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공연문화 연구동향의 의미연결망 분석

        황동열 ( Dong-ryul Hwang ),권예지 ( Yae-ji Kw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7

        본 연구는 공연문화분야의 학문적 정체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공연분야 연구의 대표적 학회지인 한국공연문화학회에서 발행하는 <공연문화연구>에 수록된 45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공연문화분야의 연구동향과 추세를 분석하였다. 세부연구과제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학회지에 수록된 논문명을 대상으로 <고전희곡연구>에서 <공연문화연구>로 제호변경 전후의 연구수요 변화현상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2005년부터 2017년까지<공연문화연구>의 논문명, 주제어, 초록을 대상으로 <공연문화연구>의 시기별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공연문화분야의 변화현상을 파악하고 미래예측을 통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use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academic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and to grasp the trend of the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related papers based on 455 whole articles in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by the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Association from 2000 to 2017. Through this research, the trends of The Societ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Culture in the period of time were identified, and the phenomenon of the performance culture field an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배봉기 희곡에 드러난 청소년의 갈등 양상 연구

        오판진 ( Oh Pan-ji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20 공연문화연구 Vol.0 No.40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한 변화 가운데 하나로 연극교육의 강화를 들 수 있다. 그래서 중등교육의 장에서 청소년 희곡에 관한 분석과 논의가 절실 해졌다. 이런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이 글에서는 배봉기의 희곡집에 반영된 청소년들의 갈등 양상이 어떠한지를 고찰하였다. 배봉기는 그의 희곡집에서 청소년 대부분이 느끼는 ‘대학 입시’로 인한 갈등과 함께, ‘공연 내용 결정’으로 인한 갈등을 청소년의 주요한 갈등으로 문제 삼고 있다. < UFO를 타다 >와 <이런 물음표>에서는 ‘대학입시라는 자장’ 속에서 성적이 상위권인 학생과 하위권인 학생을 주목하고 있다. 두 희곡은 성적을 향상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갈등에 초점을 두었다. 이 갈등은 비록 상위권과 하위권 학생이 서로 처지는 다르지만, 모든 학생들이 학교에 가기를 거부할 만큼 무겁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나’를 위한 이유>에서 다룬 ‘공연 내용 결정’에서 청소년의 권리 또한 교사의 교육권과 충돌하고 있어서 해결하기 어렵다. 앞으로 청소년 삶의 본질적인 갈등을 반영한 많은 희곡이 만들어져 청소년 연극이 풍성해지고, 이에 관한 논의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conflict of youth reflected in Bae Bong Ki’s plays based on theory of ‘conflict’. Bae Bong Ki has been questioning the ‘youth rights’ in determining the content of performances, along with ‘the magnetic field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where most of the youth feel under huge pressure in his play. In the < UFO Ride > and < This Question Mark >, I focused on the students with the highest grade and the students with the lowest grade in the context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tudents who are struggling to keep the grades up are captured in this play as the educational reality of adolescents in distress. The situation of the top and bottom students is different, but both top and bottom students were too stressful to go to school. And ‘the rights of the youth in deciding the content of the performance' in < Reason for ‘I’ > was a difficult topic because it collides with the right for the teacher to educate. It is expected that many plays will be created reflecting the conflict of youth in the future, and youth theater as well as discussions upon it will be enriched.

