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예창작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 『한국문예창작』을 통해 본 문예창작론 연구사를 중심으로

        나소정 한국문예창작학회 2019 한국문예창작 Vol.18 No.3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research horizons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studies and their theoretical discussions’ achievements in the topography of Korean literature study and analyze all the trends and tendencies of the researches, diagnosing the current stage of research on literary creative writing studies and searching for the future direction of its research.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reviewed the research history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studies, categorized its research domains, and examined the major topics for discussion and issues of each category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thus conducting a total inquiry into the achievements, limitations, and remaining tasks in the research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studies. The main body of the study 1) examined the backgrounds and developmental processes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studies, analyzed the characteristic aspects found in the process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studies establishing itself as a field of study, and reviewed and assessed th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the Society of Korea Literary Creative Writing involved in this process. 2) The study then selected 164 papers about the theories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among 460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a total academic journal in the field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studies in the nation, making an attempt at categorization by the area and analyzing the research flows and issues by the domain. 3) The study analyzed keywords extracted from 268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for the last ten years by the frequency of exposure, checked the current state and trends of research on literary creative writing at multiple angles, and proposed future tasks for the research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studies based on analysis results. The present study analyzed objective data with a quantitative approach to understand the actual and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literary creative writing studies more accurately. The analysis results will hold significance as basic data to establish the academic identity and system of literary creative writing studies. Based on these, more diverse follow-up studies will explore methodological directionality to settle literary creative writing studies down on the foundation of Korean studies via a qualitative approach. 이 연구는 한국문학 연구 지형에서 문예창작학 연구의 지평과 그 이론적논의의 성과를 점검하고 연구의 제 동향과 경향들을 분석하여 문예창작학연구의 현 단계를 진단하는 한편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한국문예창작』에 수록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문예창작학 연구사를 검토하고 문예창작학의 연구영역을 범주화하여 범주별로 주요하게 제기된 논제와 쟁점들을 살핌으로써 그간의 문예창작학 연구의 성과와 한계, 남겨진 과제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이 글의 본문에서는 1)먼저 문예창작학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을 면밀히 추적하여 그 학문정체성의 토대를 이루는 것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하였다. 문예창작교육이 대학 제도 내에서 전공학문영역으로 인정되고 독자적인 학문 분야로 자리잡는 과정에서의 특징적인 국면 및 양상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 관여한 한국문예창작학회의 활동 및 성과들을 검토하고 평가하였다. 2)다음으로 국내 문예창작학 분야의 유일한 종합학술지인 『한국문예창작』에 수록된 460편의 논문들 가운데 164편의 문예창작론을 다룬 연구논문을 선별하여 이론적 범주화를 시도하였으며, 분야별 연구의 흐름과 쟁점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였다. 3)이와 함께 최근 10년간 『한국문예창작』에수록된 268편의 연구논문에서 추출한 핵심어(Keyword)를 그 노출빈도수와연관관계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문예창작 연구의 현황과 동향을 다각도로점검하였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문예창작학 연구의 향후 과제들을 도출해내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문예창작학 연구의 실태와 현황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양적 접근을 통한 객관적인 자료 분석과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분석자료들은 『한국문예창작』을 중심으로 전개된 문예창작학연구의 경향과 전반적인 현황을 가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현 단계 문예창작학 연구 상황과 당면한 과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예창작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유동적이고 원심적으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그 구심점은 매우 허약해져 있다는 것, 둘째 문예창작학의 학문적 역량을 강화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실천적인 문예창작・교육이론의 기초토대연구가 시급하다는 것, 셋째 이를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문예창작학 의제 설정이 중요하고, 이와 함께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양적 성장이 필요하다는 것, 넷째 원론적인 논의에서 답보상태인 문예창작학 연구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개별대학의창작교육의 현장에서 발굴되는 수업사례연구 등과 같이 경험적 자원들을이론적으로 자원화하는 학문적 경주가 뒤따라야 한다는 것, 다섯째 이러한성과들을 교육과정에 매개하고 환류하는 선순환구조를 강화해 나가야 문예창작교육의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현 단계 문예창작학 연구에 있어 우선적으로 요청되는 것은 문예창작론의 의미를 어떤 이념적 토대 위에서 가치화하는 관점이 있을 수 있는가에 관한 정교하고 체계적인 학적 접근과 독자적인개별 학문영역으로서의 배타적인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연구분야구조화, 그리고 이를 통한 문예창작학의 지식생산체제 정비이며, 다양한 인접학문영역과의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고 담론의 생...

