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도시와 지역에 대한 최병두의 정치경제학적 분석을 비판적으로 읽기: 장소의 특수성과 논리적 일관성을 기준으로

        이후빈(Lee, Hoobi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4

        이 논문은 최병두의 정치경제학적 도시와 지역분석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시도한다. 비평의 대상은 최병두가 실시한 한국의 도시공간 생산과 지역불균등발전에 대한 분석이고, 비평의 기준은 한국의 구체적 현실을 자본축적 논리로 설명하기 위한 장소의 특수성과 논리적 일관성의 통합이다. 최병두의 정치경제학적 분석은 공간 문제를 물리적 현상을 넘어 사회적 과정으로 바라보는 인식론적 전환을 촉구 했지만 한국 자본주의의 독특한 시공간성을 명확하게 규명했는지에 대해서는 몇 가지 아쉬움이 남는다. 공간정치경제학의 추상적 이론을 그대로 적용한 분석은 한국 공간환경의 특수성을 포착하지 못했고, 장소의 특수성을 강조한 분석은 일관된 자본축적의 논리로 이어지지 못했다. 필자는 한국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시공간성을 파악하기 위해 최병두가 제시했지만 아직 정교하게 다듬지 않은 발전 주의적 신자유주의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도시와 지역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신자유주의화, 즉 국가가 자본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장에 개입하고 자본이 이 모순적 상황을 활용해서 탈취에 의한 축적을 강화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ally read Choi Byung-Doo’s political-economic analysis of cities and regions. The object of review is the analysis of Korean urban space production and uneven regional development conducted by Choi Byung-Doo, and the criteria for review is the integration of place characteristics and logical consistency to explain the concrete reality of Korea with capital accumulation logic. The political-economic analysis of Choi Byung-Doo urged the epistemological shift of space problem as social process beyond physical phenomenon, but there are some dis-appointments as to whether the unique spatio-temporal nature of Korean capitalism has been clarified. The analysis that applied the abstract theory of spatial political economy did not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atial envuronment, and the analysis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did not consistently lead to the logic of capital accumulation. I argue that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al neoliberalization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spatio-temporal nature of Korean capitalism.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unique neoliberalization in Korean cities and regions, that is, the state intervenes in the market to activate the capital investment, and the capital strengthens the accumulation by dispossession with utilizing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 KCI등재

        환경(부)정의의 공간성과 스케일의 정치학 : 밀양 송전탑 갈등을 사례로

        엄은희 한국공간환경학회 2012 공간과 사회 Vol.22 No.4

        1990년대 후반 이래로 한국에서도 환경정의를 새로운 이념 혹은 활동 지침으로 수용하는 환경단체와 연구자들이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의 환경정의는 환경운동 안에서는 윤리적 지침으로, 학계에서는 그 정의를 둘러싼 담론의 차원에 여전히 머물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정의 담론에 공간성 논의를 접목하도록 지리학적 기여를 탐구하고, 환경정의 운동에 스케일의 정치학에 기초한 실천적 해석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본 연구는 사례로 2012년 1월 밀양에서 발생한 70대 노인의 분신 사건이 만들어낸 파열의 공간에 주목한다. 이 죽음은 한편으로는 송전탑 건설이 내세우는 국책사업의 일방적 추진에 내재한 국가 폭력성이 드러난 사건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송전탑과 대규모 핵발전 단지 사이의 숨겨졌던 연결고리를 가시화시킨 사건이었다. 이후 송전탑에 반대하는 풀뿌리 지역운동은 더 넓은 전국단위 탈핵운동과 절합되어 새로운 차원의 운동이 되었다. 본 연구는 한노인의 죽음 이후 드러난 의미의 공백에서 탈핵 사회를 향한 사회운동이 생성되는 스케일 정치의 역동성을 묘사했다. 지역 주체들의 새로운 의미 구성에의 참여와 시민들 사이의 다른 방식의 윤리적 관계맺음을 통해 의존의 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관계의 공간이 창출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타자의 윤리학에 기초한 환경정의의 실천적 재정립을 주장한다. Some environmental NGOs and researchers accepting the environmental justice(hereafter, EJ) as the guiding principle for activities or the new ideal agenda have emerged in South Korea since late 1990s. However, the idea of EJ has been tied up ethical principle or initial stage of discourse on defining it among environmental groups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of geographical contribution in spatiality of EJ theory and to provide of practical explanation and suggestions in EJ movement. This study pays attention on the self-burning accident of one 70s’ senior, who had resisted electricity transmission tower planed to be put on his rice paddy in Miryang, Kyoungsang Province. His death had uncovered the state’s hidden violence conducting forceful process of larger state projects and exposed the linkage between the transmission facilities and intensive nuclear complex. After his death, localized grassroots resistance against building transmission towers has been re-scaling toward national-wide anti-nuclear movement. This study describes the dynamics of scale politics generating social movement toward post-nuclear society, which fills up the blank of social meaning after his death.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ized agents for reconstructing social meanings on their locality and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local people and voluntary citizens in new ways could produce various spaces of engagement. Finally, this study insists to establish the practically-oriented EJ discourse based on the ethics of the others.

