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공연문화 연구동향의 의미연결망 분석

        황동열 ( Dong-ryul Hwang ),권예지 ( Yae-ji Kw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7

        본 연구는 공연문화분야의 학문적 정체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공연분야 연구의 대표적 학회지인 한국공연문화학회에서 발행하는 <공연문화연구>에 수록된 45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공연문화분야의 연구동향과 추세를 분석하였다. 세부연구과제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명을 대상으로 <고전희곡연구>에서 <공연문화연구>로 제호변경 전후의 연구수요 변화현상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2005년부터 2017년까지<공연문화연구>의 논문명, 주제어, 초록을 대상으로 <공연문화연구>의 시기별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공연문화분야의 변화현상을 파악하고 미래예측을 통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academic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and to grasp the trend of th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related papers based on 455 whole articles in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by the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Association from 2000 to 2017. Through this research, the trends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in the period of time were identified, and the phenomenon of the performance culture field an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기획논문-주제 : 지역 민속연희와 공연문화유산 ; 제주 해녀들의 삶과 생활을 활용한 공연 스토리텔링 연구

        김미경 ( Mi Kyung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1

        본고는 우리 민족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문화 속성들을 파악한 다음, 우리의 고유한 문화원형(Prototypes) 중에서 특히, 무형문화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을 중심으로 어떻게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잘 활용하여 문화콘텐츠(Cultural Contents)로서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Brand)를 만들 수 있느냐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궁극적인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21세기 강인한 여성의 대표주자로 바다에서 삶을 살아가면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제주 해녀들의 삶과 생활을 어떻게 스토리텔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해 보고, 그들의 중요한 가치를 추출해 내고자 했다. 2013년 12월 19일, 문화재청 무형문화재분과위원회는 “2015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한국대표 종목으로 제주 해녀문화를 등재 신청하기로 심의 의결했다. 그러나 문제는 일본의 “아마(Ama)”라는 해녀의 추격이다. 일본은 “아마”를 등재하기 위해 폭넓은 국내외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 우리가 긴장하지 않으면 세계인들이 제주 여성의 강인한 생명력을 담고 있는 바다의 어멍 - “해녀”라는 소중한 우리의 독특한 무형문화유산의 이름을 알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런 시의성(時宜性)을 고려해 제주 해녀들에 대해 통시적인 관점과 공시적인 관점을 접목시켜 연구해 보고자 했다. 특히, 현재 제주 성산포에서 실제로 공연되고 있는 제주 해녀들의 성산포 공연 스토리텔링을 찬찬히 살펴보고 앞으로 제주 해녀들의 삶과 생활을 활용하여 더욱 풍부하고, 다양한 공연 콘텐츠를 담아내는 스토리텔링 연구 방안이 무엇인지 고민해 보고자 했다. 이는 제주 해녀들의 공연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여 세계인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빅 킬러 콘텐츠가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표를 둔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gure out the unique cultural attributes of Korean people, make good use of storytelling around the unique Korean cultural prototypes, especiall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ultimately suggest a direction for creating a representative Korean brand with cultural contents. The study set out to examine how to utilize the life and living of Jeju Haenyeos(female divers), who live a life in the ocean and take care of the family livelihood as the model of strong women in the 21st century, as well as to extract their critical values. On December 19, 2013,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bcommitte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nsidered and decided to make an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Jeju Haenyeos culture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of 2015" as the representative item of Korea. The problem is, however, the chase by Japanese female divers called "Ama divers." The efforts to register them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becoming full-blown in Japan, which has carried out broad promotional activities to achieve the goal. If Koreans do not get tense about the whole situation, the world can be deprived of a chance even to hear the name of "Haenyeos," who are the mothers of the sea possessing the strong life force of Jeju women and represent the unique, preciou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Korea. Considering such timeliness, the study investigated Jeju Haenyeos by combining the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s. In particular, this study set out to closely examine the storytelling of Seongsanpo performance by Jeju haenyeos, which is put on the stage in Seongsanpo, Jeju these days, and contemplate over storytelling research plans to make use of the life and living of Jeju haenyeos and deliver richer and more diverse performance content. The ultimate purpose was to propose directions for big killer content to attract the global attention by developing storytelling for the performance of Jeju haenyeos.

