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원격 개방대학의 기원

        남신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9 평생학습사회 Vol.5 No.2

        본 연구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창설과정(1968~1972)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 원격개방대학의 기원을 분석하였다. 원격개방대학 이념형의 세 가지 축을 ‘원격’, ‘개방’, ‘대학’으로 전제하였으며, 1972년에 창설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이 세 가지 이념형 이 특정한 방식으로 접합된 과정에 주목하였다. 한국 최초 원격개방대학의 기원을 분석 하기 위해 설명수준을 효시, 계기, 동인으로 구분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등장한 최초 원격개방대학은 외국의 사례를 모방한 것이라기보다는 근현대 한국 교육사 내부에서 태동한 자생적인 산물이다. 해방 전후 방송교육, 통신교육의 사례 중에서 원격개방대학의 맹아에 해당되는 대학확장형 형태의 통신학부가 자생적으로 존재하였다. 한국 최초의 원격개방대학이 국립 대학교 부설 통신학부 형태로 출현한 계기와 조건은 1960년대 이후 ‘중등교육 팽창과 고등교육 억제’라는 한국 교육의 특수한 상황에서 주어졌다. 애초 국가 교육정책 수준에서 마련된 ‘대학통신교육제’의 시안은 재수생 구제조치로 구상되었으나, 대학자강에 의해 방송통신대학은 성인학습자 본위의 개방형 대학으로 창설되었다. 방송통신대학이 개교 후에 짧은 시기 동안에 세계 수준의 원격개방대학으로 급속하게 성장할 수 있었던 동인은 민간영역에서 분출된 교육열의 자기전개과정이다. How wa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KNOU”) able to develop into Korea’s most representative open university after being originally establish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students who failed university entrance exam?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has classified subject matter into 3 categories, i.e. the origin of KNOU, system development and its execution, and examined a series of incidents and moments at the current levels based on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sociology. KNOU’s idea of open university was materialized through the university’s subjective efforts rather than through any government education policy. In 1968, the government centrally controlled the higher education opportunity to limit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however, when the number of students who failed university entrance exam increased, the government embodied 'Air and Correspondence College' as a 2‐year junior college attache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university entrance procedure. Professors belonging to the college of edu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ncluding Seo Myeong‐won, the Chairman of the KNOU founding committee and Kim Jong‐seo, the first President and other social education practitioners devised a part‐time student ‐centered Open University and systematically developed it. As a result, KNOU was launched in 1972 as a junior college open to all. Throughout its history, KNOU has used an open entrance system and distance teaching methods to deliver a higher education opportunity to the general public who have lost opportunities to go to school due to economic or other reasons. In 1994, the english name of the university was changed to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by the efforts of the university to better reflect its purpose.

      • 대규모 국립원격대학의 고민과 과제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례연구

        윤여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06 평생학습사회 Vol.2 No.1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일반 대학교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대규모 학생을 보유하고 있고, 복지적인 차원에서 저렴한 등록금으로 그들에게 원격의 방식으로 고등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학교이다. 그러나 대규모 대학, 교육중심대학, 원격교육대학, 국립국민대학이라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특성은 그 자체로 여러 가지 문제를 잉태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교육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본 논문의 문제의식은 간단하다. 그것은 ‘과연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얼마나 교육적인 관점에서 작동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것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아직도 교육 중심의 관행이 정착되어 있지 않고, 교육 중심의 관행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체제를 갖추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일차적인 고민거리가 되어야 한다. 이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격으로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1학년에서 4 학년까지 입체적으로 학교생활에 대해 안내하고, 자신의 학습을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이것은 구체적이어야 한다. 또한, 이것은 포탈 방식으로 서비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설립 당시부터 가지고 있던 복지적 동 기를 계속 유지하면서 고등교육과 복지를 연계하는 모델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KNOU) was established by Korea government in 1972 for people who had intense aspir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but had lost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it. KNOU has delivered contents via various media and has been a mega-university with nearly 200,000 enrolled students. According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dia and the change of people’s educational needs, KNOU is requested to reflect over all of present practices. First, has KNOU been try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as a education-centered university? Secondly, has KNOU been coping with the rapid change of educational media flexibly as a university of distance education? Last, has KNOU been trying to induce all people’s and government’s concerns and aids as a national university for all people? In order to perform KNOU’s mission, first of all, KNOU must inform students concrete schedule of first grade to fourth one, professors and tutors and educational process of each subject matter in detail in the unit of department. Also, every information must be approached easily in each department’s homepage via KNOU web site. Last, the motive of welfare that KNOU has maintained must be duly appreciated and government must support the specialization of KNOU as the national mega-university.

