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외 한국학교 초등 과정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이미숙,이수정,신항수,장근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1

        재외 한국학교에서 보다 내실 있는 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이 국외에서도 질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한국학교 학생 수가 점증하고 있는 오늘날 매우 중요 한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의 질 제고를 위한 시사점 도출을 위해 초등 과정에 초점을 두어 총 22개교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 현황을 분석하고 교원 전수 대상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326명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하 였다. 첫째, 재외 한국학교의 모든 학년군의 수업 시수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기준 시수를 큰 폭으로 순증하여 편성되었고 학교 교육의 방향으로 세계 무대에 서기 위한 언어 구사 교육을 표 방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 등을 주목할 때, 교과 수업 시수 증배의 상한선을 정부 지침으로 제한 하기보다는 학교 자율로 결정할 수 있도록 자율화의 수위를 제고해야 한다. 둘째,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교육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도덕과 같은 특정 교과 교육에 정체성 교육을 직결시키 려는 접근을 넘어서서 보다 다양한 교과 교육 및 교과 외 교육 등으로 그 실천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 셋째, 재외 한국학교 교원들이 한국학교 교육과정 운영 개선을 위해 교원 연수에 대한 정책 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음을 주목하고 한국학교 교원으로 선발되는 교원들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한 집중적 연수를 받고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Quality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students through the substantiality of operating school curriculum has very important meaning regarding today’s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in overseas Korean schools. In order to derive impli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level, analyzed the state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he responses from the total 326 teachers by a survey of teachers in all overseas Korean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offers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irst, regarding that the instructional hours of all levels of overseas Korean elementary schools were highly increased beyond the standard instructional hours provid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trend of overseas Korean schools is to focus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the global world, it is recommended that schools have autonomy to decide the extent of increasing the instructional hours rather than the government sets an upper limit on the increase; second, identity education as Korean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rtions of overseas Korean schools’ education, should be actualized by various approaches including education of related subjects and activities rather than limited to education of particular subject such as morals; and thir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2015 revised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to in-service teachers working for overseas Korean schools through changing the program into the suitable type for the overseas Korean schools’ situations and also to future teachers appointed to those schools.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overseas Korean schools' curriculum focu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of foreign country is required in follow-up study. Also, educational support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overseas Korean schools should be focused on the learning by meaningful involvement of students regarding the work load of students.

      • KCI등재

        학교수준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내용에 대한 실태 분석- 7~10학년을 중심으로

        정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9 No.1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cience curriculum were developed at school level, especially on 7th through 10th grade. In order to examine the reality of science curriculum design at school level, the nationwide survey with 311 science teacher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analysis of school curriculum were conducted.It was found that science teachers showed the tendency to develop science curriculum at school level jointly, and involve only in the area of their majors. And they suffered from the insufficient time to develop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shortage of reference materials.When science teachers developed science curriculum at school level, they gave the priority to the characteristics of unit and the achievement level and interest of the learners in the perspective of reorganization. And they considered the achievement level, interest, cognitive development level, needs and expectation of the learners in the perspective student-centeredness and diversification/ specialization. When science teachers planned the instructional methods, they emphasized the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and materials wit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and they considered the relevant factors of evaluation thoroughly during planning the evaluation.To improve the process and contents of science curriculum design at school level,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that sufficient time to develop the curriculum and high-quality teacher in-service programs need to be provided and science teachers involve in curriculum design actively. 이 연구에서는 학교수준의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의 자율성에 대한 실태 분석을 위하여 중등학교 과학 교사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면담 조사를 하고, 학교 교육 계획서를 분석하였다.학교수준에서 7~10학년의 과학과 교육과정은 주로 과학과 교사 협의회를 통해서 공동으로 개발되고 있는데, 전체 내용을 함께 개발하기보다는 자신의 전공 영역 또는 담당 학년과 관련된 내용의 개발에만 참여하는 경향이 있었다. 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점이 가장 어려운 사항인 것으로 나타났고, 참고 자료가 부족한 것도 어려운 점이었다. 상위 기관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단원 내용의 특성, 학생의 수준, 흥미, 관심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학습자의 특성 및 다양화특성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학생의 교과 성취수준, 학생의 흥미와 관심, 학생의 지적 발달 수준, 학생의 요구나 장래 희망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방법을 계획할 때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ICT 활용 등을 강조하고, 평가를 계획할 때 평가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비교적 고르게 강조하고 있었다. 특히 평가에 대해서는 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과학 교사들이 논의를 가장 많이 하고, 평가 방법, 시기, 내용 등을 학교 교육 계획서에 상세하게 명시하는 경우가 많았다.학교수준의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과 내용의 개선을 위해서, 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충분한 시간 확보, 과학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교사 교육과 연수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의 관심수준 분석 : CBAM을 중심으로

