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敦煌 藏經洞 佛籍 遺失과 往五天竺國傳 一考

        강수균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5 동서정신과학 Vol.8 No.1

        이 논문은 한국동서정신과학회 회원으로 구성된 불교 유적 성지순례 가운데 한 사람으로 참여하여 돈황 탐사 후에 돈황학과 1300년간 묻혀 있다가 돈황의 석굴에서 발견되어 서양 열강의 돈황 문헌 약탈 과정에서 문건이 프랑스로 이관된 후 빛을 보게 된 신라의 위대한 명승 혜초의 왕오천축국전에 대한 일고이다. 동서 문화 교류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돈황의 불교 문화에 대해 알아보고 특히 유실 과정에서 발견된 왕오천축국전이 빛을 보게 된 경위와 서구 열강의 돈황 문서의 약탈 과정을 일별해 보고 우리 한국동서정신과학회 불교성지 순례단이 거친 곳과 혜초 스님이 순례하신 곳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구하고자 하는 범위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서론, ②돈황의 지정학적 배경, ③돈황학의 탄생, ④돈황장경동 불교문서의 유실, ⑤현재의 돈황의 부교 유적 개관, ⑥혜초의 일생, ⑦한국동서정신과학회 성지 순례지와 혜초의 발자취고찰, ⑧논의 및 고찰 이다.

      • KCI등재후보

        퇴계의 경(敬)사상과 정신분석치료과정의 비교연구

        김부선 ( Bu Seon Kim ),이형미 ( Hyung Me Lee ),김연옥 ( Yeoun Ok Kim ),천성문 ( Seong Moon Cheon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0 동서정신과학 Vol.13 No.2

        본 연구는 한국 성리학의 큰 흐름의 하나인 퇴계의 경 사상을 고찰하여 한국의 토착적 상담이론으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경 사상과 정신분석치료 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첫째, 인간을 어떤 존재로 보느냐 하는 관점에서 인간관을 비교 분석하고, 둘째, 심리적인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느냐는 관점에서 마음의 구조와 작용을 비교 분석하고, 셋째, 심리적 문제해결 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경 사상이 토착적 상담이론으로서의 가능성에 시사하는 바를 찾고자 하였다. 두 이론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인간관의 관점에서 공통점은, 경 사상과 정신분석치료는 모두 개인의 인격실현(주체성 확립)을 목표로 하며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으로 환경보다는 인간의 내적 요인에 관심을 두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경 사상은 인간을 생래적으로 선한 존재라고 가정하며, 인간 본성은 태어날 때부터 불변하거나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경 사상은 이러한 성선설에 기반을 두고 천인합일하여 인격을 실현하는 것을 최고의 목표로 삼는다. 이에 비해 정신분석치료에서 인간은 생래적으로 충동적이며 본능적인 악한 존재이며, 인간의 본성은 비합리적이고 결정론적이다. 따라서 정신분석치료의 목표는 본능적 충동을 주로 다루며 인간의 핵심감정을 해소, 극복하여 인격을 실현하는 것이다. 둘째, 마음의 구조와 작용에서의 공통점은 경 사상의 심(心), 성(性), 정(情)과 정신분석 치료의 초자아, 자아, 원초아의 각각의 세 요소 가운데, 심의기능과 자아의 기능이, 본연지성의 성과 초자아가 상응하는 면이 있다. 한편 차이점은 경 사상에서는 마음의 구조를 여러 개의 요소로 나누어보지 않는데 정신분석치료에서는 마음의 구조를 작용과 성격을 달리하는 여러 개의 요소로 나누고, 이들 상호간에 혹은 그 내용물들 간에 힘들이 상호작용하는 일종의 역동적 구조물로 보았다. 퇴계의 심은 정신분석치료와는 달리 생성론적, 비결정론적이다. 이는 지속성과 안정성 있는 성격의 구조만을 나타낸다기보다 생성되는 심적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셋째, 공통점은 문제해결 과정은 초기단계부터 자기관찰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지적 접근과 정서적 접근이 상호보완적, 동시적으로 이루어진다. 차이점은 경 사상은 긍정적인 면을 확충시켜 성인(聖人)의 경지에 이르는 수양법인데 비하여 정신치료는 내담자의 부정적인 면, 즉 정신 병리를 주로 다루는 일종의 치료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토착적 상담이론으로서 경 사상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a possibility of using the theory of 敬(Gyeong), established by 退溪(Toegye), as a theory of consultation suitable for the Korean culture and sentiments. To that end, the theory of 敬(Gyeong) and psychoanalytic therapy are analyzed and compared in order to examine 1) the viewpoints of a human, 2)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mind, and 3) the processes of resolving psychological problems. As a result, the two theories have a lot in common as well as differences. Yet, the following suggests that the 敬(Gyeong) theory can be used for consultation theories. First, as regards the viewpoints of a human, both theories focus on realization of a personality (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view that the inner person, rather than environments, weighs more strongly with ideas and behaviors of a human. Second,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mind, of 心(Shim), 性(Seong), and 情(Jeong) (of the 敬 (Gyeong) theory) as well as ``super ego``, ``ego``, and ``id`` (of the theory of psychoanalytic therapy), the function of 心(Shim) corresponds to that of ``ego`` and 性(Seong) to ``super ego``. Third, with regard to the processes of resolving psychological problems, the process of ``studying - refining the mind - realizing morality - learning`` is very similar to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core emotions - interpreting /sympathizing - discerning - learning``. In addition, both theories agree that introspection should be done basically at every phase, intellectual and emotional approaches should be done together, and that training or therapy of realizing a personality cannot be done at a time but should occur gradually, over time.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e follow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significance. First, follow-up research shall focus on concrete and practical methods of consultation methods or skills using the 敬(Gyeong) theories in order to solve a problem of a person. Second, the process of solving a problem, based on the 敬(Gyeong) theory, shall be actually applied to a case of consultation in order to explore its possibility through trial and error as a consultation theory with academic system. With such efforts, the 敬(Gyeong) theory can be improved and developed into an established theory of consultation.

