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한국과 중국 교사들의 내러티브 연구

        리 샤오훼이(Xiaohui Li)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2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교사가 교육주체로서 겪게 되는 어려움과 요구 및 교육적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다.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초등학교 교사 각 3명, 총 6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주요한 현장 택스트(field texts)로 삼았다. 그 이후도 내러티브 탐구 절차를 따라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을 관련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사례가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과정과 의의를 찾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을 관련한 교육과정 비교 연구 분야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사례가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 방식의 적용과정과 의의를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that reflect the narrativ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by talking about the experi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related t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and finding their meaning.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is developed and carried out at school sites, and school members collaborate voluntarily and independently with external experts based on the school's unique characteristics, conditions, facilities and resources available for th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national and regional curriculum. It refers to the operation activity that creates a series of educational documents.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is influenced by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such as the environment to which teachers belong, the interactions among teachers, and the teachers' own values and thoughts. Accordingly,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experience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experiences, perceptions, thinking, and judgments experienced by teachers as they interact with people in specific places of life.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중국 전문대학 질 관리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향

        딩치우진(Qiu-Jin Ding)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4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중국 전문대학 질 관리의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중국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전문대학 교육과정의 주로 문제는 교과목 구성의 문제, 교수 학습의 문제, 교육과정 평가의 문제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방안으로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개발, 성과기반 교육과정의 개발, 질 관리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런 개발 방향이 백워드 설계에 기반 질관리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실용적이고 효과적이다.또 이런 연구 결과가 향후 중국 전문대학 인재 양성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quality management in Chinese college based on backward design. To achieve this purpose, a new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was proposed by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Chinese college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the curriculum. The main problems of the college curriculum are the problem of subject composition, teaching and learning, and curriculum evalu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ew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a performance-based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quality management were proposed as a solution. In conclusion, this development direction is practical and effective in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quality management based on backward desig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alent training of college in China.

      • 내러티브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과 과제

        강현석(Hyeon-Suk Kang),김수영(Su-Yeong Kim)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2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1 No.1

        최근 교육과정 구성과 개발에 대한 다양한 담론들이 등장하고 있다. 동시에 그 과정에서 핵심적인 교육내용 요소에 대한 입장도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교육과정 구성과 개발에서 교육내용의 문제는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관련하여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어느 특정 입장에서의 내용만을 고려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최근에 합리주의적 관점에서 편향적으로 강조되어온 교육과정 체제에 대하여 다양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내러티브 인식론에 의한 내러티브 교육과정은 그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내러티브 교육과정은 그간의 편향된 교육과정과 상호보완적으로 학교교육에 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의 과정을 이루는 여러 측면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거기에 기초하여 교과목 개발과 교과서 서술의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학교교육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는 노력은 장차 중요해질 것이며, 인간 사고와 지식의 다양성에 기초하여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내러티브 교육과정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기대된다. There are many discourses about curriculum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possi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curriculum excluded in paradigmatic curriculum system. Recently, various discourses about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re emerging. At the same time, various positions are being developed on key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in the process. In curriculum composition and development, the issue of educational conten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relation to the goal to be achieved. Therefore, it is inappropriate to consider only the content from a specific position. Recently, various criticisms have been raised against the curriculum system, which has been biasedly emphasized from a rationalist point of view. A narrative curriculum based on narrative epistemology can be an alternative. The narrative curriculum is complementary to the biased curriculum and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qualitatively to school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he narrative curriculum in various aspects of the educational proces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xtbook description based on it. Efforts to provide a narrative curriculum in school education will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and based on the diversity of human thinking and knowledge, a richer and more diverse curriculum should be experienced. A more in-depth study of the narrative curriculum is expected.