      • KCI등재

        일반논문 : 공연예술축제를 구성하는 “예술성”과 “축제성”의 특성 분석 -아비뇽 페스티벌의 사례를 중심으로

        류정아 ( Jeung Ah Ryo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2

        90년대 중반 이후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던 축제는, 비록 적절한 속도의 조정을 받기는 하겠지만, 앞으로도 계속 그 수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직접적인 체험과 참여 속에서 자신들의 문화예술적 욕구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수가 많아지면서 축제에 대한 수요의 정도와 구체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축제문화는 아직도 직접적인 참여보다는 관객의 입장에서 수동적으로 즐기는 경향이 강하고 이러한 경향은 축제문화가 삶 속에 뿌리 내리기 전까지는 당분간 지속되리라고 볼 때, 늘어나는 축제의 상당부분은 축제 참여자가 여전히 관객으로 남아 있는 공연예술축제가 되리라는 점에 대해서 의심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현재 일반시민들의 참여적 문화예술적 욕구를 공연예술축제로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로 인해 공연예술축제의 예술성과 축제성이 각각의 특성을 어떻게 잘 표현해 내는가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공연예술축제에서는 축제적 특성과 예술적 특성 간에 상호 충돌과 갈등이 일어날 수밖에 없어서 이 두 요소에 대한 면밀한 분석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공연예술축제는, 여타 종류의 축제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많은 예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자생력의 문제로부터 자유롭기가 어렵다는 점,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공연예술축제가 증가하면서 프로그램이나 재원의 구성에서 차별성이나 독립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여유를 갖지 못하고 있다는 점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공연예술축제가 예술성과 축제성보다는 상업적 대중성에 영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여 축제가 지녀야 할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자율성에 침해를 당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공연예술축제가 현대사회에서 가지는 중요성이 점차 커져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공연예술축제가 가진 기본적인 속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비뇽페스티벌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연예술축제에서 예술성과 축제성의 특성이 발현되는 양상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공연예술축제의 미래 발전방향을 예측하는데 참조 가능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공연예술축제의 본질적 성격과 의미 그리고 미래의 방향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향후 보다 구체화된 문제 중심적 축제연구의 진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number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is growing increasingly in South Korea. This trend is mainly held in large cities which are difficult to communicate closely among residents. South Korea, while the pace of city life and speed of development are very fast, increasing number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with communal characteristics is in the natural process of festival evolution in large cities. In the evolution of the contemporary festival, it is natural to see some increase of modern festival afte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and folk festivals. It is important that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express the two elements, artistic character and festivity, not only in distinctively but also in harmony.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should consider the process of the organization, human resources, networking systems of the human communication process, resource use, etc. For the success of the festival, we must obtain the complementary effects between two attributes: festival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senses. Therefore, we chose the ``Festival d`Avignon`` as the reference of the total representation of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festivity. From the case of the Festival d`Avignon, we get the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festival in South Korea. To explain the festival value and artistic significance of the Festival d`Avignon, we explained the spontaneity and openness to public particip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tators and works, the representation of memory and communicative image, etc. To explain the artistic attributes of the ``Festival d`Avignon``, we explained the mission to reconcile the artistic and the popular, to promote the artistic know-how, understanding how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o consider more artistic quality than commercial benefits. Essentially, this study shows the meaning and the vision to forecast the future as well as the recent proliferation in various fields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This study may help to improve analytical precision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후기 관서지방의 공연 시공간과 향유에 관한 연구