      • KCI등재후보

        한국판-적응행동검사(K-ABI)의 표준화 예비연구(Ⅰ) : A Preliminary Study(Ⅰ)

        안병환,윤치연,천성문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1 동서정신과학 Vol.4 No.2

        본 연구는 Brown과 Leigh가 개발한 Adaptive Behavior Inventory(ABI)의 한국판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로서, 본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정신지체학생 124명과 정상학생 82명을 대상으로 교사로 하여금 5개 하위척도(자조능력, 의사소통능력, 사회능력, 학업능력, 작업능력)에 4점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내적 일치도(Cronbach' α)를 산출하였는데, 정신지체집단에서는 .85~.93이었고, 정상집단에서는 .89~.94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검사-재검사는 정신지체집단에서 .88~.91이었고, 정상집단에서 .88~.92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1). 한편, 교사의 전문적 판단과 각 하위척도와의 준거관련타당도는 정신지체집단에서 .71~.78이었고, 정상집단에서 .72~.81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성숙도와 각 하위척도와의 피어슨 적률상관계수는 정신지체집단에서 .39~.47이었고, 정상집단에서 .38~.45로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구성타당도는 각 하위척도들간의 상호상관계수가 정신지체집단에서 .51~.75이었고, 정상집단에서 .61~.80으로 나타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 적응행동검사는 정신지체집단과 정상집단 모두의 적응행동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was preliminarily executed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ABI(Adaptive Behavior Inventory) for identifying the abilities of self-help, communication, social interaction, academic tasks, and occupation tasks.Subjects were 124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91 normal studen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tems on the Korean Version of ABI was investigated using Cronbach's α. The coefficient alpha for the subtests ranged from .85 to .93 in MR students, .89~.94 in normal students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Also,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88~.91 in MR students, .88~.92 in normal students,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In addition, criterion-reference validity coefficients for teacher's judgement and subtests ranged .70~.78 in MR students, .72~.81 in normal students and were highly correlated. In Social Maturity Scale and subtests,the Pearson product-moment coefficients of correlation ranged .38~.47 in MR students, .38~.45 in normal students and were accep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construct validity coefficients ranged .51~.75 in MR students, .63~.80 in normal students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 the scale can be used for identifyingthe abilities of social adaptation of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other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정신역동적 상담이론을 적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최경희 ( Kyung Hee Choi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1999 동서정신과학 Vol.2 No.1