      • 지역 교육과정을 다시 생각해보기: 지역 삶을 토대로 하는 인간발달의 교육과 교육과정 설계

        강현석(Hyeon-Suk Kang),노진규(Jin-Gyu Noh)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2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1 No.1

        최근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대항 담론으로 지역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간 지역 교육과정은 국가의 중앙 교육과정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혹은 학교 교육과정과 국가 교육과정을 매개하는 중간적 위치로 기능해온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 교육과정에 대한 기존의 이해 방식을 넘어서서 그 본질적 성격을 탐색해본다. 그 중심으로 지역 교육과정과 인간 삶의 문제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지역은 인간 삶의 토대로서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일치한다. 지역 삶을 토대로 하는 인간 발달의 교육을 추구하는 교육과정이 지역 교육과정의 기본 정심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교육 과정의 이해 방식과 이를 구체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 설계 방식을 제안해본다. 이러한 방식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2022 개정 교육과정과의 기본 취지에도 부합한다. 이제 지역 교육과정은 국가 교육과정이나 학교 교육과정과의 매개적이거나 보조적 수단이 아닌 그 자체의 본연의 역할과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as a discourse against the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local curriculum. The local or regional curriculum has a strong tendency to function as an auxiliary means of the national central curriculum or as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in this study, we go beyond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local curriculum and explore its essential characteristics. We would like to approach the problem of the local curriculum and human life as the center of it. Regions or cites are the basis of human life and are consistent with the orientation of the curriculum. A curriculum that pursues education for human development based on local life should be the basic spirit of the local curriculum. To this end, we propose a method of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and a new curriculum design method that can materialize it. This method is also in line with the basic purpose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Now,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local curriculum, not as a mediating or auxiliary means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or school curriculum.

      • 중학교 기술 교과 교육과정에의 IB MYP Design 교육과정 적용 방안

        조웅민(Ung-Min Cho)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2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기술 교과에의 IB MYP Design 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현재 제주시교육청, 대구시교육청 등 다양한 교육청에서 IB 교육과정을 공교육에 적용하고 있다. 그에 따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IB 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다양한 교과에서 연구되고 있다. 특히 기술의 혁신으로 급변하고 있는 현대에 기술 교과 교육은 보다 강조되어야 하지만,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미포함 교과라는 인식과 다른 교과와 함께 묶여 있는 현실로 인해 기타 교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변화하는 시대를 주도하고 있는 기술에 대한 이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에 따라 2015 개정 중학교 기술 교과 교육과정과 IB MYP Design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두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 후 효과적인 단원 설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5 개정 중학교 기술 교과 교육과정은 핵심 역량과 일반화된 지식 등을 내용 요소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구체적인 성취 기준에서 도달하였는지 확인하는 다양한 평가 방법 또한 제시하고 있다. IB MYP Design 교육과정에서는 Design cycle을 중심으로 모든 과정에서의 설계 및 기술적 요소를 교수-학습 단계에서 성취하였는지 평가하고 그러한 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본질적 질문을 단원의 핵심 질문으로 제시하고 있다. 두 교육과정은 개념기반 교육 과정,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요소를 활용하고 있으므로 유기적인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중학교 기술 교과에서 반드시 활용되는 고차원의 구조화된 문제를 쉽게 설계하는 단원 설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안은 기술 교과의 교실 수업 개선과 IB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데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IB MYP Design curriculum can be applied to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Currently, various school districts such as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re applying the IB curriculum to public education. Accordingly, the application of the IB curriculum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is a national-level curriculum, is being studied in various curriculums. In particular, in modern times, which are rapidly changing with the innovation of technology, the technical curriculum should be emphasized more, but it is recognized as a different curriculum due to the perception that it is an no-included subject in the college math proficiency test and the reality that it is tied together with other subjects. However, an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ies that are driving the changing times cannot be over-emphasized. Accordingly, we will analyze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and the IB MYP Design curriculum to identify the link between the two and propose an effective unit desig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presents core competencies and generalized knowledge as content elements, as well as a variety of assessment methods to ensure that specific achievement criteria have been reached. The IB MYP Design curriculum focuses on the design cycle, assessing the achievement of design and technical elements in all courses at the teaching-learning stage and presenting essential questions to identify such courses as key questions in the unit. Both curricula utilize elements of a concept-based curriculum, an understanding-oriented curriculum, so organic transformations will be possible. Based on this analysis, I would like to propose a unit design that easily designs high-level structured tasks that are necessarily utilized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These methods could provide effective ways to improve classroom teaching in the technology subject and to apply the IB curriculum to the school field.