        송혜진 ( Hye Jin So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2

        본고는 조선후기 관서지방 공연문화의 시공간과 향유에 관한 연구이다. 관서(關西) 지방은 중국 대륙과 인접한 접경지대로 군사적 요충지이자 대외무역과 상업의 발달로 재화가 풍부한 문화의 중심지였다. 조선후기에는 중국과 조선을 오가던 수많은 사신과 역관, 상인들이 이 지역을 경유하였고, 1~2년 간격으로 관찰사가 교체되었으며, 지역 인재 선발을 위한 도과(道科)과 빈번하게 시행되면서 환영과 전송 의례, 위로, 향연에 따른 공연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와 같은 양상은 여러 문헌자료와 읍지(邑誌), 그림 자료로 전하며, 문학, 음악, 무용, 민속학 분야의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관서악부>를 비롯하여 평양, 성천의 자연과 풍류를 노래한 가사문학작품, 연행록 등을 문학작품을 세밀하게 읽다보면,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해 온 공연의 종목과 악기편성, 음악기구, 음악인 등 뿐 만 아니라 공연활동의 주체와 시공간, 향유방식에 대한 유용한 정보들이 매우 풍부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를 통해 공연이 ``어디서``,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언제, 얼마나 긴 시간 동안 지속되었고, 공연의 규모는 어느 정도였는지, 관객과 공연주체가 어떻게 소통하였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 음악과 춤에 관한 단적인 정보 외에 ``공연``, ``사람``, ``시간``, ``공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미진했던 ``전통공연예술 양식`` 연구의 기반이 되리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서악부> 108편, 한글 가사 작품 8편, 한문연행록 9종에 표현된 공연관련 정보를 ``주요어`` 에 주목하여 분석한 결과 조선후기 공연문화의 시공간과 향유 양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공연의 시기와 시간, 전체 소요시간에 대해서는 별도의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는 않았다. 사신연의 경우, 국가나 개인의 상례(喪禮), 기일(忌日) 등의 ``금지사유``가 없는 한, 더위나 추위를 무릅쓰고라도 진행되었다. 그 외에 계절을 선택하여 ``놀음``을 벌일 경우, 계절적으로는 ``삼사월 좋은 때``, ``춘풍`` 불고 ``일기 화창``한 날과 ``가을 물결`` 아름다운 ``추강(秋江)``의 계절이 선호되었다. 공연 시간 대는 ``아침밥을 먹고 나서``, ``포시(오후 4시경)``, ``석반을 물리치고~``, ``야심(夜深)``, 의 예에서 처럼 매우 가변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밤에 열리는 야연(夜宴)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공연의 지속시간은 ``잠깐보고``부터 ``전날 오전부터 다음날 낮까지`` 차이가 컸다. 공연시간대와 전체 소요시간은 사신일행의 일정에 영향을 받았다. 공연 공간은 자연, 누정이나 관아의 건축 공간, 선유놀음의 선상 공간, 영송(迎送)의 행차음악이 연주된 연도(沿道)로 구분해볼 수 있었다. 평양의 연광정, 부벽루, 성천의 백상루, 선천의 의검정, 천연정, 의주의 통군정 등의 건축공간과 강상에 배를 띄운 선유놀음의 크고 작은 선상공간은 관서지방 공연문화의 중심이었다. 공연 공간에는 공연주체와 좌상(座上)객의 필요에 따른 주물상, 다담상, 찬을 갖춘 상, 병풍, 의자, 향로 등이 구비되었으며, 야연에서는 청사초롱, 홍촉대, 횃불이 갖춰졌다. 약산동대 등, 자연 공간에서의 공연도 선호되었다. 공연 향유와 관련하여 공연주체와 관객, 공연내용, 향유자의 소감과 비평 등을 살폈다. 공연주체는 기생과 무동, 악공, 전악, 취타군, 무동, 가아(歌兒) 등 수많은 명칭이 사용되었다. 특히 공연에서 춤과 노래, 연주를 담당했던 기생에 대해서는 기생의 수, 연령, 역량, 이미지 등을 알 수 있는 아주 많은 이칭(異稱)이 조사되었다. 공연에서 향유자는 유객(遊客), 좌상(座上)으로 불렸고, 특정 작품에서는 ``풍류 태수``, ``학탄 신선`` 등의 표현도 사용되었다. 향유자들이 즐긴 공연은 정재류의 춤과 관서지방의 민속무, 이에 따른 삼현육각 편성의 음악, 12가사, 한문 낭송조, 잡가, 민요, 광대소리 등의 노래, 거문고, 가야금, 양금, 피리, 해금, 퉁소, 옥저 등의 기악 독주, 혹은 병주. 행차에 따른 연주 등이었다. 세부곡목에 주목해보면 조선후기 관서지방에서는 궁중 예술과의 교섭이 매우 활발하였고,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었던 <홍문연>, <항장무>, <선유락> 등의 레퍼토리를 탄생시켰는가 하면 고유의 민속가무도 함께 향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공연의 규모는 ``대연``, ``크게 벌이다``, ``수삼 동기``, ``성천기 7명``, ``60기생``, ``기생 2~3명``, ``삼자비`` 등으로 표현되거나 독주, 독창, 독무인 경우 이름으로 표기하였다. 역시 공연 계기와 장소에 따라 공연의 규모가 매우 유동적이었음을 알려준다. 공연자의 연령은 10대 초반부터 늙은 기생까지 다양하게 소개되었는데, 특히 어린 기생들의 가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공연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지만, 반대로 ``잡악(雜樂)``, ``졸렬``, ``웃음거리``로 분류되어 외면당한 예도 있다. 그런가 하면 여러 지역에서 유사한 공연종목을 관람한 뒤, 이를 ``비교(比較)`` 평가한 예가 있는데, 이는 관서지방 공연문화 향유양상을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생각된다. 공연은 주로 사신맞이. 사신연, 순행에 따른 연회 등 공적인 성격을 띤 것이 많았고, 그밖에 사적인 향유 차원에서 이루어진 예도 적지 않게 조사되었다. 관서지역의 사신맞이는 대동강의 관선을 이용한 도강(渡江)의례가 특징적이다. 이는 관찰사, 부사, 감사 등의 관리의 이임과 부임뿐만 아니라 정례적으로 중국에 오가던 사신일행의 행차가 끊이지 않았으므로 이와 관련된 공연문화의 지속성이 탄탄하게 확보될 수 있었다. 이와같이 ``주요어 추출``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관서지방의 공연 시·공간과 향유양상에 관해 살핀 본 연구는 향후 관서지방의 재정과 경제, 생활문화의 측면과 관련지어 ``관서지방 특유의 공연문화``를 밝히는 연구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지금까지의 연구가 미진한 전통공연예술의 시공간과 공연양식에 관한 연구의 외연을 넓히는데 풍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time-space and appreciation of the performance culture of Gwanseo region, which is considered to have formed a characteristic culture in late Joseon period. For this purpose, 4 gasa written in hangeul (Korean alphabet), as well as 4 yeonhaeng gasa, 108 articles of Gwanseoakbu were examined. Plus, among the 9 types of yeonhaengrok (Documents of Performance cul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hose parts which describe the performance traits have been analyzed. Then, ``main list of terminology`` has been deduced based on the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points:1) subjects of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2) time and period of performance 3) space of performance 4) contents of performance 5) background and motive for performance and 6) method of performance. Through this process, various ``nouns`` and ``predicate verbs`` in relation to performance culture emerged, which were systemized according to types of performance elements and categories. Major terminology includes predicate verbs and symbolic verbs such as ``nokuihongsang,`` ``baekdaehongjang,`` ``jeolsaekgeumga,`` ``cheonga,`` ``hwaryu,`` ``gamuja,`` and ``tongsoja,`` as well as the terms already known such as gisaeng, iwon, yangbang, akgong, and jeonak, which refer to musicians and dancers. Subjects of performance were divided into performers and listeners, categorized into concert, music, and dance, according to performance form. In the case for music, it was divided into instrumental or vocal, solo or accompanied (byeongju, self-accompaniment). In the case for vocal music, noteworthy was the inclusion of profesional artist`s singing (called gwangdae or uchang). The record of 23 names of popular artists from Gwanseo region, with mention of special talents for each person, reflects the degree of activeness and artistic level of the province. Depending on the appreciating patrons, the audience were indicated as the terms including ``yugaek (party guest),`` jwasang,`` ``on jwaseok,`` and ``sonnim (guests).`` It seems that appraisal for a certain performance was very much affected by the tastes, views, and disposition of the appreciating patrons. Therefore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different comparative reviews of concerts of different regions given by literary figures, offering various criticism on identical performance. In terms of performance space, it has been divided into natural or architectural space, doing justice to special performance sites such as a famous pavilion or an on-the-boat performance. Specific terms related to the scale and brightness of stage, as well as stage props and cast, based on descriptions of performance space were found. The performance space, including famous pavilions; Yeongwangjeong, Bubyeokru, Baeksangru, Wolparu, and Uigeomjeong, which are all well-known tourist sites of Gwanseo province, have been often visited by viceroys. governors, and envoys during a tour or trip. This, and the fact that full-scale performances were regularly held here, and that more than 15 different kinds of boats which were used for boat concert are mentioned, all confirm the general popularity of boat concerts at the time. Performance time, categorized by season or time of day (am/pm/night) and analyzed in terms of time of occurrence and duration, there were no special limitation as to when to have a performance. Most morning concerts were held as part of official duties for the envoys, after their meeting session, whereas evening concerts were more lengthy in duration, with a greater number of people in the audience. In the case of boat concert, samples include day-time concert and performances that began during the day and which lasted till later in the evening. Major terminology related to performance time and season includes descriptions of time of day (morning, evening, night) and mention of sunset, twilight, moonlight, stars, candles, and lamps. Such terms which reflect the flow of time contributed in making a concert more lively. Terminology for the contents of performance was mostly words like ``instrumental,`` ``pungak,`` or ``pungnyu.`` Besides, contextual expressions gave hints as to whether there were dance, singing, ensemble, solo, and duets. Words for dance and singing used in Gwanseo province were almost identical to those used for gasa and jeongjae in the capital, Hanyang. However, many sentences reveal that performances of ``hangjangmu`` of hongmunyeon, sword dance, and baettaragi were on a top-quality level. Moreover, chants in hanmun Chinese character and folk songs, which are characteristic for this region, show unique features of local musical performance. It is judged that understanding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a performance is important in grasping the foundation and continuity of local culture. Concerts were usually either related to official protocol for ``greeting,`` ``sending-off,`` ``reports,`` and ``patrols`` or for private enjoyment. The rituals for Gwanseo province characteristically features river crossing ceremony on the Daedong river, which has been closely documented by many. What is more, the Gwanseo region featured continued coming and goings of Pyeongan envoys and local officers, as well as ambassadors to and fro China, which required an organized and full-scale performance of music and dance. The method of performance varied from a large-scale, official ones, for which female entertainers and a great banquet in addition to musicians were required, to private gatherings that are more intimate. A performance may take the form of ``taking turns`` or ``a competition,`` reflecting the dynamic nature of the musical culture at the time. This study, which is deduction of terminology in relation to the time-space and appreciation culture of musical performances of Gwanseo region in late Joseon period, should be expanded in the future into research on ``the performance culture unique to Gwanseo region,`` in relation to th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of the province, as well as everyday lifestyle. Furthermore, it could proceed to a more intensive research by a comparative study with related literary documents and pictorial data, which could serve a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use of space and stage, as well as the performance format characteristic to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 KCI등재