      • KCI등재

        일본에 전래된 고려악 나소리(納會利)와 한국 가면의 조형적 특징

        강춘애 ( Kang Choon-ae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3

        본고에서는 일본의 궁중악무 부가쿠(舞樂) 중 고마가쿠(高麗樂, 고려악)에 속하는 나소리(納曾利, なそり) 가면의 조형적 특징에 주목하여 한ㆍ중ㆍ일 문화패턴의 전래 및 변용 과정을 살펴보았다. 과거의 가면 연구는 가면 자체의 캐릭터와 관련된 예능적 측면 연구에 중점을 두어 왔다. 반면 이 논문에서는 나소리 가면의 조형적 특징을 통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교류사적인 측면에 대한 시론적 접근을 하였다. 일본에 전하는 대표적인 도가쿠(唐樂) 난릉왕과 고마가쿠 나소리는 한 쌍의 답무(答舞)로 공연된다. 난릉왕 가면과 나소리 가면의 조형적 특징은 매달린 턱(吊り顎)이다. 일본의 오키나(翁) 가면처럼 눈이 ‘へ’자 모양을 하고 있는 탈은 한국 탈에서 얼굴과 턱을 따로 만들어 붙인 분리 턱(切顎)을 하고 있다. 난릉왕과 나소리 가면의 또 하나의 공통적 특징은 그로테스크한 귀면(鬼面)에 쌍환형의 외곽 원이 금색으로 칠해져 있는 동심원 눈이다. 쌍환형 동심원 눈은 도가쿠 이전의 더 넓은 지역에서 교류, 전파되면서 다양한 신수(神獸) 가면의 유형이 패턴화되어 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의 부가쿠는 민간신앙과 결부하여 신사를 중심으로 전승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일본에 전해진 고마가쿠 나소리 가면과 관련된 기록과 유물은 한국에 남아있지 않다. 한국 탈춤에서도 나소리 가면의 쌍환형 동심원과 턱이 분리된 특징이 남아 있는 것은 동아시아 공연예술의 기원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연구과제가 된다. 본 논문은 고마가쿠의 나소리 가면의 조형적 특징을 통해 현재 전승되고 있는 한국 가면과 비교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시각은 고마가쿠 나소리의 원류를 밝히고자 한 국내의 선행연구에서 난릉왕 대면무(大面舞)가 신라를 거쳐 일본에 전래되었다는 설과 나소리를 신라악으로 보는 근거를 재검토하는 것으로 연구의 시야를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processes of cultural introductions and transformation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via focuses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nasori(納曾利) masks belonging to komagaku (高麗樂), part of bugaku (舞樂), a Japanese court dance and music. Previous studies of traditional masks in East Asia focus on their dramatic characters and entertaining aspects. On the contrary, it approaches to their origins through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komagaku nasori masks. Prince of Lanling, the representative togaku passed to Japan, and komagaku nasori perform a pair of toubu (答舞). One formative characteristic between Prince of Lanling and nasori masks is a dangling jaw (吊り顎). Masks having ``he`` (へ)-shaped eyes like Japan``s okina (翁) masks are characterized by a division (切顎) between the face and jaw, which is as same as the Korean masks. Other common grounds between Prince of Lanling and nasori masks are grotesque ghost faces and concentric double-circled eyes with their outlines painted gold. Concentric double-circled eyes prove that they spread to broader areas before the age of togaku and developed into a variety of divine-animal mask patterns. That Korean masks and nasori masks both have concentric double-circled eyes and dangling jaws is a significant starting point in studying the origi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 in East Asia. Japan``s bugaku has been passed down in shrines as part of folk religion. However, there exist in Korea no records or examples related to komagaku nasori masks introduced to Japan. This study provides some clues to comparison between Korean masks and komagaku nasori masks by focusing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latter. The researcher suggests a new perspective to nasori mask dance by re-examining earlier Korean studies of the introduction of Daemyeonmu of Prince of Lanling to Japan through Shilla and the assumption of Nasori as Shilla music.

      • KCI등재

        한국 여성영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난 ‘거울’과 ‘새장’ 모티프 연구

        김남석 ( Kim Nam-seok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20 공연문화연구 Vol.0 No.40