      • 방송대 지역대학ㆍ학습관의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강성남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정책과제 Vol.14 No.-

        이 연구는 한국방송통신대학 지역대학 및 학습관의 운영실태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통해 향후 한국방송통신대학의 역할과 과제를 염두한 합리적 운영방안을 제언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지역대학 및 학습관의 운영실태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를위해 도시공간구조분석, 도시화단계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도시행정론적 접근방식과 한국방송통신대학의 내외부 환경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조직진단과 관련한 이론들을 검토ㆍ종합하여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한국방송통신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내외부 환경 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내부여건변화로 조직, 재정, 인력(수요, 공급) 변화에 대해 최근 5년간의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외부환경변화로 지역대학 및 학습관 설립지역과 인근지역의 인구, 교육수준, 소득수준 등의 수요변화를 20년 이상의 시계열데이터를 활용하여 변화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외부 환경분석을 통해 정확한 운영현황과 수요변화를 분석하고 이와 더불어 지역대학 및 학습관을 이용하고 있는 학생(수요자)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직원(공급자)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을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분석하여, 현재 제공되고 있는 한국방송통신대학의 서비스 질과, 향후 보완 및 특화해야 하는 사안들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대안을 종합ㆍ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 지역대학 및 학습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평생교육기관의 특성화 전략 수립 필요, 둘째, 프라임 칼리지 활성화와 함께 지역대학과 연계프로그램의 개발 필요, 셋째, 시군 학습관의 통합관리체계 구축 필요, 넷째, 지역대학 운영의 합리화 필요, 다섯째, 한국방송통신대의 소속감 고취 전략 필요, 여섯째, 향후 설립ㆍ폐지 시설에 대한 정밀한 진단을 통한 정책결정 필요, 일곱째, 전반적 운영에 있어 내실화 필요 등을 제언하였다.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대학 및 학습관 운영을 둘러싼 문제 제기는 줄 곧 있어왔으나, 대증적 처방에 머물러왔다는 지적 역시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에 한국방송통신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학생 수 급감, 평생교육기관에 대한 새로운 정부의 요구, 학교재정의 토대에 대한 대내외적인 도전들에 대해 근본적 대책마련의 필요성과 효율적 대처방안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과제를 풀어가기 위한 해결책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중요한 단서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도시행정적 측면에서의 새로운 접근을 통해 수요와 공급측면에서 이루어졌으며, 이와 연계한 대내외적인 환경변화 측면을 종합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보다 풍부히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과정에서 한국방송통신대 내적으로 최근 5년간의 변화 분석과 외적으로는 지역대학 및 학습관의 소속지역과 더불어 인근지역의 수요(환경)변화 분석을 종합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지역대학 및 학습관의 이용자인 학생과, 교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서비스 질과 보완개선사항, 향후 특화할 부분들을 포함함으로써 분석결과에 따른 제언의 실제 적용 가능성 역시 매우 현실성 있는 전략들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즉, 대중적 처방이 아닌 한국방송통신대학 본교, 지역대학, 학습관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이고 전망적인 처방과 해결책을 강구하는 데 있어서 이 연구의 기여도는 매우 크다 하겠다

