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방과후학교 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2012년부터 2021년까지를 중심으로)

        민태일,권혜정,조호제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2 방과후학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2012년 한국방과후학교학회 창립 이후부터 2021년 추계 학술대회에 이르기까지 한국방과후학교학회 학술대회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방과후학교의 발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방과후학교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논문 102편과 일반 학회지의 방과후학교 관련 논문 10편을 비교적 관점에서 연구 동향 분석을 하였다. 연구 주제를 8개로 유목화한 틀과 이를 바탕으로 연구 방법을 유목화한 것이 분류 기준이었는데, 한국방과후학교학회 학술대회 102편의 논문 분석 결과 가장 많이 발표된 연구 주제는 ‘방과후학교 정책+현황+발전 방향’이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이론 연구가 가장 많았다. 3가지 연구 방법 중 문헌/이론 연구에서 가장 비중이 높았던 연구 주제는 ‘방과후학교 정책+현황+발전 방향’이었으며,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에서는 ‘방과후학교 질+프로그램의 질+교사교육+강사역량’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일반 학회지에 게재된 10편의 논문 분석 결과, 연구 주제면에서는 ‘방과후학교 질+프로그램의 질+교사교육+강사역량’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고, 연구 방법면에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일반 학회지 논문 분석에서 얻은 시사점은 다양한 연구 주제 및 연구 방법의 필요성과 심도 있는 양적 연구의 필요성 등이다. 향후, 한국방과후학교학회 학술논문의 질 향상과 현장 활용성 강화를 위해 연구 분야와 연구 방법의 다변화가 요구되며, 방과후학교 프로그램과 강사의 질 개선에 대한 방향성 및 마을을 포함한 지역사회와의 연계‧협력 적정화 방안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의 연구 경향 및 방과후학교 연구 과제

        김홍원(Kim, Hong Won)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5 방과후학교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4년 6월까지 수행된 방과후학교 연구물들의 연구 경향과 추후 보다 중점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방과후학교 연구 과제를 살펴보았다. 학술지 논문, 석․박사 논문, 기관 보고서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방과후학교 연구가 이루어진 영역을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성과분석, 국제비교, 정책적 논의, 변인 간의 관계 분석, 민간참여(위탁운영, 대학사회적기업), 평가, 성격, 지도방안 및 모형, 운영체제, 예산, 기타 등의 영역으로 구분한 다음에, 분석대상별로 각 영역에서 어떤 연구들이 어느 정도의 비율로 수행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향후 보다 중점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방과후학교 연구 과제로 방과후학교 성과분석 연구, 정책 수립 및 적용 과정 연구, 지역사회 자원의 발굴․연계․활용 방안 연구, 방과후학교의 환경과 교육적 효과 연구, 방과후학교 평가 연구, 방과후학교 재정 운영 연구, 방과후학교 국제비교 연구, 방과후학교 개념 및 성격 연구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prior researches on after-school from 2006 to June 2014, and attempted to suggest study tasks in the future. Papers of academic journals, doctor s and master s theses, and research reports were included. Investigated was the percentage of researches on the following topics: reality and improvement plan, after-school education effect, international comparison, policy discussion,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private institution participation, evaluation, conceptualization and theory, instruction methods, operating system, budget and finance, and others. Based on the result, I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several topics such as after-school education effect,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using and combining regional resources, environment of after-school education and its effects, evaluation, budget and finance, international comparison, conceptualization and theory.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 법제화 시도의 주요 특징과 쟁점

        임연기(Im, Youn Kee)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7 방과후학교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방과후학교 법제화 시도에서 드러난 특징과 쟁점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방과후학교 정책의 추진 과정을 살펴보고, 국회 또는 정부가 입법을 추진한 여러 법안을 검토하였다. 그간의 수차례의 법제화 시도는 방과후학교 운영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는 점, 수요자 중심교육, 수익자 부담 원칙 등 방과후학교 운영의 원칙과 원리들을 규정하고자 하였다는 점, 장관과 교육감의 책무를 명시하고 협의체 및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운영함으로써 방과후학교 운영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담보하고자 하였다는 점, 강사와 운영 지원 인력의 배치, 소요 경비 지원 등 방과후학교 인적, 물적 지원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는 점 등의 특징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방과후학교 법제화 시도에서 첫째, 방과후학교 법제화가 반드시 필요한가, 둘째, 초・중등교육법 일부 개정이냐 독립 법안이냐, 셋째, 방과후학교 법제화냐 방과후 활동 법제화냐, 넷째, 방과후학교는 공교육이냐 사교육이냐, 넷째, 방과후학교는 보편적 복지냐 선별적 복지냐 등의 쟁점들이 잠복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ssues that have emerged in the attempt to legislate after-school programs. To accomplish this goal, the process of after-school policy promotion, and various legisl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r the government were reviewed. Several attempts to legislate have focused on establishing legal basis for after-school operation have some features. To prescribe to principles of after-school operation such as consumer-centered education, paying beneficiaries. To specify responsibilities of the Minister of Education and the Superintendent, and establish operating councils and support center. This study has discussed five issues in the attempts to legislate after-school programs. First, is it necessary to enact after-school legislation. Second, whether it is partial amendment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r an independent Special Act. Third, to support after-school or support after-school actibilities. Fourth, after-school is public education or private education. Fifth, after-school is universal welfare or selective welfare.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이후 사교육과 방과후학교 참여 양상의 변화 분석: 방과후학교의 사교육 경감 효과를 중심으로

