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박정희 신드롬의 무속적 의미

        한민(Han Min)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6

        정치인으로서의 박정희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을 달리고 있지만 한국인들의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관심과 애정은 시대와 세대를 초월하여 ‘박정희 신드롬’이라는 사회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박정희 신드롬이 한국인들의 무의식적 심리에 자리하고 있는 무속적 세계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무속신앙과 연관된 한국인들의 심리적 특성과 무속신앙의 구조와 체계를 문화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문화심리학은 분트가 제창한 민족심리학의 전통에서, 전통적인 심리학에서 배제되었던 문화가 실제로 인간의 마음과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실체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문화 속에서 구성되는 인간의 마음을 연구의 주제로 삼는 심리학의 한 흐름이다. 본 연구는 인간의 심리가 역사와 문화 속에서 구성된다는 문화심리학의 기본 가정 하에 한국문화와 무속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박정희 신드롬이 갖는 문화적 의미를 되짚어 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박정희 신드롬은 한국인들의 현세 주의적 태도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이며 이는 무속의 세계관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는 것이다. 즉, 내세 혹은 탈세속적 깨우침을 중요시하는 타 종교와는 달리 무속은 현세에서의 복을 추구하는 기복적 성향이 강하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최대 업적이라 할 수 있는 경제발전은 이러한 성향을 가진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현세의 복을 의미하였을 것이다. 두 번째, 박정희 신드롬은 무속신의 위계 및 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무속신앙에서 장군신은 자연신이나 외래 신들에 비해 그 위계는 낮지만 일반 민중들의 삶 속에서는 보다 큰 위상을 갖는 존재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군대에서의 실제 계급과 카리스마적 리더십, 그리고 부하에 의한 억울한 죽음 등은 무속신의 형성과정과 유사한 측면이 있으며,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의 첨예했던 남북대치상황과 경제적 발전은 재앙을 막고 복을 가져다주는 신장(神將)으로서의 이미지를 더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한국인들의 무의식 속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은 무속신으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것이다. Jeonghee Park as a politician, shows extreme evaluation from positive to negative. He is, however, one of the most respected and beloved president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The attention towards him has transcended time and age, and has even created a new term called “nghee Park Syndrome”.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Jeonghee Park Syndrome of Korea is closely related to its shamanistic world view and analyzed Korea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related to the shamanism. We also analyzed the structure and system of shamanism with a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Cultural psychology, derived from the branch of folk psychology established by Wundt, assumes that culture, once neglected by the mainstream psychology, plays a major role in forming one’s mind and behavior. The present study adopts the basic perspective of cultural psychology, that human psyche is constructed under the influence of history and culture, and analyzes previous work on Korean culture and shamanism in order to reexamine the cultural meaning Jeonghee Park Syndrome possess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wo points. First, Jeonghee Park Syndrome derives from the secularism among Koreans, and it is closely linked to the shamanistic world view. That is, while other religions stress the existence of after life and the need to rise above the trivialities of the present life, shamanism exhibits a strong tendency to seek for blessing in this present life. One of the biggest contributions Jeonghee Park had made during his presidency, economical growth, may have been a blessing to Koreans with such characteristics. Second, Jeonghee Park Syndrome is closely related to the hierarchy and influences of the shamanistic gods. In shamanism, the god of commander(神將) has lower position in the hierarchical system than the god of nature or the chinese gods of taoism, however, he has stronger influential power to the general public. Jeonghee Park's actual position and his charismatic leadership, together with him being murdered by his subordinate, are similar in many aspects with the formation process of shamanistic gods. Moreover, the sharp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economical growth during his presidency also adds up his image as a god of commander(神將) who defends the country from calamity and brings blessing instead. Therefore, in Korean people’s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e past president Jeonghee Park is occupying a position of a shamanistic god.

