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설계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6학년 도덕과 ‘편견’ 단원의 설계

        오승민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4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2 No.2

        최근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방안에 대하여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는 내러티브라는 인간의 인식론적 도구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 평가의 일련의 과정을 정렬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한 단원의 설계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쉽게 설계하여 교사와 학생들의 배움을 촉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장에서는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적 측면을 다루었으며, 3장에서는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과 원리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설계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마지막에는 설계안을 시각화 하는 템플릿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내러티브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의 하나의 안으로 활용하는 것은 현재의 지식전달중심의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sign for narrative curriculum. In this study, I designed the curriculum using narrative, a subject of current active research. Narrative curriculum refers to the structure in which students' education opportunity can be organized constructively and analytically utilizing narrative, so that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can be continually reconstructed. Narrative itself means a curriculum. In the study, the five-stage design template of Lauritzen and Jaeger(1997) model that includes the context, inquires, goals filter, explorations and culminations was applied to designing practical education. In chapter 4, the case of designing the theme of 'diverse culture, happy world' that deals with overcoming prejudices on different cultures in the moral course for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 was discussed. In specific,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designed template include the process of solve problems, The critically, creatively, use technology, communicate, quantify, direct own learning, and cooperate. In applications on individual and social aspects, ability to deliberate on public issues, to interpret human experience; to understand diversity, health habits, Science/Math relationships, humanities. Implementing narrative curriculum based on practical educational view in a country with nation-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 such as Korea, requires mutual adaptation perspectives for each sides. As such, the role of teachers is a subjective practitioner with the ability of reconstructing curriculum. Finally, the effect from narrative curriculum based on the social practices can be analyzed from the measurement of output, evaluation of curriculum through evaluating process, investigation of students' level of interest on study, and observation on scenes from classes. Education in perspective of practices is an initiation process of practices for the better quality of life, in which individuals can form totality of their lives while studying the tradition. Thus, narrative curriculum is will help professor-learner develop narrative capability.

      • KCI등재

        원어민 영어교사의 한국학생 수업경험을 통한 문화이해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배현숙(Hyeonsook Bae)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3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원어민 영어교사의 한국학생 수업경험을 통한 문화이해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이 연구는 원어민 영어교사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하면서 그들이 낯선 이국에서 경험하고 있는 문화적 상호이해의 어려움을 극복해가는 과정을 드러내고, 한국사회 속으로 들어와 단기간 살아가고 있는 원어민 영어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일의 의미와 문화 인식의 변화와 개인적 삶의 성장을 드러내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그들이 경험하고 있는 기존 문화와 한국문화 간의 다름으로 인한 긴장과 대처의 과정에 대한 그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함으로써 다른 원어민 영어교사들의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경험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한국에 3년 이상 근무한 원어민 영어교사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한국에서 원어민 영어교사로서 수업과 생활을 통해서 경험한 그들의 인식의 변화에 대한 내러티브를 분석하고, 그 변화가 가져다 준 의미 등을 드러내면서 그들이 수업 경험을 통해서 경험한 문화 이해와 개인적 삶의 변화에 대한 해석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This narrative inquiry is to explore and figure out native English teachers’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through class experiences with Korean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native English teachers‘ narratives, this inquiry reveals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difficulties in mutual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that they are experiencing in Korea. By analyzing their narratives of the process of coping with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psychological tension in Korea, this inquiry can present empirical suggestions that can help other native English teachers adapt. This narrative inquiry selects eight native English teachers who have worked in Korea for more than three years as research participants. This inquiry analyzes their narratives, and reveals the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other culture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rough English classes and life in Korea, and searches for the interpretive meaning of their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and the changes of personal life in Korea.