        이 연구는 한국 여성영화의 흐름을 통해, 그 특징과 미학 그리고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피기 위해 구상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시행하기 위해서 시대별 대표성을 간직한 네 편의 영화를 선택해야 했다. 일제 강점기에 제작된 영화<미몽>, 1950년대 여성주의에 대한 논쟁을 대대적으로 촉발한 <자유부인>, 여성의 황폐해진 삶과 이율배반적 남성 시각을 결합한 1990년대 영화 <은마는 오지 않는다>, 그리고 한국 페미니즘 영화의 미래 전형을 제시한 <바람난 가족>이 그 대상 작품이다. 특히 이러한 작품들은 시대별 한국 영화의 전형성과 대표성을 담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대상작이 아닐 수 없다. 이를 바탕으로 이 작품들에 나타나는 두 개의 공통 모티프를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하나는 여성의 영어 된 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새장’ 모티프이고, 다른 하나는 여성들이 자신의 처지를 자각하고 현재 상황을 점검하는데 필요한 ‘거울’ 모티프이다. 한국의 여성영화는 ‘새장’과 ‘거울’의 모티프를 일정 부분 공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모티프의 연계를 통해 궁극적으로 겨냥했던 작가적 전언을 전달하는 데에도 주력해왔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esthetic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the flow of Korean female movies.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four movies with representations of each age had to be selected. These four films are respectively Sweet Dream produc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dame Freedom which prompted the debate on feminism in the 1950s, The Silver Stallion Will Never Come which combines the devastated lives of women in the 1990s with anti-malevolent views, and A Good Lawyer’s Wife which presents a futuristic selection of Korean feminist films. Especially, these works are noteworthy in that they guarantee the typicality and representative of Korean films in each period. Based on this, two common motifs appearing in these work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One is a ‘cage’ motif that symbolizes women’s detention and the other is a ‘mirror’ motif that women need to be aware of their situation and check the current situation. Korean women's films have not only shared some of the motifs of ‘Cage’ and ‘Mirror’, but also have focused on conveying the author's message that ultimately aimed at linking these motifs.

      • KCI등재

        라이선스 뮤지컬 연출방법 연구 -2009년 <드림걸즈> 한국 프로덕션을 중심으로-

        조준희 ( Joon Hui Cho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5

        필자는 현재 국내에서 제작되는 뮤지컬 공연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라이선스 뮤지 컬의 연출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어떻게 국내 관객들에게 오리지널 뮤지컬 프로덕션 그대로를 전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과, 문화적·언어적 차이로 인해 전달이 불가능한 부분을 국내 환경에 맞게 어떻게 새롭게 창작할 수 있는가의 가능성, 그를 통해 오리지널 공연을 진정한 한국적 프로덕션으로 정착시키는 것이 라이선스 공연의 본질임을 확인하 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가 한국연출을 맡았던 2009년 <드림걸즈> 한국 프로덕션(2009년 3월 ~ 8월, 샤롯데 씨어터)을 중심사례로 다루고자 한다. <드림걸즈>를 주된 예로 사용하 고자 하는 이유는, 30년 만에 새롭게 재창작되는 라이선스 뮤지컬 프로덕션으로서 다양 한 연출적 시도를 생생한 사례를 통해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세밀하고 정확한 오리지널 프로덕션의 분석을 통한 재창작과 연기에 대한 코칭, 라이 선스 뮤지컬에 담겨있는 서구 문화의 한국화, 언어적 뉘앙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라 이선스 뮤지컬 연출에 중요한 방법론으로 판단되며, 라이선스 뮤지컬 연출가에게 제작사 와 오리지널 크리에이티브 팀과의 협업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임을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I attempted to study the resolution of how I can show the essence of an original musical production to audience, the possibilities of how recreate impossible elements according to Korean musical environment because of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and verify the meaning of adjusting an original production to Korean one through directorial approaches to licensed musical production. I mainly exemplified 2009 Korean <Dreamgirls> production (Charlotte Theatre, March ~ August, 2009) that I directed. The purpose that I wanted to analyze the case of Korean <Dreamgirls> production mainly is able to prove a wide variety of possible challenges rather than simply licensed ones because the former was recreated in 30 years after the first original production. Recreation and coaching to acting through fine and precise analysis of an original production, Koreanizing Western culture of the licensed musical, resolving the problem of linguistic nuances are the important ways to direct licensed musical. For licensed musical director, cooperation with original creative team and Korean production company must be the most important job.

      • KCI등재

        일반논문 : 한성준을 통해 본 재인 계통춤의 무용사적 가치 연구

        정성숙 ( Soung Sook Choung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09 공연문화연구 Vol.0 No.19