      • 내 삶의 동행자: 내러티브로서의 삶

        이원희(Won-Hee Lee)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3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1

        교육과정 공부는 학술적 전문 분야이면서도 나의 삶을 지탱해 온 중요한 원천이다. 교육과정 공부를 학술적으로 해 온 지나온 세월들을 반추해보는 일은 나의 삶을 돌아보는 일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것 같다. 교육과정이나 교육학을 전공하는 이라면 ‘앎’과 ‘삶’의 말은 늘 반성적으로 생각하면서 살아야 할 화두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세상의 어느 누구라도 앎과 삶을 따로 떼어 놓고 사는 이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교육학이나 교육과정에 대한 학문적 성찰에 연유한다. 좀 더 부연하자면, 나는 교육학이나 교육과정을 공부하면서 ‘내’가 빠진 공부를 했던 것을 반성한다는 말이다. 내 삶의 동행자가 여럿 생긴 이상에는 그들을 위한 공간과 시간을 마련해주는 일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이 아닌가 한다. 지금은 가르치고 계획해야 할 대상이 학생이 아니라, 나 자신으로 바뀌었다. 나를 중심으로 미래를 설계하고 실천하는 일을 위해 오늘도 반성하는 삶을 살고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내 삶은 나의 교육과정 공부의 내러티브로 머무리가 되는 것 같다. Curriculum study is an academic specialty, but it is also an important source of support for my life. Reflecting on the years of academic study seems to have the same meaning as reflecting on my own life. If you are majoring in curriculum or pedagogy, the words "knowing" and "living" must always be topics that you should think about and live reflectively. But if you think about it a little more, you will see that no one in the world lives in isolation from Knowledge and life. This idea is related to academic reflection on pedagogy or curriculum. To add a little more, I am reflecting on what I did while studying pedagogy or curriculum that "I" was missing. Now that I have several companions in my life, the first thing I need to do is to make room and time for them. Now, instead of being a student to teach and planning, I am now a person. I am trying to live and practice a life of reflection today in order to design and practice the future centered on me. My life seems to be the narrative of my curriculum study.

      • 국가교육과정과 마을교육공동체 교육과의 상생 방안에 대한 시론적 탐색

        김필성(Pil-Seong Kim)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3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국가교육과정과 마을교육공동체 교육의 상생 방안을 시론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학교와 지역사회가 협력하는 마을교육공동체가 시대적인 과제가 되는 상황에서 교육적 연계를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가 단순히 교육 업무 분담하는 관계를 넘어서 국가교육과정 및 성취기준 중심의 협력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첫째,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 즉 마을교육공동체 교육을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협력으로 이해해야 한다. 둘째, 학교와 지역의 협력에 토대를 둔 지역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성취기준 중심의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이 필요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 교육 연계가 국가교육과정과 성취기준 중심의 소통과 협력에 기초해야 하며, 이를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의 교육 연계가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In this study,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education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re intended to explore ways to coexist theoretically. It is necessary to solidify the educational connec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village educational community in which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cooperate is becoming a task of the times. To this end, it was discussed that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need to go beyond simply sharing educational tasks and cooperat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First, school and community cooperation, that is, village education community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cooperation between the formal curriculum and the potential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ocal curriculum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reg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centered on achievement standards. Through the discussion above, it was emphasized that the link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enter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through this, the link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education can be stable and sustainable.