      • KCI등재

        추상적 공간과 구체적 공간의 갈등

        서영표(Seo, Young-Pyo)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4 No.1

        이 논문은 제주의 사례를 통해 특정한 공간을 생산하는 역사-구조적 조건과 그 안에서 전개되는 인간행위자들의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제주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체험되어온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은 제주인들의 행위와 실천의 조건이었지만 그들의 행위와 실천이 없이는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은 재생산되어 유지될 수 없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논문은 앙리 르페브르로부터 연원하는 공간적 사회이론을 적극 수용한다. 르페브르는 공간 그 자체에 대해서 천착하면서 198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공간적 사회이론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 그의 주저 『공간의 생산』에서 절정에 이른 공간이론은 '공간 물신론'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지만 사회구조와 행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서 공간이 얼마나 중요한 변수인지를 일깨워주었다. 이 논문은 르페브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지배적인 추상공간과 일상의 구체공간 사이의 갈등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본격적인 개발 이후 제주도, 특히 제주시 지역이 겪고 있는 공간이용과 구조의 변화를 분석한다. 관광 중심의 개발 정책이 제주가 가지고 있었던 전통적 공간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어떻게 침식하고 있는지를 추적한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통해 추상공간이 지배하게 되는 근대적 도시 발전을 비판하고 다양한 차이를 허용하는 구체공간을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 도시재생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both historical-structural aspect and social practices that produce specific space through the case of the Jeju-Island. Both natura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that has been recognized and lived as space of the Jeju have been the conditions of actions or practices of the Jeju people, but these environments could not have existed without their actions or practices. In order to analyse these complex interrelations, this paper employs spatial social theory proposed and developed by Henry Lefebvre. Lefebvre had tried to sophisticate spatial social theory that could deal with spatial aspect of our society. His idea on space reached its high point in The Production of the Space.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around his urban theories, but it is undeniable that he played a pivotal role of inspiring a lot of geographers, sociologists and historians to introduce space into their research. With Lefebvre, this paper explores conflicts between dominant abstract space and everyday concrete space(space of difference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ase of Jeju through which we can explore how the development focusing tourism has eroded the spatial consciousness of Jeju people will be analyzed in terms of communal ties. And then it criticizes the modern urban development and discusses an alternativ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추상적 공간과 구체적 공간의 갈등 제주의 공간이용과 공간구조의 변화

        서영표 한국공간환경학회 2014 공간과 사회 Vol.24 No.1

        이 논문은 제주의 사례를 통해 특정한 공간을 생산하는 역사-구조적 조건과 그안에서 전개되는 인간행위자들의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제주의 공간으로인식되고 체험되어 온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은 제주인들의 행위와 실천의 조건이었지만 그들의 행위와 실천이 없이는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은 재생산되어 유지될수 없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논문은 앙리 르페브르로부터 연원하는 공간적사회이론을 적극 수용한다. 르페브르는 공간 그 자체에 대해서 천착하면서 198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공간적 사회이론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 그의주저 『공간의 생산』에서 절정에 이른 공간이론은 ‘공간 물신론’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지만 사회구조와 행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데서 공간이 얼마나 중요한 변수인지를 일깨워 주었다. 이 논문은 르페브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지배적인 추상공간과 일상의 구체공간 사이의 갈등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본격적인개발 이후 제주도, 특히 제주시 지역이 겪고 있는 공간이용과 구조의 변화를 분석한다. 관광 중심의 개발 정책이 제주가 가지고 있었던 전통적 공간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어떻게 침식하고 있는지를 추적한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통해 추상공간이 지배하게 되는 근대적 도시 발전을 비판하고 다양한 차이를 허용하는 구체공간을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 도시재생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both historical-structural aspect and socialpractices that produce specific space through the case of the Jeju-Island. Both natural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that has been recognized and lived as spaceof the Jeju have been the conditions of actions or practices of the Jeju people, butthese environments could not have existed without their actions or practices. Inorder to analyse these complex interrelations, this paper employs spatial social theoryproposed and developed by Henry Lefebvre. Lefebvre had tried to sophisticate spatialsocial theory that could deal with spatial aspect of our society. His idea on spacereached its high point in The Production of the Space.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around his urban theories, but it is undeniable that he played a pivotal role ofinspiring a lot of geographers, sociologists and historians to introduce space intotheir research. With Lefebvre, this paper explores conflicts between dominant abstractspace and everyday concrete space(space of differences). From this point ofview, the case of Jeju through which we can explore how the development focusingtourism has eroded the spatial consciousness of Jeju people will be analyzed in termsof communal ties. And then it criticizes the modern urban development and discussesan alternativ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공간의 개념정의에 관한 온라인 토론

