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뉴노멀 시대의 변화된 교육환경 속에서 요구되는 교회학교 교사의 특성에 대한 고찰

        문진형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3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의 시대에 교회학교 교육의 대상들의 변화된 특징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상황 가운데 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세와 태도에 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한국교회의 교회학교에 대한 위기론은 이전부터 논의되어 왔다. 코로나19의 시기는 교회학교의 어려움을 더욱 크게 만들었다. 변화된 시대와 달라진 교회학교의 현실 가운데서, 코로나시대 이전과 같은 교육방식은 다음세대의 교육에 효율적 가치를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시기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교육 주체 중의 하나는 교회학교 교사이다. 교사들은 이전과는 달라진 환경에서, 달라진 학생들을대하여야 하지만, 필요한 교사교육이나, 영적 성장을 위한 기회를 교회에서 제공 받는 경우는 그렇게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교회학교의 침체와 변화를 따라가고 적응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일이반복되면서 교회 안에서 교사 개인이 겪어야 하는 실망과 좌절이 있다는 것 역시 사실이다. 교회학교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부흥을 회복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부분 중에 하나는 교사들의 회복과 부흥이다. 각각의 학생들의 마음을 변화시키고 믿음을 성장시키는 역할은 결국, 학생들과 일대일의 관계를 맺는 개별 교사들이 감당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뉴노멀 시대에서 교회학교가 겪고 있는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일은 변화된 교회 교육환경과 학생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현 상황에 맞추어서복음을 증거하고 학생들을 양육할 수 있는 교사를 육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뉴노멀 시대에 필요한 교사의 자세와 교사상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서 교회가 감당해야 하는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situation of students of church school in New Normal Era, especially after COVID-19, and suggest the characteristics of church school teacher in changed circumstance. There was a conversation of the crisis of Korean church school during several decades. COVID-19 made this crisis more worse than ever. In the situation of critical change, c hurch school h as h ad b ig d ifficulties to t each a nd communicate w ith the next generation. One of the most painful educational elements in this situation is the church school teacher. Church school teachers should handle with the changed students and overcome the difficulties, however, they did not have enough chance to receive proper education from church, for developing their teaching abilities, understanding changing situation, and growing their own spiritual formation. Some of church teachers felt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because they failed to adapt quickly to decrease of church school and all the changing circumstances. To overcome this hard situation of church school, the revival of church school teacher should be needed. Eventually, it should be church school teacher, who would teach the Bible and move the hearts of students. Each of church school teacher should deal well with all changes for their own faith and that of the student. This study would suggest the role and attitude of church school teacher in New Normal Era, who can handle the crisis and make development of church school again in this challenging situation.

      • KCI등재후보

        교회교육 활성화를 위한 바람직한 소그룹 운영방안

        이상화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3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교회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소그룹목회의 성경적 근거와 역할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코로나팬데믹이후 대그룹 중심의 교회교육 현장은 피폐한 현실을 맞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교회의 예배와 교제와 봉사와 전도와 선교의 모든 사역 분야가 어려움을 맞이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소그룹이 얼마나 유효한 사역인가를 성경적으로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교회의 건강성과 전반적인 역동성을 회복하는데 중요기능인 교회교육 활성화에 어떻게기여할 수 있는가를 논구하였다. 그리고 교회교육의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소그룹 운영에 있어서 바람직한 운용방안을 연구하여 실제적인 소그룹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코로나 에피데믹의 상황이지만 여전히 위드코로나의 위험을 떨쳐버리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소그룹의 바람직한 운영방안이 교회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한국 교회가 더욱 건강한 교회가 되고 새로운 역동성을 회복하게 될 것을 탐구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biblical basis and role of small group ministry to revitalize church education.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the church education field centered on large groups is facing a devastating reality. In this situation, all ministries of the church, including worship, fellowship, service, evangelism, and mission, are facing difficulties. As an a lternative to t his, t his study examines b iblically t he v alidity of s mall groups a s a ministry and how they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church education, an important function in restoring the health and overall dynamism of the church. In addition, we studied the desirable operation method of small groups that can lead to the revitalization of church education and presented practical small group opera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mall group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church education so that the Korean church can become a healthier church and restore new dynamism