      • KCI등재후보

        백워드 설계와 내러티브의 관련성 탐색

        이지은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6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학생들의 영속적인 이해를 촉진시켜 교과를 내면화하는 방안으로 백워드 설계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방식 에 주목하고 백워드 설계에서 내러티브의 관련성을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 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백워드 설계와 내러티브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들의 관 련성을 탐색하였다. 연구의 결과, 내러티브는 의미를 구성하는 사고방식이며 학생의 경험을 구조화하며 해석하는 인식의 틀로 작용한다. 결국, 학습은 내러티브를 통해 의미를 만들어가는 과정 이었다. 백워드 설계는 학생들이 지식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 추론하여 이해에 도달 하도록 하는 설계 방식이므로 학생이 의미를 구성한다는 측면에서 관련된다는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백워드 설계의 수행과제 개발과 학습경험 계획하기 과정에 서 내러티브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Before upcoming applic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is one of ways to facilitate students' enduring understanding, helping them to internalize subject-matter knowledge. Its aims lie in focusing on a way to utilize narrative in Backward Design and exploring relevance of narrative to Backward Desig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Backward Design and narrative are analyzed and their relevance is explored. As a result of the study, narrative is a mindset toward constructing meaning and a cognitive framework to structure and interpret a student's experiences. Learning is, in turn, a course of creating meaning through narrative. Since Backward Design is a design method that allows students to grasp and infer knowledge correlation, and, as a result, enduring understand it, it turns out that Backward Design is related to narrative in that a student constructs meaning. This confirmation leads applicability of narrative to development of performance task in Backward Design and to course of planning learning experience.

      • KCI등재후보

        이야기에서 질문 찾기 : 내러티브 접근에 기반한 문학수업

        김다영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7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내러티브 접근에 기반한 질문 중심 수업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내러티브 교육 과 질문 중심 수업의 필요성을 진화심리학, 교육학적 관점에서 각각 고찰하였다. 둘째,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고등학교 문학 과목의 시 수업을 직접 설계해보았다. 이를 위해 Carol Lauritzen, Michael Jaeger의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 템플릿을 활용하였다. 설계의 과정은 ‘기본 목표 및 성취 목표 고려하기’, ‘내러티브 맥락 선정하기’, ‘탐구 질문 생성하기’ 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question based instruction based on the narrative approach. To achieve the goal, two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the necessity of narrative education and question based instruction i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evolutionary psychology and pedagogy. Second,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I designed the poetry class of high school literature course directly. To do this, used Carol Lauritzen and Michael Jaeger’s narrative curriculum design template. The process of designing is done in the order of 'considering basic goal and achievement goal', 'selecting narrative context', and 'generating inquiry question'.

      • KCI등재

        Bruner의 내러티브 의미의 다층성과 교육이론 형성에의 시사점 탐구

        강현석(Hyeon-Suk K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교육연구에서 매우 혼란스럽게 논의되는 내러티브에 대한 의미들을 몇 가 지 차원에서 논의해보고 그 교육이론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주목적이 있다. 특히 브루 너가 직접 제안한 내러티브에 대한 세 가지 개념화 방식의 특징과 비판점들을 종합적으 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장차 내러티브에 근거하여 교육이론을 형성하기 위 한 시사점을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하여 브루너의 1차 저작물과 관련 주제를 다룬 2차 저작물들을 분석하여 사변적 에세이 형식으로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패러다임적 사고 와 대비되는 내러티브 사고는 인간 마음을 새롭게 접근하는 보다 거시적인 인식론적 입 장을 나타내며, 이러한 개념화가 이후 지식의 구조나 교과를 가르치는 교육의 과정의 수 단에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첫 번째 개념화 방식인 사고양식 으로서 내러티브는 두 번째 방식인 지식의 구조를 보다 타당하게 이해하고 재해석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 번째 방식인 교육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탐구학습과 발견학습, 나선형 조직에서도 이 사고양식으로 인하여 그 교육적 의미가 풍부하게 되살 아나고 있다. 장차 내러티브 교육이론을 형성하는 작업에는 이론의 수준의 다양성을 살 핀 후에 보다 의미 있는 내러티브 정체성 발달 탐구에 이론 형성의 초점이 모아질 필요 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ulti-layered nature of Bruner s conceptions of narrative and thus to suggest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To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by examining previous researches. To solve the problem,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peculative essay method. Bruner proposed three conceptions of narrative in ‘narrative of science’ of his major article(1990). They are as follows: narrative as mode of thought, narrative as organizing structure of knowledge, and narrative as tools of educational process. These conceptions give us the meaningful ideas for developing curriculum and constructing a educational theory. From discussion of three conceptions of narrative, implicative ideas of theory building were suggested by philosophical analysis. In the future narrative-based educational theory should be built by multiple stance of narrative theory. So called, structure of knowledge, discovery learning, and spiral curriculum are discussed and interpreted by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narrative.

