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형 사회보고서’ 모델에 관한 연구

        주정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7 사회연구 Vol.8 No.1

        The goal of corporations has currently changed from economic corporations pursuing only their benefits to pro-social corporations pursuing both their and social benefits in stride with various changes in society. In Korea interest parties are demanding more and more corporations to take socially responsible actions. Therefore one of the urgent tasks of Korean corporations is to develop a social report to meet the needs of society. A social report is an ideal means of evaluating the responsibility of corporations. Social evaluation of corporations is currently considered as a means of attai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of encouraging social investment. Social report is also meaningful and significant in that it is a comprehensive report of corporations. It encourages corporations to take over more social responsibility by presenting the interest parties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corporative activities. In this study, a Framework for the Korean Social Report was developed. The suggested framework in the study is the opening of institutionalizing the guidelines of Korean social report. It will help corporations overcome limitations specific to Korean society and implement urgent and practical tasks. Therefore it is expected in this time of social responsibility management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report be introduced to Korea as soon as possible. 전 세계적으로 기업을 이해하는 관점이 경제적 목적만을 추구하는 ‘경제적 기업’에서 사회적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친사회적 기업’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내적으로도 사회가 다양화, 다원화되어가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점증되고 있다. 국내외적인 이런 변화 속에서 한국기업이 시급히 대응해야 할 과제 중 하나가 사회부문에 대한 투자를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국제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투자와 관련하여 기업의 사회적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인 ‘사회보고서(Social Report)’의 개발이다. 이것은 인간과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 등 이해관계자에 미치는 기업활동의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제시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새로운 기업문화 형성을 위한 중요한 보고서이기 때문에, 현 시점에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글로벌 기준에 따른 평가모형을 최대한 반영함으로써 국제적인 정합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한국 현실에 적합한 실행 가이드라인으로서의 모델 개발을 추구하였다. 즉 한국의 현실적 제약요인을 극복할 수 있고 우리에게 시급하고 실행가능한 핵심과제를 압축해서 중점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한국형 사회보고서’ 모델을 개발·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 이 모델은 한국의 사회보고서 작성지침을 제도화하기 위한 또 하나의 시작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서 사회책임경영 시대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사회책임 실천을 통한 기업의 가치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회보고서의 조속한 제도화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 연구 - “국경 없는 마을” 사례

        이태정(Lee Tae-Jeong)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5 사회연구 Vol.- No.10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에 대해 행해지는 다차원적인 차별과 편견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사회적 배제’라 규정짓고,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이주 노동자들이 스스로 이러한 사회적 배제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는가에 주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사회가 가진 특유의 사회적 배제의 원인과 유형을 범주화하고, 이에 대응하는 이주 노동자들의 특성과 자발적 노력들을 고찰하였다. 또 이주 노동자가 유입된 이후 지역 공동체 내에서 형성된 사회적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에서 “국경 없는 마을”이 현재 한국 사회에서 갖는 위치와 의의를 찾아 보았다.<BR>  분석에 주로 사용된 연구 자료는 안산시 원곡동에서 원주민들과 이주 노동자들이 함께 만들고 있는 새로운 공동체인 “국경 없는 마을”에의 참여 관찰과 이 곳의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심층 면접 결과이다.<BR>  연구 결과, 외부인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데 인색한 한국 사회는 단일민족주의와 유교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외국인 혐오증이 결합하여 독특한 형태를 띠는 사회적 배제의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고 있었다. 이주 노동자들은 일관되지 못하고 미봉책 마련에 지나지 않는 정책과 제도의 허점을 파고들고 행해지는 법적ㆍ제도적 배제와 노동 현장에서의 착취와 차별의 형태를 띠는 경제적 배제, 그리고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오해로 인해 사회적 배제의 대상이 되고있다.<BR>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은 다른 이주 노동자들의 거주지와 달리 게토화의 위험을 넘어서는 하나의 대안적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주 노동자들에게 “국경 없는 마을”은 한국 사회에서 생활하면서 정서적 안정을 얻으며 한국인과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장(場)이다. “국경 없는 마을”은 한국 사회의 외국인력 정책과 제도의 미비함을 사회적 요구와 필요에 의해 보완하고자하는 이주 노동자들과 지역 사회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형성되고 있는 새로운 공동체적 시도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foreign migrant workers overcome social exclusion. Social exclusion of migrant workers is a reflection of multidimension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Korean society. The study focused on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reponses of migrant workers to social exclusion. It also observed the social relations of migrant workers and local residents in an alternative community, the "Borderless Village" at Ansan city in Kyounggido, Korea.<BR>  Three areas of theoretical concepts and ideas are relevant in this study; 1)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s well as international economic inequality; 2) social exclusion as a concept that includes institutional, legal, economic, and social discriminations against foreign migrant workers.<B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migrant workers during a series of field researches at the "Borderless Village" in Ans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es and types of social exclusion against foreign migrant workers in Korea. Social exclusion is composed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inattentiveness regarding foreign labour policy, economic exclusion that includes unfair treatment at work places, and social and cultural exclusion that includes so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gainst foreign workers.<BR>  Secondly, the "Borderless Village" is a sort of alternative community within which foreign migrant workers with various racial, ethnic, and national backgrounds and indigenous local residents live together and make an effort to build a community that is immune to social exclusion. What is more interesting is that the Village project has been initiated and maintained by the local residents.<BR>  The policy implications for foreign migrant workers and prospect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후보