      •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쟁점과 방향성 고찰 -고용을 중심으로-

        장선미,이승기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1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과 관련 있는 현안을 검토하여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사회복지시설의 고용관계에 대하여도 노동법이 적용되는 것이 원칙이므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계약 또한 노동법을 준수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는 계약서상 표시에도 불구하고 노동법상 근로계약의 주체이며 관련 법적 의무와 책임의 주체가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가 근로계약의 당사자임을 계약상 명시하여 관련 법적 의무와 책임의 주체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한 노동법적 보호를 강화하고 불분명한 근로계약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분쟁을 줄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관계에서 노동법을 준수하고 충실한 시설운영을 할수록 비용부담이 증가되는 현장의 모순은 사회복지시설 고용 관련 정책을 통해서 해소되어야 한다. 예컨대 고용보험료 산정 등에서 사회복지시설의 특수성이 고려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 관련 부처들의 명확한 정책 방향이 결정되어야 하고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에 안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issues related to the employ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o provide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In principle, the labor act shall also apply to the employment relationship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so employment contracts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shall also comply with the labor act. In this regar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operato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s the subject of labor contracts and the subject of related legal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notwithstanding the presentation in the contract. It also noted the need to strengthen legal protection for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reduce unnecessary disputes arising from unclear labor contracts by stating that the operator is a party to the contract. However, the contradiction of sites where the operato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complies with labor laws in the employment relationship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the more faithful the operation of facilities, the more costly the site should be resolved through policies related to employ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example, the specificity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calculation of employment insurance premiums, for which clear policy directions of the branches of the government need to be determined and guided to the operato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후보

        먹을거리, 사회문제 그리고 기독교 교육: 먹을거리 문제와 관련해서 기독교는 무엇을 교육해야 하는가?

        강상우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3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5 No.2

        본고는 오늘날 기독교 교육이 먹을거리 문제에 대해서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왜 우리가 사회적 먹을거리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에대해서, 그리고 오늘날 산업형 농업으로 인해 먹을거리와 관련해 발생하는 여러 사회문제들, 즉 토지수탈, 표토 침식, 농산연료, 수질오염 등과 같은 먹을거리와 관련된 것들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그리고 나서 사회적 먹을거리 문제와 관련해서 기독교 교육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먹을거리와 관련하여 기독교 교육은 (a) 하나님이 모든 영역의 통치자임을 가르쳐야 하고, (b) 성도는 하나님의 창조세계의 선한 청지기(kalos oikonomos)이며 하나님의 성전(naos)임을 가르쳐야 하며 (c) 무엇보다도 성도들이 하나님의 선한 청지기와 거룩한 성전으로 살아가도록 먹을거리 리터러시(food literacy)를 구체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what Christian education should teach about food issues today. This paper explains why we should be concerned with social food problems, and describes the social food problems that arise in relation to industrial agriculture such as land grab, topsoil erosion, agri-fuel, water pollution, etc. And then states what Christian education should teach about social food problems. Christian education regarding social food issues should (a) teach that God is the ruler of all realms, (b) teach that the saints (hagioi, hagios) are good stewards of God’s creation (kalos oikonomos, καλοs οἰκονόμοs) and that the saints are the temples of God (naos theou, ναὸς θεοῦ), and (c) specifically teach food literacy so that the saints can live as good stewards and temples of God.

      • KCI등재후보

        청소년이 지각한 학대 경험과 우울감의 관계: 지역사회 인식과의 매개효과

        김범준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3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5 No.2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neighborhood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treatment experience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a sense of depression. To test this hypothesis, 1,979 participants of 7th wave data of the 4th year of elementary school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2010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Process Macro Model 4 by Preacher and Hayes(2008) were utilized. Results confirm that first, maltreatment experience perceived by adolesc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e of depression. Second, maltreatment experience perceived by adolescents has a negative effect on adolescents’ neighborhood percep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neighborhood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treatment experience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depression, it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role of church in communities and related programs to protect and prevent maltreatment are proposed.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학대 경험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사회 인식의 매개효과에대해 검증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7차년도 패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맞는 1,97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Preacher & Hayes(2008)의 PROCESS Macro의 Model 4번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학대는 청소년의 우울감에 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학대 경험은 지역사회 인식에 부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사회 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역사회 인식은 학대가 우울감에 미치는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학대 보호 및 예방을 위한 교회 사회복지의 역할 및 관련 프로그램을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인발현기 대학생의 신앙 성장을 위한 소그룹 탐색

