인 조합원들이 연대책임을 진다고 판시한 최초의 판결로서 의미가 있다. ③ 피고가 회사의 대표이사라고 하더라도 회사가 상인에 해당하는 것이지 피고가 상인자격을 지니는 것은 아니다. 대표이사가 개인 자격에서 금전을 차용한 경우 민사소멸시효가 적용된다고 본 판례의 입장은 피고에게 금전을 빌려준 사람을 보호하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타당하다. ④ 상사소멸시효의 적용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상행위로 인한 채권인지, 아니면 상행위로 인한 채권과 동일성을 가지는 변형물에 해당하는지를 기준으로 한다. 그런데 부당이득반환채권의 경우에는 이와 달리 거래의 신속성이 요구되는지를 기준으로 상사소멸시효의 적용대상인지를 판단한다. 대상 판결은 거래의 신속성이 요구되므로 5년의 상사소멸시효가 적용된다고 보았는데, 그 결론은 타당하다. 하지만 향후 대법원은 어떠한 경우에 거래의 신속성이 요구되는지에 대해서 그 판단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⑤ 준거법의 판단기준으로 속인법적 사항이 문제되는 경우 국제사법 제16조에 기해서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한 판결로서 의미가 있다. ⑤ 판결에서는 대한민국 법이 준거법이 된다고 판단하였고, 영농조합법인의 채무에 대하여 구성원인 조합원들은 상법 제57조 제1항에 따라서 연대책임이 있다고 보았다. 대한민국 법이 준거법이 되는 이상 위 판결의 결론은 타당하다. Among those rulings rendered by the Korean Supreme Court in 2018, this paper focuses on commercial transaction cases based upon the Korean Commercial Code. This paper covers five cases. The main issues of the above five rulings are as follows. ① In 2013Da26425 (Feb. 12, 2018) the court ruled that when a trust company signs a special money intrust with an investor, the trust company must fulfill a duty of explanation as means of investor protection. If the trust company does not fulfill this duty of explanation, it will be liable for damages based on tort, not on default. In the case of liability for damages based on tort law, rather than on the basis of default. In the case of liability for damages based on tort law, the statutory interest rate in commercial activities is not applicable. This judgement reaffirmed the Supreme Court’s previous ruling. ② In 2016Da39897 (Apr. 12, 2018) the court ruled that an agricultural partnership and the members thereof are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to the agricultural partnership’s bondholders. It is a meaningful ruling which declared the legal relations between agricultural partnership and the members thereof. ③ Furthermore, even if a defendant is the representative director of a company, the defendant is not a merchant. The position as the representative director of the company and the position of the individual are separate. In 2017Da205127 (Apr. 24, 2018) the court ruled that when a representative director borrows money as an individual person, civil extinctive prescription is applied. This supports the protection of those who lent money to the defendant director. ④ Article 64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provides that except as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 code,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a claim arising out of a commercial activity shall expire if it is not exercised within five years. Article 64 also applies to forms of commercial bonds. However, when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is sought, unlike in the instant case, the court must make a determination based on whether the transaction is necessarily urgent. In the case of 2017Da248803·2017Da248810 (Jun. 15, 2018), urgency of the transaction was held to be required, so the conclusion which determined that the 5 years expiration applies, was appropriate. However, in the future, the Supreme Court needs to present its criteria upon which the decision, as to whether promptness of the transaction is required, can be made. ⑤ In 2017Da246739 (Aug. 1, 2018) the court ruled that when a dispute regarding Personal Law arises, the governing law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Article 16 of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In the ruling, the Korean Civil Code was judged to be the governing law. As a result, the members of an agricultural partnership are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for the agricultural partnership’s debt according to article 57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 19에 대한, 영국과 한국의 주식회사 이사(회)의 인식과 대응의 변화 필요성