        재인청 출신 및 재인계통 예능인들은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기에 커다란 족적을 남겼으며, 오늘날 한국의 대표적 전통춤으로 자리매김하면서 한국창작의 모태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용학계에서는 재인계통의 춤에 대한 관심이 미흡했으며 전통춤에 대한 연구도 기방계통 춤에만 편중되어, 재인계통 춤의 연구는 단편적이거나 개별적인 연구에 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재인계통 춤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한성준을 통해 재인계통 춤을 분석하고 그 무용사적 가치를 분석하는데 있다. 한성준(韓成俊: 1874-1942)은 일제강점기를 경유한 재인으로, 무계(巫系)와 재인청(才人廳) 출신의 집안 내력을 갖고 있으며, 중부권을 중심으로 전승된 경향류 춤 맥을 계승하였으며, 속칭 `화랭이(花郞)`이기도 했던그는 명고수, 명무로 한 시대를 풍미한 전통춤의 대부이다. 그는 전통춤 근대화에 독보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전통춤을 재구성, 집대성, 무대 양식화하여 자율성을 확립하였으며, 승무를 비롯한 다양한 민속춤들이 전승체계를 갖추어 오늘의 전통춤이 되었고 또한 창작춤 소재의 근원이 되었다. 한성준이 전승한 재인계통 춤의 무용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전통예술의 반열에 올라있으며, 세계에 보여 줄 수 있는 가장 한국적인 전통문화재가 되었다. 둘째, 그 밖의 다양한 민속춤과 창작춤과 함께 한국춤의 한 장르로 위상이 확립되어 후학들의 학문적 탐구의 소재가 되고 있다. 셋째, 현대화와 시대변천에 따라 사라져가던 전통춤 부흥에 대표적인 사례가 되어 민족정체성 발견과 주체성의 위상을 확립하고 전통춤 발굴과 전승에 기여하였다. 넷째, 수많은 무용인들이 그의 춤을 전승하는 전통춤보존회를 조직하여 전수활동을 통해 많은 이수자를 배출하고 보급하고 있으며, 전통춤을 애호하는 관객들에게 향수 할 수 있는 공연 레퍼토리가 되고 있다. 또한 재인계통의 한성준의 춤은 한국창작의 지평확산에 초석으로서 다음과 같은 가치를 발견 할 수 있다. 첫째, 창작의 새로운 방법론을 모색함에 있어서 근원을 전통에서 찾아 재발견하는데 견인차 역할을 했으며, 주제표현에 있어 전통춤에서 가져옴으로서 민족주의적 정체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둘째, 전통춤 소재를 활용해서 동작 요소를 가져와 몸짓언어로 확장시킴으로써 현대무용과 같이 장르의 파격적인 해체에 기여하였다. 셋째, 도전적인 새로운 접근으로 전통을 재창조하려는 지평을 마련하였고, 나아가 소박한 우리춤의 근원으로 전통주의적 미학을 지향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이상과 같은 무용사적 가치를 지닌 재인계통의 전통춤이지만 드러난 문제점은 한성준류 춤의 이원화된 전승과 전승자에 따른 각기 다른 전승 양상은 전통의 다양한 전승이라는 측면에서는 수긍이 가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한성준류 춤에 대한 복원과 무형문화재 지정 등을 통해 어려웠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도 우리의 춤을 지키고 견인한 재인들의 예술혼이 담긴 재인계통의 전통춤이 탄탄한 줄기로 계승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배려가 요망된다. Those who were from Jaeincheon and Jaein line entertainers played great roles during transition period from traditional society to modern society, and even at present the dances of them are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dances of Korea and the matrix of Korean originality. Nevertheless, Korea dance field has given little importance to these dances, but too much importance to Gibang dance in studying traditional dances, which causes the studies on Jaein line danced to be superficial or separate. Therefore,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analyze the dances of Jaein line by Han Seong-jun, who was representative for the dances, and to appraise the historical value of them. Han Seong-jun(1874-1942) was the most influential dummer and dancer of his day in Japanese colonial times, and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asters of traditional dances. He established autonomy of traditional dances by reorganizing, collecting and stage-formalizing the dances, and systemized transmitting ways for various folk dances including a Buddhist dance, which made it possiblefor those dances to be traditional dances of Korea and the bases for creative dances. The values of Jaein line dances, which were transmitted through Han, are the following: First, the dances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or reg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as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arts, we proudly show them to the world. Second, the dances, as one of the genres of Korean dances, are the subjects of younger scholars` studies. Third, the dances become on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revivals of traditional dances, which tend to be extinct during modernization times,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national identity and subjectivity. In addition, they contribute to discovering and transmitting other traditional dances. Fourth, the dances enable many dancers to make association, that is, Association for Preservation of Traditional Dances,for the transmitting the dances, and to distribute the dances and get many dancers to transmit the dances. Furthermore, as new performance repertories, they give another pleasure to the audience. In addition to the above, as a base for expansion of Korean creative dances, Han`s dances have other values such as the following: First, in searching for a new methodology for creation,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discovering the foundation in the tradition, and tried to discover nationalidentity by employing the traditional dances for expression of theme. Second, he contributed to drastically dissolving the genres by expanding the gesture language from motion factors of traditional dances, which can be compared to the modern dance. Third, he tried new challenging approaches to re-create the tradition, and contributed to pursuing the simple elements of our traditional dances as traditional aesthetics. While the dances of Jaein line have such values as the above, there are also some problems around the dances, such as the confusion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resulted from different transmission forms and transmitters, which we must no longer leave as it is. Furthermore, it is urgent that the rest of Jaein line dances be recovered and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for the sound transmission of the traditional dances.

