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 철학의 사회철학적 재구성 흐름에 대한 비판적 점검: 공동체주의와 대안적 독법을 중심으로

        김도윤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3 사회와 철학 Vol.- No.45

        본 논문은 그간 한국 정치·사회 철학 담론에서 주목받지 못한 여러 가지 니체 독법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의 정치·사회 철학계는 공동체와 개인(보편과 개별)의 대립 극복을 위해 주로 독일 전통의 이론에 의존한다. 그러나 니체 또한 독일 전통에 서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주의 옹호 철학으로 쉽사리 취급받고, 그와 관련된 깊이 있는 정치·사회 철학 담론이 형성되지 못했다. 그는 주로 푸코와 들뢰즈로 대표되는 현대 프랑스 철학을 거쳐 간접적으로 참조될 뿐이다. 니체로는 공동체 혹은 사회에 관한 긍정적인 철학 논의를 형성하기 어렵다는 점은 니체 연구자에게서도 널리 받아들여지곤 했다. 그러나 21세기를 기점으로 하여 영미권 니체 연구자들은 이러한 기존 견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니체의 정치·사회 철학적 면모를 재조명하기 시작했다. 이 글은 그들의 최근 논의를 정리 및 검토한다. 우선, 전통적인 해석 방법인 개인주의 니체 독법의 주요 주장을 짚고, 공동체주의 니체 독법과 다투게 될 쟁점 사안을 정리한다(2장). 개인주의 니체 독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등장한 공동체주의 니체 독법을 쟁점에 맞추어 소개하고(3장 1절), 그 한계를 짚어 본다(3장 2절). 그 후, 공동체주의 니체 독법의 장점을 수용하면서도, 그 한계를 극복하려 하는 두 대안적 독법을 살펴볼 것이다(4장과 5장). 마지막으로, 대안적 독법들이 갖는 문제점이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검토한다(6장).

      • KCI등재

        추상화의 총체적 지배: 아도르노의 교환사회 개념과 정치경제학 비판

        강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3 사회와 철학 Vol.- No.46

        It is undeniable that capitalism is the first determination for human beings. What is the social domination that occurs in a society where economic principles have become a necessity?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focuses on Adorno’s philosophy, especially his social theory and critique of political economies, which criticize the abstraction of exchange principles. The abstract domination that Adorno attempts to clarify is the universal mediation of exchange, a social model of identity principles that have become a natural order. Structural violence and social a priori conditions and objectively synthesizes individual experiences. Abstract domination is conceptualized as real abstraction in Adorno’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ies. This means that abstraction is not an epistemological category, like subjective projection, but a social category, the general form of a false society and capitalist totality that reduces everything into exchangeable objects. 자본주의가 인간에 대한 제1규정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경제를 중심으로 동근원화된 사회에서 발생하는 인간에 대한 사회적 지배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이 글은 아도르노의 철학, 그중에서도 교환원칙의 추상화를 비판하는 사회이론과 그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주목한다. 아도르노가 규명하는 추상적 지배란 자연적 질서가 돼버린 동일성 원칙의 사회적 모델인 교환 추상화의 보편적 매개를 의미한다. 그것은 구조의 살아 움직이는 폭력이자, 개인의 경험을 조건 짓고 객관적으로 종합하는 사회적 아 프리오리이다. 추상적 지배는 아도르노의 정치경제학 비판에서 실재 추상화로 개념화된다. 이는 추상화가 주관적 투사와 같은 인식론적 범주만이 아니라 사회적 범주, 즉 모든 것을 교환 가능한 대상으로 만드는 잘못된 사회의 보편적 형식이자 자본주의적 총체성임을 의미한다.

      • KCI등재

        비판에서 체계로, 다시 체계에서 비판으로 - 장춘익 사회철학의 문제의식과 그 전개과정

        정성훈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2 사회와 철학 Vol.- No.43

        1990년대 한국의 ‘하버마스 이상열기’를 주도한 장춘익은 2010년대에 루만의 체계이론을 번역하고 연구했다. 그리고 이후 다시 비판이론으로 관심을 돌렸다. 이 논문은 장춘익이 독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한 후 3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썼던 글들을 토대로 그의 사회철학이 가진 문제의식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장춘익은 마르크스 이론을 모델로 경험적 분석과 비판적 관점이 상호 상승 작용하는 사회철학을 추구했으며, 이를 위한 오늘날의 유망한 이론으로 하버마스를 선택했다. 그리고 그는 비판의 측면과 경험적 측면의 두 측면에서 하버마스의 이론을 보완하고자 했으며, 특히 전략적 고려와 제도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보완 문제의식 속에서 그는 루만의 체계이론에 대한 연구로 나아가게 되었고, 윤리학, 합리성, 여론 등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다시 하버마스의 최근 저작에 대한 연구를 비롯한 비판이론 연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연구를 멈추게 되었다. 이 논문의 결론에서 나는 장춘익 사회철학의 문제의식을 수평적 관계에 대한 지향을 중심으로 정리해보았다.