      • KCI등재

        내러티브 기반 문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성은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8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내러티브의 개념을 정리하고 내러티브에 기반한 문학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국어와 문학교육에서 내러티브는 서사, 소설 등 장르적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어 내러티브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내러티브를 수업의 내용, 방법, 목표, 체제로 구성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문학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내러티브를 실체로서, 방법으로서, 사고양식으로서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작품의 이야기’, ‘이야기 나누기’, ‘이야기 생성하기’로 내러티브를 세분화하였다. 내러티브에 기반한다는 것은 내용인 문학 작품을 삶에 대한 이야기로 인식하고, 교사와 학습자가 작품 감상과 관련하여 자신의 생각, 삶을 이야기하는 방법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재구성, 생성해 나가는 목표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이러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수업 자체가 또 다른 이야기가 된다는 점에서 체제로서의 내러티브도 요구된다. 내러티브 기반 교수-학습 모형은 위의 용어와 이론에 근거하여 [이야기 의 활성화]-[이야기로의 독해]-[이야기의 공유]-[이야기와 관계 형성]-[자아 이야기 생성 및 상호 텍스트성]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odule development for instruction based on narrative which used with diverse meaning in the academic society. In this article, for referring to dimension as realty, method, thinking mode, researcher subdivided narrative to story of work, story sharing, making a story. In this research, the term of narrative-based means three fact as followings. Firstly, all student conceives literal work as story of personal life. Secondly, student and teacher speak not only one's thought interpersonally, but also life concerning appreciation on literal work. Thirdly, student who participate in classroom will make own's life by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In short, the term of narrative based means that all instruction will progress with above three fact. Also, all instruction in itself becomes a another story that combined with these component. This situation which occurred in the classroom means narrative as system. Module of narrative based instruction is consisted by following sequence, that is to say, ① vitalization of story, ② reading as story, ③ sharing a story interpersonally, ④ relation formation with story, ⑤ making self story and intertextuality between story and life/experience.

      • KCI등재

        초·중등 교육 분야 내러티브 연구 동향 분석-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신서영,이효휘,박창언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9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7 No.2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narratives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focusing on Korea and China, to revea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research targets include 491 Korean papers and 390 Chinese papers over the past 10 years.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were conducted through frequency, density, centrality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clusters. According to the study, primary school, narratives and teachers were used most frequently in Korea, and in China, narrative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in among the top words. Density was 0.341(SD=0.474) in Korea and 0.278(SD=0.448) in China. Centrality was high in the order of narratives, elementary schools in Korea, followed by narrative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reservice teachers in China. CONC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luster 2 was isolated from others in Korea, Cluster 4 was isolated from others in Chin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s better to accumulate and link research results, find ways to revitalize them, and connect with isolated research clusters for development. 이 연구는 초·중등 교육 분야에서 그간 한국, 중국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내러티브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의 성과를 밝히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최근 10여 년간의 초·중등 교육 분야 학위, 학술지 논문으로 한국 491편, 중국 390편이며 텍스트마이닝 이후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 중 빈도, 밀도, 중심성(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분석을 하였고, CONCOR 분석을 통해 클러스터 간 연결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빈도수를 가장 많이 차지한 주제어 3개는 한국의 경우 초등학교, 내러티브, 교사였고 중국의 경우 내러티브, 전문성 발전, 초·중등 교사였다. 밀도는 한국의 경우 0.341(SD=0.474)였고 중국의 경우 0.278(SD=0.448)이었으며, 중심성은 세 가지 모두에서 한국의 경우 내러티브, 초등학교, 교사의 순으로 높았으며 중국의 경우 내러티브, 전문성 발전, 초임교사 순이었다. CONCOR 분석결과, 한국은 예비교사, 과학과, 설계, 창의성, 체육과, 실행 경험, 교육과정 운영 등이 다른 연구 군집과 고립되어 있었고, 중국은 사제 관계, 학급경영, 학습 곤란 학생, 문제성 행동, 초등학생, 수업 관리 등이 고립되어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양국의 내러티브 연구를 논의하고, 연구 성과의 축적과 연결, 활성화를 위한 방안, 고립된 연구 군집과의 연결 등이 필요함을 결론지었다.