      • KCI등재

        인문대학 소속 문예창작학과의 변화와 문예창작학의 존립 방안

        함정임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in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the plan for the existence of Creative Writing. We look at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gration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Dong-A University an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the Graduate Schoo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reative Writing, which started as a department unit called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is reduced to a unit of major lab, and a plan to form a position in the reduced reality is presented. It suggests a method of integrating the subjects of the two areas of theory and practice into one and densely operating them, and a method of driving the continuous learning demand of students who wish to major in creative arts and entering graduate school through close-fitting undergraduate major guidance. Specifically, while examining the reality and operation cases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at Dong-A University, which was reorganized into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undergraduate department in 2015 an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graduate school in 2021, from various angles, focusing on my major, novel creation and research, the position and existence plan of creative writing studies progressing To this end, not onl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course development, but also high school summer/winter school progra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tudent-selective high school credit system,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excavating narrative prototypes of comparative subject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implementation of the research credit system and challenge semester system, which are closely related major systems for undergraduate students, It presents specific cases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creative education programs such as research support for the bachelor's and master's degree program and graduate school's master's course, and fieldwork at home and abroad. Through these cases accumulated over many years, we reconfirm the foundation of the field of Creative Writing, from high school to college and graduate school, and examine the plan for the existence of Creative Writing while seeking a new base expansion. 본 연구는 인문대학 소속 문예창작학과의 변화와 문예창작학의 존립 방안에 대한 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동아대학교 학부 한국어문학과와 일반대학원 인문사회계열 한국어문학과의 통합 이전과 이후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문예창작학과라는 학과 단위에서 출발한 문예창작학이 전공랩 단위로 축소되고, 축소된 현실에서 입지를 형성해나가는 방안을 개진한다. 이론과 실습 두 영역의 교과목을 하나로 통합하여 밀도 있게 운용하는 방법과 밀착형 학부 전공 지도를 통해 창작 전공 희망 학생의 지속적인 학습 요구와 대학원 진학을 견인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2015년 학부 한국어문학과와 2021년 대학원 한국어문학과로 개편된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의 문예창작 교육 현실과 운영 사례를 필자의 전공인 소설 창작과 연구를 중심으로 다각도로 살펴보면서 문예창작학의 위치와 존립 방안을 개진해나간다. 이를 위해 학부와 대학원의 교과목 개발은 물론 학생 선택형 고교학점제에 따른 고교섬머/윈터스쿨 참여 및 프로그램 개발, 교내외 비교과 서사 원형 발굴 프로그램 개발, 학부생의 밀착형 전공 심화 제도인 연구학점제와 도전학기제 시행, 학부생의 학석사연계과정 및 대학원 석사과정 진학을 위한 연구지원과 국내외 필드워크 등의 다양한 창작 교육 운영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다년간 축적해온 사례들을 통해 고교와 대학, 대학원에 이르는 문예창작 전공 영역의 토대를 재확인하고, 새로운 저변 확대를 모색하면서, 문예창작학의 존립 방안을 점검한다.

      • KCI등재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 현황과 전망

        곽효환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1

        Korean literature has a history of overseas introduction for as long as 130 years and has been through a policy of overseas introduction project for over 40 years. Such a long-cherished desire for Korean literature, “overseas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or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should go in a new direction of “Korean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and strategies are required accordingly. This may mean that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more than 40 years of supporting projects for overseas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achievements in the meantime and find a new level of awareness and search the direction based on them. This is all the more so in that the expression “overseas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or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which has been used to introduce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policy, ignited the desire to enter the center of world literature.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article examined the experiences accumulated by Korean literature in the world literature market which was built after 2010s, along with efforts to enter the world literature center, and achievements that received attention, and established its meaning. This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Korean literature, which has reached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from “overseas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can take a step further into “Korean literature as world literature.” 한국문학은 길게는 130여 년의 해외소개 역사를 가지고 있고, 40여 년의정책적인 해외소개 사업을 거쳐 왔다. 이 같은 한국문학의 오랜 숙원인 ‘한국문학의 해외소개’ 또는 ‘한국문학의 세계화’가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이라는 새로운 방향으로 가야 하고, 그에 따른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정책적인 한국문학 해외 소개를 위한 지원 사업을 펼쳐온 지 40여 년이넘는 상황을 고려할 때 그간의 성과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차원의 인식과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한국문학을 정책적으로소개하면서 사용해온 ‘한국문학의 해외소개’ 또는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표현이 세계문학의 주변에서 중심으로 진입하려는 열망을 발화시킨 것이라 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배경을 토대로 2010년대 이후 이루어진 세계문학 시장에서 한국문학이 쌓은 경험과 세계문학 중심으로 진입하고자 한 노력 및주목받은 성과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자리매김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문학의 해외소개’에서 ‘한국문학의 세계화’ 과정에 이른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으로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미래 — 한국문예창작학회 학술지 『한국문예창작』 게재논문(2002~2019)을 중심으로