      • 방송대학 가상대학 향후 운영방안 연구

        김명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1 정책과제 Vol.10 No.-

        본 연구는 ‘한국가상캠퍼스’의 운영이 중단된 상황에서 방송대의 독자적인 가상대학 운영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998년부터 컨소시엄 형태로 운영되어 오던 ‘한국가상캠퍼스’는 2009년 12월 일부 회원 대학에서 학내사정에 의거 탈퇴의사를 표시함에 따라 '한국가상캠퍼스’의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하였다. ‘한국가상캠퍼스’ 운영이 중단된 상황에서 방송대에서는 보직자회의 및 교무위원회를 통해 2010학년도는 가상대학 운영을 전면 중단하고, 우리대학만의 새로운 가상대학운영 모델을 충분히 검토하여 새로운 방안을 마련한 후 운영 여부 결정하기로 하여 정책연구로 수행되게 되었다. 이 보고서에서는 먼저 방송대에서 가상대학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는지 검토해보았다. 방송대가 원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상대학을 별도로 운영해야 할 필요성을 재외 동포에 대한 교육서비스 확대, 교육복지 확대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방송대는 원격 및 개방대학의 위상에 맞게 재외동포들에게까지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재외동포들의 고등교육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외국대학과의 실질적인 협력 및 학점교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점을 이수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를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가상대학은 학교나 교육을 받는 장소로 이동하기 어려운 학생들이 가정이나 직장 등 편리한 곳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캠퍼스 중심 대학의 서비스에서 소외되어왔던 계층에 대한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되며, 교육복지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1998년부터 2009년 2학기까지 운영된 한국가상캠퍼스 운영상의 문제점 및 원격고등교육기관에서 가상대학을 운영하면서 생긴 문제점 등 방송대가 ‘한국가상캠퍼스’에 참여 했던 경험을 분석했다. 한국가상캠퍼스는 시작이 매우 진보적이었던 것에 반하여 느슨한 컨소시엄 형태의 운영조직으로 인해 급변하는 교육환경에 따른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이 병행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졌으며,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공개교육자원(OER) 운동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질 높은 고등교육 콘텐츠가 무료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 회원교간의 폐쇄된 형태의 교육 자료 공유와 협력의 형식 유지에 한계가 있었다. 방송대 가상대학은 운영 초기부터 여러 번 플랫폼을 교체하고, 홈페이지를 수정하며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여 학생들의 학업을 지원하고자 노력했으나 온라인 강의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수 있는 LMS 활용 및 튜터 지원이 충분히 제공되기 어려운 여건이어서 교육효과를 충분히 이루어내지 못했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하고 있는 해외 원격대학의 가상대학 운영사례를 검토하여 방송대 가상대학 운영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외국 원격대학에서는 개별 교과목 단위로 학점 이수가 이루어지고, 추후 학위과정과 연계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방송대는 기본적으로 학과중심 체제이기 때문에 학위과정에서 외국 원격대학과 같은 형태로 가상대학을 운영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방송의 교육체제 안에서는 특정한 프로그램 즉, 자격증과 연계된 프로그램이나, 비학위 과정의 일부, 또는 시간제 등록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상대학을 운영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방송대 가상대학 운영방안에서는 방송대만의 독자적인 가상대학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기본적인 원칙을 살펴보고, 학위과정으로 운영하는 방안, 비학위과정으로 운영하는 방안, 가상대학을 통한 외국 원격대학들과의 학점교류 방안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방송대에서 가상대학 운영을 재개할 때 제기되는 쟁점들을 고려할 때, 컨소시엄 형태로 운영되었던 가상대학을 이전의 형태로 더 이상 운영하는 것은 비용면이나 효율성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위과정으로 운영하는 경우 준비기간이나 비용 등을 고려할 때 당장 시작하기는 어려운 조건이다. 방송대 재학생을 대상으로 가상대학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의 조건에서 가상대학을 재개한다고 할 때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비학위과정으로 운영하되, 시간제 등록생을 대상으로 가상대학에서 개발된 교과목을 운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재 방송대 미래와 관련하여 사이버캠퍼스를 설치할 것인가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우리대학의 정체성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므로 컨소시엄 형태로 가상대학을 운영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다. 따라서 어느 한 과에서 운영여부를 결정할 문제는 아니므로 기획처를 중심으로 관련 부서들이 참여하는 T/F팀을 구성하여 사이버캠퍼스 도입의 타당성을 면밀하게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 방송대 교육 콘텐츠의 접근성 현황 및 제고 방안 : 장애인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정영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3 정책과제 Vol.12 No.-