        본 연구는 정신역동적 상담이론을 적용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부모의 감정적 성숙을 통한 효율적인 부모역할 수행을 적극적으로 도모한다는 전체적인 목적을 두고, 부모가 자신의 아동기 감정에서 벗어나 자녀에게 갖는 감정을 성인답게 성숙시킴으로써 문제가 되는 자동화된 무의식적 행동방식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행동방식으로 바꾸도록 도와주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크게 5가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이론적 근거의 탐색, 둘째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정, 셋째 프로그램의 구성체계(기본원리, 교육목표, 내용구성, 실행방법, 수정·보완 작업)의 구상, 넷째 프로그램의 실시(부모의 정신건강, 통찰수준), 다섯째 정신역동적인 상담이론을 적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기초과정, 심화과정)의 개발이다. 이것을 수행하고자 요구조사, 실험설계, 전문가의 조언 등과 같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첫째, 기초과정 10회기(총 30시간)와 심화과정 12회기(총 36시간)의 교육내용을 위한 이론적 근거가 되는 실제적인 내용을 프로그램의 개발원리, 부모교육에 관한 연구, 정신역동적 상담과정에서 본 연구의 프로그램과 관련된 이론적·실제적 영역을 중심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들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이다. 요구의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한 부모의 의견을 반영시켰다. 본 연구와 관련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목표설정과 내용구성 그리고 수업방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본 결과, 부모님들의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감정에 대한 조절과 통제에 관심이 매우 높았으며, 아울러 과거의 전이감정으로 인한 기존의 왜곡된 대처방식에서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대처방식으로의 전환을 요구하였으며, 수업방법은 기존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진행방법과 유사했으나 지도자의 자격이나 연령 등의 의견에서 좀 더 경험 있고 지식이 풍부한 사람을 원하였다. 기존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으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응답했으나, 대부분의 경험자의 공통적인 견해로서 무의식적 습관적인 감정과 행위의 조절 및 통제에 실패했다는 점과 후속으로 연결되는 교육이 없는 점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 실정에 맞는 시간조절 등에 대한 의견도 제시되었다. 셋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체계(기본원리, 목표설정, 내용구성 및 조직, 수정·보완 작업)에 대한 결과이다. 기본원리의 주요점은 부모-자녀 관계의 핵심은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감정적인 문제라는 것과 무의식적으로 자동화된 감정에 대한 통찰과 교정적 사후교육의 중요성이다. 목표설정에서는 과정별(기초, 심화), 회기별로 구체적 목표와 하위 목표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기초과정의 목표는 부모의 감정인식능력의 향상, 아동기 감정의 중요성 인식, 전이감정의 이해, 기존의 대처방식과 그 영향 인식, 감정수용력과 표현력 증진, 내부의 심리적인 힘의 증진, 주요 정신역동의 이해 및 탐색, 통찰과 훈습의 중요성, 자동화된 행동양식의 자각 및 사후교육, 왜곡된 방식에서 건강한 방식으로의 전환 등을 설정하였다. 심화과정에서는 자기 진단과 탐색능력 향상, 부모의 핵심역동의 자각과 통찰, 억압된 감정의 표출 및 재경험, 자유연상을 통한 부모-자녀간 전이감정 다루기, 긍정적 역동의 발견과 병리적 역동의 극복 등을 들 수 있다. 내용구성 및 조직에서는 상담과 교육장면을 적절하게 조화시켜 본 연구의 목적과 목표에 부합하는 내용으로 구성·조직되어졌다. 실행방법으로서는 집단의 크기는 8-15명으로, 공간적 요인은 소집단교실이나 집단상담실, 교육시간은 1주 1회 3시간으로 기초과정은 총 10회이며 심화과정은 총 12회 동안 이루어지며, 실시자는 정신역동적 상담수련을 내담자와 상담자로서 경험하고 본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수련을 받은 40세 전후의 기혼자가 적절하였고, 실시대상자는 바람직한 자녀양육을 위하여 부모의 성장을 원하는 누구나 가능하며, 수업방법에서는 강의, 토의, 시범 등의 전통적 수업방식과 탐색, 발견, 문제해결 기법 등의 현대적 수업방식이 적절하다고 보았다. 수정·보완 작업은 기초과정 4차례, 심화과정 2차례의 예비실시를 가지면서 전문가들의 평가와 자문, 그리고 프로그램 실시 후 참가자들의 조언 등을 종합하여 수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것을 크게 3차례의 작업으로 정리하였다. 넷째, 개발되어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실시 결과이다. 부모의 정신건강의 효과에서는, 실험·통제집단 간에는 p<.05 수준에서, 시기별의 변화에서는 p<.01 수준에서, 실험·통제집단과 시기간의 상호작용에서는 p<.001수준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교육진행에 따른 부모의 통찰수준의 변화에서는 통찰 0수준에서 4수준의 분류 가운데 낮은 수준이었던 수준은 교육회기가 경과할수록 그 빈도수가 줄었으며, 높은 통찰에 해당하는4수준은 교육회기가 진행될수록 그 빈도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평균 통찰수준으로 살펴 본 통찰의 전환시기는 전이감정에 대한 이해를 통한 자각과 수용의 시기에 해당하는 2수준부터 나타나는데 이는 기초과정 IV구획과 심화과정 II 구획에서 나타나고 있다. 통찰수준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한 8개월 정도 후의 추후면담 결과는 심화과정의 III IV V 구획에서의 수과 유사한 정도 즉 2수준 4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다섯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결과이다. 기초과정과 심화과정 프로그램은 각 회기당 학습목표, 도입과정, 강의, 시범 및활동, 마무리과정으로 구분하여 그 개략적인 내용과 세부적인 내용을 구분하여 부록에 제시되었다.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지금까지 상담장면에서 활용하여 왔던 정신역동적이론을 부모교육 장면에 이용하였다는 점과 심리학의 기초적인 뿌리를 제공한 정신분석적 전통의 상담을 활용하여 국내에서 직접 제작되었다는 점 등의 의의를 가지고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ystematic program that is to perform an effective role based on the emotional maturation of parents through a new program which applies the psychodynamic counseling theory.