        문준우 한국상사판례학회 2020 상사판례연구 Vol.33 No.3

        The Covid-19 pandemic in the UK presents unprecedented challenges to the board of directors and executive staff. In today's much more uncertain or changing world, the role of the board of directors is even more important. Directors need to have a very deep and broad knowledge of the company's operations (Covid-19, company management, finance, personnel management, etc.). In this difficult situation, it would be natural for the directors to focus on the real issues right now in running the company. I think it would be very good for a director of a Korean corporation to well know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laws and regulations in order to exercise their authority well. Following Covid-19, the contents of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the remote board of directors, and the virtual bondholders' meeting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which may be revised, are as follows. 1. The corporation may, by a resolu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determine that shareholders may exercise their voting rights electronically without attending the general meeting (Article 368-4, Paragraph 1 of the Commercial Act). The electronic method mentioned above refers to an electronic method such as “e-voting,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etc.” Therefore, when looking at Article 368-4 (1) of the Commercial Act, it seems that the company can exercise voting rights at the virtual shareholders' meeting without the shareholders not attending the on-site shareholders' meeting by the resolut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For reference, the Commercial Act does not say that “electronic method is electronic voting”,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mmercial Act says that “electronic method is electronic voting.” I think it is best to revise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ommercial Act similarly to “electronic methods include electronic voting and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at virtual shareholders' meetings.” 2. In the case of directors with underlying diseases or elderly seniors, etc., due to attending the board of directors or before or after attending the board of directors, they may be infected with Covid-19 and die. If the director cannot participate in the resolution of the on-site board of directors due to such reasons, it would be good to add something similar to “The director should be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resolution of the remote board of directors even if there are other provisions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3. The assembly of bondholders may make resolutions on matters stipulated in this Act and matters of interest to bondholders (Article 490 of the Commercial Act). The provisions of Article 434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to the resolution of the assembly of bondholders (Article 495(1) of the Commercial Act). “Attendance” referred to in Article 434 above is considered to mean that the bondholders attend the assembly of virtual bondholders. Article 368-4 (Exercise of voting rights by electronic method)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to the assembly of bondholders (Article 495(6) of the Commercial Act). This can be interpreted by applying the above(‘Ⅳ. 1. 3) and 4)’) to the assembly of virtual bondholders. 영국에서의 코비드-19 팬더믹은 이사회와 집행임원진에 전례없는 도전들을 주고 있다. 훨씬 많이 불확실하거나 변하는 오늘날의 세계에서, 이사회의 역할은 훨씬 더 중요하다. 이사들은 회사의 영업(코로나 19, 회사의 경영, 재무, 인사관리 등)을 매우 깊고 폭넓게 잘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런 힘든 상황에, 이사들이 회사를 경영하는데 있어 지금 당장의 실제적인 문제에 집중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다. 코로나 19를 계기로, 개정 등이 되면 좋을 수 있는 한국 회사법의 가상주주총회・원격이사회, 가상사채권자집회에 대한 내용들이 다음과 같다. 1.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가 총회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음을 정할 수 있다(상법 제368조의4 제1항). 위에서 말하는 전자적 방법이란 ‘전자투표, 가상주주총회 등’의 전자적 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상법 제368조의4 제1항을 볼 때,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가 현장주주총회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가상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상법이라는 법률에 “전자적 방법이 전자투표이다.”는 것이 나오지 않으며, 상법 시행령에 “전자적 방법이 전자투표이다.”는 것이 나온다. 코로나 19를 계기로, 상법 시행령을 “전자적 방법에 전자투표와 가상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행사가 포함된다.”와 비슷하게 개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한다. 2.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자인 이사가 이사회에 참석하는 것 또는 이사회 참석 전・후 과정 때문에, 코로나 19에 감염되어 사망할 수 있으므로, 상법 제391조 제1항에 “감염병 등으로 이사가 현장이사회의 결의에 참가할 수 없는 경우에, 정관에 다른 정함이 있더라도 이사가 원격이사회의 결의에 참가할 수 있게 하여야 된다.”와 비슷한 내용을 추가하면 좋을 것이다. 3. 사채권자집회는 이 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 및 사채권자의 이해관계가 있는 사항에 관하여 결의를 할 수 있다(상법 제490조). 제434조의 규정은 사채권자집회의 결의에 준용한다(상법 제495조 제1항). 위 제434조에서 말하는 ‘출석’은 사채권자가 가상사채권자집회에 출석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본다. 사채권자집회에 대하여는 제368조의4(전자적 방법에 의한 의결권의 행사)를 준용한다(상법 제495조 제6항). 이는 위의 ‘Ⅳ. 1. 3)과 4)’를 가상사채권자집회에 적용하여 해석하면 될 것이다

      • KCI등재

        판례회고(判例回顧) : 2009/2010년도 어음,수표(手票)에 관한 대법원판례(大法院判例)의 동향(動向)과 분석(分析)

        김문재 ( Moon Jae Kim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0 상사판례연구 Vol.23 No.4

        This article examines and analyzes the Korean Supreme Court Judgements in 2009/2010 about bill of exchange, note and checks. It investigates four cases. The first case treats the problem about the reversion of the security money for accident notification that be deposited in a depositing bank at the time that a court sentences the bankruptcy against the corporation which is a drawer. But the decision by the court have no relationship with the security money, because the holder in due course is the first person who has the right against the security money. Therefore the depositing bank must pay the holder in due course with the money if he may be prove as the holder in due course by the procedures for bankruptcy. The second case deals with the problem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debtor, who had endorsed over a bill for the security to origin debtor and the creditor. In this case, the decision of Korean Supreme Court regarded the behavior of the debtor, who had endorsed a bill for the security about origin debtor, as the behavior of guaranty at the Civil Law in Korea. Therefore, I concluded that the court`s decision in this case was rational. The third case treats whether the prescription of a inchoate instrument and the right to fill up could be interrupted by the fifing of a lawsuit, and whether the holder of a inchoate instrument could fill up at that time. The court`s decision in this case demonstrates that it is possible. The forth case deals with the problem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letion of prescription and origin claim, and treats whether the debtor could offset the claim of the creditor by his claim for compensation. This problem depends on whether the debtor has received a real damage by the completion of prescription or no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2021년 자본시장법 주요 판례의 분석과 평가