      • KCI등재

        다중관점과 포용적 접근을 통한 간문화 내러티브의 탐색

        허영식(Young-Sik, Huh),조인숙(In-Sook Cho),강현석(Hyeon-Suk, K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8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6 No.3

        본고에서는 다중관점 및 포용적 접근과의 친화성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간문화 내러티브의 특징을 살펴본 다음, 다중관점과 포용적 접근을 통한 간문화 내러티브의 구체화 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 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명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간문화 내러티브는 간문화적 사이공간에서 존재하거나 작용하는 내러티브라고 규정할 수 있으며, 다중관점 및 포용적 접근과의 친화성을 고려하여 간문화 내터티브의 특징을 명료화할 수 있다. 둘째, 간문화 내러티브와 다중관점의 친화성에서 출발하여 간문화 내러티브의 구체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는, 이주사회와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여기에 기초하여 다중관점에 지향을 둔 간문화 내러티브를 구체화할 수 있다. 셋째, 문화주의나 문화본질주의적 사고방식에 따른 위험성과 한계를 고려할 때, 간문화 내러티브를 다루는 데 있어서 포용적 접근이 요청된다. 포용적 접근은 평등의 원칙과 다양성의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를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수행적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분석 및 개입의 도구로서 포용적 간문화 내러티브 모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넷째, 간문화교육학의 합의사항을 고려할 때, 간문화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서도 자신의 문화적 준거와 인지유형을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핵심목표로 간주해야 하며, 간문화역량의 함양․신장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다 섯째, 이주사회에서 일상을 규정하는 사회적 상태를 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 하려는 경향을 조심해야 한다는 이론적 통찰이 실제적․조작적 수준에서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거나 아니면 의도한 바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간문화 내러티브의 역설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arch for the possibilities of intercultural narrative by way of multiple perspective and inclusive approach, focused on the recent research trend in Germany.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deals with following themes: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 narrative, concrete approaches towards intercultural narrative through multiple perspective, and those through inclusive approach. The result of this inquiry might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intercultural narrative can be defined as narrative existing or working in an intercultural in-between space, and has narrow affinities with multiple perspective and inclusive approach. Second, regarding concrete realization of intercultural narrative through multiple perspective, one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diversity of narratives in a migration/multicultural society. Third, inclusive approach towards intercultural narrative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hat of diversity, both of which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and may be realized concretely qua an inclusive intercultural narrative model. Fourth, considering the consensus of intercultural pedagogy, we need to put emphasis on the ability to reflect on the own cultural references and perception patterns, and on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in shaping and using intercultural narrative. Fifth,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aradox of intercultural narrative in the sense of performative contradiction, which implies inconsistency between theoretical insight on the one hand and practical operative level on the other, especially regarding the problem of naive culturalist perspective.