      • KCI등재

        일반논문 : 허규 연출 "완판 창극"의 특징과 의의

        김기형 ( Kee Hyung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0

        허규는 80~90년대 창극 연출을 담당하며 왕성한 활동을 전개한 바 있다. 그는 전승 5가 뿐만 아니라 실전 판소리를 창극화 하였으며, 창작 창극 작품도 다수 무대에 선보였다. 특히 `완판 창극`이라는 이름으로 1982년 <흥보전>을 무대에 올린 후 1985년 <적벽가>를 공연함으로써 전승 5가의 창극화 작업을 완결지은 것은 그가 남긴 큰 업적 가운데 하나이다. 허규는 주체적 민족문화의 정립과 한국 전통연희의 창조적 계승 문제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던 실천적인 연극인이다. 그는 창극을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예술로 정립하고자 노력했다. 창극 작품은 그 연원에 따라, ①전승 5가의 창극화 ②실전 7가의 창극화 ③창작 창극으로 세분해 볼 수 있다. 허규가 연출한 작품에는 이 3가지 유형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그 가운데 전승 5가를 창극화한 작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허규가 시도한 `완판창극`은 한국의 전통유산 가운데 빼어난 예술적 성과를 거둔 요소들을 집대성하여 무대에 올림으로써, 창극을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예술로 정립해 보고자 한 것이다. `완판창극`에 나타난 특징은 다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전통을 중시하는 연출 태도, (2) 전통연희 요소의 적극적 수용, (3) 격조와 윤리의식의 중시, (4) 해학의 강조와 보조인물의 적극적 활용이 그것이다. 허규가 시도한 `완판창극`은 창극이 성취할 수 있는 예술적 수준의 한 정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판소리 유산을 망라하고 나아가 전통연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창극을 한국의 대표적인 공연예술로 정립해 보고자 했던 것이다. 허규는 `완판창극`에서 판소리의 진정성을 그대로 살리려고 노력했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한 대목도 빠뜨리지 않고 장면화 하려고 했다. `완판창극`의 공연 시간이 4~5시간이나 소요되었다는 것이 그 점을 잘 보여준다. 허규가 완판창극에서 거둔 성과는 이후 창극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1990년대에 시도된 `완판장막창극`도 그 모태는 허규의 `완판창극`에 두고 있다. 창본을 종합해 내고 판소리의 좋은 점을 모두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가 일치한다는 점에서 특히 그러하다. 그렇지만 90년대 `완판장막창극`은 대형 무대화를 지향했으며 화려한 무대장치와 의상 그리고 버라이어티한 요소를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완판창극`과 대비된다. 허규의 완판창극이 끼친 중요한 영향 가운데 하나는 판소리의 `열린 형식`을 창극의 공연 문법으로 적극 활용했다는 점이다. 허규는 극의 전개 과정에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전통연희의 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극적 표현 영역을 확장하고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했다. 이러한 그의 시도는 창극 극작술의 한 방식으로 인식되어, 이후 창극 연출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요즘 창극은 어떻게 하면 청중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을까에 관심을 집중하기 때문에, `감동받는 창극` 보다는 `재미있는 창극`을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공연 시간도 최대 2시간을 넘지 않으려고 하며, 관현악 반주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런 관점에서는 허규가 `완판창극`을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창극의 지향점은 극복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It has been diversified and serious attemp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Changgeuk, but it is still independent dramaturgy or the current unformed progressive art. In this situation, exploring works of the identity of changgeuk that is base on the performed individual and specific works in the title of Changgeuk is needed. The 80s and 90s Heo, Gyu was leading an active life as a director who was responsible for directing of Changgeuk. He dramatized Siljeon Pansori-which is a group of Pansori missing text-as well as 5-remained Songs in Pansori and he presented a number of creative Changgeuk works on stage. Especially, the completion of dramatizing 5-remained Songs in Pansori under the name of `Wanpan Changgeuk-which means full version performance without omit-` is the one of his big achievement by performing "Heungbojeon" on the stage 1982 and "Jeokbyeokga" 1985.