      • KCI등재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아헨바흐의 철학실천: ‘무력화되고 고립된 개인’의 삶을 치유하기 위한 비판적 사유

        노성숙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3 사회와 철학 Vol.- No.46

        본 논문은 ‘개인’이 겪는 심리적 고통에 주목하면서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의 연관성을 고찰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우선적으로 2장에서는 서구 근대 문명사에서의 ‘개인’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을 살펴본다. 또한 3장에서는 고대와 근대 시민으로서의 ‘개인’에 대한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을알아본다. 나아가 4장에서는 오늘날 개인의 무력화되고 고립된 삶을 치유하는 데에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이 아도르노의 비판이론과 어떻게 사상적으로 교차되면서 그 비판적 사유를 계승하고 실천하는지를 초점화한다. 그리하여 한편으로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은 다른 정신과 치료나 심리치료 및 심리상담과는 다른 차원에서의 치유를 시도하고 있는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이 지닌 차별성을 보여주는 ‘철학적 이론’의 기반이 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아헨바흐의 철학실천’은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이 지닌 독특함이 구체적으로 개인의 심리적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철학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사실을 보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rno’s critical theory and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pain experienced by individuals. First, Chapter 2 explores Adorno’s critical theory of the individual in the history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Chapter 3 examines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regarding the individual as an ancient and modern citizen. Chapter 4 considers how Adorno’s critical theory and Achenbach’s philosophical practice can contribute to healing the incapacitated, isolated lives of individuals today. In doing so, it focuses on how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intersects in thought with Adorno’s critical theory and inherits and practices his critical thinking. Thus, on one hand, Adorno’s critical theory can be the basis of a philosophical theory that shows the differentiation of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which attempts healing on a different level from other psychiatric treatments, psychotherapy,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On the other hand, Achenbach’s philosophy practice can be established as a model in which the uniqueness of Adorno’s critical theory can be philosophically practiced to heal individual psychological pain specifically.

      • KCI등재

        한나 아렌트와 ‘포스트 베스트팔렌’ 세계를 위한 사회 (간) 계약

        김만권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3 사회와 철학 Vol.- No.46

        본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 베스트팔렌 세계(post-Westphalia)에 적합한 새로운 사회계약론의 필요와 그 새로운 내용을,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행위이론’(a theory of action)을 ‘사회 (간) 계약 이론’(social contract theory)으로 재구성해 살펴보는 것이다. 사회계약론의 (역사적) 관점에서 아렌트가 베스트팔렌 모델에 내재된 국가 주권의 절대성과 이와 연계된 정치에서 폭력의 요소를 ‘상호약속’(mutual promise)이란 개념을 통해 어떻게 거부하였는지, 어떻게 사회계약을 가상적인 협약의 영역에서 정치적 실천의 장으로 끌어내는 역할을 하였는지, 더하여 아렌트가 주장하는 ‘인민의 신격화’(혹은 신적 입법)에서 벗어난 ‘관계 맺기’로서의 계약론을 이해하는 방식이 어떻게 오늘날 포스트베스트팔렌 세계의 사회 간 계약에 더 적합한지 논의한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시작을 위한 '실천적' 사회 계약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plore the need for a new social contract theory suitable for the post-Westphalia world and to reconstruct the contents of this new theory through Hannah Arendt’s ‘theory of action’. It examines how Arend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tract theory, rejected the absoluteness of state sovereignty and the element of violence associated with politics through the concept of ‘mutual promise’, and how her understanding of law as ‘relationship establishment’ that goes beyond the ‘sanctification of the people’ (or divine legislation) is more suitable for the social contracts of the post-Westphalian world. Furthermore, it discusses how Arendt transforms the concept of social contract from the realm of hypothetical agreements into a stage for political practice. Through these theoretical reconstructions it seeks to explore a new practical theory for social contract that is suitable for a new beginning in an ever-changing era.

