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정책 현황 및 개선과제에 대한 고찰

        심정미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2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n Korean society, which has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suggest improvement tasks through policy problems. To achieve this goal, first,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n Korea were examined. Next, the main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and related laws and systems are summarized. In addition, we looked into multicultural policies abroad.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the issue of improvement measures was considered, and improvement tasks for each issue were presented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n Ko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policies, which are increasing due to the influx of various foreigners such as marriage migrant women, migrant workers, and mid-immigrant youth.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족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정책의 문제를 통한 개선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먼저,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정책과 관련된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족정책의 주요 내용과 이와 관련된 관련 법이나 제도를 정리하고, 해외의 다문화정책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족정책의 현황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에 대한 쟁점을 고찰하였고,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정책의 발전을 위한 쟁점별 개선과제를 제시하면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이주노동자, 중도입국청소년 등 다양한 외국인이 유입되면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의 다문화정책에 대한 정책적 제언과 실천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베이비부머의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김현정(Hyun-Jung, Kim),유두련(Doo-Ryon, You)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0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baby boomers in aging multiculturalism.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mpathy is mediating role in baby boomer s self-esteem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 the analysis, a total of 29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baby boomers living in Daegu. As a result, first, self-respect, empathy ability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baby boomers.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educational attainment, economic level, overseas travel status, immigrant contact status, Media exposure status, Group self-esteem,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are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rd, the baby boomer s empathy is shown to b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pect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effect of baby boomer s self-esteem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the basic data for the desirable adaptation to the aging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ntegration of our society by identifying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baby boomer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다문화사회에서 베이비부머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자아존중감, 공감능력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을 살펴보고, 베이비부머의 자아존중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능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데 있다. 분석을 위한 조사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총 290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고,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존중감, 공감능력은 베이비부머의 다문화 수용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학력, 경제수준, 해외영행 유무, 이주민 접촉유무, 미디어 노출유무, 집단자아존중감, 인지적공감능력, 정서적공감능력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비부머의 공감능력은 개인 및 집단자아존중감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이비부머의 고령다문화 사회의 적응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다문화사회에 대한 새로운 공감대 형성과 폭넓은 수용 및 공존을 통해 사회통합에 기여함에 있어서도 시사 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및 다문화수용성이 성취동기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혜영(Hye-Young, Kim)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0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성취동기 및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 및 다문화수용성이 성취동기 및 학업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다문화청소년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성취동기 및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중문화태도 및 다문화수용성은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문화수용태도 및 다문화수용성이 성취동기와 학업적응에 미치는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지원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s of self-esteem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and finds the effects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academic adaptation.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ulticultural youth suppor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of multicultural youth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and biculture attitud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of multicultural youth.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attitude,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 academic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to support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 과정」에 기초한 유아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김주희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eachers' needs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Based on the infant and play-oriented Nuri cour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how multicultural education is implemented in the field and whether it shows differentiated results from before the revision were investigated, and teachers' requirements for organically linking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vised Nuri course's "childhood and play-oriented" guidelines partially improved the perform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trengthened the educational enthusia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verall, early childhood teachers acknowledged the usefulness and justification of the revised Nuri course guidelines, but suggested that in order to establish more efficient and interesting multicultural education for infants, abundant educational resources (video, play content, experiential learning, etc.) must be used, program development, and teacher guidelines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it additionally demanded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es or programs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ulticultural games, and the promotion of teacher training opportunities. 본 연구는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유아 다문화 교육의 인식 및 실태와 「2019 개정 누리 과정」에 기초한 유아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도를 실질적, 세부적으로 조사·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아·놀이 중심의 누리 과정을 준거로 삼아 유아 다문화 교육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 개정 이전과 차별화된 성과가 나타나는지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개정 누리 과정의 지침과 다문화 교육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함께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정 누리 과정의 ‘유아·놀이 중심’ 지침은 다문화 교육의 성과를 부분적으로 향상시키고 유아교사들의 교육적 열의를 강화하는 데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유아교사들은 개정 누리 과정 지침의 유용성, 당위성 등은 인정하지만, 그 같은 지침과 유아 다문화 교육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다문화 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풍부한 교육적 자원(동영상, 놀이 콘텐츠, 체험 학습 등) 활용, 프로그램 개발, 교사 지침서 제공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지역 사회와 연계한 다문화 교육 수업 또는 프로그램 구성, 다문화 놀이의 개발·보급, 교사 연수 기회 증진 등을 추가적으로 요구하였다.