      • KCI등재

        무속의 정기의례와 현재성에 대한 사례연구

        김동규(Kim, Dongkyu) 한국무속학회 2016 한국무속학 Vol.0 No.32

        무속이 한국인의 일상에서 의미 있는 종교적 실천으로서 이해되기 위해서는 고객이 처한 특별한 위기 상황에서 연행되는 ‘고통의 의례(ritual of affliction)’로서 무속의례 뿐 아니라 정기적인 무속의례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종교적 실천은 위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문제해결의 탐색과정일 뿐 아니라 삶에 지속적인 동기와 분위기를 제공하는 종교적 상징체계의 현실화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속의 정기적인 의례 실천에 대한 연구는 무속을 한국인의 종교적 실천들 가운데 하나로 보는 입장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종교로서의 무속’이 현대 한국인들에게 일정한 삶의 방향성(orientation)을 제시하고, 삶의 동기와 분위기를 형성하며, 현실에 의미 있는 모델을 부여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기 위해서는 무속이 현대 한국인의 일상적 삶과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작업이다. 이 관계를 검토하는 한 방법으로써, 필자는 무속 행위자들이 의례를 행하기에 좋은 날을 택하거나 정기적인 의례가 조직화되는 원리 및 의미화 작업을 검토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필자는 이 연구에서 소개되는 제보자들의 달력의례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서 현대 한국, 구체적으로 서울이라는 시공간에서 활동하는 일부 무당들이 달력의례를 어떤 원리들을 통해서 조직하고, 그 의례들의 내용을 구성하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현대인들의 불안한 경험들을 어떤 방식으로 좀 더 넓은 사회적, 문화적, 우주론적인 의미로 치환하고 공식화하는지, 그래서 다양한 변수들을 통제가능한 문제로 전환시키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무속적 달력의례는 달력 혹은 생활민력 기반해서 무당과 단골 그리고 다양한 세계관들의 경합 과정을 통해서 조직화되는 의례를 말한다. 이 과정에서 작용하는 요소들은 무당의 자기인식 뿐 아니라 단골들의 요구, 그리고 그 배후에 작용하고 있는 다양한 세계관들을 들 수 있다. 이 요소들의 경합과정에 대한 사례 분석은 무속적 세계관이 현대 한국인들에게 ‘종교적인 의미’를 갖게 되는 방식을 조명하는 것이다. In order to understand how Korean shamanism functions as a religious practice in modern Korea, it is required to examine a regular ritual as well as a ‘ritual of affliction.’ Religious practices are not only solution-finding processes in a problematic situation but also embodiments of a specific symbolic system which gives an orientation to believers. Unfortunately, however, most research on shamanism has paid attention to find out the ‘assumed’ archetype of Korean shamanism rather than focusing on how shamanism, an a modern religious practice, affects ordinary lives of believers. As a way to highlight such a religious aspect of Korean shamanism, this article aims at describing how modern Korean shamanism organizes a calendrical ritual, how multiple agents and ideologies are competing each other to make the ritual and the shamanic world view plausible, and how, in turn, the shamanic world view is enforced by the calendrical ritual by effecting on the regular-client’s interpretative framework. In particular, I introduce three calendrical rituals, Ipch’unpuri, ch’op’ailmaji, and chi’lsŏngmaji. I expect that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how shamans, clients, and cosmological symbols of Korean shamanism interact and coordinate with each other while organizing calendrical ritual will show the alternate modernity in contemporary Korea.

      • KCI등재

        근대의 한국무속

        이용범(Yi Yong-Bhum)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1

        이 글은 무속의 종교전문가인 무당, 무당에 의해 집행되는 무속의례, 그리고 무속의례에 등장하는 무속의 신격(神格), 무속의 사회적 기반 등을 중심으로, 근대 한국무속의 새롭게 변화된 모습과 아울러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함으로써 근대 한국무속의 역사적 특징을 찾아보고자 한다. 근대 한국무속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변화는 사회문화적 위상의 변화이다. 근대 이전 한국무속은 가정(개인), 지역(마을), 국가(왕실)와 관계를 맺으며 일정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근대기에 들어오면서 국가(왕실)와의 관계는 완전히 사라지고, 가정(개인), 지역(마을)과의 관련속에서 존재를 지속한다. 무속에 더 근본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은 지역(마을)과의 관계이다. 지역은 근대이전 한국무속의 기본적인 사회문화적 기반으로서, 무속의 많은 부분은 그 기반인 지역과 관련시켜 설명된다. 그러나 근대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함께 점차로 지역사회와 문화가 해체되고, 이 과정에서 지역은 더 이상 근대무속의 기반이 되지 못하고, 가정(개인)과의 관계가 중심이 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바로 의례종류와 의례형식, 의례의 연행상황의 변화와 맞닿아 있다. 무속처럼 한 지역사회의 조직, 삶과 문화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채 존재하는 종교를 확산종교라고 하는데, 근대기에 나타난 한국무속의 변화는 이러한 확산종교적 성격이 점차로 탈색되어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이는 한국무속이 기존의 든든한 지역적 기반을 상실하는 과정임과 동시에 지역적 한계를 탈피한 새로운 종교로 다시 태어날 계기가 주어지는 과정이기도 하다. This paper intend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shamanism by focusing on both the changes and overall features of Korean shamanism in modern era.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nges in modern Korean shamanism is the change of sociocultural status of Korean shamanism. Before modern era Korean shamanism had connections with family(individual), local society, and state(or the Royal Family), and had done its own roles. But in modern era its relation with state(or the Royal Family) was completely died away. Only its relations with family(individual), local society have been maintained. Among its relations with both family(individual) and local society the latter is more fundamental to Korean shamanism for nearly overall features of Korean shamanism may be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The local society may be said to be one of the most basic foundations of Korean shamanism. But the local society can not be the base of Korean shamanism any more according as the break-up of local society and its culture. Korean shamanism is a so called diffused religion with close and direct relationship with local society. So the changes of modern Korean shamanism can be said to be a decolorization of the features of diffused religion. This is a loss of the base of local society and is also a possibility of being liberated from the restraint of local society.