      • KCI등재

        ‘21세기 K-지식인’과 ‘지구 지성’: 문명 존립에서 ‘지식인’ 실존의 양상에 관한 역사적 탐색과 사회인식론적 개념화를 바탕으로

        홍윤기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4 사회와 철학 Vol.- No.47

        본고는 ‘지식인 죽음’을 비롯한 국내외의 각종 지식인 위기 담론들을 주관적인 지식인 책임론과 객관적인 제도 및 사회 변화 원인론으로 나누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다음, 19세가 말 프랑스의 드레퓌스 사건을 계기로 ‘지식인’ 및 ‘지성’ 개념이 현대적으로 정립되었지만, 20세기 들어 그 개념들이 현대 이전 시대까지 거슬러 문명사 전체로 확대적용되는 과정을 밝힌다. 이에 따라 사회인식론적 관점에서 ‘지식인’은, 각 문명이 도달한 지식계의 발전 수준에서 제기되는 전체 생활세계 또는 국가권력의 위기 상황에 작용하는 권력요인들의 진리 즉 권력작동의 실상과 규범 상태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여 생활세계의 동료들에게 공적으로 공표하고 실천적으로 지양하기를 권하는 일종의 문명자생적 지식관리자로 규정한다. 또한 지식인이란 특정 사회구성체 안에 선재(先在)하는 특정 계급이나 신분이 아니라 그 안의 생활세계들의 체계 안에서, 만하임이 파악한 대로, ‘자유롭게 부유’하다가, 규범 차원에서 쟁점화된 전(全)문명적 위기에 즉하여 자율적으로 결집하여 임시적으로 활성화되었다가 쟁점의 향방에 따라 소멸되기를 반복하는 운동집단이다. 이제 ‘21세기 단일지구문명’을 규정하는 ‘초확장세계’ 안에서는 ‘디지털 플래폼’을 통해 초超연결된 ‘전지구적 공론장’이 조성되면서 이 안에 지구상의 모든 국가들과 사회 안에 설정되어 있는 다차원의 권력분열과 권력통합에 쟁점별로 관련된 각 대중들을 ‘지구시민’으로서 연대하여 실시간으로 의사소통하는 ‘디지털 대응능력 있는 다차원적 지성’을 구사하는 ‘지구 지성’이 예기된다. 시야를 우리 대한민국에 집중시켜 볼 때 대한민국의 사회적·역사적·국가적 문제들은 지구 차원에서만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지정학적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21세기 대한민국 현실에서 요구되는 지식인이라면, 장구한 한국 역사에서도 특출하게, 지구문명 차원의 도덕규범과 실천전략을 창출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는 점에서 ‘21세기 한국 지식인’ 또는 ‘K-지식인’이라고 특정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I critically examine various kinds of discourses on the death or crisis of the intellectuals in the two contexts of the theses of the fault of the intellectuals as the subjective cause of their crisis, on one side, and of the theses of the institutional as well as the social modulations as its objective cause, on another side, watch the modern context of formation of the concepts of ‘the intellectual’ and the ‘intelligence’ and the process of their extended application on civilizations at all, and define from the viewpoint of the social epistemology the intellectuals as a kind of knowledge-managers, ones who demonstrate the intelligence as an ability to grasp comprehensively, analyze critically and assess the truth and the normative state of power elements as well as their real operations which act in the critical situations of the whole life-worlds and civilization rais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ach knowledge-world, declare the resulting insights and practical vision to the public sphere(Öffentlichkeit) and communicate with the fellow citizens thematically. Acording to this view, the intellectuals do not form a specific class or status preexisting in a certain social formation, but are free-floating, in Manheim’s conception, in the knowledge-world in each part of the system of life-worlds there and mobilized to a provisionally activated circle in an autonomous way at the imminence of the whole-civilizational crisis made to an issue on the normative level. As an extension of such ideas, I propose it as the civilizational task of the ‘21st K-intellectuals’ and ‘an earthian intelligence’ to demonstrate ‘the multi-dimensional intelligence with the ability of digital confrontaion’ to percieve the multi-dimensional complexity of power relations and react to the global issues so as to create the earthian-level moral norms which can overcome each social, historical, national problem on the higher level and to communicate in real-time with the related people hyper-linked at home and abroad as ‘fellow earthian citizens’ on the ‘earthian public sphere’ which is founded on the digitalized plattform in the ‘hyper-dilatation world’ defining the ‘21st single global civilization’ which consists of multi-dimensional schisms and fusions of power- and interest-relations.