        서문효진,김석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the teachers' confusions from repeated revisions of National Curriculum. Moreover, this study aspires toward setting up the guidelines for a properly oper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will help to seeking a way to support the stable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igh school teacher's Stage of Concern(SoC) of the 2009 revised English Curriculum.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the high school teachers' overall SoC about the 2009 revision English Curriculum?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high school teachers' SoC about the 2009 revision English Curriculum by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For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the survey, revised SoC(Stage of Concerns) developed by Hall & Hord(2011) was used. Targets were high school teachers who teach English studies in Busan, Korea. Finally, 102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19.0 for windows program. For analysis, profile analysis, MANOVA, and ANOVA were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the high school teachers' overall SoC, the stages were indicated high in the order named; Stage 0-1-3-2-6-5-4. Generally, the profile of the teachers' SoC is that of the nonuser, the individual who has not begun using an innova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tendency that shows teachers' Stage 6 is higher than Stage 5, it is more similar with negative nonuser pattern. Also, the high school teachers had lots of concerns about 'How they operate the 2009 revision English Curriculum'. Because, their 3 Stage of Concerns were relatively high. Second, as a result of Q2,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high school teachers' SoC about the 2009 revision English Curriculum by their background variables or not, some differences were indicated by age, teaching career, and position. In regarding to 'age', young teachers(less than 20) had higher management concerns(Stage 3) than old teachers(more than 50). And in case of 'teaching career', teachers with less teaching experiences had higher management concerns(Stage 3) and collaboration concerns(Stage 5) than highly experienced teachers. Whereas, as for 'position', executive teachers' had higher consequence concerns(4 Stage) than regular teachers. 본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관심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의 전반적인 관심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관심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 지역 고등학교 영어과 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전반적인 관심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배경 변인 별 관심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연령, 교직 경력, 연수 참여 횟수, 직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높은 연령과 교직 경력을 가진 교사일수록 교육과정에 대해 높은 운영적 관심을 보였으며 부장교사의 직책을 가진 교사일수록 높은 결과적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교사들의 관심을 더욱 발전적인 단계로 이끌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이를 통하여 향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공적이고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한 2015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분석 및 논의: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김유정,장원형,홍훈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3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 words in wordcloud and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in igraph package for 475 key words derived from total 134 sentences of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presented in 2015 science curriculum by utilizing Text Network Analysis(TNA) method, and reviewed for the connection with process-centered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all the key words, the evaluation in science curriculum centered on ‘process’, focusing on evaluating ‘reports, observation, result, attitude, and writing’ under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of ‘experiment, activity, survey, observation, exploration, data, discussion’, but no mention about essay-type evaluation.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key words by school level shows th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observation’, ‘experiment’ activity each, while high school focuses on the achievement level, and reports are main at higher school level.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between key words reveals that the evaluation of science curriculum is centered on ‘observation’, ‘process’, and emphasizes on the way of observation evaluation and report evaluation during student activities such as experiment in order to evaluate whether students have mastered learning or no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network structure between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curriculum, scientific communication competency represents the highest centrality in science curriculum, whereas scientific thinking, scientific problem solving,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are relatively marginalized. As a result of a review of the connection between process-centered evaluation and science curriculum evaluation, some characteristics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are relatively well described in science curriculum, such as curriculum-teaching and learning-evaluation linkag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student’s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and the diversification of data collection using various evaluation methods, but the rest are poor or not at all.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makes a suggestion to introduce a diagnostic and prescribing program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o improve the quality of observational evaluation rubric that is a key to process-centered evaluation, a suggestion to present specific and diverse evaluation methods appropriate for evaluation elements, a suggestion to adopt essay-type evaluation and to adopt problem-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ike SSI and PBL for evaluating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curriculum in a balanced manner, a suggestion of a well-thought-out process and systematic skills for the new concepts introduced in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a suggestion to revise curriculum with a focus on the link between the general curriculum and the particular one in order to establish a tight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and the particular. 본 연구는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법(Text Network Analysis, TNA)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총 134문장의 핵심어 475개에 대하여 wordcloud의 핵심어 빈도 분석, igraph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을 실시하고,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양상을 검토하였다. 전체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는 ‘과정’을 가장 중시하고, ‘실험, 활동, 조사, 관찰, 탐구, 자료, 토의’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보고서, 관찰, 결과물, 태도, 서술’ 평가를 강조하지만 논술형 평가는 언급하지 않았다. 학교 급 별 핵심어 빈도 분석 결과, 초·중등은 각각 ‘관찰’과 실험’ 활동의 평가에, 고등학교는 성취수준에 대한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고, 학교 급이 올라갈수록 보고서 평가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간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는 ‘관찰’과 ‘과정’을 중심으로, 실험 등의 학생 활동 중에 관찰평가와 보고서 평가를 실시하고 학생의 학습도달 여부를 평가하는 방식을 강조하고 있었다. 과학과 핵심역량 네트워크 구조 분석 결과, 과학과 교육과정 평가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높은 중심성을 가지는 반면,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은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었다. 과정 중심 평가와의 연계양상을 검토한 결과,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계, 학생의 다면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 평가,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한 자료수집의 다원화에 관한 부분은 비교적 충실히 반영되어 있으나 나머지는 내용이 빈약하거나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인 관찰평가의 질 향상을 위해 예비·현직교사를 위한 관찰평가 루브릭 진단 및 처방 프로그램 도입을, 평가요소에 따른 평가방법을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제시할 것을, 균형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 반영을 위하여 논술형 평가, SSI, PBL 등의 문제 중심 교수·학습법을 제시할 것을, 교육과정 개정에 도입되는 새로운 개념에 대한 충분한 숙고의 과정과 체계적 기술이 필요함을, 마지막으로 총론과 각론 사이의 유기적 관계 구축을 위하여 총론-각론 간 연계성에 초점을 두어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 KCI등재후보