      • KCI등재

        무속에 대한 근대 한국사회의 부정적 시각에 대한 고찰

        이용범(Yi Yong-Bhum) 한국무속학회 2005 한국무속학 Vol.0 No.9

        이 글은 한말, 일제시기의 신문들을 자료로 이른바 ‘미신론’이라고 지칭되는 근대 한국사회의 무속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살펴보고 있다. 이 글은 무속의 성격규정, 무속의 의례행위, 무당과 무속 신봉자, 미신타파 운동 등을 중심으로 미신론의 내용을 살펴보고 있다. 미신론이 무속을 비롯한 한국의 민간신앙을 바라보는 근본적인 잣대는 근대화를 가능케 해줄 것으로 여겨진 과학이었다. 그래서 무속은 비과학적이고 불합리한 미신이며, 문명화된 새로운 사회의 건설을 위해서 부정되어야 할 폐습으로 파악되었다. 미신타파 운동은 이처럼 하나의 폐습으로 여겨진 무속과 같은 이른바 미신을 제거하기 위한 사회적 실천이었다. 그러나 미신론은 무속을 비롯한 민간신앙이 한국인의 삶의 중요한 현실 가운데 하나이며, 그것이 한국인의 삶에서 수행했던 긍정적인 역할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나아가 미신이라는 범주에 포괄된 한국 민간신앙의 전면적인 부정은 한국인의 전통적인 생활문화의 부정과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한편 근대 한국사회에서 이러한 미신론은 무속을 바라보는 지배적인 시각이었다. 근대 한국사회에서 미신론이 무속을 바라보는 지배적인 시각으로 자리잡은 것에 대해, 이 글은 기독교나 일제 식민지정책과 같은 외적요인과 함께 근대기에 새로운 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한국사회의 내적 욕구 또한 중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Misinron’(a negative theory of so-called superstitions), a negative viewpoint on Korean shamanism, on the basis of newspapers in modern Korea. Especially this article deals with negative characterizations of the nature of Korean shamanism, of the effects of Korean shamanism’s rituals, of mudangs(Korean shamans) and their clients, and of Misintapaundong(a social movement for the overthrow of so-called superstitions in Korea). The natural science considered as a basis of modernization was a Misinron’s fundamental yardstick viewing Korean shamanism and other Korean folk beliefs. Therefore Korean shamanism was characterized as an unscientific and irrational superstition, and a bad convention that should be removed for construction of new civilization in Korea. And Misintapaundong was a social movement for the overthrow of so-called superstitions in Korea. However Misinron has a limit of not recognizing that Korean folk beliefs including Korean shamanism are important parts of Korean life, and their positive functions. At the same time Misinron did not recognize that the negation of Korean folk beliefs meant the erasing many parts of Korean traditional life culture, either. This Misinron has been a dominant viewpoint on Korean shamanism and other Korean folk beliefs in modern Korea. This article supposes that this negative viewpoint results from the inner desire for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 outer factors, that is, Christianity and Japanese colonial control.