        ‘한국형 사회보고서’ 모델에 관한 연구

        주정(Joo Jeong)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7 사회연구 Vol.- No.13

          The goal of corporations has currently changed from economic corporations pursuing only their benefits to pro-social corporations pursuing both their and social benefits in stride with various changes in society. In Korea interest parties are demanding more and more corporations to take socially responsible actions.<BR>  Therefore one of the urgent tasks of Korean corporations is to develop a social report to meet the needs of society. A social report is an ideal means of evaluating the responsibility of corporations. Social evaluation of corporations is currently considered as a means of attai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of encouraging social investment. Social report is also meaningful and significant in that it is a comprehensive report of corporations. It encourages corporations to take over more social responsibility by presenting the interest parties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corporative activities.<BR>  In this study, a Framework for the Korean Social Report was developed. The suggested framework in the study is the opening of institutionalizing the guidelines of Korean social report. It will help corporations overcome limitations specific to Korean society and implement urgent and practical tasks. Therefore it is expected in this time of social responsibility management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ocial report be introduced to Korea as soon as possible.   전 세계적으로 기업을 이해하는 관점이 경제적 목적만을 추구하는 ‘경제적 기업’에서 사회적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친사회적 기업’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내적으로도 사회가 다양화, 다원화되어가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점증되고 있다. 국내외적인 이런 변화 속에서 한국기업이 시급히 대응해야 할 과제 중 하나가 사회부문에 대한 투자를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국제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투자와 관련하여 기업의 사회적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인 ‘사회보고서(Social Report)’의 개발이다. 이것은 인간과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 등 이해관계자에 미치는 기업활동의 긍정적ㆍ부정적 영향을 제시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새로운 기업문화 형성을 위한 중요한 보고서이기 때문에, 현 시점에 매우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BR>  이에 이 연구는 글로벌 기준에 따른 평가모형을 최대한 반영함으로써 국제적인 정합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한국 현실에 적합한 실행 가이드라인으로서의 모델 개발을 추구하였다. 즉 한국의 현실적 제약요인을 극복할 수 있고 우리에게 시급하고 실행가능한 핵심과제를 압축해서 중점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한국형 사회보고서’ 모델을 개발ㆍ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 이 모델은 한국의 사회보고서 작성지침을 제도화하기 위한 또 하나의 시작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서 사회책임경영 시대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사회책임 실천을 통한 기업의 가치상승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회보고서의 조속한 제도화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 연구- "국경 없는 마을" 사례