      • KCI등재

        한국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방향 고찰

        모아라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oblems in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by mak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improving perception of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citizens living in the S city,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 shift in perception from stereotypes and prejudices. Second, there was the mass media which conveying correct contents about multiculturalism. Third, there was an expectation of effectiveness through education. Fourth, there was a paradigm shift in policy. Fifth, there was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e that embraces divers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need for more proactive community interest and participation, a systematic administrativ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support organization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and provided the suggestion that the entire society should make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of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and may contribute to its settlement.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방향에 대하여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한국 다문화 사회에 나타난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살고 있는 시민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정관념 및 편견으로부터의 인식전환, 둘째, 대중매체에서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내용 전달, 셋째, 교육을 통한 효과 기대, 넷째, 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다섯째, 다양성을 포용하는 문화 정착으로 나타났다.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보다 선도적이고 적극적인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 국가·지자체 및 관련 지원기관 등의 체계적인 행정관리 시스템이 필요함을 파악하였으며,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전환을 위해 사회 전체의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방향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부모지지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국가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희봉,주은선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national identity and self-esteem betwee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support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 among youths from multicultural fami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9th year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from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cases are 1,075 which are high school third-year stude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f the parental support is stronger,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of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nily becomes higher. Second, if the parental support is stronger,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y becomes higher. Third, if the parental support is stronger, self-esteem of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y becomes higher. Fourth, there are parallel and double mediating effects of national identity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parental support has positive effects on national identity and self-esteem of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as a result, they strengthen achievement motivation. 본 연구는 부모지지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국가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다문화청소년패널 9차년도 자료이며, 분석 대상은 고등학교 3학년 학생 1,075명이다. 본고에서는 Process Macro Model 4번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국가정체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지지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국가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은 병렬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 다문화가족에서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국가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은 높아지고, 이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높이게 된다.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건강과 사회적 관계에 관한 종단적 연구: 건강 발달궤적과 사회적 관계 발달궤적을 중심으로

        권미영(Mi-young Kwon),박보영(Bo-young Park)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건강과 사회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우울뿐 아니라 주관적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까지 포괄하여 건강의 구성요인을 확장하였다. 그리고 종단적 분석을 위하여 건강 변화율과 사회적 관계 변화율을 파악하였고, 나아가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청소년들은 비(非)다문화청소년들과 달리 분절적 동화의 영향으로 학년이 올라가도 건강이 나빠지지 않았고, 중학생 때의 사회적 관계가 이후의 사회적 관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건강상태가 좋은 다문화청소년들은 사회적 관계가 좋았고, 사회적 관계가 좋은 다문화청소년들은 건강이 지속적으로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학생 때 사회적 관계가 취약했던 다문화청소년들은 처음엔 건강도 좋지 못했으나, 학년이 올라가면서 건강이 빠르게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사회적 관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관심과 지지를 받으면, 건강상태 역시 빠르게 좋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런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특히, 양질의 사회적 관계가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다문화청소년들의 사회적 관계 지원프로그램을 중학교 저학년 때부터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study is a longitudinal analysi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s. Unlike preexisting studies, this study expanded the components of health to include not only depression but also self-rated health and self-esteem. And, for longitudinal analysis, the rates of change in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was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multicultural adolescents, unlike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did not deteriorate in health even as they grew older due to the influence of ‘Segmented assimil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in middle school had continued to affect later social relationships.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good health had good social relationships,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good social relationships tended to continuously improve their health. On the other h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had poor social relationships in middle school had poor health at first, but their health tended to improve rapidly as they went up in grade. It shows that if adolescents receive a lot of attention and suppor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ocial relationships, their health could also improve rapid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In particular,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high-quality social relationships have a positive effect on health, this study argued that ‘social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should be provided from the lower grades of middle school.