        김창현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2

        본 특별세션은 한국공간환경학회 페이스북 커뮤니티에서 공간의 속성에 대해서 자율적으로 토론한 내용을 담았다. 2011년 2월 8일, 김한준이 ‘소셜미디어와 공간’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해보자는 취지의 글을 시작으로 하여, 토론자들은 공간의 속성, 절대공간의 존재, 사이버 공간의 개념실체, 마르크스의 공간개념 등에 관하여 다채로운 토론을 진행하였다. 토론은 2월 초부터 3월 중순까지 한 달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주로 글쓰기와 댓글 등의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토론자는 권오혁, 김남주, 김두환, 김창현, 김한준, 손정원 등 6명 정도로 한 달 동안 약 20여 편의 글과 댓글이 오고 갔으며, 총 분량은 약 52,000자 분량이다. 가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편집자는 각 토론자의 글을 주제별로 재구성하였으며, 문장의 형식을 일정하게 통일하였으며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내용을 편집하였다. 논의의 출발은 “사이버공간을 공간으로 볼 것인가”라는 문제제기였다. 이에 대해서 권오혁은 공간 개념을 보수적으로 정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김한준, 김창현 등은 공간 개념을 열어두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논의가 진행되면서 권오혁은 공간에 대한 분류를 제안하였고, 그 분류의 적실성과 정합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특히 이슈가 되었던 부분은 절대공간의 개념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의 문제였다. 논의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위에서 토론했던 논의의 복잡성이 다소 해소되고 결국 어떻게 실천적 공간개념을 창출해 낼 것인지에 대한 제안과 문제제기가 있었다. 편집자는 시간의 순서를 거스르지 않는 선에서 논의를 주제별로 재구성하였다.

      • KCI등재

        에너지 민주주의의 개념 및 한국적 함의 : 관료정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진상현(Jin, Sang-Hye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1

        최근 들어 에너지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북미 지역의 노동운동 진영은 ‘에너지 민주주의 노동조합’을 설립해서 전력 및 가스 시장의 공적 통제를 요구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태양광과 풍력에 대한 시민참여의 확대를 주장해 오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논의들이 국내에 소개되면서, 에너지 민주주의 담론은 한국에서도 하나의 사회운동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그렇지만 정작 에너지 민주주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개념 정의는 아직까지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북미나 유럽과 다른 상황의 한국에서 에너지 민주주의라는 개념이 지니는 국내적 함의에 대해서도 제대로 정리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에너지 민주주의에 대한 개념을 정의내린 뒤, 한국이라는 고유의 맥락을 바탕으로 에너지 민주주의의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환경 및 생태 민주주의와의 비교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에너지 민주주의는 “에너지 분야에서의 대안적 민주주의”라는 협의의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었다. 한편으로 과거 한국 사회에서는 전문가에 대한 신뢰와 위임이라는 스텔스 민주주의가 에너지 분야에 만연해 있었으며, 이러한 신념체계를 바탕으로 관료정치가 에너지 정책을 주도해 온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및 재생가능에너지 확산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논의가 시작되었던 국제사회와 달리, 한국에서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통해 드러난 원자력의 중앙집중적·권위주의적 속성이 에너지 민주주의 담론의 국내적 배경이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한국 사회의 에너지 민주주의가 아직 초기 단계라는 사실에 유의해야 하며, 다양한 집단들이 주창하는 이념적 편차를 줄이기 위해 교류와 소통이 필요함을 제안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re are hectic discussions about energy democracy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 example, labor union groups in North America ask strong public regulation on electricity and gas market, and cooperatives in the EU argue that citizen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renewable energy market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is international discussion, energy democracy has become a social movement in Korea. However, there is still no concrete definition of energy democracy. Also, it has not been answered how the Korean situation differs from other countries’. Here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energy democracy and suggest implications in the context of Korea. As a result, energy democracy could be defined as “the alternative democracy in the field of energy.” Secondly, there had been stealth democracy related to energy policy, and technocrats had controlled the policies in Korea. Thirdly, while major backgrounds were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 KCI등재
      • KCI등재