        제7차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김평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7 No.2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the contents of ‘We Are the First Graders' in the 7th curriculum reflected local circumstances at the provincial and school levels, how and to what extent teachers reorganized the contents of the subject at the classroom level, and investigate whether the subject's sequence was maintained wi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coming after the subject. The data were gathered through document analysis, survey,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provincial guidelines, textbooks, teacher's guide, and school curriculum contained least amount of contents reflecting local circumstances. Teachers reorganized contents moderately and relied on simple types of reorganization. There was a lack of sequence both wi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following the subject. To reflect local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rovincial guideline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and school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industrial division, i.e., urban, rural, and mountain areas. To support teachers for reorganizing contents of the subject, administrators need to provide increased sessions for staff development and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reduce non-instructional workload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increase facilities. Further,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between curriculum developers of different subjec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subject's sequence both with Kindergarten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coming after the subject.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실태를 지역화, 재구성, 연계성의 측면에서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서 분석, 설문 조사, 수업 관찰 및 면담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시·도 교육과정 지침, 교과용 도서, 학교교육계획서에 나타난 우리들은 1학년 교과 교육과정 편성에서의 지역화 정도는 극히 미미한 수준에 머물렀다. 교실 단위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재구성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재구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유치원 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이 혼재할 때의 어려움과 4월부터 배우는 국어, 수학 교육과정과의 종적 연계성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 교육과정 편성에서의 지역화 강화를 위한 새로운 지역 구분의 도입과 교육과정 전문 인력 확충과 교육과정 편성권의 이양,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재구성 활성화를 위한 교원 연수의 강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보급, 업무 경감, 학급당 학생수 감축, 시설 확보를 제안하였다. 연계성 강화를 위해 단기적으로 유치원 교육을 받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을 수준별로 구분하여 지도할 수 있도록 보조교사나 도우미를 확보할 것을 제안하였다. 장기적으로는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국어, 수학 교육과정과의 종적인 연계성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의 방향 탐색: 교사와 교육전문직의 인식을 기반으로