        2007년도에 제정된 장애인차별금지법은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차별받지 않아야 하는 권리를 법적으로 보장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 의무화될 예정이다. 특히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는 공공기관을 비롯하여 교육기관이 전자정보에 대해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정보 접근성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는 모든 교육기관에 요구될 가능성이 있다. 원격대학인 방송대는 웹 및 인터넷을 통한 교육 서비스 제공을 꾸준히 증대시켜 왔을 뿐만 아니라 등록된 장애학생수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장애인차별금지법 적용과 정보 접근성에 대한 체계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방송대가 장애학생 교육지원 서비스를 실효성 있게 제공하고 교육 콘텐츠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방송대 장애학생들의 현황 및 요구를 파악하고, 방송대 교육 콘텐츠의 접근성 수준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복지사업이 그러하듯이 예산 확보가 필요하며, 특히 교과목의 매체강의 콘텐츠 접근성 강화에 상당한 예산 소요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방안 모색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송대 장애학생의 교육지원 개선 및 교육 콘텐츠 접근성 제고를 위하여, 장애인 관련 법령/제도/국립기관/기술동향, 국내외 접근성 우수 사례, 방송대 장애학생의 교수-학습 행태 및 요구, 방송대 교육 콘텐츠 및 웹사이트 접근성 준수 현황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통계자료 및 문헌 조사, 방송대 대내․외의 장애학생 지원 업무 관련자 또는 전문가 면담, 방송대 장애학생 대상 면담 및 설문조사, 방송대 및 영국개방대학교의 교과목 콘텐츠 및 주요 웹사이트 접근성 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방송대 장애학생 복지 및 교수-학습 지원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학생과, 중앙도서관, DMC, 출판부의 관계자들을 면담하였다. 또한 장애인 교육지원 관련 국립기관과 방송대 간의 협력 방안 및 이를 통한 예산 절감을 모색하기 위하여 국립특수교육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국립장애인도서관 관계자들을 면담하였다. 방송대 장애학생의 교수-학습 행태 및 요구, 교과목 매체강의 및 웹사이트 접근성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방송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학내의 대량메일 시스템과 외부의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장애학생뿐만 아니라 55세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191명이 응답하였다. 설문조사 응답을 일차적으로 분석하여 주관식 응답 성실도와 장애유형을 고려하여 면담대상을 선정하였으며, 이메일을 통해 면담일정을 공지하였고 최종적으로 7명의 장애학생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방송대 교과목의 매체강의 및 주요 웹사이트의 접근성 현황과 준수 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원격교육의 이해』를 포함하여 총 7개 교과목의 매체강의 콘텐츠와 5개 주요 웹 사이트에 대한 접근성 평가를 전문가 및 자동평가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해외 원격대학교 사례 분석을 통해 방송대의 접근성 개선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영국 개방대학교의 웹 사이트(http://www.open.ac.uk/)와 교육 콘텐츠(2종)에 대한 접근성을 평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조사 결과들을 분석․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방송대가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비하고, 특히 장애학생들의 교육 콘텐츠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웹 사용성과 정보 접근성을 포괄하는 정책과 지침을 수립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정책과 지침은 특히 교육 콘텐츠(매체강의, 전자교재, 보충학습자료, 웹사이트 등)를 설계․개발하는 교수자, 교수설계자, 개발자뿐만 아니라 대학 구성원 모두에게 공유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교육 콘텐츠 접근성 지침 제정 시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들을 포함하여 이해당사자들의 요구를 폭넓게 고려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접근성 지침을 제정하여야 한다. 둘째, 대학 구성원들의 교육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방송대는 제작 메뉴얼 형태의 문서를 제작․배포․활용토록 하거나 워크숍 등을 주기적으로 개최하여야 한다. 또한 교수자, 교수설계자, 개발자들에게 국가나 대학 차원에서 마련한 웹 접근성 관련 정책․지침들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구현 방안도 함께 제공하여 콘텐츠를 설계․개발할 때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셋째, 접근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학생들에게 개발․제공하기 위해서는 대학 차원의 행․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저작권 문제는 별도의 인력이나 전문가들이 해결해 주거나 최소한 자문을 해 줄 수 있는 행․재정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또한 전자 자료들을 제공해 주고 있는 학내 기관뿐만 아니라 국립장애도서관, 웹 접근성 관련 정부 기관, 장애인 단체, 연구기관, 보조공학 개발업체 등과 같은 대외기관과의 MOU 등을 통해 적극적이고 긴밀한 협력 관계가 가능하도록 행정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이러한 긴밀한 협력 관계를 통