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parents education program which can help (1)to change the automatic & unconscious behavior pattern into a rational & objective counter-plan, (2)to separate a parent`s realistic behavior from their own childhood emotional pattern, (3)to have `good-enough-feeling` about their children. Research content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xploration of a theoretical basis of develop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which applies psychodynamic counseling theory. (2) The needs assessment on parents education program (3) The system of the program consists of the following concepts (basic principle, instruction goals, content constitution, implementation method, correction & complement work) (4)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mental health of parents & insight-level)? (5) Development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which applies psychodynamic counseling theory The research methods solving the above five questions were as follows. We distributed the needs assessment questionnaire for parents education program to 102 people(father 22.3%, mother 77.7%) on May-June 1996. We used technical statistic methods such as frequency, average, standard variation for the result disposition. We chose, at random, 15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design program performed on May-November 1998. The symptom checklist-90 revision was used with the two-way ANOVA mixed design method. The insight level classification was used with the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Duncan-test and the simple relation analysis as the method for the result disposition of the experimental design. The insight-level classification was used for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counseling psychologists. For researching the theoretical basis related to the other program development except the above one and the psychodynamic counseling theory, we referred to the documents. For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we referred to the training experience, the case study, and the questions of the experts. The results through research methods like the needs assessment, the experimental design etc. were as follows: First, the exist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lacks of a focus on exploring the children-dynamics of parents. Therefore, the psycho-dynamic counseling theory, one of the counseling & psychotherapy theory was applied. Then it was demanded to develop on parents education program to transfer the unconsciously repeated and distorted patterns to the realistic and healthy on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fter analyzing the emotional pattern and object-relationship during their childhood (0-6 age). Second, this study sets up the suitable stages such as synthesizing the repeated constituent parts regarding to the common and essential stages from the instruction system models and the curriculum design models for appling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psychodynamic approach based on the psychoanalysis theory. The constituent stages of program are as follows: needs assessment (psychological needs and domestic needs) - write performance objectives (concrete goal and subordinate goal ) - content constitution and organization - conduct performance method (size of the group, place, time, leader, group-members and instructional method) - correction & complement work through design and conduct of the formative evaluation(expertise oriented evaluation, participator oriented evaluation) - correction work from purpose statement to each stages - summative evaluation design and conduct(object oriented evaluation, participator oriented evaluation). Third, the curriculum of program consists of not only the fundamental course for 30 hours to analyze, explore, insight