        통치성의 공간들

        김동완(Gimm, Dong-Wa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2

        이 글은 정치권력이 공간을 조형하는 논리를 푸코의 통치성 차원에서 검토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푸코의 통치성 강의를 중심 텍스트 삼아 구체적인 통치성의 공간들, 이를테면 도시, 영토, 구역 등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독해했다. 강의 전반에 산재되어 있는 통치성의 지리를 푸코의 사유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재구성해, 어떤 지식들이 공간에 관여했는지, 그 결과 발생한 통치실천의 공간들이 국가의 발견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 살펴보았다. 푸코의 견해에서 보자면 근대 서구 통치의 합리화는 지극히 지리적인 현상들, 이를테면 성곽도시의 해체, 영토국가의 등장, 도시 개념의 고안 등에 매우 직접적인 연관을 맺고 있었다. 즉, 통치성 논의 전반에 걸쳐 통치성의 지리라 불릴 만한 공간적 실천들이 매우 중요한 경험적·이론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우리 입장에서는 이러한 통치성의 공간들이 한국의 사회공간을 조형하는 중요한 참조물이었다는 의미가 크다. 개항 이후 한국에 수입된 서구 통치술의 근대적 판본, 그 판본이 그렸던 공간의 전형이 푸코가 그리는 통치성의 공간들이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에서 이 논문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동아시아 탈식민국가이자, 냉전의 최전선에 있었던 분단국가 한국에 대해 간략히 논의했다. 이를 통해 서구 통치술이 한국 땅에 수입되면서 겪을 수밖에 없었던 충돌과 변용에 대해 시론적인 수준에서 검토했다. Why have states governed cities? How have states been shaped through governing practices. This article began with this question and tried to rethink Foucault’s literature on the governmentality. The focus is the invention of governing technologies for dealing with urban problems in western Europe since late medieval age. The main text is Foucault’s lecture [Security, Territory, Population]. This study attempt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rban problems by which governmentalities are urged to be varied and changed. By providing recent achievements of the human geography field, the possibility of variegated governmentalities are, at least theoretically, justfied. Furthermore Foucault’s historical evidences could give a useful way to develop his frame in the context of Korea if two preconditions can be satisfied: 1) elucidation on the features originated with the colonial experience, 2) consideration on geopolitical singularities of divided states.