      • KCI등재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 -제주도 무속을 중심으로-

        최진아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and achievements of the material culture research by Hyun Yong-jun, putting focus on the shamanism of Jeju Island,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t the time when Hyun Yong-jun was active in research activities,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was not the subject of attention. As a result, very few basic data related to the material culture have been accumulated. On the contrary, Hyun Yong-jun has identified the material culture of Jeju shamanism as a subject of individual study since the 1960s and made an attempt to study it. In that respect, he is a researcher who made it possible to discuss the shamanistic research of Jeju island from various views. Among the research achievements made by Hyun Yong-jun, the study related to the shaman material culture hold significance in many aspects. First, after the shamanism of Joseon had been studied by Japanese researchers, Murayama Jizen 村山智順) and Akiwa Takashi (秋葉隆), Hyun Yong-jun contributed to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which had been neglected for a while. Second, Hyun’s work focused on materials, shapes and compositions, which lay the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n material culture, and thereby allowed discussions to be made. Third, Hyun’s research provided empirical archive of basic data for discussions to be made on the history of material culture of Jeju shamanism and offered figures for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through diagrams. Forth, Hyun’s work summarized in details various ritual symbols of the material. For instance, when it comes to Sinkal and Sanpan which are the ritual tools used by Shimbang, a ritual presider of Jeju shamanism to show the intention of God during the ceremony, Hyun’s research presented a variety of cases as pictures, described and analyzed the meaning,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r types of the ritual. Fifth, Hyun Yong-jun analyzed the origins of Sindang (a ritual space for shamanism), sacrifice, Mengdu and Singan in Bonpuri (epic ritual music), which is the most remarkable element in Jejudo shamanism. He saw sacrifice as the least changing element among cultural elements, revealed the food that God favors or does not like in Bonpuri, and analyzed the divine hierarchy in it. Although Hyun Yong-jun’s work has the significance described above, it has several pitfalls. Hyun Yong-jun’s research on the material culture has not progressively analyzed the intermediary tendency that Kime and Mengdu holds in order to compare Shimbang and shaman; analyzed the meaning of sacrifice in Bonpuri in a fragments; and neglected discussions on the influence with other religions. Although it has shortfalls, Hyun Yong-jun’s research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research not only on Jeju shamanism but also on the material culture: It recognized the material culture of shamanism as a necessary subject to understand Jeju shamanism and allowed to approach research on Jeju shamanism from various angles. 본 연구는 제주도 무속을 중심으로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의 경향과 성과를 살펴보고, 그 연구의 특징과 연구가 갖는 의의를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현용준이 활발하게 활동하던 당시 무속의 물질문화는 주목받는 대상이 아니었다. 그로 인해, 물질문화와 관련된 많은 기초자료 또한 축적되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현용준은 1960년대부터 제주 무속의 물질문화를 개별적인 연구대상으로 파악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제주도 무속연구를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가능하게 한 연구자라 할 수 있다. 현용준의 연구 성과 중 무속의 물질문화와 관련된 연구는 여러 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첫째, 일제강점기에 조선의 무속을 연구하였던 일본인 연구자들인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과 아끼바 다까시(秋葉隆) 이후 한동안 간과되어 왔던 무속의 물질문화에 관심을 갖고 그와 관련된 연구 성과를 축적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현용준의 연구는 물질문화 연구에 가장 기초가 되는 재료 및 형태와 구성요소에도 주목하여 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셋째, 제주 무속의 물질문화 연구사를 논의하기 위한 실증적인 아카이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과, 도식화 자료를 통해 물질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게끔 하였다는 점이다. 넷째, 물질이 갖는 다양한 의례적 표상을 상세하게 정리했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어, 제주 무속의 의례주재자인 심방이 의례 과정에서 신의 의사를 알려주는 신칼과 산판의 경우 여러 다양한 경우의 수를 그림 자료로 제시하여 이를 설명하고, 의례의 상황에 따라 혹은 의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다섯째, 현용준은 제주도 무속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요소라 할 수 있는 서사무가인 본풀이 속에서 제의공간인 무속의 신당과 제물 그리고 멩두와 신간의 기원과 유래를 분석하였다. 제물의 경우, 문화요소 중에서 가장 변화가 더딘 요소로 보고, 본풀이 속에서 신이 즐기는 음식과 그렇지 않은 음식을 밝혀내고 그 속에서 신의 위계 관계를 분석해 내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의의를 지니지만, 현용준의 연구에서 몇 가지 아쉬운 점도 존재한다. 현용준의 물질문화 연구 중 심방과 샤먼의 비교를 위해 기메와 멩두가 지니는 매개적 성향에 대한 분석이 발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과 본풀이를 중심으로 제물에 대한 의미 분석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졌을 뿐 아니라 타종교와의 영향 관계 속에서의 논의는 간과했다는 점 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용준의 연구는 무속의 상징물을 제주무속을 이해하기 위해 놓쳐서는 안 될 대상으로 인식해 제주 무속 연구를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연구는 제주 무속 뿐 아니라 물질문화 연구에 있어서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어둠 속의 무속