        이은실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3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기독교 대학에서 학생들의 신앙 성장을 위해 진행되는 소그룹 프로그램의 효과를 점검하고 프로그램 개선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준비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성인발현기(emerging adulthood)에 해당하는 대학생은 어떤 독특한 특징과 교육적 요구가 있는지 살펴보고연구의 사례가 되는 H 기독교 대학의 소그룹 운영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독교 대학에서 신앙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신앙이 성장하는 데에는 교수와의 소그룹 성경공부 활동이 큰 역할을 한다. 특히 학생들이 신앙의 기본기를 다지고 복음을 이해하며 예수님의 제자로 사는 삶에 헌신하는등 의미 있는 신앙 성장이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성인발현기는 인생에서 가장 자신에게 집중하여인생을 살아갈 목적과 방향, 가치와 의미를 찾는 정체성 탐색의 시기이며 비슷한 고민과 탐색을 경험한 멘토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한, 신앙 정체성에서도 탐색의 과정 중에 있는 이들 대학생은 다양한 시각과 의견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소그룹 성경공부는 이들의 발달 특징에 적합하다. 성인 멘토와 함께하는 소그룹 성경공부는 대학생들의 다양한 시각과 성찰, 의견 개진이라는 참여를 기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접근이 이 시기 청년들의 신앙 정체성 탐색의 욕구를 채워주고 성장을 돕는다. This study was prepared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programs for the spiritual growth of students at a Christian university. To achieve th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needs of college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were first examined. The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small groups at H Christian university, which serves as a case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at H Christian university, group Bible study activities with professo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and growing one’s faith. Meaningful spiritual growth was reported, especially as students solidified the foundations of their faith, understood the Gospel, and dedicated themselves to living as disciples of Jesus. The research highlights that emerging adulthood is a time for identity exploration, focusing on personal goals, directions in life, values, and meaning. It emphasizes the need for mentorship from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similar concerns and explor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small group Bible study, guided by adult mentors, should be based on student participation rooted in diverse perspectives, reflection, and expressing opinions. This approach is deemed desirable as it fulfills the desire for exploration in the faith identity of young adults and facilitates their growth.

      • KCI등재후보

        1인 가구 기독교인의 정신건강 실태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손병덕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3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가구 기독교인의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1인 가구 기독교인의 우울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혼자 거주하고 있는 기독교인 16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2023년 7월 3일부터 약 5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한 자료에 대해SPSS 28.0 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차이검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1인 가구 기독교인의 우울은 보통보다 약간 낮은 편, 정서적 단절 및 사회적 관계 고립, 두려움은 보통 수준, 정신건강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건강은 우울, 정서적 단절, 사회적 관계 고립, 두려움과 모두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1인 가구 기독교인의 정신건강을종교가 없는 집단과 비교한 결과, 우울 및 외로움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외로움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적 관계 변화, 사회적 친분관계, 타인과의 소통 빈도, 두려움, 자살 생각 여부, 정신건강 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ntal health status of Christians living alone an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among Christians living alone. To this end, 163 Christians living alone in Seoul were surveyed for about five weeks from July 3, 2023,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ce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8.0.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depression was slightly lower than moderate, emotional disconnection and social isolation were moderate, fear was moderate, and mental health was slightly higher than moderate. In addition, mental health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emotional disconnection, social isolation, and fear. Second, when comparing the mental health of single-person Christian households with the non-religious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and loneliness. Third, factors affecting loneliness and depression included changes in social relationships, social ties, frequency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fear, suicidal ideation, and mental healt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중년여성의 소그룹 성경공부의 경험: 마더와이즈를 중심으로