        김성식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2 방과후학교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사교육과 방과후학교 참여 양상의 변화를 사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통계청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2019년과 2020년의 사교육 및 방과후학교 활동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방과후학교는 참여율과 비용 면에서 2019년에 비해 2020년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사교육은 감소하기는 했으나 곧바로 예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사교육 참여 학생들의 1인당 지출 비용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교육비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에서는 방과후학교 참여 학생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보다 사교육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방과후학교 참여 학생들에 한정할 경우 방과후학교 비용과 사교육비는 동시에 증가하는 경향도 있었다. 코로나19 이후에는 사교육비에 대한 가구 소득의 영향력이 좀 더 증가하였고, 방과후학교 비용과 사교육비의 동시 증가 현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방과후학교가 운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교육 참여만 이루어지게 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방과후학교의 기능이 약화되고 사교육을 통한 교육격차 가능성이 증가하였다는 것을 함의한다. 이런 점에 기초하여 앞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을 극복하는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방과후학교 운영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국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최근동향과 시사점

        권양이(Kwon, Yang Yi),김진경(Kim, Jin Kyou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9 방과후학교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오랜 시간에 걸쳐 발달되어온 바 있는 미국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최근 정책동향 및 프로그램 운영사례들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미국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학생 참여율, 부모만족도, 학생참여시간의 세 가지 기준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위 10개 주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현황을 살펴보았다. 미국 방과후 연합회(Afterschool Alliance), 학술지 논문, 방과후 관련 인터넷 사이트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미국 방과후학교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21세기 지역사회 학습센터를 중심으로 대학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사회 기관 및 재단 등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둘째, 미국의 방과후학교 운영은 단일 법안에 근거하여 운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21세기 지역사회학습센터 연방정부 재정지원을 보완하기 위한 다수의 방과후 관련법안이 존재한다. 셋째, 방과후 네트워크, 협회 등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질 관리를 위해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넷째, 트럼프 정부의 방과후학교 폐지 정책은 미 의회에 의해 거부되었으며 심지어 2018-19학년도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최근 지출 법안에 예산이 증액된 바 있다. 실제로 방과후학교에 등록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여전히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 방과후학교의 방과후 법안 마련, 지역사회의 역할 및 프로그램 질 관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our after-school prgram with meaningful implications by exploring after-school programs of the U.S. that include the latest policy bill of school program and up-to-date tendency of program operation cases, which is characterized by being developed over long tim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explored American high position 10 states where after-school program is made successfully in terms of three standards including student participation rate, parents satisfaction, student participation time after school. The United States after school alliance, literatures, after school related internet site were examin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followed. First, the after-school in the U.S. was based on local community after-school, foundations and various local community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y are supporting program after school with 21th century community learning center as the central figure. Second, American after-school management point is that after-school is not operated on single bill. In order to s upplement 21th c entury c ommunity l earni ng c enter that i s one o f Federal Government financial assistance, many after school related bill exist. Third, after-school n etworks, a ssoci ati ons are maki ng a ll e fforts t hat construct quality-control system for the quality of the after-school program. Fourth, cards governmental abrogation policy was refused by the U.S. Congress after school and budget was increased in the latest expenditure law affecting mainly even 2018-19 academic year. Actually, students, who still wish to register after school, are waiting for an opportunity. We presented registration point that is relevant to bill preparation, part of local community and program quality management after-school thereafter on the basis of this study finding.