        이태정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5 사회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에 대해 행해지는 다차원적인 차별과 편견이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사회적 배제’라 규정짓고,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이주 노동자들이 스스로 이러한 사회적 배제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는가에 주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사회가 가진 특유의 사회적 배제의 원인과 유형을 범주화하고, 이에 대응하는 이주 노동자들의 특성과 자발적 노력들을 고찰하였다. 또 이주 노동자가 유입된 이후 지역 공동체 내에서 형성된 사회적 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에서 “국경 없는 마을”이 현재 한국 사회에서 갖는 위치와 의의를 찾아 보았다. 분석에 주로 사용된 연구 자료는 안산시 원곡동에서 원주민들과 이주 노동자들이 함께 만들고 있는 새로운 공동체인 “국경 없는 마을”에의 참여 관찰과 이 곳의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심층 면접 결과이다. 연구 결과, 외부인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다양성을 인정하는 데 인색한 한국 사회는 단일민족주의와 유교적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외국인 혐오증이 결합하여 독특한 형태를 띠는 사회적 배제의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고 있었다. 이주 노동자들은 일관되지 못하고 미봉책 마련에 지나지 않는 정책과 제도의 허점을 파고들고 행해지는 법적·제도적 배제와 노동 현장에서의 착취와 차별의 형태를 띠는 경제적 배제, 그리고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오해로 인해 사회적 배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안산시 “국경 없는 마을”은 다른 이주 노동자들의 거주지와 달리 게토화의 위험을 넘어서는 하나의 대안적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주 노동자들에게 “국경 없는 마을”은 한국 사회에서 생활하면서 정서적 안정을 얻으며 한국인과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장(場)이다. “국경 없는 마을”은 한국 사회의 외국인력 정책과 제도의 미비함을 사회적 요구와 필요에 의해 보완하고자하는 이주 노동자들과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노력으로 형성되고 있는 새로운 공동체적 시도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의 경쟁력제고를 위한 가치병립현상 연구 - EHW 모델을 중심으로

        이관춘(Lee Kwan-Chu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5 사회연구 Vol.- No.9

          한 국가의 경쟁력 제고에는 경제적인 요인들도 필요하지만 사회자본, 즉 사회구성원들의 합의능력이나 사회적 응집력과 같은 비 경제적 요인들의 역할 또한 필수적이다. 사회적 합의 혹은 응집력은 구성원들이 지니고 있는 가치 및 가치의 병립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특히, 한 사회에서 경제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세 기관, 즉 가정과 학교 그리고 기업체의 가치 및 이들 기관간의 가치들이 서로 조화를 이룰 때보다 효율적인 사회적 합의를 도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BR>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경쟁력 제고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세기관, 즉 가정과 학교 그리고 기업체간의 가치의 병립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조사?분석하여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초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된 실험적 연구이다. 가치병립을 측정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가치조사도구의 개발 등 이론적인 틀을 정립하였다. 가치조사 도구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로키츠 가치조사(1973; 1979)를 바탕으로 하되 이를 한국 상황에서 비판한 연구자의 선행연구(이관춘, 1991)와 슈와르츠와 빌스키(1987; 1990)이론을 함께 응용하여 개발하였다. 가치조사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크론바 알파 측정을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가정에서는 부모, 학교에서는 교사, 고교생 및 대학생, 그리고 기업에서는 매니저와 근로자 등 6개 집단으로 하였다. 조사분석은 개별적 가치와 가치영역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가치영역별 병립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가치영역별로 집단간의 병립 정도는 변량분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BR>  연구 결과는 6개 집단간의 가치의 조화 및 병립 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및 가족의 안전에 관한 영역이 가장 중시되고 또한 높은 일치도를 나타냈으며 개인과 조직의 ‘성취’ 관련 가치영역역시 높게 나타났다. 향후, 이 연구의 방법론을 외국의 상황에 적용ㆍ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가치병립과 기업 및 국가경쟁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및 현장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he Compatibility of Value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EHW factor. The central concern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atibility of values between education, households, and work structures (EHW) in Korea.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assumption that compatibility of values in a society, and in particular, among the EHW,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achievement of social consensus or cohesion, leading to the strengthening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ncluding effective economic development.<BR>  Ideally, if time and resources had been available, the study might have measured compatibility of values by identifying each institutions" perception of the values of work structures that are essential institutions for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This study develops theoretical models to analyze the value compatibility between EHW members on the basis of the Rokeach Value Survey(RVS, 1973, 1979) and Schwartz and Bilsky(1987, 1990). To examine the proposed model,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test was used. The extent of value compatibility between the three groups was investigated in the analysis of compatibility of personal values among the three institutions.<BR>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used together with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he analysis of compatibility of personal values. Data were gathered from randomly selected samples of representative company managers, workers,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and par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e results suggest a very strong EHW relationship at the personal lever of values. Further analyses of these issues and replication of the present model to other western countries is suggested for comparison.