      • KCI등재

        다문화교육정책의 시기별 변화양상 분석 (2013년 ~ 2022년 교육부와 경상북도 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을 중심으로)

        조수경(Sukyung Cho),홍상욱(Sangook Hong)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2

        교육부와 경상북도 교육청의 대상별 정책 대상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맞춤형 다문화 교육 실현’, ‘학부모 다문화 교육활동 참여 확대’,‘교원의 다문화 역량 강화’로 그 특징을 요약할 수 있으며, 교육부의 다문화교육 지원계획과 유사한 방향으로 경상북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이 추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특징을 바탕으로 대상별 관련정책의 문제점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다문화 학생과 일반학생을 구분하여 정책을 추진한다는 것이 다문화의 개념을 우리나라를 제외한 문화적 특정 국가의 문화를 축소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으며,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수에 비해 학부모와 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수는 교육부와 경상북도 교육청 모두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교육부와 경상북도 교육청의 다문화 교육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다양한 문제점이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우리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정책을 수립하고, 다문화 가정 학부모와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교육정책을 제시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licy target change process by targe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its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as "realization of customized multicultural education," "expansion of parents'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teachers' capabiliti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s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lan and the Gyeongsangbuk-do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olicy were similar.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the problems of related policies for each target are as follow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shrinks the culture of specific cultural countries except Korea when policies are promoted separately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the ca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the number of policies for parents and teacher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number of polic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As such,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the promo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that reflect the specificity of our region and present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parents and teac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 유형에 따른 여가문화활동 및 사회적 역량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은의,박미현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3

        This study divides multicultural youth into three types: domestic-born youth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immigrant youth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and youth from foreign family, examin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leisure & culture activities,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depending on the type, and determines whether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each type are related to self-esteem.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impact. For this purpose, the first data from the second period of the Youth Policy Institute'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was used, and 1,834 multicultural youth were analyz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evaluation, household average monthly income, regional size, leisure & culture activities, and self-esteem depending on the type of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variables affecting self-esteem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cultural youth. Health evaluation, leisure & culture activities, and social compet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ll families, health evaluation, household average monthly income, leisure & culture activities,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case of domestic-born youth, and health evalua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case of immigrant youth and foreign families youth.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presented academic suggestions for research by type targeting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lso proposed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self-esteem by promoting leisure & culture activities and social competencies of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을 국내출생 청소년, 중도입국 청소년, 외국인가정 청소년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여가문화활동, 사회적 역량, 자존감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며, 이들 유형별로 독립변인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2기 제1차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다문화청소년 1,834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평가, 가구 월평균소득, 지역규모, 여가문화활동, 자존감이 다문화청소년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문화청소년 유형에 따라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전체 가정의 경우 건강평가, 여가문화활동, 사회적 역량이, 국내출생 청소년의 경우, 건강평가, 가구 월평균소득, 여가문화활동, 사회적 역량이, 중도입국 청소년과 외국인가정 청소년의 경우 건강평가, 사회적 역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유형별 연구에 대한 학술적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다문화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과 사회적 역량을 증진하여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해체와 다문화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 경험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장순미,한정우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4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6 No.1

        다문화가정의 증가는 동시에 이혼과 사별, 가출 등으로 인한 해체 다문화가정의 증가를 초래하였고 특히 농촌의 확대 다문화가정의 해체는 조모의 손자녀 전담 양육의 현상을 낳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 조손가정 조모의 양육 경험을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탐구한 것이다. ‘다문화 조손가정 조모의 손자녀 양육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핵심범주는 ‘양육부담감 끌어안고 노년기 양육 경험의 의미를 찾아가기’로 상정되었다. 개방코딩은 169개의 개념과 19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축코딩에서 중심현상은 ‘쟁취한 양육부담감’으로, 인과적 조건은 ‘다문화가정의 해체’로 맥락적 조건은 ‘고착된 모성 본능’, 중재적 조건은 협력적 양육 체계’였으며 작용/상호작용은‘현실 양육의 희로애락’,‘할머니식 양육 방책’이 도출되었다. 결과는 ‘존재 가치가 된 양육의 삶’으로 구성하였다. 다문화 조손가정 조모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하여 다문화가정의 해체에 따른 조모의 양육 경험에서 오는 양육부담감을 이해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has simultaneously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broken up due to divorce, bereavement, runaway, etc. The expans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has led to the phenomenon of grandmothers taking full responsibility for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his study explored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grand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grounded theory. The core category was ‘Embracing the burden of raising children and finding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raising children in old age.’In axial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was 'acquired burden of parenting', the causal condition was 'dissolution of multicultural family',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entrenched maternal instinct', the mediating condition was 'cooperative parenting system', and the action/interaction were ‘the joys and sorrows of parenting’ and ‘grandmother-style parenting strategies’. The result was ‘a life of nurturing that has become a value of existence.’ Upon the understanding the grandmothers’childcare experience through their vivid voices, social welfare support measure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