      • KCI등재

        내러티브 역량 지향 다양성 교육에 관한 담론과 함의

        허영식(Young-Sik, Huh),강현석(Hyeon-Suk, K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9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 역량의 함양과 신장에 목표를 둔 다양성 교육에 관한 담론과 함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명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비추어볼 때 다양성 교육 혹은 다양성에 지향을 둔 간문화 교육은 학습자가 내러티브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안내해줄 필요가 있다. 둘째, 세계화와 개인화, 대중매체의 보편화와 디지털화, 이주와 문화적 다원화는 점점 더 증가하는 다양성의 전제조건이면서 동시에 거꾸로 그 결과이기도 하다. 셋 째, 다양성 교육의 목표와 과제를 고려하는 데 있어서는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거나 다양성에 대하여 회의적인 입장을 취하려는 시도 및 이와 관련된 내러티브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넷째, 차이·다양성의 증가는 학교교육에서 다양한 내러티브, 다중관점, 다양한 해석이 반영될 것을 보다 더 많이 요구한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성 교육은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의 과제는 구분된 기억에만 국한시키지 말고 이와 동시에 공유된 기억을 탐색하는 데 놓여 있으며, 공유된 기억의 가능성을 전달하거나 학습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 바람직한 내러티브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다양성 교육을 통해서 내러티브의 다양성을 적절하게 고려하고 취급함으로써 내러티브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면, 이는 결국 세계시민교육을 위해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ake a look at the discourse on diversity education, which tries to develop and expand narrative competence, and its implications.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deals with following themes: theoretical basis for diversity education, diversity and narrative competence, and the relationships of narrative competence, diversity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inquiry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in light of narrative diversity, diversity education should search for courses of action to develop narrative competence of learner. Second, glob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universal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mass media, migration and cultural pluralization are the preconditions for and also the results of increasing diversity. Third, in considering the goals and tasks of diversity education, we need to pay attention also to the narratives taking a sceptic position toward diversity or not recognizing the values of diversity. Fourth, considering the increase of difference and diversity, schooling needs to reflect diverse narratives, multiple perspectives, diverse interpretations in its curriculums and activities. Fifth, task of education lies in searching for shared memories beyond divided memories, and, in so doing, we can expect to develop desirable narrative competence in its authentic sense. Sixth, if we succeed in developing narrative competence by considering and treating appropriately narrative diversity in diversity education, then we can also expect to contribute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내러티브 교육의 현재와 미래 - 내러티브의 한국화, 이야기의 글로벌화 -

        이원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8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6 No.1

        연구자의 개인적․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 이야기는 내러티브 교육의 현재와 미 래에 관하여 거창한 담론이 아니라 일상적 삶을 엮은 것이다. 그러면서도 이야기의 전반이 ‘내러티브의 한국화’와 ‘이야기의 글로벌화’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주제에 진입하기에 앞서서 ‘삶의 나눔과 짜임’이라는 내러티브에 대한 나의 가설적 생각과 믿음에 다가가고자 먼저, 과거로 회귀하여 나 자신의 기억 잔상을 부상시켜 플랫폼으로 구성하여 보았다. 그리고 난 후, 그동안 한국에서 이루어진 브루너 및 내러티브 관련 연구를 내 나름대로 개관하여 그 대강을 정리하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내러티브 교육 연구의 방향은 이론 도입이나 소개에서 벗어나 우리 교육계에서 일어나는 내러티브 교육의 실제로 나가야 한다고 제안하고, 보다 구체적인 세 가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based on personal and autobiographical experience, is a story of ordinary life rather than a grand narrative on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the narrative education. The hope is, however, that a life story lived out on the intimate local level may have some global implications. The paper begins with my rendition or definition of the narrative as a “sharing and weaving of life,” and tries to dig out reminiscences from the past for platforms of this rendition. Next, it narrates a (hi)story of Korean narrative research, including research on Bruner, toward estimation of their contributions. And last, it argues that narrative research should outgrow the initial stage of introduction and dispersal of theories, and enter the stage of down-to-earth practice, for which three strategie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