      • KCI등재후보

        COVID-19의 영향으로 인한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 분석

        정현용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1 방과후학교연구 Vol.8 No.1

        이 연구는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2018년~2020년 사이 방과후학교 운영실태를 분석하여 방과후학교의 주요 현황, 운영 성과, 문제점 등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2020년은 COVID-19의 영향으로 많은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방과후학교가 운영되지 못했는데,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2018년~2020년 학교알리미 공개용 데이터 분석, 선행연구, 방과후학교 운영 길라잡이 등의 문헌분석을 하였다.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는 초・중・일반고의 방과후학교처럼 교과, 특기・적성 프로그램 외에 직업교육, 자격증 프로그램 등이 더 있다. COVID-19의 영향으로 2019년 대비 운영된 프로그램 수는 43.9%, 방과후학교 참여 학생 수는 37.9% 수준으로 운영되었다.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의 방과후학교는 COVID-19가 단기간에 종식되지 않으리라고 예측되어 기존의 대면 방식보다 비대면 방식의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actual operational conditions including main situation, performance and problems of after-school programs of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 between 2018 and 2020. It, also, aims to provide an alternative as many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failed to operate after-school programs due to COVID-19 in 2020. For this study, the analysis on public data of school notification from 2018 to 2020, prior research and the literature analysis on the operation guidelines for after-school program were conducted. The after-school program of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 includes vocational education and certificate program in addition to subjects and specialty & aptitude program in the after-school programs of elementary, middle and general high school.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the number of after-school programs operated was about 43.9% and that of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programs was about 39.9% compared to 2019.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deploying non-face-to-face approach of after-school program of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 is growing more than conventional face-to-face one as COVID-19 would not be expected to come to an end in a short period.

      • KCI등재후보

        방과후학교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교육철학적 기반, 정책적 의의, 그리고 발전 전망

        배상훈(Bae, Sang Hoon)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4 방과후학교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방과후학교가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하여 왔고, 오늘날 정책적 기능과 역할은 무엇이며, 앞으로 우리 공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면서 발전해 나갈 것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방과후학교가 어떠한 교육 철학적 토대와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어떠한 교육개혁 요구에 대응하면서 발전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그동안 학생 개인의 방과후학교 참여에 따른 효과에 한정하였던 논의를 확장하여 앞으로 하나의 교육제도로서 방과후학교의 시행이 공교육 전반과 사회에 미치는, 그리고 앞으로 미치게 될 영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그 동안 방과후학교는 교육 수요자의 현실적 필요와 정부차원의 정책적 요구에 효과적으로 부응하면서 발전하여 왔다. 또한 오늘날 활발히 형성되고 있는 방과후학교 시장의 힘을 토대로 꾸준히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논문은 앞으로 방과후학교가 공교육 및 사교육과 함께 한국의 교육을 구성하는 중요한 교육제도의 하나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istorical development, policy goals, and future prospect of after-school programs in Korea. It investigated what philosophical foundations after-school programs have relied upon, what goals they have pursued, and what kind of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they have responded to. This research also examined the impact of after-school programs o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 general. The study found that after school programs in Korea have evolved effectively responding to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and playing important roles as a public policy with a variety of goals including reduction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of parents and providing extra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the disadvantaged. It was also found that after-school programs are expected to continue along with the growing market for educational activities of students after regular school hours. Finally,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highly possible that after-school will be develop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long with public schooling and private tutoring which have already been considered as institutions.

      • KCI등재후보

        한국방과후학교학회 10년간 학술지 연구 동향과 추이 분석- 2012년부터 2022년까지를 중심으로 -

        양애경,양윤이,정현용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2 방과후학교연구 Vol.9 No.2

        ‘방과후학교연구’는 창간 1권 1호 이후 2022년 2월 9권 1호까지 93명의 연구자가 6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2021년 10월에 KCI 등재후보지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방과후학교학회 창립 10주년을 맞이하여 2012년부터 2022년 2월까지 ‘방과후학교연구’ 학술지의 연구 동향과 추이를 분석하여 방과후학교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방과후학교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60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방과후학교연구’의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주요 연구주제는 ‘방과후학교의 발전방향’, ‘방과후학교 모형’, ‘지역사회 참여 방과후학교’, ‘초등돌봄교실’, ‘외국의 방과후학교’, ‘어린이집, 유치원, 특수학교 대학의 방과 후 활동’, ‘COVID-19 이후의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 실태 조사’ 등 8개로 분류되었다. 가장 많이 발표된 연구주제는 ’지역사회 참여 방과후학교’ 다음으로 ‘초등돌봄교실’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았다. 향후, ‘방과후학교연구’의 발전과 현장성 강화를 위해 연구방법과 연구분야의 다양화와 많은 연구자의 참여가 요구되고, 방과후학교의 질 제고를 위해 지역사회와 연계·협력 방안 등의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민간참여 방과후학교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김수동(Kim, Soo Do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4 방과후학교연구 Vol.1 No.1