        이혜진 한국문예창작학회 2019 한국문예창작 Vol.18 No.3

        In what direction should liberalized writing education develop in order to prepare for the future when the landscape of industry and knowledge changes and the power structure of society fundamentally changes? Mindful of these problems, this article examined the problem consciousness and trend of the university’s paper on liberal arts writing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Literary Society (2002-2019) to asses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A full-fledged paper on college liberal arts writing, published in the 『Korean Literary Creation Works, first published in 2002, appeared in 2008. Writing-related papers are steadily appearing, but the impressive fact is that prior to 2008 the writing-education-related papers were limited to literary writing. The emergence of a full-fledged liberal arts writing paper, which appeared in 2008, coincides with the time of the reform and reorgan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and around 2005. The second paper on writing appeared in 2012, from which point on university writing was completely deviated from the paradigm of literary writing, and the form of research papers in which university liberalized writing became more specialized and detailed. If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2012-2019 are classified as subject-specific, they can be divided into (1) self�reflection and community-oriented writing, (2) criticism and discussion, and (3) discussion of liberal writing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learners, who show varying degrees of variation by level, it has developed a writing education method linked to real life or has led to an effective and reasonable method of guidance, such as a teaching method using a smart media environment. 산업경제의 구조와 지식의 지형도가 바뀌고 또 정치・경제・사회의 세력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미래에 대비하기 위한 현재의 글쓰기 교육은어떤 방향에서 전개되어야 할까. 이 글은 이러한 문제를 소재로 하여 한국문예창작학회 학술지 『한국문예창작』(2002~2019)에 게재된 대학 교양 글쓰기 연구의 문제의식과 그 추이를 검토해가면서 미래의 글쓰기 교육의 향방을 가늠해본 것이다. 2002년에 처음 발간된 이래 『한국문예창작』에 게재된본격적인 대학 교양 글쓰기 논문은 2008년에 처음 등장했다. 글쓰기 관련논문은 학술지가 처음 발행된 이래 지금까지 꾸준히 등장하고 있지만, 여기서 확인되는 인상적인 사실은 2008년 이전까지의 글쓰기 교육 논문이 문예창작, 즉 문학적 글쓰기에 할애되어 있었다는 사실이다. 2008년에 등장한본격적인 교양 글쓰기 논문은 2005년을 전후로 한 대학 교양교육의 전면적혁신과 개편을 단행한 시점과 일치한다. 두 번째 글쓰기 관련 논문은 2012 년에 등장했는데, 이때부터 대학 글쓰기 관련 연구는 문학적 글쓰기의 패러다임에서 완전히 벗어난 동시에 대학 교양교육 글쓰기가 보다 전문화・세분화한 형태로 진행되었다. 2012년~2019년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주제별로한정해서 분류해 보면, (1) 자아 성찰과 공동체 지향의 글쓰기, (2) 비평과토론, (3) 교양 글쓰기 교육과정과 교수법에 대한 논의로 나누어볼 수 있다. 현재는 수준별・계열별로 다양한 편차를 보이고 있는 학습자들의 곤란함을해소하기 위해 실생활과 연계된 글쓰기 교육법을 개발하거나 스마트 미디어 환경을 이용한 교수법과 같이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지도방법에 대한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다.

      • KCI등재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는 문예창작과의 몇 가지 자구책에 관하여 —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형래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2

        정부 정책과 시장 간 제휴에 의해 가해지는 다양한 압력으로 말미암아 문예창작학을 포함한 인문예술 일반의 위축 내지는 소멸의 위기가 초래되고 있다. 여기에 학령인구 감소라는 문제가 더해지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본 논문은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의 사례를 소개하여 이러한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 핵심은 문예창작학의 방법론을 웹소설과 장르문학,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는 학과 자체에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한편으로 교양교육으로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는 방편이 된다. 이를 통해 정부와 시장을 통해 지속적으로 주어지고 있는 제도적·사회적 압력을 문예창작학이 적극적으로 전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 및 방안을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어떤 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에 대해 논의했다. 이를 전유의 문예창작학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전유의 문예창작학을 통해 문예창작학이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전망과 가능성은 여전히 많다. 이 사실을 각계각층에 알리고 부단히 설득해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나카가미 겐지와 ‘한국만세’