        기획논문1- 주제: <주제: 한국무형문화재와 공연문화> : 한국 동남부 탈놀음과 공동체와의 상관성 고찰

        정상박 ( Sangbak Chu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한국의 동남부 지역의 탈놀음과 공동체와의 상관성을 따지고 그 존재양상을 살펴보았다. 우리 민속 탈놀음은 전통사회에서 공동체 구성원이 잘 살기 위하여 행하고 즐기는 문화행위였다. 21세기에 탈놀음을 공연하더라도전통사회의 삶의 양상이 담겨져 있을 뿐 아니라 전통사회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 기법과 기능도 현대의 것이 아니라 전통사회의 유산이다. 탈놀음의 예능과 놀이양상이 비교적 온전히 전승된 것 중에서 문화적 가치가 있는 것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인위적으로 전승시키고 있다. 한국 동남지역, 즉 경상도지방은 여러 장르의 탈놀음이 전승되었다. 즉, 지역공동체가 행하는 하회별신굿탈놀이 등의 굿탈놀음, 고을공동체가 행하는 통영오광대 등 토박이오광대, 고을공동체가 행하는 수영야류 등 토박이탈놀음인 들놀음, 밤마리 대광대패 등 연희공동체가 행하던 떠돌이오광대등이 전승되고 있었다. 광대패, 사당패, 남사당패 등 지역공동체와 관계없이 유랑하는 연희집단은 인적 결합을 한 특수한 공동체다. 이들은 먹고 살기 위하여 연희를 하면서 떠돌며 사는 특수집단이다. 이들은 생산적 활동과 집단적 생활을 공유하는 연희공동체다. 한국 동남지역의 탈놀음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각광을 받으니까, 합천밤마리오광대, 김해오광대, 마산오광대, 거제영등오광대 등 소위 복원하는 것이 생겨났다. 탈과 대사가 전하고 있어도 과거에 놀았던 사람이 없으면 행위 전승, 즉 예능의 전수가 이루어 질 수가 없으므로 놀이가 전승되었다고 볼 수 없다. 공연물의 동영상을 보고 그대로 모방하여도 예능의 전승이 아니고 복원이다. 이런 복원은 이미테이션(imitation)이다. 과거의 놀이양상을 알 수 없어서 다른 탈놀음을 참조하여 만들면 창작을 한 것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복원이라고도 할 수 없다. 이런 것들은 전통사회의 공동체와는 무관하여 무형문화재의 범주에 들기 어렵다. 그러나 아무리 시대가 지난 예술을 복원 혹은 모방한 것이라도 성행하면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것을 제도적으로 지원할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The interrelationship of Korea southeast region community related to a mask dramas in depth. The Folk mask dramas are, for traditional community members to live well and enjoy cultural practices in society. Even if a mask drama would be performed in the 21st century, it would be the one of traditional society. It shows the life of traditional society and proposes the issue of traditional society. The thing is handed down well with technology of a mask drama assign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Korea southeast region, Kyongsang Provinces, or Yeongnam area has been handed down several kind of mask dramas. These are Byeolsingut Talnori with religious, the Ogwangdae of wandering play team, the Ogwangdae of local residents, and the Dulnorum of local residents. The mask dramas of Korea southeast region are specifi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many traditional mask play were restored. The restoring is imitation. These things are difficult to assign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But though it is the imitation of the mask dramas, it is culture phenomenon. So we need to make the fostering system.