      • KCI등재후보

        圍繞精神與信仰等槪念的交流

        장진봉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4 동서정신과학 Vol.17 No.1

        ‘정신’은 ‘신체’와 마찬가지로 일종의 객관적인 구조물이다. 그 방향은 한결같이 ‘합리성/ 합리화’를 추구하는데, 정신에 있어서 ‘총체적 위기설’은 존재하지 않는다. ‘위기’란 것은 ‘종교의식/ 사유/ 입장’의 설법으로서, 종교사유의 ‘우환(憂患)의식’으로 구체화 된다. 고전적인 ‘성숙 철학’(mature philosophy)은 역사 형태로서 이미 현대성에 연루되어 왔는데, 고대인의 성숙한 철학 지혜는 현대인의 ‘현대 정신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논리성이 부족한 고전적인 ‘미성숙 철학’(immature philosophy)은 영감을 줄 수는 있지만 현대 정신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효한 도구’를 제공하지 못한다. ‘현대 정신문제’는 반드시 현대인의 철학과 정신발전 및 철학과 정신창조를 통해서 해결해야 한다. 인간은 ‘정신 지식’과 ‘정신 행동’ 사이에서 나누어진 존재이다. ‘신앙’은 ‘정신행동의 여러 방식’ 중에 하나이며, 일종의 ‘좁은 의미의 정신행동’이다. 신앙은 또한 가장 높은 ‘철학 지혜’일 수 없으며, 그것에 비해 더욱 높은 ‘그 순간의 지혜, 그 순간의 사유, 그 순간의 정신’이다. 정신의 관점에서 볼 때, 세계는 ‘나+나의 세계’이고, ‘목적체+내적 수단+다양한 목표’이다. ‘내가 보는 것’에 의거하면, ‘존재’의 논리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목적의 논리’와 ‘수단의 논리’이다. 목적의 논리는 ‘유일, 통일’을 강조하고, 수단의 논리는 ‘선택, 분열, 적용과 효율의 기회 잡기’를 강조한다. 우리들이 ‘정신 위기’에 대해 논의할 때 그렇다면 과연 ‘누가 정신 위기를 가지고 있는가?’ 즉 우리들이 토론하는 것은 ‘누구’의 정신 위기인가 하는 문제이다. 원칙적으로 말하여 나의 바깥에 있는 존재는 ‘나의 정신위기’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 어떤 권리, 어떤 자격, 어떤 의미도 갖지 못한다. ‘생명 존재의 자족성, 즉 신체 자족성과 정신 자족성’으로부터 말해보면 어떠한 개인이라 하더라도 총체적인 ‘정신 위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성상 ‘정신위기’는 ‘공공의 말, 공공의 논리’이지, ‘나의 말, 나의 논리’가 아니다. ‘수단의 논리’의 본질은 ‘선택, 분열 및 기회 잡기’이다. 정신적으로 ‘선택 안하고, 분열 안하고, 기회 잡지 않는’ 사람은 ‘정신이 순수한’ 사람이며 다른 한 면에서는 ‘바보’이다. 이러한 사람은 ‘공공적인 환경’ 속에서 생존할 수 없다. 정신 분열은 정상적이며 개인으로서 ‘나’의 정신 위기를 초래하지 않으며, 도리어 나의 생명존재와 정신존재의 세계를 잘 유지시킨다. 본성상 ‘정신위기’는 ‘공공’(公共)이란 형이상학적 ‘가상 주체’가 ‘각종 개체성’의 ‘정신분열 방식의 정신수단의 발전’에 대해 ‘두려움’을 표출해낸것이다. ‘나’(개인)의 정신세계의 성장은 정신 분열 중에서 성장된다. 그러므로 분열이 끝나면 정신 또한 곧바로 죽게 된다. 개인도 그러하고 인류 전체도 그러하다. 인간의 사회 단체생활, 문화발전, 제도발전은 모두 다 정신의 분열과 다양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분열, 다원, 차이, 공생과 공멸이 있기 때문에 인간의 단체생활에도 ‘정신 생태, 인격 생태, 사회 생태, 민족 생태와 제도생태’ 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인간 구성원들이 절대 평등한 생활을 할 수가 없다. 일부 약세 구성원들 또한 ‘평등한 생활’을 원하지 않다(소극적 인권). 문화 수준의 향상에 따라 정신분열은 정신세계를 풍부하게 한다. ‘위기’는 ‘새로운 문화 수준이 아직 이루어지기 전에’ 표출되는 일부적, 잠시적,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현상에 불과하다. ‘물질적인 재부(財富)의 체계’는 ‘정신구조의 체계’를 지원한다. 즉 ‘물질적인 재부(財富)의 위기’가 없다면 ‘정신 위기’도 있을 수 없다. 인류에 대해 말해보면, 정신이론 형태의 ‘정신 측면’의 것들, 예를 들면 과학, 종교, 철학이란 것은 통일할 수가 없는 것들이다. 그렇지만 실천으로서의 정치제도는 통일할 수 있다. 