        정영근,민용성,이병천,권점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4

        본고는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과정 체제 변화를 위한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의 한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이를 바탕으로 교사와 교육전문직 대상의 설문조사, 교사와 교육전문직을 포함한 교육 관계자 대상의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과정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해 기관 수준과 의사결정 참여 구조, 교육과정 요소로 구성되는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3차원적 구도를 도출하였다. 조사결과, 교사와 교육전문직은 국가교육과정이 관료 및 전문가 독점의 거버넌스로 이루어져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내용을 포함한 교육과정에 대한 학교 자율성과 시·도교육청의 권한 확대 필요성에 대한 동의 정도가 대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변화 방향은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참여 협력적 거버넌스와 국가-교육청-학교 간의 관계에서는 분산적 거버넌스 구축에 둘 필요가 있다. 다만 지역 간 교육과정 수준과 범위의 격차 및 단위 학교 교육과정 자율성에 대한 교육청의 관리·통제 강화 가능성에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보완 장치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분산적 거버넌스로의 변화를 위해 교육내용(성취기준 등)을 포함한 교육과정의 의사결정권을 어떤 형태로 어느 정도 이동시킬 것인가의 정책적 검토와 교과서 자유발행 체제로의 전환 모색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추진, 교육과정 거버넌스 변화에 대응한 시·도교육청의 지역교육과정 개발의 기반 조성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hange in Korean school curriculum governa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erceptions and demands of the participants on curriculum governance were analyzed through mixed research method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curriculum governanc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curriculum governance composed of institutional level, participation structure of decision-making, and curriculum elements was derived. The result of survey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and educational supervisors recognized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was governed exclusively by bureaucrats and exper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consent to the need to expand the initiatives of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autonomy of school in curriculum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 was very high.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curriculum governance in Korea needs to be placed in the establishment of participatory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 national curriculum, establishing decentralized curriculum govern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s.

      • KCI등재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이경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9 No.2

        This study was planned and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ffected that a teacher implemented new curriculum in yearly order. A elementary teacher Kim participated this case study and implemented curriculum innovation for two years from 2004 to 2005. The curriculum innovation that was implemented by Kim was “elementary math curriculum innovation enhancing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implementation year, Kim did not implement the intention of the curriculum. Because she still relied on traditional teach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implemented the curriculum with the mind of uncertainty on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But in the second year Kim let the students solve the problems actively and implemented the intention of new curriculum. Because Kim deepened her understanding of curriculum. The study gives u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irstly, although teacher implemented the student-centered curriculum, curriculum understanding should be administered prior to student understanding. Secondly, teachers' curriculum understand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even if the clarity and practicality of curriculum are secured. Thirdly, teacher deepen his(her) understanding of curriculum by experience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교육과정 실행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사례를 통해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의성 증진을 위한 초등 수학 교육과정’이라는 새로운 교육과정을 실행한 김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김 교사가 처음 교육과정을 실행했을 때와 해를 거듭하여 다시 한 번 교육과정을 실행했을 때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김 교사는 교육과정을 처음 실행할 때 보다는 실행이 거듭되었을 때 새로운 교육과정의 의도를 더 많이 반영하여 실행했다. 여기에는 김 교사가 처음 교육과정을 실행할 때에는 교육과정에 대해 충분히 공감하지 못했지만, 실행 경험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 나간 점이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실행에서 학습자에 대한 이해보다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교육과정 실행의 진보적 변화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며, 교육과정이 명료하고 실천 가능하게 계획된 경우라도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는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교사는 실행 경험을 통해 교육과정에 대해서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요령’의 독도 기술 변화와 독도 교육 방향: 한국 초등과 일본 소학교 독도 교육을 중심으로