      • KCI등재

        일반논문 : 국립국악원에서 행해지는 춤 공연의 공연명칭을 통한 전통예술 인식 연구 -1991년부터 2011까지 총 21년간 공연을 통하여-

        김명희 ( Myung Hee Kim ),백재화 ( Jae Hwa Baek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5 공연문화연구 Vol.0 No.31

        무대중심의 개인·단체의 공연에 있어서 공연제목과 공연명칭은 일정한 틀과 의식의 규격이 보인다. 그 이유는 전공별 개별특성을 넘어 큰 틀에서 조망해 볼 때, 민족 문화적 공통특성이 의식세계에 투영되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전통문화예술의 정수라고 인식되어지는 국립국악원에서 공연되어졌던 춤의 공연명칭의 언어적 표현분석을 통하여 우리의 전통예술이 발산해 내는 공연 명에서 일정한 틀과 형식, 방식 등의 외형적 요건들을 총체적으로 규명하여 우리의 전통춤을 전공하는 전공자들의 인식세계의 내재화된 인식틀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국립국악원에서 매해 간행하는 연구물인 국악연감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매해 출간하는 문예연감을 1991년부터 2011년까지 총 21년간의 자료에서 국립국악원에서 행해진 공연 명을 기본 자료로 하여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요인별 분석을 시도하였다. 공통적인 색채는 오랜 역사의 전통예술의 범주에서 자연적인 소재와 사상, 행위가 묻어나는 공연명칭이 보였다. 이는 오랜 시간 지속적 누적이 있어왔던 역사, 문화, 예술의 공통분모가 전통춤의 사상적 근간이 되어주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해를 거듭해 갈수록 단조로운 공연명칭에서 탈피해 풍성한 의미와 이미지를 보여주는 공연명이 보였는데, 대표적으로 혼합명사형의 탄생이 이를 증명한다. 혼합명사로 각각의 전공별 영역의 색채를 강렬히 드러내고 있었다. 예를 들면, “고운 춤”, “향을 담은 춤사위”, “마음의 평화, 아리따운 춤향연” 등으로 감각기관의 이첩화를 통해 춤의 언어적 표현강화를 이루어냈으며, 궁극엔 자신의 춤공연을 부각시키려 했다. 무엇보다도 국립국악원이라는 특성상 여느 공연장의 공연명보다도 다소 밋밋한 공연명칭에 빠지는 안일함이 자주 나타났다. 이는 차후로 공연자들의 의식환기로 발전적 실행을 이루어야할 부분이라고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meaning of the body’s movements in Jan Fabre’s dances. The subject discussed is the biological components of choreographer Jan Fabre’s dances, and the source of the form of the body and it’s shape. First, “I am blood”(Je suis Sang 2001) the power of the blood and the opposite, it’s weaknesses are shown. This idea complements an active and positive representation the body’sPerformances in the center stage of the individual or entity performing the title and performance specifications are shown the name of a certain framework and consciousness. Overlooks the big picture beyond the major characteristics, ethnic and cultural common characteristics inherent consciousness is projected to the world, because the reason. The need for this study is called the essence of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recognizable from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performances being played, the sound, through the analysis of dance performances Names Title from our tradition of art that radiates a certain framework and form, manner, etc.internalize the majors`` perception of the world collectively identified as the cultural and artistic traditions of our major requirements of external recognition framework to investigate. Title took place at the National Guak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published a literary almanac each year are published each year in the National Guak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truder Yearbook of Traditional Music and the Arts Council Korea from 1990 to 2011, a total of 22 years of data from the research methods as the basic material, the purpose of the studyfactors appropriate for the specific analysis was conductedPlay performances in the tradition of creative commitment that the results of the most intense and vigorous youth willingness multi-faceted attempt was Tradition followed top efforts also showed a lot of sounds from the show, dance performances, to widen the area of the dance itself HMCS has been shown. Common to each of the major colors, natural materials and a long history of traditional arts in the category of thought, behavior Loose performances was the name. This is a reason to exist beyond the traditional art has been there for a long time the cumulative nature of the common denominator of a major personality because in looks. To be composed image showing the rich meaning and escape from the increasingly monotonous performances Names Title eotneunde shown, leading to the birth of mixed noun proves it. Each major that highlights his major was to reveal the colors of each of the major areas of intense mixed noun. For example, "Sorit fine road", "dance" containing incense, peace of mind ", the twelve lines of" beautiful feast - Corruption of the sense organs through the ultimate yen each major strengthening achieved. Being somewhat boring performances Names Above all,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f the usual venue of the Title Above anilham frequently appeared.See which future evolutionary consciousness of the performers ventilation should be run as part