도덕은 총체적으로 통일할 수 없지만, 법률은 총체적으로는 통일할 수 있다. 전 인류의 정치제도에 있어서 돌파적인 진전이 필요하다. 일종의 진보적인 정치제도는 절대적인 일원성(一元性)과 평등함을 추구하는 제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정신 생태, 인격 생태, 사회 생태 및 민족생태’를 존중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정치제도는 ‘강제적인 역량’으로 보증하겠지만 그 ‘강제적인 역량’은 정신적 개념을 기초로 한다. 전 인류의 일정한 자아동일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우주적 가치’도 필요하지만, ‘우주적 가치’라 하여 ‘다른 일체의 가치를 제거’하면 안된다. 인류의 정신위기는 곧 ‘정신적인 자아동일성, 즉 우주적인 가치’가 형성한 문명성, 간난성(艱難性), 반복성이다. 이것은 제거할 것이 아니라 반드시 필요한 하나의 과정이다. 생리학의 입장에서 본 ‘신체’는 하나의 ‘안정적인 대상’이어서, ‘과학적인 방식’으로 이해하기쉽다. 그리고 심리학이 바라 본 ‘마음과 정신’은 ‘무한히 깊이 들어가고 풍부하며 정신이 자유로운 대상’이다. 순수한 심리학 전문 훈련은 20살 이하 사람들의 심리를 분석하는 작업에서만 가능하다. 어떤 사람이 고도의 철학적 소양(인식 사유, 정신생활 방식)을 갖추고서 ‘철학자’가 되었다면, 심리학은 그 사람에 대해 더 이상 어떤 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 “精神”同“身體”壹洋,是壹種客觀建構,其方向壹直是“合理性/合理化”方向,不存在“整體危機”之說。“危機”壹詞是“宗敎意義/思維/立場”的說法。是宗敎思維“憂患意識”的體現。古典的“成熟哲學”作爲歷史形態,已被現代性所“涵納”,古代人成熟的哲學智慧根本上解抉不了現代人的“現代精神問題”;古典的“不成熟哲學”,缺乏邏輯性力度,只可作爲“啓發”,而不能作爲解抉現代精神問題的“有效工具”。“現代精神問題”,必須通過現代人的哲學與精神發展、哲學與精神創造來解抉。人是“精神之知”與“精神之行”“分裂”的動物。“信仰”只是“精神之行諸方式”中的壹種,壹種“狹義的精神之行”。“信仰”幷不是最高的“哲學智慧”,比他更高的是“當下智慧、當下思維、當下精神”。從精神立場看,世界是“我+我的世界”,是“目的體+內蘊手段+多洋性物件”。依“我看”,“存在”的邏輯只有兩種:目的的邏輯、手段的邏輯。目的的邏輯强調“唯壹、統壹”,手段的邏輯强調“選擇、分裂、這用與效率的擇機”。當我們在討論“精神危機”的時候,“誰存在精神危機”?我們討論的是“誰”的精神危機?原則上說,外在於“我”的“他者”無權利、無資格、無意義討論“我的精神危機”。從“生命存在自足性--身體自足性、精神自足性”來說,任何個體都整體上不存在“精神危機”。“精神危機”在性質上是“公共話語、公共邏輯”,而非“我話語、我邏輯”。“手段邏輯”的本質是“選擇、分裂、擇機”,壹個在精神上“不選擇、不分裂、不擇機”的“精神純粹”的人,是“사瓜”,這洋的人在“公共環境”中不能“生存”。精神分裂是正常的,幷不導致個體“我”自身的精神危機,他相反保全了我的生命存在與精神存在世界。“精神危機”在性質上是“公共”這壹形而上學的“虛擬主體”對“各種個體性”的“精神分裂式的精神手段的發展”所表現出來的“恐懼之心”。“我”(個體)的精神世界成長,是在精神分裂中成長,“分裂”終止,精神就當下整體死亡。對個體如此,對人類整體也如此。人類的社會群體生活,文化發展、制度發展,都是精神在分裂及多洋。因爲分裂、多元、差異、共生共抑,人類群體生活中也存在著“精神生態、人格生態、社會生態、民族生態、制度生態”等等。人類成員之間不會過上絶對平等的生活,壹部分弱勢成員也不願過“平等”的生活(消極人權)。文明水準的提升,是精神分裂把精神世界富的結果。“危機”只不過是“新的文明水準尙未成型之前”所表現出的局部的、暫時的、未被整合的現象。“物質材富系統”支援著“精神結構系統”。如果沒有“物質材富危機”,那요便不會有“精神危機”。對人類來說,精神理論形態的“精神層面”的東西,如科學、宗敎、哲學是不可以統壹的;但作爲實踐的政治制度是可以統壹的。道德整體上是不可以統壹的,但法律整體上是可以統壹的。壹種全人類的政治制度需要有突破性的進展。壹種進步的政治制度,不壹定是講求絶對壹元、平等的政治制度,而是尊重“精神生態、人格生態、社會生態、民族生態”的制度。政治制度必然以“强制力量”作保障,而“强制力量”又以精神觀念之下的意誌爲基礎。全人類壹定的精神認同是必須的。“普世價値”是必須的,但“普世價値”不能“消除其他壹切價値”。人類的精神危機是“精神認同--普世價値”建立的文明性、艱難性、反復性,這是壹個必要的過程,而不是要消除的東西。生理學所面對的“身體”是壹個“穩定的物件”,比較容易由“科學方式”來把握。心理學所面對的“心靈、精神”是壹個“無限深入、풍富的、精神自由的物件”。單純的心理學專業訓練,只能做20歲以下人的心理解析工作。當壹個人具有了高度的哲學素養(認識思維、精神生活方式)成爲“哲學人”之後,心理學便無能爲力了。