        도연경,이정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에서 교육의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요령’에 기술되고 있는 독도 교육의 방향 추이를 비교해보고 두 국가가 추구해야 하는 바람직한 독도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한국은 일본의 독도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독도 교육을 시작하였으며 일본은 한국보다 1년 늦은 2008년 개정된 중학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에 독도 영유권 주장을 기술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독도 기술은 교육과정이 개정을 거듭할수록 독도의 갈등적 이미지에서 평화적 이미지를 부여하기 시작했다. 이와 반대로 일본은 소학교 학습지도요령이 개정될수록 독도에 한국과의 갈등적 이미지를 부여하고 독도가 고유영토라는 인식으로 정교화하고 있다. 양국이 독도에 부여하는 이미지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지만 양국 모두 독도 교육을 통해 상대국을 매우 적대적으로 인식시키고 있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국 모두 정치적 이득을 위해 독도 교육을 이용하면서 독도 교육이 국가에 의해 평화에 이바지하는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의 본질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첫째, 한국과 일본이 함께 화해와 평화라는 공동의 목표 인식을 공유하고 국가 차원에서 공동으로 장기간 투자와 제도적 장치 마련을 해야 한다. 둘째, 양국은 자국중심적인 평화 인식을 극복하고 인류보편적이며 다원주의적 평화를 추구할 수 있는 독도 교육이 되어야 한다. 결국 한국과 일본의 독도 영유권 문제는 양국이 가지고 있는 독도 인식과 평화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이 인식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국 모두 국가 차원에 독도 교육에 건전한 영토 인식과 다원주의적 평화 인식이 부여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rends in the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described in the 'Curriculum' and 'Curriculum guideline', which are the basis of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and to seek the desirable direction of Dokdo education that the two countries should pursue. Korea started Dokdo education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o respond to Japan's provocations on Dokdo and Japan began to describe its territorial claim to Dokdo in the 2008 revised middle school instruction manual. The description of Dokdo in Korea's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egan to give a peaceful image from the conflicting image of Dokdo as the curriculum was repeatedly revised. On the other hand, as Japan's elementary school learning guidelines are revised, it gives Dokdo an image of conflict with Korea and elaborates on Dokdo's perception that it is its own territor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age that the two countries give to Dokdo, but it is common that both countries perceive the other country as very hostile through Dokdo education. And while both countries used Dokdo education for political gain, Dokdo education diverged from the essence of education by the state to nurture talents who would contribute to peace. To overcome this, first, South Korea and Japan must share the common goal of reconciliation and peace, and jointly make long-term investment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at the national level. Second, education on Dokdo should enable both countries to overcome their nationalistic perception of peace and pursue universal and pluralistic peace. In the end, the issue of territorial sovereignty between Korea and Japan stems from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okdo and pea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sound territorial awareness and pluralistic peace awareness should be given to Dokdo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in both countries.

      • KCI등재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체계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한 연금교육 개선방안 모색

        성혜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수록된 연금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금교육의 내용과 수준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사회과와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에서 연금교육과 관련된 영역은 무엇인지, 내용체계에 따른 연금교육 관련 성취 기준과 그 접근 관점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또한 성취 기준의 달성을 위해 활용된 각 교과서별 연금교육의 내용 체계성과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총 5개 영역이 연금과 관련이 있었고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총 2개 영역이 연금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육과정에서 각각 1개 영역이 연금과 관련이 있었다. 해당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을 분석한 결과 고령화 대책, 복지 서비스, 사회보장제도의 이해, 생애 재무설계를 위한 수단이라는 총 4개의 관점에서 연금에 관한 내용이 학습되고 있었다. 각 출판사 별로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노후 대비를 위해 연금이 필요하다는 수준의 개괄적 기술에 그친 교과서를 비롯해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을 구분하고 퇴직연금 및 개인연금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 교과서도 있는 등 내용의 깊이에 큰 차이를 보였다. 향후 학교 연금교육이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회보장제도의 이해를 위한 연금교육과 개인과 가족의 생애설계를 위한 재무교육의 2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성취 기준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적연금제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사회보장 교육에 관한 중점 학습항목과 학습내용을 정해 발표하여 각 교과서 집필진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할 것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identify the contents and level of pension education in school through analysis of the pension related information in textbooks and curriculum. First we evaluated what areas are related to pension education in the cont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Secondly,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and approaching perspectives in pension education are also analysed. Lastly, the differences among the contents of pension education in textbooks are analysed. In the results of contents analysis, five areas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two areas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are related to pension. And each one area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high school home education are related. In the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se education areas, four perspectives - aging society, welfare service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ecurity and lifetime financial planning means - are used in learning pension. In the analysis of textbooks published by various publishers,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pth of content. Some books distinguish between public pensions and private pensions and include a description of the retirement pensions and private pensions. In conclusion, to make pension education systematic and technical, it is suggested to announce two-dimensional educational standards. One is for pension education for an understanding social security and the other is financial education for the design of individual and family lifetime. I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ublic pension and necessity of systematic design for lifetime retirement.

