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왕식 ( Wang Sik Kim )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2006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보 Vol.11 No.2
이글은 세계화의 추세가 민족주의에 미친 영향을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 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먼저 세계화와 민족주의의 개념을 알아보고, 양자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세계화의 추세에도 불구하고 민족주의는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계화의 영향은 강대국보다는 약소국에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인식하면서, 한국과 같이 상대적으로 약한 국가의 경우에서는 세계화 추세에 대응하여 민족주의가 어떤 형식으로 발현되는가를 논하였다. 한국민족주의는 19세기 말부터 저항적 민족주의의 성격을 강하게 띠면서 발전하여 왔다. 해방 직후 한국민족주의의 주요 과제는 분단된 조국의 통일과 국민형성, 이제 잔재의 청산, 그리고 근대화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냉전체제의 고착화와 지속으로 한국민족주의는 굴절을 경험하면서 반공 이데올로기와 북한 배제가 강조되어 통합 지향적이기보다는 적대적이고 배제적인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민족주의는 경제지향적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냉전체제의 종식과 더불어 세계화의 추세는 한국민족주의가 새롭게 자리매김을 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첫째, 세계화의 추세는 경제민족주의를 재 강화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외환위기 이전 한국 정부는 세계화의 도전을 국가 경쟁력의 강화로 응전하였다. 그러나 외환 위기는 한국 사회에 민족주의의 새로운 부상을 가져왔다. 일반 민중들은 위기에 대응하여 보다 방어적이며 보호주의적인 민족주의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정부 주도의 경제 정책은 신자유주의적 경제 노선을 견지함으로써 괴리 현상이 발생하였다. 둘째, 냉전체제의 종식과 더불어 세계화의 추세는 한국민족주의에 통일지향적 성격을 강하게 불러 일으켰다. 냉전체제의 종식은 한국인 사이에 통일에의 염원을 강하게 심어주었고, 정부의 통일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이러한 통일지향적 민족주의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냉전체제 이후 2000년대에 이르기 까지 정부에 의한 통일론은 대부분의 한국인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남북정상회담 이후 정부의 통일 전략은 점점 더 급진적으로 변모하였으며, 이에 적응할 수 없었던 상당수의 대중의 반발을 가져왔다. 통일지향적 민족주의에도 역시 괴리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의 세계화의 추세에 맞서 이러한 민족주의 괴리현상을 시급히 해결하는 것이야 말로 한국 민족주의의 주요 당면 과제라 할 수 있다.
Politische Bildung fur die Vereinigung. Der Beitrag globalen und interkulturellen Lernens
( Young Sik Huh )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2007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보 Vol.12 No.1
본 연구는 한반도 통일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특히 지구촌학습과 간문화학습의 측면에서 통일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우선 민주와 민족이라는 준거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어서 통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요소를 간단히 기술한다. 그 다음 지구촌학습, 간문화 학습, 그리고 사회적 전망취득의 측면에서 통일교육을 위한 비교적 새로운 접근방안에 관하여 보다 더 자세하게 논의한다. 이 세 가지 접근방안은 모두 세계화·지역화, 정보화, 다원화라고 하는 거시적인 사회변동의 차원에 대한 적합성을 고려한 것이기도 하다. 통일과 통일교육은 단지 대한민국과 북한 혹은 한민족의 과제로만 간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세계화·지역화, 정보화, 다원화와 같은 사회변동의 과정에 비추어 볼 때, 통일교육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는 특별히 지구촌의식의 신장과 지구적 관점의 확립을 지향하는 지구촌학습의 관점도 역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문화적 통합을 위한 통일문화의 형성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면, 지구촌학습의 한 가지 차원을 이루는 간문화학습의 접근방안이 요청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맥락에서는 간문화학습의 기본개념, 단계와 절차, 문화적 교차상황뿐만 아니라, 간문화학습의 목표설정, 내용중점,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과 기법도 역시 고려해야 한다. 간문화학습의 연장선상에서 우리는 사회적 전망취득의 법주를 통하여 통일교육을 위한 합의를 명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일교육을 위한 새로운 모형을 설계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서도 역시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수업계획과 분석을 위한 이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예시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한 가지 수업사례도 역시 소개하고 있다.
조찬래 ( Chan Rai Cho )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2012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보 Vol.13 No.2
Democratic civic education may be said to be a form of the necessary political education in that it provides for stability, efficiency and integration of political system as well as proper solutions to the expected problems after unification. But it has not received the sufficient attention by the scholars and experts and exposed such problems as disagreement on the content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the use of it as the instrument of government, lack of attention and cognition about it, the inadequacies of institutions. This article is meant to suggest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e new direction by analyzing these problems systematically. New principle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 e. universality, speciality, spontaneity and learning of self-study are suggested. The changes in individual identity and citizenship that may appear in the horizontal relations in the information society should be added to the preexisting content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which would bring about their adjustment or change in some parts. The Law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Center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may be considered as the absolutely necessary institu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기후변화 -녹색혁명 시대 정치와 민주시민교육의 책무 프리드먼의 에너지- 기후시대론(E.C.E.)의 정치와 시민교육적 함의
김용찬 ( Yong Chan Kim )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2012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보 Vol.13 No.1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and green revolution is becoming a big global issue as ``the fourth wave``. Thomas Friedman, the author of‘Hot, Flat, and Crowded``, prescribed our age as ``Energy-Climate Era(E.C.E).`` and presented ``Green Revolution`` as the key word of future survival strategy. The major matter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 the systematic consideration to the meaning of ``Energy- Climate Era(E.C.E)``, this study considers the concept, cause, and effect of the ``Hot, Flat, and Crowded`` (2) This study arranges the serious problem of ``Energy-Climate Era(E.C.E.)``, come into by combining of global warming, globalization and embalancing, explosing increase of population. (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son why the problem of climate change is political and what the responsibility of politics is. (4) This study discussed the reason why the problem of green revolution is educational, what the responsibility of citizenship education i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and task of the citizenship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