      • KCI등재

        자율성과 사회적 사실: 아도르노 미학에서 예술과 사회의 관계

        곽영윤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4 사회와 철학 Vol.- No.47

        테오도어 W. 아도르노는 그의 미학 이론 에서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자율성과 사회적 사실의 이중성’으로 정식화한다. 아도르노에 따르면 예술은 사회의 제반 목적과 유용성을 따르지 않고 오직 작품의 정합적 구성만을 목적으로 하는 자율성을 지닌다. 예술의 이러한 성격을 아도르노는 목적 없는 합목적성으로 특징짓는다. 그는 칸트와 실러의 자율성 미학을 수용하지만, 그들의 미학에서 주체의 우위와 자연 지배의 계기를 발견하고 비판한다. 아도르노는 또한 실증주의적 사회학에 비판적이었지만, 뒤르켐의 ‘사회적 사실’ 개념을 수용하면서 그것에서 개인들에게 강제력을 행사하는 ‘제2의 자연’이 된 사회의 특성을 발견한다. 아도르노는 예술을 사회적 사실로 보는데, 이는 예술이 정신의 사회적 노동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주관 정신’인 예술가는 다양한 미적 재료를 그가 고안한 형식 법칙을 통해 하나의 작품으로 형상화한다. 이렇게 예술가에 의해 결정체가 된 작품에는 사회가 비가시적으로 내재한다. In his Aesthetic Theory, Theodor W. Adorno form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society as ‘the double character of autonomy and social fact’. According to Adorno, art does not serve the purposes or utility of society; instead, it possesses autonomy, aiming solely at the coherent configuration of works. Adorno characterizes this nature of art as ‘purposiveness without purpose’. While he received the autonomy aesthetics of Kant and Schiller, he also criticized elements of the supremacy of the subject and the domination of nature within their aesthetics. Adorno was also critical of positivist sociology. While he accepted Durkheim’s concept of ‘fait social’, he recognized in it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ety that had become the ‘second nature’, exerting coercive power over individuals. Adorno views art as a social fact because it is a product of the social labor of the spirit. The artist, as ‘subjective spirit’, shapes various aesthetic materials into a work of art through the formal rules he devises. In the works of art crystallized by the artist, society is present in an invisible manner.

      • KCI등재

        지성적 양심과 사유의 도덕: 아도르노의 지식인론

        이하준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4 사회와 철학 Vol.- No.47

        아도르노는 권력자와 대중에 의해 지식인이 어떻게 오인되고 있는지 분석하며 지식인의 본질과 사회적 역할을 재사유한다. 그는 판단, 저항, 비판을 지성의 내재적 속성으로 본다. 지식인은 사회적 범주로서 초자아이며 지성적 양심을 갖고 사회와 대립하며 비판적 사유를 추동하는 자이다. 지식인의 지성적 양심은 프로파간다와 입장철학적 비판을 버리고 내재적 비판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지성적 양심은 행동주의적 실천이 아닌 이론적 실천을 지향한다. 지식인은 폭력적 사유와 행정적 사유를 버려야 하며 관리적 사회연구가 아니라 비판적 사회연구를 해야 한다. 지식인은 구제의 관점을 갖고 사유의 도덕을 충실히 수행하는 자이다. 아도르노는 이렇게 사유의 도덕을 제시했지만, 자신의 지식인론에 중요한 내용들을 사유의 도덕론으로 체계화하지는 못했다. 소위 보편적 지식인론, 근대적 지식인론으로 범주화할 수 있는 아도르노의 지식인론은 지식인 죽음 담론과 분화된 지식인상에 대한 비판 및 한국사회에서 지식인의 기능과 역할을 검토하는 데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Analysing the ways in which intellects are misunderstood by power holders and the public, Adorno rethinks the nature and social roles of intellectuals. He suggests that the intrinsic properties of the intellect are judgment, resistance, and criticism. As a social category, an intellect is the superego — one who possesses intellectual conscience, confronts society, and activates critical thoughts. Intellectual conscience rejects propaganda and positional-philosophical criticism, opting instead for ‘immanent criticism.’ Additionally, intellectual conscience is oriented toward theoretical practice rather than activist endeavors. Intellectuals should abandon administrative reason as well as violent reason and engage in critical social research, not administrative social research. An intellect is a person who faithfully practices the ‘morality of thought’ with a perspective of salvation. Although Adorno proposed the ‘morality of thought,’ he did not bring important contents of his thoughts about intellectuals into a systematized theory. Adorno’s theory of intellect,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the so-called universal intellectual theory and modern intellectual theory,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riticizing the discourses on the death of intellectuals and the separated ideas of intellectuals and for examining the functions and roles of intellectuals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자연 지배적 사회의 기만적 화해: MBN <나는 자연인이다>의 대중 기만적 성격 비평