      • KCI등재

        1950년대 〈춘향전〉 중국공연의 자료적 고찰

        장정룡 ( Jung Ryong Ja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9

        춘향전은 조선후기에 발생한 가장 한국적인 판소리계소설로 영화, 연극, 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로 시도되고 있다. 춘향전의 최초 중국공연은 한국전쟁 속에서 그 싹이 터서바로 이어서 공연되었다. 북한공연 화극(話劇)춘향전의 중국개편활동이 시작된 것은1950년대 초부터이다. 월극단원들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공인민해방군과 북한인민군을대상으로 공연을 하였다. 1953년 4월부터 8개월 동안 한국전쟁에 참전한 중공군을 대상으로 선무활동(宣撫活動)을 하였다. 1953년 7월 26일 북한 개성에서 춘향전을 본 상해화동월극단 제2단원들은 상해로 돌아와 월극으로 춘향전을 개편하여 공연하였다. 번역, 개작, 복색, 미술 등 어려움을 극복하고 1954년 8월 2일 월극춘향전이 공연되었으며 9월 25일부터 11월 6일까지 상해대회에서 1등상을 차지하고, 북경, 소주 등지에서도 공연하였다. 월극춘향전의 공연을 필두로 1955년에 경극(京劇)춘향전, 1956년에 평극(評劇)춘향전이 중국에서 공연되었다. 또한 1954년 북한 국립민족예술극단 방화(訪華)공연단이 춘향전을 북경에서 공연했다. 이후 1959년 북한영화 춘향전을 번역판이 중국에서 상영되었으며 1961년 상해월극단은 다시 북한을 방문하여 월극춘향전을 공연하였다. 이와 같이 춘향전은 1950년대부터 북경을 비롯하여 상해, 운남, 소주, 요령 등지에서 월극, 경극, 황매희, 조극 등으로 중국에서 다시 태어났다. 특히 광동성의 에 근거를 두고 있는춘향전 창곡집 표지에 1938年 3月 이라고 쓰였는데 그 공연여부는 알 수 없다. 이러한 중국의 춘향전 공연을 통한 문화교류활동은 전통극의 전파에도 기여하였다. 춘향전 중국공연의 각종 자료를 살필 때, 1950년대 비극적인 한국전란 중에 그 예술적 싹이 터서 바로공연활동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중국에서 펼쳐진 춘향전 공연활동과 국제화과정이 갖는의미는 특별한 현상이었다고 볼 수 있다. Chunhyangjeon, the story of Chunhyang based on the most Korean style pansori Chunhyangga writt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genres such as films, plays, dramas, and so on.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in China had been started while the Korean War was happening.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as a drama and opera in North Korea has been started in the early 1950s. The members of Yueh opera, a form of Chinese opera, presented for the Military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 of China and the North Korean Army participating in the Korean War. They have done the pacification activities to the Army of China for eight months from the April of 1953. The second members of Shanghai Huadong Yueh Opera performed Chunhyangjeon changed into yue opera style after returning to Shanghai from Gaesung, North Korea where they watched a Chunhyangjeon in the 26th of July, 1953. Overcoming difficulties about translating, remaking, the color and style of a uniform, fine arts, the yue opera Chunhyangjeon was performed in August 2, 1954 and the opera members could get the Grand Prix in the contest of Shanghai the 25th of September to the sixth of November. The opera was also performed in Beijing, Suzhou and other places. Starting with the performance of the yue opera Chunhyangjeon, the ping opera Chunhyangjeon performed in China in 1956. Banghwa Group Performances of North Korean National Ethnic Theatrical Troupe performed Chunhyangjeon in Beijing in 1954. Since then, the translated North Korean film Chunhyangjeon was shown in China in 1959 and Shanghai Huadong Yueh Opera visited to North Korea and performed Yueh Opera Chunhyangjeon in 1961. Similarly, Chunhyangjeon has been reborn since 1950s in the areas of Shanhai, Yunnan, Suzhou, Liaoning as well as Beijing as Yueh Opera, Peking opera, Huangmei Opera, Chaozhou opera. Little of the performances were known even though the "March of 1938" had been written on the song book cover of Chaozhou opera Chunhyangjeon based on the Southern drama in Guangdong Province, China. Such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in China through the performances of Chunhyangjeon contributed greatly to the spread of the traditional drama. The performances of Chunhyangjeon in China were staged while the tragic Korean War was happening in 1950s. Therefore, such performances might show the unique phenomenon with the process of internationalizing Chunhyangjeon in China.