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confirmation of Heo`s direction of the formulation and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 significance through `Wanpan Changgeuk` which written by Heo. Heo was a practical play who was interested in the subjective formulation of national culture and creative transmission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He tried to formulate Changgeuk to a representative performance of Korea. In the process he pointed out those problems, ① interpretation of a work problem, ② actor`s creative problems, ③ structure problem of theater for Changgeuk. He indicated that the other challenges are to use of the stage & device, to overcome sentimentalism, to stylize acting, to improve own quality, to control the speed and length of the song, to choose the suitable musical accompaniment, to create new repertories problems, and etc. Changgeuk is classified in 3 group by origin, ①dramatizing of 5-remained Songs, ②dramatizing of 7-missing Songs, ③creative dramatizing. It contains all of 3 types that Heo`s work. The dramatizing of remained 5 Songs are the great importance among those works. Heo hoped that Chaggeuk has become the most representative art work of Korea by performing `Wanpan Changgeuk` compiled heritage of Korea`s outstanding artistic achievement. The characteristics of `Wanpan Changgeuk` can be summarized following four. (1) Directing attitudes that emphasizes tradition, (2) Accepting the elements of traditional performance actively, (3) Valuing the classy and ethic, (4) Emphasizing humor and active utilizing of the secondary characters. Heo`s `Wanpan Changgeuk` shows a peak of the artistic level which Changgeuk can be reached. He want to make Changgeuk a Korean representative artistic performance by compiling Pansori heritage and accommodating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Heo continued his effort to present Pansori`s authenticity and to dramatize from beginning to end without missing. It shows very well that `Wanpan Changgeuk` takes 4-5 hours for playing. It looks Heo`s achievement in the `Wanpan Changgeuk` influenced Changgeuk significantly since then. Heo`s `Wanpan Changgeuk` is matrix of `Wanpan JangMak Changgeuk` attempted in the 1990s. Especially, their intent is consistent to synthesize texts and to show all the virtue of Pansori. But 90`s `Wanpan JangMak Changgeuk` aim for large stage, fancy device & costume and variety contents compared with `Wanpan Changgeuk`. Recently, producers have tried not to make a impressive Changgeuk but to make a interesting one. They usually organize performance within 2 hours and prefer orchestral music to its unique sound. In those point of view, it seems that Heo`s idle in `Wanpan Changgeuk` has become one of target to conquer in these days.

      • KCI등재

        기획논문2- 주제: <주제: 전통공연유산의 지속과 변화> : 왜 춘향은 춤을 추는가(2)- 판소리<춘향전>과의 대비를 통한 한국발레의 창작방안 연구서설