      • 빅데이터 기반의 방송대 학습자 지원체제 구축 방안

        정광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정책과제 Vol.14 No.-

        1) 연구의 제안배경 및 연구목적 ○ 이러닝 서비스가 학습의 다양성과 개인화를 추구하면서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 활동과 이력 정보 등과 같은 학습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한 학습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해짐 ○ 학습콘텐츠의 지능화와 학습 기기의 성능향상, 그리고 학습 지원 관리 시스템의 발전으로 학습자 관련 정보의 수집과 추적 관리가 가능해짐 ○ 이미 해외 선진 교육 기관들은 스마트 러닝을 위해 학습자의 학습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학습 빅데이터를 분석 및 관리하는 러닝 클라우드 시스템에 대한 연구 투자 계획 및 프로토타입 구축을 시도되고 있음 ○ 특히 학습자 빅데이터를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상업적으로 성숙되었으며, 스마트 러닝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상업적 구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학습자의 학습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러닝은 향후에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주요한 경쟁력이 될 것이며 중요한 서비스로 크게 부각될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개교 50주년을 맞이할 2022년 이전에 스마트 러닝을 위한 기반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하고 학습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학습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러닝 시스템의 구축 계획을 세워야 하며, 원격대학으로서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주도적으로 스마트 러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학습 빅데이터의 운영/관리 체제를 구축하고 이에 대한 실행 계획의 수립이 필요함 ○ 본 연구에서는 방송대에 적용가능한 스마트 러닝과 스마트 러닝의 기반이 되는 방송대 학습자 빅데이터를 정의하고, 방송대에 적용할 수 있는 러닝 클라우드 서비스의 도입 로드맵을 구축함 ○ 방송대 러닝 클라우드 서비스에 방송대 스마트 러닝 모델을 정의하고, 방송대 스마트 러닝 서비스 도입 로드맵을 구축함 2) 연구내용 ○ 스마트 컴퓨팅 정의 ▪ ‘스마트’의 의미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정보통신망과 다양한 정보통신 서비스를 활용하여 개인 중심의 정보 서비스의 구축이 가능함을 의미 ▪ 스마트 컴퓨팅의 특징 : 스마트 네트워크, 개인 친화적인 정보 서비스, 사용자에 최적화된 서비스 환경, 지능화된 상황인식, 사물의 지능화 ▪교육 관점에서의 스마트 컴퓨팅의 특징 : 학습자의 개인화된 학습 공간, 가상의 교수자와 학습자 상호관계, 지능적인 학습콘텐츠 ○ 방송대 스마트 러닝 정의 ▪ 방송대 스마트 러닝 : 방송대 학습자의 적성과 역량을 진단하여 그에 맞는 학습모델과 학습전략을 제시함으로서 학습자가 언제 어디서나 학습을 원하는 상황에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 학업성취를 가질 수 있도록 제공하는 배움 환경 ▪ 스마트 컴퓨팅 환경 : 유․무선 융합과 물리적․전자공간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한 환경 ▪ 출석수업 학습공간 : 방송대 학습자가 지역대학의 강의실에서 학습 활동을 하고 온라인 학습콘텐츠를 접근하는 학습 공간 ▪ 학습자 및 스터디 학습 공간 : 방송대 학습자는 개인적인 공간에서 자학자습 활동 공간과 지역대학의 오프라인 공간에서 수행되거나 대학외의 공간을 마련하여 자치적인 공간과 활동을 제공하는 방송대만의 자치 학습 공간을 지원하는 학습 공간 ▪ 온라인 학습 공간 : 방송대에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학습콘텐츠를 중심으로 구축되는 학습 공간이며, 주로 인터넷, VOD 서비스와 방송을 통해 학습자에게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며 구성되는 학습 공간 ▪ 학습 생성자 : 방송대 학습을 생성할 수 있는 학습콘텐츠 제공자를 의미하며, 기본적으로 교수자와 KNOU 디지털 교재가 주요 기능을 수행하며, 학습자는 스터디 활동을 통해, 동료 학습자에게 학습 활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학습자간의 상호학습활동도 포함됨 ▪ KNOU 스마트 러닝 학습 모델 및 학습 전략 : 방송대의 정책적인 학습자 지원을 포함한 학습 시나리오를 추상화한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체계를 의미하며, 학습자들에게 효율적인 체계적인 학습 지원과 학습 지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학습 전략 ○ 학습자 빅데이터 정의 ▪ 생애 전 과정에서 학습활동과 관련되어 생성되고 관리되어진 방대한 볼륨(vloume), 다양한(varity) 형식, 빠른 속도(velocity)의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형태의 분석과정을 통해 학습 이해당사자(교수자/학습자/관리자/연구자)에게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가공 가능한 정보 ▪ 학습자가 추구하는 학습목표, 학습취향, 기술 및 능력, 성취도 등과 결합해 학습능력 및 집중력을 파악해서 이에 맞게 진도를 조절하고 학습자들에게 적응화 된 콘텐츠를 제공하고 능력에 맞는 평가를 함으로써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에 기반 한 학습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기초데이터 및 분석데이터 ○ 방송대 학습자 빅데이터 정의 ▪ 방송대 학습자의 학습활동과 관련된 모든 과정에서 생성되고 관리되어진 방대한 분량(volume), 다양한(varity) 형식, 빠르게 변화하는(velocity) 일련의 데이터로부터 의미 있는