        최종성(Choi, Jong Seong) 한국무속학회 2013 한국무속학 Vol.0 No.27

        한국의 무속 연구에 있어, 무당의 긍정적이고 밝은 면을 이해하려는 낭만적인 경향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전근대의 무당이 괄시와 천대를 받아온 것에 비하면, 그들의 영적 테크닉이나 종교적 직능에 대한 근대 이후 학자들의 평가는 관대하고 밝은 편이다. 지금까지 연구자들로부터 특별한 시선을 받지 못했지만 한국종교사에는 어둠의 무속사가 엄연히 존재한다. 한국의 무당이 고통을 달래주고 복을 빌어주는 선량한 종교전문가로 기억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요사한 술법으로 대중을 미혹시키는 사회악의 표본이자 문화를 오염시키는 근원으로도 다루어져 죽음을 당하기까지 하였다. 민중의 처지를 이해하고 안심시키는 긍정적인 무속과는 달리, 비판과 탄압의 수준을 넘어 무당을 사회로부터 영구히 제거하는 조처를 받게 한 어둠속의 무속이 있었던 것이다. 이른바, ‘살해당한 무당’의 역사 속에 어둠 속의 무속이 확인되고 있다. 한국종교사에서 살해당한 무당의 면면에는 대개 저주의 무속과 반역의 무속이 자리 잡고 있다. 전자는 치병의 직능과 상반된 반치료의 주술이고, 후자는 사회의 기반을 훼손하거나 부정한다는 점에서 반사회적인 행위였다. 두 가지 모두 범죄행위로 이해되었고, 다분히 정치적으로 다루어질 여지가 충분하였다.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는 법이다. 비운의 정치사의 흑막 속에 가려져 있는 어둠 속의 무속을 발굴하고, 명암이 교차하는 무속사에 편입시키는 일은 내키지 않은 일이지만 마다할 수도 없는 학문적 주제임에 틀림없다. Romanticization of Shamanism in the study of Korean shamans has been the predominant perspective that mostly focuses on its benevolent and positive aspects. In relation to the discrimination against Shamanism as a lower form of religion before the mdern times, modern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more positive elements such as religious functions and spiritual techniques. At times shamans have been regarded as crafty practitioners who have lured people into misdeeds causing social confusion, which has occasionally resulted in their prosecution and eventual death sentence. This is wholly different from the ideal images of shamans who alleviated the people’s suffering and pain. Even in the history of Korean Shamanism there existed “bright” Shamanism together with “dark” Shamanism that involved placing curses of death on the enemies of the clients or taking part in treasonous acts to bring down a dynasty. Dark Shamanism was considered severely anti-social and anti-state according to the laws of the time and those involved were harshly punished. This paper tries to discover material relating to the execution of Korean shamansm, in order to gain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Korean Shamanism. I want to bring to light the religious activities related to the personal body and state politics by analyzing the dark side of Korean Shamanism. Firstly, shamans who performed rituals on personal bodies were not only considered as therapeutic ritual specialists but also anti-therapeutic ritual specialists. The shaman activities of the latter were also referred to as mugo(巫蠱) in Korea. It consisted of performing curses using poisons made from insects or animals, spiritual agents, and black magic with dolls or images. The second type of dark Shamanism was involved in state politics. Kings of the Joseon period dealt with such rebellious activities with harsh punishment. these kings considered the activities of dark Shamanism as discourses and practices that denied social order, though their deeds were not a militaristic coup d’etat. As a result many Korean shamans were considered to have committed treason and thus deserving death punishment.

      • KCI등재

        무속신화에 나타난 꽃밭의 의미 연구

        김창일(Kim Chang-Il)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1