      • KCI등재

        독일의 5, 6학년 역사교육 :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배지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독일 남서부 바덴-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 주의 역사과 교육과정 및 코넬젠(Cornelsen) 출판사의 5, 6학년 역사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교육의 지방자치 성격이 강한 독일에서는 국가 즉 연방 차원이 아닌 16개 주(洲) 정부의 교육부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며, 주요 출판사에서는 주 단위로 다른 버전의 역사 교과서를 제공한다. 인문계와 실업계 중등학교의 역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도 구분되어 개발되기 때문에 그 종류가 다양하다. 독일의 학교급은 대체로 초등 4년, 중등 8년으로 구성되어 한국과 달리 5, 6학년은 중등학교의 1, 2학년에 해당되지만 학생 연령은 한국의 초등 5, 6학년과 같다. 따라서 본 글은 주로 한국의 초등 역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염두에 두고 독일 중등 역사교육의 저학년 부분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 첫째,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정부의 2016 역사과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역사 학습 과정상의 역량을 강조하며 이를 각 학년군에서 다루는 시대사 내용과 통합하여 안내하였다. 둘째, 해당 지역의 인문계 중등학교* 제1저자 및 교신저자, Bae@stud.uni-heidelberg.de 1) 흔히 유럽의 학교 교육제도를 복선형 학제, 이에 비해 한국의 학교 교육제도를 단선형 학제라 본다. 물론 두 지역 모두 사회·경제적 지위 등에 관계없이 개인의 능력에 따라 교육받을 수 있는 단선형 학제인 기본 의무교육을 하고 있으나 인문계와 실업계의 선택을 비교적 빨리 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위와 같이 구분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실업계가 아닌 독일 인문계 중등학교의 1, 2학년 교육내용을 단선형 학제 하에서의 초등 5, 6학년 교육내용과 비교할 수 있는 대등한 범위의 내용으로 간주하였다. 용 역사 교과서 중 코넬젠 출판사의 역사 포럼(Forum Geschichte) 5/6학년 교과서는 ‘역사와의 첫 만남’이라는 역사 학습에 대한 개념 형성을 돕는 도입 단원이 있다. 단원은 두 페이지에 하나의 소주제를 다루는 옴니버스식 구성을 취하며, 각각의 소주제는 설명글·사료·역량확인문제의 세 요소로 구성된다. 역사과목의 학습방법을 별도로 소개하는 코너도 있다. 독일의 사례를 통해 한국 초중등 역사교육의 역할분담에 대한 논의, 다원적 사고를 지향하는 학습 방향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교육과정에의 역사 연구 역량의 구체적인 적용, 역사교과서 내용의 질적 양적 개선을 제안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Curriculum of Baden-Württemberg for 5th and 6th graders and the History Textbook published by Cornelsen. In German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re generally composed of 4 and 8 grades. Therefore the 5th and 6th grades are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the secondary school, while in South Korea, the 5th and 6th grades are the last two years in elementary school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2016 History Curriculum of Baden-Württemberg emphasizes the historical competences of History Learning process to improve pupil's Historical Thinking Ability and concretely represents them to the related chronological history contents. Second, the 5 and 6th grade textbook has an introduction unit called 'First Meeting with History', which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history subject. The units are composed of various topics in the Omnibus format on every two pages. Each topic consists of three elements: Descriptive Text, Historical Sources, and Competency Checking. The history textbook also includes Methodology segments which elaborate various ways to study history with different types of historical sources and media. This research proposes a discussion to allocate the role of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in South Korea, the necessity of a redirection of nationalistic history education towards a Pluralistic Identity, an application of the historical competencies to the curriculum, and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of history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