      • KCI등재후보

        반부패 대안으로서 NGO -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반부패 대안으로서 NGO

        김제선(Kim Je Su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4 사회연구 Vol.- No.7

        이 논문은 한국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로 여기는 부패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NGO의 반부패운동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부패문제는 ‘고질적인 구조적 문제’이며, ‘만성화’, ‘체질화’된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모든 정권마다 반부패정책에서 실패 또는 한계를 분명히 보여왔다. 1990년대 후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NGO는 시민사회영역의 확장과 함께 한국 부패문제에 보다 효율적,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대안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부패와 NGO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정성분석(특히 사례연구)을 연구방법으로 삼았다. 그 결과로서 한국 NGO는 반부패를 위해 정치, 행정(제도), 시장(대기업), 그리고 시민부문 등에서 정보의 제공, 감시와 견제, 법규의 제?개정 및 제도적 개혁, 시민의식의 확산 등 여러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NGO는 정부부문보다 상대적으로 신뢰성을 얻고 있었으며, 정부실패에 대한 보완재이면서 잠재적 대체재로서 정부기구에 대한 강력한 견제기구로서 역할을 하고 있었고, NGO의 반부패운동은 정부부문에 대한 개혁의 원동력이 되면서 한편으로는 사회 전체적으로 책임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 결국 한국 부패문제에서 대안이 된다. 또한 시민참여를 적극 유발시키고 있어 부패의 유인을 사전에 제거하는 이른바 부패방지의 대안이기도 한 것이다. 결국 NGO의 반부패운동은 개혁에 대한 공공의 압력, 부패에 대항한 시민참여의 유발, 부패를 줄이는데 선도적 행동, 시민사회와 정부 사이에서 연계고리의 역할, 그리고 불완전한 정보에 대한 사실제공 및 개혁에 대한 기획, 진단, 평가 등의 의의를 가진다. This paper examines the roles and result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NGOs) activities in combating and preventing corruption in the south Korea. In south Korea the corruption became a chronic endemic structural problem. All the anti-corruption policies of every government failed and the government lost its trust. Accordingly the NGOs were demanded to play a key role against corruption. Their role is to prevent causes of corruption being generated by promoting structural reforms and by arising public awareness. Some of the positive results NGOs had in combating corruption are receiving the recognition by civilians, reforming the government or the public anti-corruption agency, playing as an alternative resource when the government fails, and raising public awareness. The activities of NGO are especially useful in raising awareness and in designing, monitoring, and evaluating reforms. The NGO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combating and preventing corruption problems in South Korea.