      •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비한 중장기 발전전략 연구 : A Study on Medium and Long term Development Strategies of KNOU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over the next Ten Years

        변지원, 이석호, 김용,이영애, 정영일, 이남형, 정세윤, 심지영, 노일경, 우영희, 김명진, 남나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9 정책과제 Vol.2019 No.-

        이 연구는 미래 교육 환경에 대비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이하 방송대)가 지향해 야 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방송대 60주년을 염두에 둔 중장기 발전전략을 제 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72년 국립원격대학으로 시작한 방송대는 한국의 고등 평생 교육을 담당하며 이 미 약 70만 명에 달하는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그러나 현재 방송대를 위협하는 다양 한 대내외적인 압박 요소로 인하여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현 체제를 유지 하는 한 이러한 어려움은 더욱 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외적으로는 방송대의 원격 교육 체제에 도전하는 사이버 대학과 평생 교육에 도전장을 내밀기 시작한 일반 대 학, 기관들이 있으며, 심지어 기업들까지 나서서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하기에 이르렀 다. OECD 국가 중 한국은 대학 진학률이 가장 높아 약 70%에 달한다. 이는 고등 교육에 대한 수요가 예전만큼 높지 않음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대내적으로는 학생 수 감소와 재정 위기가 점차 심화되고 있다. 개교 이후 방송대는 장기발전계획을 수차례 수립하였으며, 본 연구 또한 그 연장선 상에 있다. 특히 2005년 이후의 발전계획은 지금까지도 그 내용이 여전히 유효하다 할 만큼 의미 있는 연구였다. 이는 다시 말하자면 그만큼 당시 계획에 비하여 현재까 지 실현된 바는 적음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해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 자체뿐만 아니 라 이와 같은 점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상당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방송대 원격교육연구소 정책과제로 지정되어 3월부터 연구 책 임자인 변지원 교수를 포함하여 총 8명의 교수와 4명의 원격교육연구소 연구위원이 공동연구를 시작하였다. 총 2차례 방송대 교수와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전수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회 전문가 특강 및 자문 회의, 구성원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 다. 연구는 당해 12월 31일 종료되었다. 중장기 발전 전략은 비전(vision) 수립을 동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방송대 50 주년을 기념하는 준비 과정이 2020년부터 진행될 예정에 있어, 본 연구는 방송대의 위상에 맞고 구성원들이 공감하는 비전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 관련 제도가 이미 정착되어 있어 규정 내지 법안 수정이 필요한 것은 장기 과제로, 제도적 수정 이전에 실시할 수 있는 것들은 시급성과 과정상의 선후에 따라 단기 과제와 중기 과제로 제시하였다.