        한국 무속신화에서 꽃밭 화소는 아주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만큼 꽃밭은 여러 각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져야할 필요가 있기에 그 일환으로 무속신화에 나타난 꽃밭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꽃을 생명의 기원으로 여기는 의식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인류공통으로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신화 속에 흔적으로 남아 재현ㆍ반복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 무속신화에서는 꽃의 생명성에 그치지 않고 꽃밭이라는 특수공간으로서의 이계가 설정되어 있어 주목된다. 굿은 인간세계의 흐트러진 질서를 다시 원상회복하기 위한 제의라 할 수 있다. 무속신화의 꽃밭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현상계를 위한 생명의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둘째, 꽃밭은 인간이 신으로 좌정되기 위한 중간단계, 조상신으로 가기 위한 중간 단계, 저승으로 가기 위한 중간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셋째, 꽃밭은 악을 징치하고 이승의 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한 공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꽃밭은 악이 선을 누르고 이승을 차지하지 못하도록 지켜주는 방패막이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 꽃밭은 현상계와는 다른 차원의 공간이면서 신성한 공간이고, 현상계의 원리와 신계의 원리가 교차하는 별도의 공간이다. 한국무속신화에서의 꽃밭은 이승도 저승도 아닌 신과 인간이 공존하는 신성공간으로서의 이계로 규정될 수 있다. 꽃밭이라는 하나의 공간이 이렇게 복합적인 양상를 띠고 있기에 어쩌면 논리적으로 모순된다고 여겨질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것 또한 한국무속신화의 한 특징인 것이다. 지금까지 꽃밭에 대한 정의는 본향 혹은 생명의 공간으로 대변되었다. 그러나 한국무속신화에 나타나는 꽃밭은 단일하고 일률적으로 설정하기에는 너무나 복합적 의미를 띠고 있음을 확인 할 수가 있었다. Flower bed’s motive is a very significant part of the Korea shamanist myth. Because the flower bad needs to be considered with as vatious angles as possible, I studied on the means of the flower bed that appears in the shamanist myth. Because the ceremony considering a flower as the origine of life from long time ago remained as a mankind’s commoness, reappearing and repeating of it remains as traces in myth may seem to be reasonable. However Korea shamanist myth is focused on not ceasing life of flower and establish different world as special space called flower bed. Gut(Exorcism) can be a sacrificial rites in order to get back as original chaos system of human world. Shamanist myth’s flower bed can be established life space for phenomenon world such as this connection. Secondly, the flower bed is able to be established the midium stage for taking a God’s position, for going to ancestral Gods, for going to the world beyond. Thirdly, the flower bed can be established as space for punish evil, place for establishing this world’s order rightly. Just a flower bed become a protecting shield that evil suppress goodness and not to take this world. Fourthly, the flower bed is not in the same as the phenomenon world and it is a different level of space and a sacred place. Also it is a separate place where the principles of the phenomenon world and the principles of the Neogean realm are cross. In Korea shamanist myth, the flower bed is not in this world and the world to come. It is a sacred place where God and human living in coexistence. A single place called the flower bed assume an aspect of composition, probably, it takes contradictory to the logical. However, this is also a characteristic of Korea shamanist myth. Before now, a definition of the flower bed was the mouthpiece of democracy or life space. However, the flower bed in Korea shamanist myth shows that it assume an mean of composition for set as a single and uniformly.