        임형택 ( Hyeong Taek 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이 글은 오늘날의 시각 중심 시대에 문학이 요동하는 주요인의 하나로 영상 미디어-테크놀로지에 의한 ‘몸’의 부상을 꼽고, 그에 따라 ‘문학미디어’로서의 몸 -몸의 문학적 현상과 기능- 을 연구하는 연속적 연구의 두 번째이다. 필자는 연구의 구체적·역사적·이론적 지평을 확보하기 위해 판소리와 발레의 대비 연구에 먼저 착안했었다. 그 과정에서 한국 고전 서사에 기반을 둔 한국 창작발레가 글로컬 문화 콘텐츠로서 조명되었으며, 한국발레의 진정한 개성과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한국 고유의 리듬과 선율이 원용될 필요성이 제기됐었다{이상 ‘왜 춘향은 춤을 추는가(Ⅰ)’}. 그것은 곧 판소리의 장단과 창으로서, 이 글에서는 그 주장을 강화 및 공식화하기 위해 구체적인 논거들을 보완하는 한편, 판소리가 실제로 사용된 한국 창작발레의 사례를 제시하면서 앞으로 장단과 창이 어떻게 적절하게 원용됨으로써 한국창작발레의 향상이 이뤄질 수 있는가를 거시적으로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현재까지는 한국 창작발레에서 판소리가 일종의 시각적 효과 -이색적인 요소로서 단지 뵈어지고 들려지는 것? 를 주로 거뒀다고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것을 넘어서 동작과 안무에 작용하는 판소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부분적 적용에서 정제되어 전반으로 확장되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This article is the second one of the continuous study that considering ‘body’ as important and researching bodies as ‘literature-media’: the phenomena and functions. The present writer first of all have paid attention to the study of the contrast between pansori and ballet to secure definite, historic and theoretical prospect of this continuous study. In the process, the Korean creative ballets based on Korean classic narratives were illuminated as the glocal culture contents. And then the necessity of citing Korean characteristic rhythm and tune was insisted to acquire the true individuality and identity(What is the reason Chunhyang dances?(Ⅰ)). The solution is jangdan and chang of pansori. This article aimed the supplementation of detailed and actual arguments to strengthen and formulate the opinion. And then this article desired to estimate the way to improvement of Korean creative ballet by properly citing jangdan and chang with the actual application cases of Korean ballets. Until now, at least pansori have gotten a sort of visual effectiveness: simply be seen and heard as unusual constituent. Thus the necessity of pansori to work motions and choreography beyond the simple usages. Also the way to be extended generally through being refined by the partial applications.

      • KCI등재

        일반논문 : 최승희 춤 활동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반향

        김채원 ( Chae Won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1

        본 연구는 세계적인 무용가였던 최승희의 1930~1940년대 춤활동에 대한 한국과 일본에서의 당시의 반향을 분석하여 그녀의 춤활동에 대한 실제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료 가운데 신문이나 잡지에 문학인들에 의해 실린 평전이나 그녀의 춤에 관해 기술한 글들을 중심으로 분석했으며, 가능한 당시의 한국과 일본에서 최승희는 어떤 존재였으며, 어떤 평가를 받았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춰 살펴봤다. 고찰 결과, 일본을 주된 거점으로 무용활동을 펼친 최승희에 대한 한국에서의 평가는 `조선춤을 희화화`했으며, `철학성 부재`라는 비판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일부 지식인계층과 매스컴의 영향으로 조선무용가로서의 특별한 존재로 인식되었다. 반면 일본에서는 문화예술계는 물론이고 재일조선인들에게도 어떤 기대감을 안겨주면서 일제강점기라는 암흑의 시대에 새로운 희망으로 부상했다. 그녀의 민족적 소재의 무용활동은 일본의 르네상스운동에 일정정도 영향을 미쳤고, 격렬해지던 전쟁 상황으로 무용계가 침체기에 빠졌을 때는 한 가닥의 희망으로서 일본문화인들의 지지를 받았다. 그녀의 춤은 민족혼과 민족의식 또는 민족정신의 표출로, 그것이 비록 미성숙한 상태로 발현되거나 희화되어 나타났을지라도 `조선의 향기`를 담아낸 `민족적 정취` 바로 그것이었다는게 일본문화인들의 평가이다. 더욱이 그녀의 춤은 일본 땅에서 신음하던 재일조선인들에게 희망이자 자존심이었으며, 고통을 참아낼 이유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인이며 조선의 춤으로 일세를 풍미했던 최승희는 당시 조선사회에서보다 일본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무용가 개인사를 평가함에 있어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현시점에서 그녀가 행한 친일적 행위의 단면만을 보고 전체를 평가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으며, 한국의 무용계를 위해서도 매우 신중하게 검토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world`s dancer Choi Seung-hee of Japan and South Korea about dance activities in the evaluation is to investigate. 1930-1940, especially in the center`s evaluation of the analysis. The data collected by the literature being published in newspapers or magazines, or her biography focuses on articles about the dance was described, Choi Seung-hee of South Korea and Japan at the time as possible in the presence of a focus of research and looked at evaluation. As a result, Choi Seung-hee of South Korea in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dance caricature` and has this week criticized the lack of philosophy. However, the influence of some intellectuals and the media could be present as a special Korean dancers. Meanwhile, Japanese and Koreans in Japan, as well as the Cultural Arts brings some anticipation as the dark era of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new hope has emerged. And expand the national dance of material for her actions affect Japan`s Renaissance movement characteristics, when you`re in a recession as a war dance scene in the hopes of strand was supported by Japanese culture is. The patriotic spirit of her dancing and was a manifestation of the spirit of nationalism or ethnicity. Although the expression of the immature state, or painting, but the `Scent of Korea` itself, which embodies the `national mood`, respectively. Moreover, Koreans in Japan who had been seared in japan some of her dancing was a hope and pride. Also think about the pain was the reason. Choi Seung-hee is a Korean dance Refrain Korea, in Japan society over time korea has received positive reviews. When evaluating a dancer at the time without considering the historical situation at the moment is to evaluate any one-sided reporting only have a lot of stock. And South Korea for the dance scene to be very carefully studied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소통을 위한 몸짓 - 농음의 문화상호적 해석 -