      • KCI등재후보

        사회연구에서 발견의 논리와 개념적 추상화

        김명희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6 사회연구 Vol.- No.30

        오늘날 ‘방법의 문제’는 한국 사회 현실에 적합한 지식 생산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사회연구자들에게 여전히 숙고해야할 쟁점으로 남아있다. 이 논문은 맑스와 뒤르케임의 과학적 방법이 비판적 실재론이 가장 중심적인 사회과학 활동으로 제시한 개념적 추상화와 발견의 논리를 공유한다는 점을 논증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를 위해 맑스가 “1857년 서설”에서 제시한 ‘과학적으로 올바른 방법’과 뒤르케임이『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1895)에서 제시한 ‘사회적 사실을 관찰하기 위한 규칙들’을 살폈다. 두 텍스트는 양자의 과학적 방법이 형식논리학적 논증을 넘어, 경험에서 실재로 도약해 기존의 경험적 지식을 이론적으로 재구성하는 역행추론(retroduction)의 원리를 공유한다는 점을 드러내준다. 두 사상가의 과학적 방법이 현대 한국 연구에 제시하는 함의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맑스와 뒤르케임은 개념과 이론을 검증하기보다는 개념과 이론을 만드는 방법론을 가졌다. 선행연구에 대한 철저한 내재적 비판과 설명적 논증을 경유한 개념화의 절차는, 지식 생산의 사회적 과정에 장착됨으로써 한국사회의 역사성과 개방적 현실에 적합한 개념, 이론, 지식 생산의 경로를 모색하기 위한 대안적인 사회연구의 모체가 될 수 있다. 둘째,이러한 절차는 이른바 ‘두 문화(two cultures)’의 분리를 재생산해온 과학과 철학, 이론과 역사의 이분법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론적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나아가 실증주의적이지 않으면서도 자연주의를 유지하는 두 사상가의 ‘과학적 방법’은 오랜 시간 사회연구의 ‘과학적 방법’을 독점해왔던 실증주의적 독단에 제동을 걸고, 여타 응용과학의 발견적 작업과 - 개념을 통한 - 소통 가능성 또한 열어놓고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사회변동과 범죄 추세, 1966-2007

        박성훈(Park, Seong-Hoon),장안식(Jang, An-Sik),이재경(Lee, Jae-Kyoung)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9 사회연구 Vol.- No.18

        이 연구는 범죄율의 변화가 사회의 변동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시작되었다. 논자에 따라 이견은 있을 수 있지만, 한국사회에서 1980년 이후의 중요한 변동의 시기는1987년 민주화와 1997년 외환위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범죄발생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범죄통제 요인과 경제관련요인, 그리고 1987년 민주화와 1997년 외환위기와 같은 한국사회의 중요한 사회변동을 연결 지어 이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범죄유형에 따라 조건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범죄를 재산범죄와 강력범죄로 구분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론적 논의를 통해 도출된 관련 변인들을 조작화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시계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발견하였다. 첫째로 범죄유형별로 요인들의 영향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재산범죄의 경우 경제적 규모가 커지고, 국가권력이 보다 민주적이고 덜 독재적일수록, 실업률 및 소득불평등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경찰 1인당 담당 인구수가 증가할수록 재산범죄율은 증가하였다. 반면, 강력범죄의 경우에는 오직 실업률만이 강력범죄율의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로 재산범죄율과 강력범죄율의 변화 양상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시점의 효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1987년과 1997년이라는 두 시점을 기준으로 재산범죄율과 강력범죄율의 추세를 분석했을 때, 오직 1997년 이후의 시기에만 재산범죄율이 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거시적 사회변동과 범죄현상이 특정한 사건에 의해 영향을 받기 보다는 누적적이고 산재해 있는 사회구조적 요인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이러한 사회구조적 요인이 범죄율에 미치는 영향력이라는 것도 범죄유형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crime in relation to social change in the Korean society. We adopt a criminological approach to social change and focus mai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 social change and changes in crime rates. We propose that there are some notabl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hange and crime rates, and to test this we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cro measures such as social control, economic inequality, and major societal changes as like the democratization in 1987 and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f the state becomes more democratic, less repressive, and higher in unemployment and inequality rates, the property crime rate increases. This confirms the findings of existing research that the property crime rate increases as the economic inequality and unemployment increase. However, only the unemployment rat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violent crime rate. The weaker capacity of the police also increases the property crime rate but does not hold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violent crime rate. Secondly, in terms of the changes in the property crime and the violent crime rat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perty crime rate, but not on the violent crime rate. Based on the findings stated above, this is to be expected as the economic crisis in 1997 is much more likely to induce economic inequality, massive unemployment crisis and anomic conditions that influence on the property crime rate than the democratization in 1987.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se two turning points, namely, the democratization in 1987 and the economic crisis in 1997, supports the argument that unemployment rate has a short-term crime reduction effect.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사의 인권침해 및 불이익 영향요인 연구 -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사 사례 분석