      • KCI등재

        일반논문 : 이해랑의 리얼리즘과 연출 관점에 대한 소고 -텍스트 "햄릿" 공연 연출을 중심으로-

        안장환 ( Jang Whan Ah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2

        셰익스피어의 텍스트 "햄릿"이 한국에 최초에 소개된 것은 현철에 의해 1920대 초 『개벽』지를 통해서였다. 그러나 본격적인 전막 공연이 이루어진 것은 한국전란 중이던 1951년 9월 대구 키네마극장에서 이해랑연출(한로단 번역)에 의해서였으며, 이후 196, 70년대와 8, 90년대를 통하여 수많은 공연예술가와 공연집단에 의하여 다양한 공연이 이루어져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의 셰익스피어 텍스트 "햄릿" 공연사에 나타나는 수많은 공연예술가와 공연들 중에서 1950년대 이후 한 축을 이루었던 이해랑의 텍스트 "햄릿"에 대한 연출관점을 분석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해랑이 연출한 공연 중에서 1951년 텍스트 "햄릿" 공연을 중심으로 1962년 드라마센터 개관공연, 1985년과 1989년 호암 아트홀 공연의 공연대본과 공연비평 등을 참고하여 먼저, 2장에서는 그의 일생의 연극 활동에 바탕이 되었던 리얼리즘의 개념과 그의 리얼리즘에 대한 관점 및 배경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그의 텍스트 "햄릿"에 대한 연출관점 분석에 앞서 텍스트의 전통적 개념과 현대적 개념을 개괄하면서, 텍스트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견해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그의 연출관점을 분석 고찰함으로써 이해랑연출의 셰익스피어 텍스트"햄릿" 한국공연사적 위치와 공연미학 논의 단초를 제시하고자 한다. Shakespeare`s text "Hamlet"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the first part of 1920s by Hyeon Cheol via 『Gaebyeok』. Its performance of whole acts was realized in Kinema Theater in Daegu by the direction of Lee Hae-Rang (translated by Han Lo-Dan) in September, 1951, during the Korean War. Since then, a variety of performances were carried out by numberless performing artists and performing groups in the 1960s, 1970s, 1980s and 1990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mong numberless performing artists and performances appeared in the history of performance of "Hamlet", to examine Lee Hae-rang`s direction standpoint of "Hamlet", which has been one of the mainstays since the 1950s. For this, among many performances directed by Lee Hae-rang, the investigator referred to the performing scripts and performance criticisms for the opening performance of Drama Center in 1962 and the performances in HOAM Art Hall in 1985 and 1989, focusing on the text "Hamlet" performance in 1951. In the second chapter, the concept, standpoint and background of realism, the base of his theatrical activities in his lifetime, were examined. In the third chapter, before analyzing his direction standpoint for text "Hamlet", the traditional and modern concept of text was summarized and a variety of standpoints and viewpoints for the text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 above summary and analysis, his direction standpoint was analyzed and examined, thus presenting a clue for the discussion on the position of Shakespeare`s text "Hamlet" directed by Lee Hae-rang in the Korean history of performance and its performance aesthetics.

      • KCI등재

        전통적 언어유희의 역사적 변천과 현재적 의의 - 한국 재담(才談)과 중국 상성(相聲)을 중심으로 -

        강소천 ( Jiang Xiao-qia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7

        본고는 한국과 중국 전통 언어유희 가운데 하나인 재담(才談)과 상성(相聲)의 역사적 변천과 현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한국의 재담과 중국 상성은 모두 웃음을 주기 위한 대표적인 언어유희이며 전통적인 공연예술이다. 재담과 상성의 기원은 우희(優戱)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우희는 가장 전통적인 언어유희이며 우희를 전승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공연물이 파생되었다. 그 중에서 한국 재담과 중국의 상성은 비교적 우희의 전통을 잘 이어간 공연물이라고 할 수 있다. 18세기 후반부터 한국 재담은 독립적인 공연물로써 자리를 잡았고 그 뒤로 박춘재 등 전문적인 재담 연희자들이 활발하게 활동하며 공연하였다. 20세기 초 유성기 음반을 취입하면서 재담은 주로 극장 무대와 라디오에 출연하게 되었다. 이때 재담에서 새로운 공연물인 만담이 파생되었는데 만담은 재담보다 시사를 풍자하고 세태를 비판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만담은 한참 동안 인기를 끌었다가 21세기에 들어와서 완전히 소멸되었다. 현재까지 한국에 전승하고 있는 재담은 가면극 같은 전통연희에만 남아 있다. 한편 한국 재담보다 조금 늦은 시기인 19세기 중후반에 구축된 중국 상성은 처음에는 천민의 비속한 기예로 여겨졌으나 20세기 초에 인기가 많아지면서 드디어 공연예술로써 무대에 오르게 되었다. 20세기 중반 상성은 개혁을 통해서 사회를 칭송하고 교과하는 내용이 주로 다루는 신상성이 형성되었으나, 신상성에는 세태를 풍자하고 해학적인 내용이 축소되어 재미가 없어졌으므로 얼마 후 인기를 잃었다. 21세기 초 상성은 만담과 똑같이 소멸될 지경에 처했지만 전통을 부흥시키려는 젊은 상성 배우들의 노력을 통해 ‘전통’과 ‘소극장’으로 회귀하자는 또 한 번의 상성 개혁이 일어났다. 전통으로 돌아온 현재의 ‘전통 상성’은 다시 중국 관중들의 애호와 성원을 받고 있다. 한국 재담과 중국 상성은 역사와 연행양상 면에서 비슷한 점이 많지만 현재 서로 다른 운명에 처해 있다. 두 공연물의 내용이나 형식 측면에서 공통점도 상당히 많이 발견된다. 중국 상성의 경우 전통 곡예 장르 가운데 하나로 현재까지도 중국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중요한 전통 공연물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반면, 한국에서는 독립적인 공연예술로써의 재담이 소멸되어 가고 이제는 가면극 같은 전통연희에만 재담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한국 재담과 중국 상성은 전승과정에서 유사한 변화를 겪었다는 사실, 그리고 한국 재담이 사라진 반면 중국 상성은 잘 보존되고 전승되어 있는 이유를 본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that the historical changes and current significance of the Jaedam(재담) and the Xiangsheng(相聲),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language games. Both Korean Jaedam and Chinese Xiangsheng are representative language games and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 laughing. The origin of the Jaedam can be traced back to Uheui(우희). Uheui has been called Changyouxi in China, Bae Woo-hee, and Jo Hee in Korea. Uheui is the most traditional language game and a variety of performances were derived from its spreading and inheriting process. Among them, Korean Jaedam and Chinese Xiangsheng can be said to be a piece of art that has successfully inherited Uheui tradition. From the late 18th century, Korean Jaedam were established as independent performance arts, and became highly active in many performance by professional joker Park Chun-jae and other performers. With the development of gramophone recor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Jaedam was mainly made on the theater stage and radio. At this time, the new performance art of ‘Mandam(만담)’ was derived from the Jaedam, which focused more on satire current events and criticizing the social situation. Mandam has been popular for a long time and then extinct in the 21st century. The jaedam have been handed down only in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so far. Meanwhile, Chinese Xiangsheng, which was built in the mid-19th century, a bit later than Korean Jaedam, was initially considered to be a vulgar art of the lower class, but finally became popular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mid-20th century, Xiangsheng was transformed into a new character, which mainly deals with social praise and edification of the masses. But since ‘New Xiangsheng’ does not focous on a satire on social conditions, the humor has been reduced. In the early 21st century, Xiangsheng was on the verge of extinction just like Mandam, but through the efforts of young actors to revive tradition, another reformation of this art was made to return to tradition and small theater. Currently, the ‘traditional Xiangsheng’, which has returned to tradition, is once again receiving the love and support of the Chinese audience. Korean Jaedam and Chinese Xiangsheng have many similarities in terms of history and recruitment, but they are now in different fates. There is also a great deal in common ground in terms of the content and form of the two arts. In the case of Xiangsheng, it is one of the traditional folk art forms which is still loved by the Chinese people and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ditional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in Korea, Jaedam as independent performance arts has disappeared and now only can be seen in traditional performances such as ‘Korean mask theater’. The fact that Korean Jaedam and Chinese Xiangsheng have undergone similar changes in their spreading and inheriting process, while Korean Jaedam have disappeared and Chinese Xiangsheng is well preserved. The reas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main idea of this article.