        방과후학교가 장기적으로 계속 발전하기 위해서는 운영 프로그램의 질 제고와 현장 학교의 업무 부담 경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의 이론적, 실제적 배경과 비전, 목적, 전략 및 다양한 참여주체별 역할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의 구체적 실태를 파악하고, 요구, 성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육성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22개 대학의 법인(2012년의 1차 사업에 선정된 기관)의 사회적기업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초, 중, 고 현장 담당 교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 운영에 참여하고 있는 초, 중, 고 담당 교원(67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함으로써,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의 다각적인 운영 실태와 성과 2가지 및 문제점 3가지를 도출하였다. 또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사회적기업 육성사업의 개선방안을 ① 육성사업 성격 명료화, ② 육성사업의 질관리, ③ 육성사업의 구체적 특성 확인, ④ 자체 수익모델 개발 노력, ⑤ 수요자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 ⑥ 효율적 운영 모델 개발, ⑦ 지나친 양적 확대와 수익성 확장 경계의 7가지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4가지로 제시했다. In order to secure a long term development of after- school,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programs and the business burden reduction of the field elementary & secondary schools are needed. For that purpose, the theoretical, practical background, & the vision, goals, strategies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need to be affirmed and a variety of participation subjects need to confirm their own rolls. Also, in order to affirm the concrete current status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elicit needs, outcomes, problems &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the survey of the teachers in charge in th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s of the field which participate in the 22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s is practiced.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67 teachers in charge in the elementary & secondary schools of the field. And by analysing survey results, many kinds of current status, 2 products, 3 problems are derived by the researcher. After that, 7 improvement strategies such as ① manifestation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s character, ② quality control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③ a specific character affirmation of the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④ effort for self profit model development, ⑤ program development reflecting demander needs, ⑥ efficient university led after- school social enterprise management model development, ⑦ warning of excessive quantitative enlargement & profit enlargement, are suggested. Finally, 4 conclusions a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지역과 함께 하는 방과후학교 : 충남 홍동중학교를 중심으로

        박용주(Park, Yong Ju)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6 방과후학교연구 Vol.3 No.1

        그동안 다양하게 운영 되어온 방과후학교는 긍정적 평가 뿐만 아니라 운영 과정상의 폐해 역시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최근 ‘방과후후학교 발전 과정과 미래 탐색’이라는 주제로 열린 ‘2015 방과후학교 정책포럼’에서 논의 되었듯이, 방과후학교 운영 주체의 문제와 교육력 향상 기여의 여부 등 많은 부분이 여전히 쟁점 사항으로 남아 있다. 사실 지난 10여년 간 방과후학교는 오로지 학교 안에서, 학교 교사에 의해 운영되는 이로 인한 교육활동으로 고착되어, 교사들의 피로도로 인한 교육력 약화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때에 농촌 소규모 학교의 교육력과 교육 수요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지역 재생의 역할에도 한 몫을 해온 충남 홍동중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사례가 주목을 받고 있다. 마을 공동체 운영의 성공으로 현재 ‘귀농․귀촌 1번지’로 알려진 충남 홍동 마을, 그 중심에 위치한 홍동중학교는 지난 10여년간 ‘햇살배움터’, ‘햇살배움터교육네트워크’라는 초ㆍ중ㆍ고 연합 방과후학교 운영 시스템을 통하여 ‘지역 인프라를 활용한 생태 친화적 방과후학교’를 안착 시켜왔다. 이는‘포괄적 안전망 구축을 통한 온마을 작업장학교’로서, 돌봄이 필요한 아동, 청소년을 포괄적으로 접근하여 그들의 정서․심리 지원, 생활지원, 학업, 진로지도를 아우르는 방과후학교로서 학교 교사와 마을의 학부모들이 공동의 교육 주체라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홍동중학교의‘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방과후학교’는 현재 여러 가지 요인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각급 학교 방과후학교 운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is a study on the case of operating after-school programs in a small middle school in rural area. The existing specialty/aptitude education, after-school program(elementary), and level-based supplementary learning(high) have been integrated into a term, after-school program since 2006. In fact, such various after-school programs had positive evaluations while also showing numerous cases of harmful effects in the process of its operation. Just as discussed in the recent 2015 After-School Program Policy Forum under the theme of development process and future explor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 many parts including the main operating agents of after-school program and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ower are still left as main issues. For last ten years, after-school programs have been mostly considered as school teachers work, and teachers fatigue became the cause for the weakened educational power. Meanwhile, through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with community, Hongdong Middle School has grabbed attention as a desirable case increasing the educational power of small-sized school in rural area and educational consumers satisfaction, and furthermore, regenerating the region. Hongdong Middle School located in the canter of Hongdong village, Chungnam, well-known as the No.1 place for returning to farm owing to the successful operation of its village community provides a great case to small-sized schools in rural areas by sincerely settling down the after-school programs combined with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such as Haetsal Learning Center and Haetsal Learning Center Educational Network for last ten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