      • IB MYP 교육 프로그램과 공교육의 만남에 대한 사례 연구

        전순정(Soon Jeong Jeon)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4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2

        교육생태계가 급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학교현장에서의 미래교육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탐색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논의 또한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실현 방안의 하나로 IB 교육과정이 국내에 도입, 공교육에서 실행되고 있으나,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기대와 우려에 대해 논하기 위해 IB MYP 인증학교의 수업-평가 사례(언어와 문학)를 살펴보고, 교육과정 운영의 틀로서 교수-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 경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근거로 IB MYP와 국가수준 교육과정 결합의 적합성과 타당성, 운영의 방향성에 대해 탐색해 볼 것이다. At a time when the educational ecosystem is rapidly changing, exploration of the meaning and purpose of future education in schools is more necessary, and discussions to realize this must also take place from various angles. As one of these realization measures, the IB curriculum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and implemented in public education, but the reality is that expectations and concerns coexist. To discuss these expectations and concerns, we look at teaching-assessment cases (language and literature) at IB MYP-certified schools, As a framework for curriculum operation,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impact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learners and teachers. Additionally, based on this, we will explore the suitability, feasibility, and direction of operation of combining the IB MYP with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 미래 교육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담론의 특징과 문제: 교육의 언어와 근본을 생각함

        강현석(Hyeon-Suk Kang )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3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자주 논의되는 미래 교육에 대한 담론의 특징을 살펴보고 거기에 담겨진 문제점을 비판하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자주 발견되는 미래 교육에 대한 담론의 특징으로는 교육이 사회 변화의 종속 변수라는 점, 사회 변화에 따라 시급하게 혁신해야한 다는 점, 교육 문제는 다른 사회 문제와 복잡하게 얽혀있다는 점, 대학입시를 바꾸어야 교육이 변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한국처럼 외국에서도 교육 문제를 위한 개혁이 자주 이루어졌지만, 대부분 미완성의 절충으로 그쳤다. 그 핵심적 이유로는 교육의 본질을 반영하는 교육의 언어의 특징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교육의 언어와 근본을 교육적으로 고려해야 미래교육 담론을 유의미하게 구성해나갈 수 있다. 교육의 언어는 문화 속에서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주제들의 마음과 내러티브를 주목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on future education, which is often discussed in Korean society, and aimed to criticize the problems embedded in educational discour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on future education that are often found in Korean society include the fact that first, education is a dependent variable of social change, second, it is necessary to innovate urgently according to social change, third, education is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other social issues, and finally education will change only by changing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Korea, reforms have often been made for the sake of education, but most of them have been unfinished compromises. The core reason for this is that it ha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of education, which reflects the essence of education. The language and fundamentals of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educationally in order to meaningfully construct the discourse on future education. The language of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minds and narratives of the subjects that construct meaning in the culture.

      • 한국교육의 실패와 희망에 대한 또 하나의 미래교육 담론: Bruner의 내러티브론을 중심으로

        강현석(Hyeon-Suk Kang)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4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2

        It can be said that the discourse on education problems and crises in Korea has always existed in various ways, and it is still being produced and reproduced and disseminated in various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arrative theory proposed by Bruner as a theoretical perspective for discussing the issue of Korean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future prospects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is theory. Diagnosing the failure of Korean education and constructing a new hope here is possibl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theory of human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narrative theory as its theoretical foundation. The romantic narratives about the future of education, which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unreasonably, tend to be very bureaucratic and administrative, lacking authentic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and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way of human existence. According to Bruner's discussion, the possibility of renewing the hope of Korean education will be opened up in the path of recreating the language of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human self as a narrative being. In order to achieve these expectations and objectives, the main issues to approaching these objectives was discussed. 한국의 교육문제와 위기에 대한 담론은 늘 다양하게 존재해왔고, 지금도 여러 방식으로 생산, 재생산되면 유포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교육문제에 대해서 숙고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적 조망으로서 Bruner가 제안한 내러티브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그 기반 위에서 한국 교육의 방향과 미래 전망을 해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 교육의 실패를 진단하고 여기에서 새로운 희망의 구성은 인간교육론의 구성으로 가능하며, 그 이론적 토대로서 내러티브 이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무리하게 논의되는 미래교육에 대한 낭만적 이야기들은 교육의 본질과 목적, 인간 존재 방식에 대한 심각한 논의가 결여된 채로 매우 관료적, 행정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인다. Bruner의 논의에 의하면 내러티브 존재로서 인간의 자아 구성에 주목하여 교육의 언어를 새롭게 창조하는 길에서 한국 교육의 희망을 새게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릴 것이다. 이러한 기대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탐색해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