        조형래 한국문예창작학회 2023 한국문예창작 Vol.22 No.3

        이 글의 목적은 나카가미 겐지의 한국/서울 방문과 체류의 과정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이야기 서울』의 실패가 어디에서 연유한 것인지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의 방한과 체류, 관련 행적에 관해서 기존 자료나 논문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일부 누락된 사실에 입각하여 보완했다. 그는 한국의 전통과 민속을 구조주의와 기호학적인 접근을 통해 전유하려 했다. 또한 <국풍 81>의 김밥집과 할머니들의 춤판, 영등포의 골목을 새로운 세계질서를 주도할 준주변부의 가능성으로 보고자 했다. 하지만 그는 한국의 피차별(부락)의 당사자들과 직접 만나 교유하거나 그들의 생활에 직접 들어간 적이 없었다. 그는 1980년대의 한국/서울에서 전옥숙을 매개로 문화계의 유력 인사를 만나고 재일조선인 출신의 유학생 및 일본의 출판관계자와 조우했으며 골목을 배회하고 전통 민속공연의 현장이나 관제행사에 참석했을 뿐이었다. 그는 당시 5공 정권의 직간접적인 후원을 통해 한국의 골목에는 진입할 수 있었으되 그곳을 기호학/문화론적으로 의미부여하는 유희에 급급했을 뿐 정작 그 속에서 실제로 생활하는 피차별의 부락민들을 간과했던 셈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process of Nakagami’s visit and stay in Korea/Seoul and to reveal its significance. In doing so, I hope to identify the reasons for the failure of Monogatari Seoul. To this end, I have filled in some missing facts about his visit, stay, and related activities that cannot be found in existing materials or papers. He tried to appropriate Korean traditions and folklore through structuralist and semiotic approaches, and saw the kimbap restaurants, grandmothers’ dance floors, and alleyways of Yeongdeungpo as the potential for a new world order. However, he never met and interacted directly with the victims of discrimination in Korea or entered their lives. In 1980s Korea/Seoul, he met with influential figures in the cultural world through Jeon Oksook, encountered foreign students of Korean descent and Japanese publishers, wandered through alleys, and attended traditional folk performances. He was able to enter the alleys of Korea through the direct or indirect patronage of the then Fifth Republic regime, but he was preoccupied with playing with the semiotic/cultural meanings of the alleys and overlooked the people who actually lived.

      • KCI등재

        문학장의 변동과 문예창작 교육의 확장성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중심으로

        양근애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2

        최근 대학 문예창작학과에 불어온 변화의 바람은 문학 중심 창작 교육을 문화콘텐츠 및 스토리텔링 창작 중심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매체 환경의 변화는 네트워크에 기반한 수평적이고 유동적인 문화의 생산과 소비를 이끌어냈다. 문학은 인쇄 매체와 문자 언어에 속박되지 않고 새로운 디지털 언어와 교호하면서 확장되는 중이다. 명지대 문예창작학과는 문학을 중심으로 한 문예창작학과 본래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 접근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개선하고 있다. 이 글에서 다루어진 교과목 운용 사례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매체 활용력을 갖춘 대학생들의 수요를 반영한 학습자 중심 창작 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문예창작학 전공 학습자들은 문화콘텐츠라는 포괄적인 범주를 수용하기보다 이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문학과 다양한 미디어콘텐츠의 접점을 넓혀가는 과정을 함께 경험하고 있다. 문예창작 교육의 확장성은 문화산업이라는 경제적 가치에 경도되지 않고 인문학적 상상력과 창의성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개발시키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 KCI등재

        문예창작학과의 변화과정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안 - 고려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를 중심으로