      •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실험 학습콘텐츠의 서비스 동향 분석 및 시범개발

        정광식, 권수열, 김연신, 이남형, 이충헌, 정상임, 이응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9 정책과제 Vol.2019 No.-

        ○ 개인 이동 단말기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은 6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90%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 2009년 처음 아이폰(iPhone)이 국 내에 소개된 이후로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음 ○ 또한,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학습콘텐츠에 대한 스마트폰의 이용자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도 소프트웨어나 콘텐츠가 기존의 웹 콘텐츠를 넘어 서고 있음 ○ 인쇄도서를 선호하던 전문 직종 종사자들도 디지털 책 형태의 전문서적을 선호 했으며 교육용 도서 역시 휴대 간편성과 가격의 저렴함을 무기로 이용층이 크게 증가함(PwC, 2016) ○ 디지털 책의 성장세는 지속적이고 급격하게 계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먀, 이 에 따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디지털교재 기반의 학습콘텐츠를 개발해야할 필 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미래 학습콘텐츠에 대한 시스템 모델과 서비스 모델, 그 리고 이에 대한 학습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현재까지 한국방송통신대학 교에서 소흘하게 다루었던 자연과학 분야의 가상 실험 과목에 대한 학습 몰입도 를 높여 학습 집중도를 향상시키고, 모바일 기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상호 작용 요소를 갖춘 가상 실험 디지털 교재의 개발이 필요함

      • 디지털 기반 온라인 도서관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이애숙, 정진한, 조창현, 장한슬, 진유라, 이원재, 유재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9 정책과제 Vol.2019 No.-

        본 연구과제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이하 방송대)의 디지털 기반 온라인도서관 운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디지털 아카이빙 대상 자료를 선정하고 이를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이하 방송대) 도서관 주요 온라인 서비스는 일반대학 도서관과 같이 국내외 학술 DB, 전자도서, 동영상 학습자료 등으로 이는 온라인 공급자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단순 구독․연결해주는 방식이며, 원격대학 도서관 고유의 온라인 서비스는 부재한 상태이다. 방송대 도서관 이용자는 일반대학과는 다르게 전국에 이용자가 산재해 있고, 주로 원격으로 자료를 이용하므로 물리적 시․공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학습자료를 제공해주는 원격대학만의 고유한 온라인 도서관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 서비스는 학습자료인 인쇄자료의 콘텐츠를 디지털화(Digitalization)하고 아카이빙(Arching)하여 온라인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타 대학 및 기관의 실제 구축 사례를 참고하고 법․제도 기술적 사항을 검토 후 방송대 도서관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방송대 도서관이 현재 겪고 있는 도서관 서가공간의 포화, 예산 및 인력의 한계점 등을 극복하는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구축 콘텐츠는 이용자가 주로 찾는 플랫폼인 대학 포털과의 연계 협력 방안을 모색하여 이용활성화를 유도하고, 온라인 콘텐츠 허브역할로서 중앙도서관과 지역대학 도서관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송대 디지털 기반 온라인 도서관 운영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문헌과 사례조사를 하였으며, 방송대 내 디지털아카이빙 대상 기관인 역사기록관, 디지털미디어센터, 출판문화원 등의 기관을 살펴보고, 대학도서관 디지털아카이빙 사례로 서울대, 고려대, 서울예술대, 영진전문대, 수원여자대, 해외 원격대 등과 기타 사례로 KOCW, K-MOOC, 해피캠퍼스 등을 살펴보았다. 문헌과 사례조사 결과, 과제물시험 참고도서의 디지털아카이빙, 리포트자료실 구축, KOCW 대학영상 강의 학과별 제공 등의 구축 방안이 도출되었으며, 이 외에 대학기록자료를 포괄하는 디지털아카이빙과 도서관 소장자료와 OA자료가 함께 검색되는 통합검색을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방송대 디지털아카이빙 구축방안과 관련하여 법적․기술적․정책적 논의를 포럼을 개최하여 전문가들로부터 자문을 구하고, 방송대 내 관련부서인 도서관, 역사기록관, 디지털미디어센터, 출판문화원, 학과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하였다.