        강대섭 한국상사판례학회 2022 상사판례연구 Vol.35 No.1

        This paper examines the facts and issues related to some cases in 2021 on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hereinafter ‘the Act’). In a case related to investment trust, the Supreme Court has judged : when an asset management company or a distribution company violates the obligation to protect investors, the investor may claim the return of unjust enrichment resulting from the cancellation of the investment securities sale contract or compensation for damages resulting from the violation of the obligation. Both claims serve the same economic purpose, and the parties concerned have the joint tort liability to the investor, and the right to demand a reimbursement can be exercised between the parties. When a person uses material nonpubl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business, etc. of a listed corporation in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of insider trading, he (or she)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or by a fine according to the profit accrued or loss avoided by a violation. If he disposes of the stock after the information has been disclosed and the stock price has risen to the highest, the stock price and the time point are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profits from the violation. The Act provides that no managing member of a private equity fund shall unduly solicit a person to become a partner by promising to guarantee the profit. The case is : a person who is not a general manager of a private equity fund promise to guarantee the profit to a person in a position similar to that of a partner is invalid as an evasion of the prohibition or restriction. By according to a case, the in-house labor welfare fund is not a professional investor as a ‘fund established pursuant to a relevant Act’. It is a ordinary investor subject to the investor protection regulations considering whose establishment is arbitrary, its main purpose is not to invest in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 and do not have the expertise in investment. Even if the precedent relates to related regulations prior to the current Capital Market Act, the meaning and acceptance of the relevant precedent should be reviewed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the Capital Market Act or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which accepts the contents and jurisprudence of the relevant regulations. 이 논문은 2021년에 나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관한 판례 중 주요 판례의 사실관계와 관련 쟁점을 분석 평석한 것이다. 먼저 대법원 2021.6.10. 선고 2019다226005 판결은 자산운용회사 또는 수익증권 판매회사가 투자자보호의무를 위반한 때에는 투자자는 투자상품 매매계약의 취소로 인한 부당이득의 반환 또는 그 의무 위반으로 인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데, 양 청구권은 동일한 경제적 목적을 위한 것이므로 부당이득반환의무를 이행한 판매회사는 투자자에게 공동의 불법행위책임을 지는 관련자에 대해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음을 인정한다. 다음으로 호재성 미공개중요정보를 이용하여 주식을 취득한 자가 그 정보가 공개되어 주가가 최고로 상승한 이후에 처분한 경우 벌칙의 적용요건으로서 위반행위로 얻은 이익을 산정할 때 기준이 되는 주가와 그 시점을 밝힌 판례가 있다. 대법원 2021.9.30. 선고 2021도1143 판결은 행위자가 실제로 매도한 시점의 가격이 아니라, ‘정보의 공개로 인한 효과가 주가에 전부 반영된 시점의 최고가’에 의하여 산정할 것을 요구한다. 사모투자전문회사의 업무집행사원이 이익보장약속으로 사원이 될 것을 부당하게 권유하는 행위가 금지된다. 이 규정의 효력과 관련하여 대법원 2021.9.15. 선고 2017다282698 판결은 사모투자전문회사의 업무집행사원이 아닌 자가 업무집행사원의 관여가 있는 상태에서 사원과 유사한 지위에 있는 자에 대해 이익보장약속을 하는 것은 금지규정을 배제하거나 잠탈하기 위한 탈법행위로서 무효라는 선례를 확인하였다. 사내근로복지기금이 투자자보호 규정의 적용받는 일반투자자에 해당하는지를 다룬 판례가 있다. 대법원 2021.4.1. 선고 2018다218335 판결은 전문투자자 또는 전문금융소비자의 범위는 관련 법령에 따라 명백하게 인정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정적으로 해석할 것을 요구한다. 판례는 ‘법률에 따라 설립된 기금’이지만, 설립이 임의적이고 주된 목적이 금융상품의 투자가 아니며 투자의 전문성도 구비하지 못하는 사내근로복지기금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판례가 현행 자본시장법 이전의 관련 규정에 관한 것이더라도, 해당 판례는 관련 규정의 내용과 법리를 수용하고 있는 자본시장법이나 금융소비자보호법의 적용과 관련하여 그 의미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