        이혜원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3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and Media Studies at Korea University,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was examined, and measures to improve educational goals and methods were sought. Since its name was changed to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and Media Studies in 2007, the Department of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and Media Studies at Korea University has pursued learner-centered educational ideology and curriculum. Therefore, it aims to cultivate creative talents with media convergence capabilities in addition to the education of literary experts unique to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The demand for the curriculum and comparison program was analyzed by referring to the recently conducted survey and advisors’ opinions to understand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is change of direction and seek improvement measur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the curriculum,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lectures was high, while the satisfaction with the number and diversity of major subjects was relatively low. Most of the subjects that students wanted to establish were related to media convergence ability, so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lated subjects was required. Most of the subjects that students wanted to establish were related to media convergence ability, so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lated subjects was required. Through the graduates’ surveys, it was confirmed that while faithfully carrying out the basic education of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practical subjects that can be fused with a new media environment or related to employment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o the curriculum, the irregular curriculum are important for the autonomous development of each learn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quality programs more systematically by referring to programs that are highly responsive to students or new programs requested by graduates. Through the advice of expert advisors conducted with the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consistent educational goals that could be the center of creative education should be set and educational measures should be sought. It is important to open a course that meets the needs of students, but it was found that we should focus on our educational capabilities by keeping the essence of creative education rather than reacting too much with the times. 이 논문에서는 고려대 미디어문예창작학과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예창작학과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교육목표와 방법의 개선책을 모색해본다. 2007년 미디어문예창작학과로 명칭 변경한 것을 기점으로 고려대 미디어문예창작학과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념과 교과과정을 추구해왔다. 따라서 문예창작학과 고유의 문학 전문가 교육에 더해 미디어 융합 능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은 방향 전환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개선책을 모색하기 위해 최근 실시했던 설문조사와 자문위원 의견을 참조하여 교육과정과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해본다.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들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교육과정과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에 비해 전공교과목의 개설 수와 다양성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학생들이 신설을 원하는 교과목은 대부분 미디어 융합 능력과 관련되는 것이어서 이와 관련된 다양한 교과의 개발이 요구된다. 졸업생들의 설문을 통해서는 문예창작학과의 기본 교육을 충실하게 수행하면서,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융합할 수 있는 교과나 취업과 연계되는 실용적인 교과를 개발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교과과정 외에 비교과과정 프로그램은 학습자 개개인의 자율적인 역량 개발을 위해 긴요하다. 재학생들의 호응도가 높은 프로그램이나 졸업생들이 요구한 새로운 프로그램들을 참조하여 양질의 프로그램을 더 체계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설문조사와 함께 실시한 전문가 자문위원들의 자문을 통해서는 창작교육의 구심점이 될 만한 일관성 있는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교육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과목 개설도 중요하지만 지나치게 시류에 따라 반응하는 것보다는 창작교육의 본령을 지키며 교육 역량을 집중해나가야 한다. 이상의 설문조사 결과와 요구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는 고려대 미디어문예창작학과의 교육이념을 지켜가며 기본적인 창작교육을 바탕으로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 학습자의 창의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계속 개발해나가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문예창작과의 현황과 대안 —단국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수웅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2

        ‘문예창작’은 인문과 예술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적 성격을 가진다. 이러한 학문적 특징이 학제(學制) 구분과 대학교의 조직 구성에서 구현되기 어렵다는 사실이 문제다. 이에 본 연구는 단국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국 문예창작과가 당면한 문제를 파악하는 데 목표를 둔다. 연구·교육·행정 등의 세 부문에서 학과 운영 현황을 살피고, 나름의 대안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첫째, 교수 역할 변화와 연구업적 평가. 교수의 연구업적 평가에 문예창작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다. 창작 실적에 대한 평가는 낮고, 의무적으로 학술 논문을 발표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전문 작가를 전임교수로 선발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한 대안은 다음과 같다. 1) 지속적인 의견 개진과 협의를 통해 학문적 정체성이 반영된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2) 교수의 연구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3) 학술교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학문 후속 세대를 육성해야 한다. 아울러 여러 대학이 협력해서 공동 연구과제를 수주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둘째, 교육방법과 커리큘럼. 실기 중심 교육은 문예창작의 정체성이 분명하게 발현되는 분야다. 하지만 교육방법을 체계화하는 작업은 충분히 진행되지 못했다. 개별 과목 운영은 교수자의 개인적 역량에 의존하는 부분이 크다. 교육 체계에 문예창작 교육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다. 새로운 교과목을 개발하고 커리큘럼에 반영하여 수용자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이와 관련해서 다음 방안을 제시했다. 1) 융합 교과목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2) 비교과과정을 활용한 교류와 협력이 촉진되어야 한다. 3) 학회 차원에서 교육 분과 모임을 운영해야 한다. 셋째, 학과 운영과 입시제도. 대학 구조조정이 진행되면서 행정 업무가 늘어났다. 특히 취업률에 대한 부담이 크다. 이는 대학의 기능을 취업으로 한정하기도 하지만, 평가 기준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명확하다. 입시 관련 정책이 자주 변경되면서, 그에 따른 운영상의 혼란이 가중되었다. 이런 문제에 대응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각종 특강과 관련된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점차 세분화되는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2) 문예창작과의 목표, 교육과정, 진로 등을 정확하게 안내해야 한다. 이를 통해 인식을 개선하고 관심을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지원율 향상을 도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