      • 통일 대비 북한관련 학과 신설에 대한 타당성 연구

        김명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정책과제 Vol.14 No.-

        본 연구는 통일을 대비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이하 방송대)에 북한관련 학과를 신설하는 것이 타당한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2년 12월 방송대가 통일부와 MOU를 체결하여 통일에 대비한 통일교육 실시를 위한 협력기관으로 지정되었고,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교육과 새터민의 지역사회 적응에 필요한 교육을 위해 방송대의 교육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북한교육 및 통일교육 실시 방안을 마련하는 방안과 함께 북한관련 학과 신설이 제안되었다. 방송대는 국립대학으로서 국가와 민족의 중요과제인 통일과 통일 이후에 대해 대비하는 것은 중요하며, 통일한국의 북한 지역 방송대 교육시스템 및 체제 구축과 관련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국립원격평생교육 대학으로서의 방송대의 이념과 특성에 비추어 볼 때, 북한관련 학과신설은 국립 교육기관으로서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대외이미지를 제고하고 적지 않은 홍보효과를 거둘 수 있는 측면이 있다. 또한 통일 한국과 시대의 변화에 따른 수요에 부응하며 신규 입학자원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여러 가지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학과신설로 현실화되기까지에는 적지 않은 난관이 존재할 수 있다. 방송대에 북한 관련학과를 신설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위해 먼저 외부적 요인으로서 정부의 북한 및 통일 정책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정부의 대북 통일정책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북한교육 국내 동향 분석을 위해서는 북한학과 설립 및 운영 현황을 학부과정과 대학원 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학과 신설이라는 형식 이외에 어떤 장(場)을 마련하여 할 것인지를 모색하는데 참고하기 위해서 북한 및 통일과 관련된 교육 및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부설 연구소 및 연구원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 가장 활발히 통일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통일교육원의 교육 실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방송대에 북한학과 신설시 교육 대상 및 내용의 중복성 등을 고려하는데 참고하였다. 학과 신설을 고려하는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얼마나 교육 수요가 있는가 하는 것이다. 북한학과의 경우 타겟 집단을 설정하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여 방송대 재학생을 대상으로 북한학과 설치 필요성 및 재입학시 북한학과 입학 의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간접적으로 잠재적 수요에 대한 예측을 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북한교육 및 통일교육 전문가들에게 방송대에 북한학과를 신설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자문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시기적 적절성, 교육여건 충족, 입학 자원 확보 측면에서 북한학과 신설 타당성에 대한 검토를 통해 현재 상황에서 방송대에 북한한과를 신설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북한관련 학과에서 배출하는 전문 인력들에 대한 수요는 남북관계의 상황 변동에 따라 부침이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교육여건 충족 면에서 무엇보다 교육과정 구성면에서 방송대에 북한 관련학과를 신설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전문가 자문에서도 단독 학과보다는 협동과정 등 융통성 있는 형태의 교육과정 운영이 남북관계 변화 및 통일 준비에 있어서 적절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입학자원 확보 측면에서는 북한학과 현황 분석에서 볼 수 있듯이 대학별로 북한학과가 폐지되거나 학생수가 감소하는 등 하향세 현상은 뚜렷하게 발견되고 있으며, 대학 졸업자의 취업이 어려운 상황에서 북한학과 졸업하는 것이 취업 및 자격증 취득과 연결되지 않을 경우 방송대 북한학과에 입학하려는 수요를 장담할 수 없다.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도 북한 관련학과를 신설하더라도 잠재 수요층이라 할 수 있는 방송대 재학생들이 입학시 북한학과를 선택할 가능성은 낮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반도 분단이 장기화되면서 통일의 당위성과 필요성 인식이 약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통일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성인 대상 통일교육 저변 확대가 필요하며 다양한 교육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는 방송대가 그 역할을 담당할 것이 기대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앞에서 검토한 것처럼 북한학과 신설이라는 형태는 현실적인 상황에서 타당하지 않으므로 장기적이고 단계적인 접근으로 다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 제언 부분에서는 방송대가 통일과 통일 이후를 대비하여 실시 가능한 북한 및 통일 관련 교육 방안으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교양과정 확대와 각 분야별 전문가 과정 신설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