      • KCI등재

        19세기 무속에 대한 ‘반성적 연행’의 성행과 그 민중문화적 의미

        허용호(Heo Yongho) 한국무속학회 2009 한국무속학 Vol.0 No.19

        이 글은 19세기 무속 관련 연행에서 나타나는 반성성에 주목하고 그 의미를 따져본 것이다. 19세기 무속에서 반성적인 특징이 나타난다는 가설을 논의 출발점으로 삼고, 〈배뱅이굿〉을 통해 이를 입증하였다. 이어서 이 특징이 19세기 제 민중문화 갈래에서 찾아볼 수 있음을 드러내면서 논의를 확대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19세기 반성적 연행의 성행은 곧 절대적인 것의 상대화라는 민중의식의 전환을 말하는 것임을 주장하였다. 논의된 결과를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배뱅이굿〉에서는 무속 전반에 대한 상대화 경향이 나타난다. 〈배뱅이굿〉은 굿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굿에 대한 연행이다. 〈배뱅이굿〉에서는 신격, 굿 연행과 전승의 공동체, 굿거리 등을 포함하는 무속 전반에 대한 관습적 사고의 뒤집기가 이루어진다. 이는 관습적 사고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배뱅이굿〉에서는 관습적인 것들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재고’한다. 그 결과, 감히 하지 못했던 또는 절대적인 것이라 여기어 오던 것에 대한 상대화가 이루어진다. 관습에 대한 반성, 절대적이라 생각되던 것에 대한 반성으로서의 연행이 〈배뱅이굿〉이다. 그런데 이러한 특징은 19세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민중연행의 여러 갈래에서도 나타난다. 〈장대장굿〉에서는 무속인과 그들의 삶, 그리고 그 제의에 대한 반성적 연행이 벌어진다. 〈봉산탈춤〉에서는 마을신격인 ‘웃목기 할미’와 ‘아랫목기영감’이 상대화되어 웃음거리가 된다. 〈남사당 덧뵈기〉, 〈송파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 등에서는 마마신인 ‘호구별상’에 대한 상대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대적인 것들에 대한 상대화가 19세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이러한 반성적 연행의 사례는 〈남해안별신굿〉이나 〈동해안별신굿〉, 그리고 서울과 경기 지역의 굿 뒷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들을 근거로 하여, 무속 혹은 민중연행의 영역에서 가정법, 가설, 욕망, 추측의 영역이 급격하게 확대되어 가던 시기가 19세기라고 주장할 수 있다. 19세기만을 독립시켜 놓고 본다면, 당대로서는 그 어떤 대안도 구체화되지 않은, 그저 ‘유쾌한 상대성’으로 절대적인 것의 해체를 지향하는, 다양한 가능성의 시기라 생각하는 것이다. 19세기는 ‘경계 혹은 문지방의 시공’인 것이다. 이 시공에서는 어떤 것도 절대적이지 않고, 하고 싶은 데로 한다. 이전 시기에서부터 발현되기 시작한 민중문화의 신기운이 마침내 신앙 혹은 믿음의 영역까지 침투하여 상대화시키고 있는 증거가, 바로 무속에 대한 반성적 연행의 사례들이다. 적어도 절대적인 것, 금기, 제약 등의 최후의 보루라 여겨져 왔던 것이 무속신앙이다. 그런데 그 무속신앙의 영역이 허물어지고 상대화되고 있는 것이다. 19세기 이러한 ‘반성적 연행의 성행’이라는 특징은 무속에 대한 인식 변화와 질적 전환을 말하고 있다. 그러고 이러한 현상은 민중연행의 갈래 전반에 걸쳐 갈래간의 교류ㆍ경쟁ㆍ습합 등의 양상을 보이며 나타난다. 19세기 ‘반성적 연행의 등장과 성행’은 무속의 대립 전선이, 유교 혹은 공식적인 종교문화에 덧붙여 민중문화 내부에 하나 더 생겨났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다.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강력한 금지와 배제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어쩌면 민중들 사이에 강렬한 문화적 관성으로 유지되어 오던 무속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무속에 대한 반성적 연행의 등장은 단순히 민중문화의 표현 양태가 한 가지 더 추가되었다는 사실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무속이라는 절대적인 것의 상대화라는 민중의식의 전환이다. This study pay attention to reflexivity which is found on the performance connected with shamanism in the 19th century, and consider it’s meaning. Beginning with the assumption which 19th shamanism’s character is reflexivity, I prove the assumption through Baebaeng-i-gut. Next, it is pointing that this character is found on people culture genres in the 19th century, expand argument. And on the foundation of that, I insist that prevalence of reflexive performance is a turnover of the people consciousness which is a relativity of the absolute.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It is found that relativity of the whole field of shamanism on Baebaeng-i-gut. Baebaeng-i-gut is a performance of Gut. The conventional thought of the whole field of shamanism which include the divinity, Gut performance and community of tradition, Gutgeori is reversed on Baebaeng-i-gut. It is from a reflexiveness of conventional thought. Conventional things are reconsidered on Baebaeng-i-gut. As a result of the reconsideration, a relativity of the absolute is accomplished. Baebaeng-i-gut is a performance as a reflexiveness of convention and the absolute. That character is found on people culture genres which may be shaped in the 19th century. Reflexive performance of shamans and their life is performed on Jangdaejanggut. Village gods become a laughingstock on Bongsan-talchum. And smallpox god become a laughingstock on Namsadang-deotbaegi, Songpa-sandaenori, Yangju-sandaenori. It is interesting that relative consciousness of the absolute is outstanding in the 19th century. Examples of this reflexive performance can be looking for Namhaean-baelsin-gut, Donghaean-baelsin-gut, and Duetjeon of the Seoul-gut, Gyng-gi-gut. On the basis of the above aspects, I insist that 19th century is a period of possibility when the absolute is deconstructed through joyful relativity. 19th century is a space-time of liminal or threshold on which what kind of thing can be freely. A new sign of people culture which is revealed from previous century permeate into a realm of belief. The evidence is reflexive performances of shamanism. A prevalence of reflexive performance is said that consciousness change and qualitative conversion of shamanism in the 19th century. And this appearance display an aspect which is a inter-change, competition, compromise among the people performance genres. A prevalence of reflexive performance in the 19th century may be regard the meaning as a the front line of shamanism come into being from the inside of people culture. Therefore, entry and prevalence of reflexive performance which reflect on shamanism get a meaning more than a fact which people culture's expression aspect is added one more. That is a conversion of people consciousness which is a reflexivity of shamanism.