        권현진,이용갑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7 사회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 소재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274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및 7월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중 사회복지사들이 겪은 인권침해와 불이익 경험 여부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인권침해는 상사나 동료 및 클라이언트의 폭언, 폭력, 성희롱의 경험으로, 불이익은 임금과 수당, 복리후생, 기관운영에서의 차별로 구분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기혼자일수록,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일수록, 근로시간은 길수록 인권침해와 불이익을 경험하게 되는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대학원 이상의 학력 소지 사회복지사의 경우 불이익 경험 보다 인권침해 경험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은 인권침해 경험에도 불구하고 직장 내에서 이를 문제로 제기한 경우는 10.3%에 불과한 것도 확인하였다. 전국 및 기초지자체 차원에서 사회복지사의 근로환경과 인권침해에 관한 조사연구가 있는 상황에서, 처음으로 광역지자체차원에서 이를 분석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인권침해와 불이익의 예방과 피해구제를 위한 적극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관 일선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결정변인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사회복지관 중심으로

        김경희(Kim Kyung-Hee),정은주(Jung Eun-Jue)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6 사회연구 Vol.- No.12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로 서울지역 사회복지관 일선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영향력을 가지는 변인들을 식별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결정변인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전략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개의 사회복지관의 중간관리자들과의 집단면담을 통해 직무만족 실태를 파악한 후 서울지역 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자는 현 사회복지관에서 1년이상 3년 미만 근무한 직급이 일선사회복지사인 자로 하였으며, 154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BR>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개인특성, 업무과제특성, 조직특성의 3가지 영역으로 살펴보았는데, 연구결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개인특성 변인에서는 학력과 실무경력이 유의하게 나타났고, 업무과제 변인에서는 역할의 명확성, 업무의 자율성, 업무 스트레스 변인이, 그리고 조직특성 변인 중에서는 급여 및 복리후생, 동료의 지지, 전문적 발전을 위한 기회 변인이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BR>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 일선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위한 전략차원의 제언으로 수퍼비전 체계 마련, 급여 및 보상체계 점검 등 조직차원의 변화, 일선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발전의 기회 확보를 위한 조직의 인력개발 ?지원정책 마련, 조직의 학습조직화, 역할 명확성과 업무 스트레스에 대한 해결을 위해 직무역할과 책임 규명, 명확한 의사소통체계, 직무기술서와 컴퓨터시스템 도입방안 등을 전략적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social workers in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of Seoul.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resources of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and the efficient and effective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s. This is done by finding out the social workers" real job satisfaction at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and provid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determining variable factors on their job satisfaction. For this, we had group interview with the middle managements of 3 community service centers and then took the complete enumeration on the social workers who worked between 1-3 years at the community centers in Seoul. We did a mail survey with 154 responses and analyzed the data with SAS. The analyses used were frequency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BR>  We examined the influencing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in 3 different characteristics: individual characteristics, job assignment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job experience was influential to the rela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To the relation of job assign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variables on the clarity of the job, the autonomy of the job and the stress from the job were influential. To the relation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and job satisfaction, pay, fringe benefit, support from colleagues and the opport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followed in their order of influence.<BR>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trategic plans as a proposal for increasing the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organizational changes which include provision of supervision system; checking the compensation schem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support policy which ensure the opportunit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ocial workers: systematization of learning in the organization; clear definition on the job role and responsibility to resolve stress; clear communication channels, job description and utilization of an efficient computer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