        조혜정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3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중년여성이 소그룹 마더와이즈를 경험하므로 형성되는 맥락과 의미를 알아보고자 질적연구로 진행되었다. 마더와이즈는 미국에서 1981년 드니스 글렌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소그룹의 어머니들이 매일 규칙적으로 8주에 걸쳐 성경공부, 멘토링, 중보기도를 통해 성경적 삶의 우선순위를재정립하게 된다. 본 연구는 중년여성 11명의 연구참여자들이 2023년 10월 17일과 21일에 심층면접 인터뷰를 하였고 녹취된 자료와 추가적으로 기록물을 활용하였는데 연구참여자들이 작성한 자아성찰노트와 과정 중에 나눈 SNS 공유 기록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공정성과 윤리적 이슈를 준수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그룹 마더와이즈의 활동 경험의 맥락과 의미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졌다. 먼저 번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변화의 시작, 변화를 위한 지원군, 변화의 장애가있었고 의미있는 변화로는 변화의 원리, 가정의 변화, 변화의 결과가 있었다. 이 논문의 기여하는 바는 마더와이즈가 중년여성에게 있어서 필요한 교회 중심의 소그룹으로서 가치를 밝힌 점이다. 마더와이즈는 성경의 원리와 함께 소그룹 구성원 간에 애착형성과 중보기도로 구성원의 신앙성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었다. 둘째로 중년여성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삶의 전환점으로서의 자아정체성과 인간관계를 정립하기 위해서 마더와이즈 소그룹 모임이 적합한 모델임을 밝힌 점이 그러하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the context and meaning formed by middle-aged women experiencing the small group Motherwise. Motherwise was developed by Dennis Glenn in the United States in 1981. Mothers in the small group redefine the priorities of their biblical life through regular 8-week sessions of Bible study, mentoring, and intercessory prayer. The study involved 11 middle-aged women as participants who underwent in-depth interviews on October 17th and 21st, 2023. Data included recorded interviews, self-reflection notes written by participants, and shared social media records during the process. The research adhered to fairness and ethical considerations,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activity experience in the Motherwise small group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two main themes. Firstly, factors influencing vibrancy included the initiation of change, support networks for change, and obstacles to change. Meaningful changes involved the principles of change, changes in the family, and the outcomes of change.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lies in highlighting the value of Motherwise as a church-centered small group necessary for middle-aged women. Motherwise, along with biblical principles, positively contributed to attachment formation and intercessory prayer among group members, fostering spiritual growth. Secondly,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it is revealed that Motherwise small group gatherings are an appropriate model for establishing self-identity and human relationships as turning points in life.

      • KCI등재후보

        교사공동체 활용에 기초한 비대면 교회교육의 가능성 모색: B. S. 교회 교육부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정 ( Hyunjung Park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2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4 No.2