      • KCI등재

        소통을 위한 몸짓 - 농음의 문화상호적 해석 -

        김혜림 ( Hyelim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3

        한국의 전통악기, 대금은 악기의 특이한 음색과 다양한 기법으로 한국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전하면서 동시에 국제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대금 연주가 및 음악인류학 연구자로서 활동하고 있는 본인은 대금 연주를 통해 클래식, 동아시아 음악, 전자 음악, 재즈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주가들과 한국 외 세계 여러 곳에서 협업을 진행해 왔다. 공연을 기반으로 한 협업은 음악간의 문화적 간극을 극복하고자 한 빅토르 터너 (Victor Turner)가 주장한 ‘다문화적 퍼포먼스 (Intercultural Performances)’를 지향하는 연구 주제와 병행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그 중의 한 예로서 한국 전통 음악과 클래식 음악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 공연 연구이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본인이 한국의 저명한 작곡가 김대성(1967년생)에게 위촉한 대금과 서양 악기를 위한 두 곡, ‘님’과 ‘청’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협업 내용은 리차드 셰크너 (Richard Schechner)의 공연 이론 (Performance Theory)을 기반으로 음악 인류학 및 공연 연구의 핵심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 본 공연 연구의 목적을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대금의 현대화 과정을 클래식 음악의 문맥 안에서 구체적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두번째, 본 공연 작업은 영상과 음원 등의 자료를 이용해 분석되고 이를 마이클 텐저 (Michael Tenzer)의 ‘문화적 상대화 (Cultural Relativism)’ 개념에 적용시켜 본다. The Korean taegum, a horizontal bamboo flute,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wind instru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ymbolized by its unique timbre and diverse techniques, this instrument transmits the beauty of Korea, and has become acknowledged even in international music scenes. Being a taegum player, composer, and ethnomusicology researcher, I have developed creative collaborations with musicians from Asian, electro-acoustic, jazz, and Western art music traditions developed outside my country of origin and tried to overcome musical boundaries through the ``intercultural performances`` (after Turner 1988). Zooming in one collaboration, I detail the process of music creation and performance, collaborating with prominent Korean composer Kim Taesong (b.1967), who was commissioned by myself to write two compositions for the taegum and Western art music. The purpose is twofold: firstly, the moderniza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Korean flute is briefly tracked down within the context of Western Art music. Secondly, a performance project is illustrated with the support of technical apparatuses such as DVD and CD recordings and delves further into the question of the ``cultural relativism`` (Michael Tenzer, 2006: 7) through the interactive process. The performance-as-research, as a tool ``actualizing`` (Richard Schechner 2003: 32) the hybridity, touches on critical domains in Ethnomusicology. The corresponding two parts discover, as Alan Merriam``s(1964) ``tripartite model`` suggests, the ``context`` of Korean and Western cultures, the ``behaviour`` of collaborating and performing and the ``sound`` of improvised and composed productions in the course of music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