      • KCI등재

        기억의 영토화

        신혜란(Shin Hae Ra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3

        이 연구는 ‘기억의 영토화(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개념을 분석틀로 삼아 세월호 기억공간 세 곳(안산 단원고 기억교실, 서울 광화문광장, 제주 기억공간)의 형성과정을 분석한다. 문헌자료 분석, 심층 면담, 현장 방문을 통해 세기억공간의 기억의 영토화 과정, 즉 1) 물질적 변환을 통한 점유, 2) 기억 영토화 주체들의 점유와 갈등, 3) 슬픔관광을 통한 영토 확장의 과정을 본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고 기억교실은 희생자들이 사용하던 교실에 생전에 쓰던 물품으로 점유하고 적극적인 슬픔관광을 통해 확대 실천을 벌였다. 세월호 기억화 주체인 기록활동가와 유가족은 학습권 담론을 주장하는 학교운영위원회와 영토싸움의 갈등을 겪고 탈영토화(de-territorialization of memory)된다. 둘째, 공공공간인 서울 광화문광장의 경우, 유가족과 시민들이 직접 존재/활동하는 일시적 점유 방식으로 정치적 영토화가 일어났다. 공공공간의 점유를 비판하는 보수단체, 이 공간을 관리하면서 영토화를 간접 지원했던 서울시 정부, 집단행동에 무력으로 대응을 한 중앙정부도 서서히 주체로 나타났다. 셋째, 제주도 기억공간은 세월호 기억이 대안적 영토로 옮겨 영토화하는 재영토화(re-territorialization of memory)의 사례다. 세월호의 목적지이면서 대안적 삶을 상징하는 제주에서 제주문화이주자 네트워크, 희생자 네트워크, 관광객에 의지한 느슨한 네트워크형 영토화다. 이 논문은 기억의 공간정치에 관한 학술논의에 기여하고 초기 단계에 있는 세월호 기억공간에 관한 사회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looks at the process of place-of-memory making regarding the Sewol Ferry disaster through the concept of ‘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Based on archival analyses, in-depth interviews, and site visits,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formation process of memory classes in Danwon High School, Gwanghwamun Plaza, and a place of memory in Jeju. It focuses on the three aspects of 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including occupancy of materialized conversion of memory, actors’ occupancy and conflicts, and the expansion of territory through dark tour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mory became territorialized through the materials victim students used in their daily lives. Main actors such as recording activists and victims’ parents engaged in a discourse competition with other parents on the right to study. As a result of the conflict, the memory became de-territorialized. Second, the Gwanghwamun Plaza represents a case of political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through actors’ physical occupancy. Victims’ parents and supportive citizens territorialized the memory by occupying the public space. Conservative organization members and the police sent by the national government attempted to dissolve the occupancy, and the Seoul government supported the occupancy by permitting the victims’ parents and citizens to do it. Third, the memory became re-territorialized by leaving the Korean peninsula for an alternative place, Jeju. The re-territorialization of memory was dependent on a network of cultural migrants, victims of national disasters, and tourist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politics of memory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on memory places associated with the Sewol Ferry accident.

      • 정보기술에 의한 도시공간의 재구성 - 도시 경제활동의 변화를 중심으로 -

        임석회 한국공간환경학회 2005 공간과 사회 Vol.24 No.-

        It is certain that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bringing about significant changes of society and space built up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nineteen century. Nevertheless, the direction of changes is still a problematic matter. The aim of this article is concretely to consider the reconfiguration of urban space in the Information Age through analyzing the impact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on economic activities.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given flexibility of location to companies in an aspect of production system. However,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accelerated the selective concentration of location to large cities and their nearby areas Similarly front office activities have a strong trend of concentration to downtowns of large cities, while some back office activities are de-concentrating from inner cities in metropolitan areas with diversification of office activities. retail and banking activities are outstanding in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on urban economy. Their routine activities are annihilated in physical real space with information technologies. In addition, flexible work place and time is also appearing in personal working system. This means that the border between work place and home is coming loose. However, such electronic urban space is stiil rooted on physical space. It is because that the physical infrastructure of urban space and the socio-cultural frame of industrial society are a prerequisite for the construction of former. 정보기술의 발달이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형성된 우리 사회와 공간에 큰 변화 를 가져오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변화의 방향은 대단히 논쟁적이다. 이 글은 정보화가 사회와 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거시적인 담론보다 구체적 인 경제활동의 변화를 통하여 정보기술에 의한 도시공간의 재구성을 좀 더 미시 적인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정보기술의 적용이 생산체계의 측면에서 기업 입지의 유연성을 가져오지만 현상적으로는 대도시와 그 주변지역에의 선택적 집중을 가 져오고 있으며 사무활동의 분화와 더불어 반복적 사무활동의 분산이 나타나고 있 지만 의사결정이나 기획·구상과 관련된 핵심 사무활동은 여전히 도심 집중의 경 향을 갖는다. 도시 경제활동 영역에서 정보화의 영향이 가장 두드러진 분야는 유 통과 금융서비스 활동으로 일상적인 서비스 활동의 모습은 자동화되어 기계로 대 체되거나 전자공간에서 수행됨으로써 물리적 실물공간에서 사라져가는 추세이다. 아울러 개인적 차원에서도 근로양식의 유연화는 근로 장소와 근로시간을 특정하 지 않는 경계의 이완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자화된 도시공간은 여전히 물리적 도시공간에 고착되어 있다. 여전히 고정성과 고착성에 의해 제약을 받는 다. 도시의 전자공간 역시 산업사회의 사회문화적 틀과 물리적 하부구조의 전제 하에 구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