      • KCI등재후보

        화이트헤드 유기체 철학과 선

        枯木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0 동서정신과학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이 불교와 가지는 관련성과 화이트헤드 철학이 내포하고 있는 선사상적 요소들을 찾고자 하였다. 화이트헤드는 신에게 양극성, 즉 정신적 극과 물리적 극이라는 이중성을 설정함으로써 신을 보편성과 개별성 혹은 초현실적 세계와 현실적 세계 사이의 대립을 지혜롭게 통일시키는 개념적 지렛대로 삼는다. 화이트헤드는 끝없는 주체적 지향을 통하여 스스로 완성될 수 있는 가능성이 인간에게 잠재해 있음을 발견하고 바로 모든 인간에게 불성을 인정하며 모든 인간에게 붓다의 잠재성을 부여한 불교의 입장과 궤를 같이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중립성을 근거로 하여 화이트헤드의 신과 선자 사이의 연대성을 발견할 수 있다. 중립성은 영원성과 시간성 어디에도 구속되지 않고 이 둘 사이의 모든 대립을 넘어서는 자유로운 활동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진정한 유기체 철학의 완성은 유기체적인 일체화된 관계성 속에서 주체성을 발휘하는 것이며, 화이트헤드도 그것을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research paper illuminated the Buddhism and Seon(Dhya ̄na)'s relevance with Whitehead's Philosophy of organism. Whitehead is the conceptual tool to be united in one the collision between universalism and indivisualism by making duplication of the mental and physical poles. Whitehead has the same stand point with Buddism that human has the possibility that be completed by oneself. And We can find the joint between Whitehead and Seon on the basis of Neutrality. Neutrality is the freedom of action beyond all standing face to face between Eternity and Instant.

      • KCI등재후보

        씻김굿의 분석심리학적 접근

        오수성 한국동서정신과학회 1998 동서정신과학 Vol.1 No.1

        본 연구는 진도에서 행하고 있는 씻김굿의 진행 절차와 구조를 알아보고 분석심리학적 측면에서 논하고자 하였다. 씻김굿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종교적이며 상징적인 방법으로 씻겨줌으로써 저승으로 천도할 수 있도록 하는 무속적 제의이다. 씻김굿은 그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13거리로 되어있다. 전반부 6거리는 가택신, 조상신, 잡귀에 대한 청신과 오신의 기능을 수행한다. 중반부의 6거리는 망자의 맺힌 원과 한을 풀어주고 이승의 인연을 씻겨주고 편안하게 저승으로 천도하게 하는 과정이며, 씻김굿에서 핵심에 해당된다. 마지막 거리는 초대된 모든 귀신을 보내는 송신의 기능을 수행한다. 씻김굿을 통해 망자의 천도를 통해 생자에게 편안함을 주는 과정은 심리치료의 과정과 유사하다. 씻김굿의 여러 현상속에 인류 공통의 집단무의식의 내용인 원형이 있을 뿐 아니라 인간의 무의식을 순화시켜 나가는 원형의 상징적 해결 양상이 있다. 저승이란 우리가 알고 있는 현실밖에 있는 세계이다. 분석 심리학적 입장에서 보면 저승은 의식 너머의 정신 세계, 즉 무의식적 세계이며 귀령이란 이 무의식의 세계에 존재하고 있는 각종 심적 요소들이라고 할 수있다. 이러한 심적 요소는 강한 감정을 가진 응어리들이며 무당은 바로 무의식이란 이러한 응어리들을 의식에 불러옴으로써 잊혀지고 단절된 의식 너머의 세계를 의식과 합치고자 한다. 씻김굿에서 고풀이는 이승의 원과 한을 푸는 것이며 원과 한을 풀어줌으로써 원귀가 되는 것을 막아주고 저승에 편히 천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죽음의 과정에서 씻김은 정화력을 가질 뿐 아니라 거듭남이라는 인격전환의 기제로 나타난다. 씻김굿은 삶과 죽음을 대응적 상관관계로 보았고, 원시종교적 사고에서 나타나는 원형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willing to search the structure and the process of Sittgim-Gut which is performed in Jin-Do, especially in analitic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Sittgim-Gut is a kind of shamanism ritual which makes the spirit lead to the world easily. Generally this Gut is performed for the people who died with the grudge or rancor(Han) and they can't go to the other world so is wandering about this world. This purpose of this Gut is to solve the Han and clear theri relation and comfort their spirit. Throught this process their relatives who live here, in this world also get the comfort and this process of psychotherapy. The archetype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is found in several aspects of the Sittigim-Gut. In analytical psychological view, the other world is out of this world, that the unconscious world and the wandering spirits is pychological complex which is composed by the ill strong feeling in unconsciousness. In this Gut a shaman calls this ill feeling in the conscousness and units the conscousness and the unconscousness.