        강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4 사회와 철학 Vol.- No.47

        이 글의 목적은 <나는 자연인이다>가 재현하는 자연에서의 화해와 행복의 서사 가 지닌 대중 기만적 성격을 비평하는 것이다. 이 글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과 사회의 대립 관계 속에서 도시의 외부로 재현되는 자연의 직접성은 현대사회가 자연을 지배하는 문명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진실을 은폐한다. 둘째, 매체가 재현하는 자연인의 주체성과 진정성은 사회와 단절된 개인의 절대화로서, 이는 고통과 행복의 문제를 사회가 아니라 개인의 사적 과업으로 탈정치화시킨다. 셋째, 매체가 차용하는 탄생성과 세계성의 모티프, 즉 자연에서 자연인으로 새롭게 태어나는 서사는 타인의 현존 및 다원성과의 단절이 초래한 근본적인 소외 상태에 있는 개인의 고립을 미화한다. 넷째, ‘자연=행복’ 도식은 정치로부터 정화된 사적 자유, 즉 공적인 것을 위해 고민하는 사람 간의 연대 가능성이 없는 탈정치적 삶을 이상화한다. <나는 자연인이다>는 불행을 초래하는 사회를 향해 맞서라는 요청 없이 행복을 약속하고, 불행과 절망을 노력하면 사라지는 덧없는 단계로 재현한다. 이를 통해 현실 사회에서 지속하는 구조적 지배와 억압을 향한 대중의 무관심을 유도한다. 따라서 매체가 제시하는 행복의 약속은 고통을 생산하는 사회가 고통에 대한 인식만이 아니라 사회에 대한 저항마저 금지하는 지배 메커니즘의 일환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the mass deception of the narrative of reconciliation and happiness within nature represented in <Into the Wildernes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mediacy of a pure nature represented beyond the city conceals the truth-modern society is rooted in the idea of a nature-dominating civilization. Second, the subjectivity and authenticity of the natural person that the media represents is the absolutization of individuals who are disconnected from society, thus depoliticizing the issues of suffering and happiness, making them an individual’s private burdens rather than society’s. Third, the motif of natality and worldhood adopted by the media, that is, the narrative of being reborn as a natural person within nature, glorifies the isolation of individuals suffering fundamental alienation: the absence of the other and the lack of pluralism. Fourth, the ‘nature = happiness’ schema idealizes private freedom purified from politics, ignoring the fact that a depoliticized life eliminates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people who agonize over issues in the public realm. <Into the Wilderness> promises happiness without forcing us to confront the society that causes unhappiness and represents sorrow and despair as fleeting moments that can quickly disappear through effort. Through this, it induces public indifference toward the structural domination and oppression that persists in society. Therefore, the promise of happiness presented by the media is part of the domination mechanism of the society that not only produces the suffering but also prohibits the recognition of suffering and resistance to the false society.

      • KCI등재

        현대매체미학과 안에스테틱(Anaestetics): 발터 벤야민의 보들레르 비평을 중심으로

        고지현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2 사회와 철학 Vol.- No.44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ssue of anesthesia as an extension of theory of modern aesthetics based on the concept of anaestetics. The thinker to be focused on here is Walter Benjamin who opened up a new horizon for modern theory of art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reproductive technology. His latter work, particularly, the Passagen-Werk, can be reconstructed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sensual perception. However, it may seem a little bit strange to discuss the anaestetics directly before establishing the theory of Aisthesis due to the incomplete nature of the project. Thus, the claim of Marshall McLuhan that the change in human perception involves the functional loss of perceptive organs or sensory paralysis simultaneously will be regarded as the detour for this consideration. The discussion on anaestetics is intended to be based on the theorization of systematic media theory, rather than environmental aesthetics. Thus, overall and some technical philosophical premises, which can be shared by the media theory of Benjamin and McLuhan, will be presented for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aesthetics. The issue of anaestetics, which emerge from the media theory of McLuhan under such premise, will be examined critically. The media theory of McLuhan did not break away significantly from the technology-centrism represented by the so-called Prothese, and particularly, the statement on the historical aspects of shift in perception shows a lack of specificity. By contrast, the modern theory of Benjamin is characterized by historic argumentation, in which the critical mind of human crisis is sharply revealed. To examine the issues of anaestetics implied in the modernity theory of Benjamin, the Freud Reception unfolded in the critique of Baudelaire will be intensively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