        김혜림 ( Hyelim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3

        한국의 전통악기, 대금은 악기의 특이한 음색과 다양한 기법으로 한국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전하면서 동시에 국제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대금 연주가 및 음악인류학 연구자로서 활동하고 있는 본인은 대금 연주를 통해 클래식, 동아시아 음악, 전자 음악, 재즈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연주가들과 한국 외 세계 여러 곳에서 협업을 진행해 왔다. 공연을 기반으로 한 협업은 음악간의 문화적 간극을 극복하고자 한 빅토르 터너 (Victor Turner)가 주장한 ‘다문화적 퍼포먼스 (Intercultural Performances)’를 지향하는 연구 주제와 병행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그 중의 한 예로서 한국 전통 음악과 클래식 음악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 공연 연구이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본인이 한국의 저명한 작곡가 김대성(1967년생)에게 위촉한 대금과 서양 악기를 위한 두 곡, ‘님’과 ‘청’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협업 내용은 리차드 셰크너 (Richard Schechner)의 공연 이론 (Performance Theory)을 기반으로 음악 인류학 및 공연 연구의 핵심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 본 공연 연구의 목적을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대금의 현대화 과정을 클래식 음악의 문맥 안에서 구체적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두번째, 본 공연 작업은 영상과 음원 등의 자료를 이용해 분석되고 이를 마이클 텐저 (Michael Tenzer)의 ‘문화적 상대화 (Cultural Relativism)’ 개념에 적용시켜 본다. The Korean taegum, a horizontal bamboo flute,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wind instru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ymbolized by its unique timbre and diverse techniques, this instrument transmits the beauty of Korea, and has become acknowledged even in international music scenes. Being a taegum player, composer, and ethnomusicology researcher, I have developed creative collaborations with musicians from Asian, electro-acoustic, jazz, and Western art music traditions developed outside my country of origin and tried to overcome musical boundaries through the ``intercultural performances`` (after Turner 1988). Zooming in one collaboration, I detail the process of music creation and performance, collaborating with prominent Korean composer Kim Taesong (b.1967), who was commissioned by myself to write two compositions for the taegum and Western art music. The purpose is twofold: firstly, the moderniza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Korean flute is briefly tracked down within the context of Western Art music. Secondly, a performance project is illustrated with the support of technical apparatuses such as DVD and CD recordings and delves further into the question of the ``cultural relativism`` (Michael Tenzer, 2006: 7) through the interactive process. The performance-as-research, as a tool ``actualizing`` (Richard Schechner 2003: 32) the hybridity, touches on critical domains in Ethnomusicology. The corresponding two parts discover, as Alan Merriam``s(1964) ``tripartite model`` suggests, the ``context`` of Korean and Western cultures, the ``behaviour`` of collaborating and performing and the ``sound`` of improvised and composed productions in the course of music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