      • KCI등재

        조선 후기의 무속

        손태도(Son Taedo)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7

        조선 후기는 사회 전반적으로 유교 문화가 자리잡은 시대였다. 그러나 고려말에 시작된 무포세(巫布稅)가 1895년까지 시행됨으로 인해 무속은 유지될 수 있는 기본적 조건을 확보하였고, 이러한 기본적 조건을 넘어 조선 후기에도 무속은 종교, 철학, 의례, 예술 여러 면들에서 발전하였다. 조선 후기의 무속을 무당과 무속 의례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조선 후기 무당에게 있어 주목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궁궐을 담당하는 국무(國巫)와 지방 관아를 담당하는 아무(衙巫)가 여전히 있었다. 둘째, 서울의 무당들이 한강 밖으로 쫓겨났다. 셋째, 군문(軍門)의 취고수 계통 악공들이 생겨나 세습적 악공이 되는 무부들이 더 많아졌고 이로 인해 세습무적 방식이 더욱 확대되었다. 넷째, 중앙의 광대 문화를 전라도 광대들이 주도하게 되자 전라도의 무부들이 굿판을 많이 떠나게 되었다. 조선 후기 무속 의례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을굿이 여전히 지속되었다. 둘째, 유교적 동제의 정착으로 전래의 마을굿은 ‘별신굿’이란 이름으로 이뤄졌다. 셋째, 불교가 서민화됨으로 인해 불교적 요소가 무속으로 많이 들어오게 되었다. 넷째, 두레의 발달로 전라도 내륙쪽은 마을 단위의 농악과 줄다리기를 많이 하게 되자 마을굿을 점차 하지 않게 되었다. 다섯째, 전대에 비해 무속 신앙이 더욱 약화되었기에 무속의 세속화는 더욱 심해졌다. 여섯째, 상업이 발달하자 시장에서의 별신굿이 성립되었다. 이러한 사정들 속에 조선 후기의 무속은 오늘날 무속이 주요한 전통 문화의 하나가 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The society of Joseon in the latter period was the one of the Confucianism. But there was mupo-se (무포세. shaman tax) that started at Koreo dynasty and ended at 1895. So musog was possible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Beyond being, Musog developed it’s elements very much in the fields of religion, philosophy, ritual and arts. I studied the Musog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rough the conditions of shaman and shaman ritual. The important conditions of shaman were next; 1. The shaman of nation and local government were still being. 2. The shamans of Seoul was driven away to the south of Han-river. 3. New military bands was formed by the men of shaman family in the south of Han-river. So the number of official musician that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as magnified. That expanded the Seseup-mu style (shaman that is made by shaman family) in the south of Han-river. 4. The Kwangdae (광대. an official and hereditary entertainer in Korea) of Jeolla-do became important in Seoul. So many men of the shaman families in the Jeolla-do became Kwangdaes out of shaman ritual place. The conditions of shaman ritual were next; 1. A region shaman ritual was sustained. 2. A village shaman ritual was made in the name of Byeolsin-je (별신제. special religious ceremonies) because Dong-je (동제. Confucious religious ceremonies at a village) was settled firmly. 3. Buddhism became the religion of common people. Shaman ritual should accept many Buddhistic aspects because its major customer was common people. It always had adjusted to customer’s culture. 4. The villagers of the inside of Jeolla-do performed Nong-ag (농악. instrumental music of peasants) and a tug of wars every year by development of Dure (두레. cooperation labor; almost all villagers participated). Therefore they became dispensable with a village shaman ritual. They satisfied with their Nong-ag and a tug of wars. 5. Shaman ritual became more entertaining because people’s religious mind for shaman ritual had became more fainted. 6. Byeolsin-gut (별신굿. special shaman ritual) was made at market by development of commerce. By the experience these conditions, today’s shaman rituals become very important traditional culture assets.

      • KCI등재

        글로벌시대 한인무속의 성과와 과제

        이정재(Lee Joung Jae) 한국무속학회 2013 한국무속학 Vol.0 No.27

        세계를 향한 한인 무속의 진출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고, 이제는 그 과정과 진행 정도가 학술적으로 마냥 간과하기만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한인무당을 중심으로 하든지 혹은 본토인에의 한국무속 전파에서든지 문화전파는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 점을 글로벌의 관점에서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 및 기타 국에 진출해 있는 한인 무속을 대상으로 그동안의 문헌자료를 종합 정리하였고, 아울러 현장의 국제적 무속인들에게서 얻은 인터뷰 자료를 근거로 국제화 시대 한인무속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아울러 각 나라별 특수한 전승 상황, 현재의 구현 상황과 앞으로 한인무속의 글로벌시대에 직면한 전망과 과제도 살펴보았다. 전 세계의 주요 국가에 진출해 있는 한인의 무속은 광범위하게 확산이 있다. 각 국가별 정치적 경제적 혹은 문화적 조건과 상황은 한인 무속의 전승과정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특히 공산국가와 민주국가 사이에서는 현저한 전승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런 상황에서도 무속은 사라지지 않고 적정한 적응과 변화를 거치면서 오늘에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명맥을 유지 할 뿐만 아니라 개방화를 맞이하여 새로운 발돋움을 꽤하는 양상을 제 국가에서 확인하고 있다. 한인무속의 진출 정도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을 하였다. 국외정착형, 국외 원정형, 국내 방문형, 온라인형의 한인 무속 등이 그것이다. 글로벌 한인무속의 현황과 전승 및 국제화된 한인무속의 연행 형태와 아울러 그의 과제와 전망을 조심스럽게 정리하였다. 글로벌 무속을 논하는 자리에 현재 외국에서 진행되는 네오 샤마니즘과 그의 정신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었다. 네오 샤마니즘은 전통적인 무속의 방법을 빌어 현대인이 가지는 복잡한 심리적 정신적 혹은 그로 인한 육체적 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결국 글로벌 한인무속이 가지는 의의와 구별되지 않는다. 미래 한인무속의 전망은 현대인의 상담치유의 관점에서도 검토해야 한다고 보았다. 새로운 방법의 개발과 네오 샤마니즘의 연구 및 한국무속과의 조우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