      • KCI등재후보

        노자와 화이트헤드의 자연관에 대한 연구시론

        이태호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3 동서정신과학 Vol.6 No.2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해서, 자연에 대한 근대적 관심, 즉 실체론에서 나온 기계론적 관점은 인간이 자연보다 우위에 있다고 주장해 왔다. 그래서 그 관점은 자연의 파괴를 가져왔다. 그러므로 그것은 그러한 관계에서는 존재 자체를 불가능하게 한다. 한편 화이트해드의 유기체 철학에서 나온 자연에 대한 유기체주의적 관점은 자연과 인간 상호간의 관계가 등가적이라고 지적한다. 그래서 그것은 자연이 파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그 관점은 그러한 관계에서는 존재를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노자의 자연관은 자연이 인간보다 우위에 있음을 말한다. 그래서 그의 자연은 정신성과 주체성을 갖고 있으며, 모든 것의 근원이며, 동시에 가장 높은 마스터이기도 하다. 이리하여 화이트헤드와 노자 둘 다에게서 자연의 위치는 인간보다 낮지 않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첫째, 화이트헤드와 노자 그들의 견해들은 근대적 견해와는 반대로 자연의 위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며, 자연에 대한 우리의 관점을 변화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변화를 겪은 관점은 우리로 하여금 자연을 멋대로 다루지 않게 할 것이다. 셋째, 그 관점은 자연에 대한 존경심을 불러일으키게 하고, 자연과의 공존에서 오는 삶의 새로운 태도를 갖게 할 것이다. For the rela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 a modern viewpoint of nature, that is to say, a viewpoint of mechanism of nature issued from substantialism has represented that human is prevalent over nature. And so it produced the destruction of nature. It makes therefore, being itself impossible in such a relation. On the other hand, a viewpoint of organism of nature issued from Whitehead's organic philosophy indicates that the rela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 are equivalent each other. And so it can prevent nature from being destroyed. It makes therefore, being itself possible in such a relation. Lastly, a viewpoint of Lao Tzu's nature says that nature is prevalent over human. And so his nature having its mentality and its subjectivity means the source of everything and at that time, the highest master. Thus, in both Whitehead and Lao Tzu, it is evident that the position of nature is not inferior to human. This paper can come to conclusion that first, Whitehead and Lao Tzu, their viewpoints contrary to the modern viewpoint, will contribute to elevating its position and to changing our point of viewpoint of nature, second, the point of viewpoint undergone a change will have us not to deal with nature at random, and third, it will have us to arouse respects for nature and to get a new attitude of life in coexisting with it.

      • KCI등재후보

        Synchronicity 현대 음악명상의 이론적 고찰

        이정은 ( Joeng Aun Lee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0 동서정신과학 Vol.13 No.2

        본 연구는 첫째, 신크로니스티 음악명상의 패러다임과 구조를 밝히고, Synchronicity 현대 음악명상을 통한 변화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방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를 상담과 심리치료 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신크로니스티 음악명상의 패러다임에서는 전체론적인 우주적 동시성으로서의 실재인 우리 존재는 궁극적 실재인 ``하나의 의식``의 다차원적인 표현이라고 하였다. 상담과 심리 치료의 관점에서 신크로니스티의 패러다임은 상담의 영역이 마음과 정신의 차원을 넘어서 궁극의 실재와의 통합을 위한 조력 활동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초월 상담적 관점과 일치한다. 이러한 이론적 틀과 실천적인 방법들은 상담과 심리치료의 영역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확대시키고 나아가 상담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음악명상의 구조탐색에서는 소리와 음악에 대한 창조적 근원으로서의 광의적 개념을 바탕으로 인체는 이러한 신크로니스티 리듬과 공명하는 개체로 인식한다. 셋째, 신크로니스티 음악명상은 뇌의 주파수 대역들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하며, 양반구의 동시성을 증가시킨다. 이 결과로 정화와 통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패러다임은 음악명상의 방법과 생활방식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인들이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 패러다임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틀과 실천적인 방법들은 상담과 심리치료의 영역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확대시키고 나아가 상담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aradigm and structure of synchronicity music meditation and present opportunities for applying the effect to counseling. It theoretically examines the principles of change of synchronicity paradigm and verifies the effect through experiments. The research topics of this study are what are the paradigm, structure and principles of change of synchronicity music meditation. In conclusion,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ynchronicity music medita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in waves and psychological changes. In particular, in a counseling setting, it can play the role of an aide in helpig clients solve their problems by themselves by recovering the client`s self-perception ability and facilitating self-understanding. Second, synchronicity music meditation can be used as a tool for brain waves and psychological changes and for general public health. Alpha music mediation can be used for physical or psychological relaxation and stress relief. Theta music meditation can be used for psychological changes by facilitating images and making people re-experience unconscious emotions. Third. synchronicity music meditation shows the potential for be use as a way of transcendental health counseling in terms of the whole person at a higher level. Fourth. for the methods of using synchronicity music in a counseling setting. 1) it is desirable to check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te and brain waves and before conducting music meditation; 2) music meditation alone can be given to individuals and groups in a non-linguistic way. It can be more efficient when connected with counseling methods; 3) it can be used as a tool for counselor`s own spiritual growth and change. Fifth. as shown in the experimental results. music and meditation using music have a variety of patterns of change. Thus. future studies are needed on the effect of music and music medita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