        코로나 19 범유행으로 인해 전 세계가 지금까지 유례없는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였는데, 기존의 업무를 비대면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던 교육계의 충격이 상대적으로 컸다. 이처럼 급격한 교육환경의 변화 가운데 교육을 지속하기 위해 학교와 교회에서 적응을 넘어 새로운 시도들이 이뤄졌다. 본 논문은 전 세계가 일상 회복을 위해 위드 코로나(with COVID 19)를 시도하고 있는 시점에서 B. S. 교회 교회학교가 지난 삼 년여 간 어떤 시도들을 해왔으며, 이러한 시도들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 아울러 이러한 경험적 배움을 토대로 무엇에 집중하고 우선순위를 두어 교회교육을 준비해 나가야 할지 제언할 것을 목적으로 상황인지 부족 단계, 상황수용 및 적응 모색 단계, 선택적 조작 획득 단계로 시간적 분류하여 교회교육현장의 대응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 같은 현장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먼저 한국교회가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회교육 상황을 더는 일시적이고 한시적인 현상으로 여기지 말고, 지금부터라도 4차 산업시대 주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비대면 교육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설 투자를 하고 대면/비대면 혼합교육(Hybrid Learning)이 가능하도록 교사 봉사자들을 훈련할 것을 촉구하였다. 앞서 언급한 세 단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비대면 상황에서 예배와 심방은 교사의 주도적 참여 없이도 사역자가 이어갈 수 있지만, 교회교육의 본질인 공동체적 나눔이 이뤄지는 역동적인 교회교육을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참여가 필수적이기에 도전적인 과제를 함께 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소속감과 생산성 높은 교사공동체를 세워갈 것을 제언하였다. 다음 대부분의 한국교회 교육부서가 시간제 사역자 한 명과 다수의 봉사자 교사로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면/비대면 교육 그 어떤 상황에서도 교회교육의 중핵 요소인 교사공동체를 세울 수 있는 교육목회 리더십을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양성할 것을 제언하였다. 비대면 상황일수록 교회교육의 목적과 특성에 맞게 단계별 계획을 수립하고, 이것을 교사들과 소통하여 조직력과 실행력을 갖추도록 사역자가 컨트롤 타워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역할 수행에 필요한 교육목회 리더십을 갖출 수 있도록 목회자를 양성하는 신학교, 신학대학원 과정에서 기독교교육 관련 이론과 실습 경험을 제공할 것을 제언하였다.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world has experienced unprecedented rapid change, and the impact of the education industry, which was not sufficiently prepared to perform existing tasks in a non-face-to-face manner, was relatively large. In order to continue education amid such rapid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new attempts have been made beyond adaptation in schools and churches. This thesis is about what attempts have been made by the B. S. Church School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what has been learned through these attempts, as well as these experiences. The response process in the church education field is described by temporally classifying it into the stage of insufficient situation awareness, the stage of accepting and adapting to the situation, and the stage of acquiring selective manipulation for the purpose of suggesting what to focus on and prioritize in advance. Based on this field experience, first of all, the researcher urged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not regard the non-face-to-face church education situation due to COVID-19 pandemic as a temporary phenomenon, and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train teacher volunteers to enable hybrid learning, and with minimal investment in facil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hree stages mentioned above, in a non-face-to-face situation, worship and visitation can be continued without the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but for a dynamic church education where community sharing, which is the essence of church education, takes place, the role participation of the teacher is essential. It is suggested to build a teacher community with a sense of belonging and high productivity through the process of working together on challenging tasks. In a situation where most Korean church education ministries are operated with one part-time minister and many volunteer teachers, integrativ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astoral leadership that can establish a teacher community, a core element of church education, in any face-to-face or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is essential. It was suggested that they should be nurtured in a long-term view of educ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it is important for the minister to play a role as a control tower to establish a step-by-step plan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church education, communicate with the teachers, and have organizational and execution power. It was suggested that theories and practical experiences related to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seminaries that train pastors and educational ministers as well.

      • KCI등재후보

        한국교회의 평생교육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울산교회 밝은미래복지재단 사례를 중심으로

        권진하 ( Kwon Jin Ha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2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교회 평생교육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자 하였다. 최근 우리 사회 내 개신교 호감도는 불교, 천주교 보다 낮고 개신교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회의 중요한 사명 가운데 하나가 하나님과 사람을 연결하고 교회와 지역사회를 연결해서 복음을 전하는 브릿지 역할을 감당하는 것임을 인식하고, 교회가 지역사회 평생교육의 요람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기 위한 실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먼저 교회가 속한 지역사회의 평생교육 분야에서 교육수요자의 요구를 분석해 볼 때 ‘진로’가 중요한 항목을 차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러한 발견점을 근거로 진로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진로프로그램의 로드맵을 구상함으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A교회에서 운영하는 복지재단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의 결과에 따르면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교회가 마을 속으로 들어가 마을의 일원이 되고, 세상과 접촉면을 늘리면서 이미지를 회복하고, 더 나아가 효과적인 복음 전도를 실천하는데 매우 적절한 평생교육의 방법들중의 하나라고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d apply a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lifelong church education. It is a recent reality that the favorability of Protestants in our society is lower than that of Buddhism and Catholicism, and negative views on Protestants are spreading.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d that one of the important missions of the church is to connect God and people and to connect the church and the local community to serve as a bridge to preach the gospel, and proposed a practical program for the church to play a role as a cradle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community. First, when analyzing the needs of education consumer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community to which the church belongs, it can be found that ‘career’ occupies an important item. Then, based on these findings, a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conceiving a roadmap for career programs to realize careers in detail.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longing to the Welfare Foundation of the Ulsan Churc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ogram operatio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can be suggest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methods for the church to enter into the village and become a member of the village, recover its image while increasing contact with the world, and furthermore, practice effective evange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