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민주주의와 유교문화 -한국민주주의론을 위한 예비적 고찰-

        나종석 ( Na Jong-se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3 가톨릭철학 Vol.0 No.21

        이 글에서 필자는 민주주의와 유교문화 사이에 긍정적인 연관이 있다는 점을 한국 민주화 과정에서 유교적 전통이 끼친 긍정적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제를 통해 이 글에서 비판하고자 하는 관점은 유교적 가치는 오로지 봉건적이고 반(anti)근대적이어서 근대성을 추구하는 데 결정적인 방애물이라는 통념이다. 이 통념은 한국사회에 국한해보아도 서구의 충격으로 인해 조선왕조가 멸망하고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로 전락한 경험으로 인해 지금까지 조선 유학, 특히 조선 주자학을 바라보는 주류적 관점이다. 이 글은 이런 주류적 관점에 대한 도전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의 민주주의의 실현 과정에서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축적되어온 유교적 정치문화가 어떤 방식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의 민주주의를 선비민주주의로 규정하고 선비정신과 민주주의의 창조적 만남의 과정을 통해 민주화 운동의 내적 논리를 해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 글은 유교적 전통이 서구의 충격을 통해 변형되는 과정을 충(忠)관념의 민주적 변형이라는 시각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해 유교적 정치전통의 민주적 잠재력이 한국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는가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아직도 제대로 된 한국 민주주의론이 없는 학문적 공백을 채워보기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한국의 민주주의의 실현 과정에 대한 독자적 논리에 대한 이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해명하려는 과제는 한국적 근대성의 고유한 성격이다. 유교문화와 민주화의 상생적 만남이 바로 한국 근대성의 독자적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The thesis will observ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Confucianism by focusing on the positive impact Confucian traditions had on Korea’s democratization process. From this perspective, the thesis will refute the common misperception that Confucian values are only feudalistic, anti-modern and critical barriers to pursuing modernity. This misperception is dominant in regards to Joseon Confucianism and especially Joseon Neo-Confucianism, due to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s demise from the shock of opening to the West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that ensued. This thesis will challenge that prevalent misperception. The thesis will elaborate on the positive roles that Confucian political culture, which was established throughout Joseon Dynasty, played on the development of Korea’s democracy. Here, the thesis defines Korea’s democracy as Seonbi(士)Democracy, and explains the internal dynamics of Korea’s democratization movement as a process of creative merger between Seonbi Spirit and democracy. Also, the thesis will look at how Confucian traditions changed due to the shock of opening to the West, and considers the democratization of the chung(loyalty, 忠). The thesis is also an effort to produce a Korean theory of democracy, which is non-existent at present. The thesis aims to identify unique qualities of Korea’s modernity by establishing an independent theory of Korea’s democratization. The author believes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culture and democracy show the distinct qualities of Korean modernity.

      • KCI등재

        가톨릭의 ‘믿음적’ 가족 개념을 통한 한국 가족의 전망

        김세서리아 ( Kim¸ Seseoria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7 가톨릭철학 Vol.0 No.9

        현존하는 가족의 상태가 어떠하든, 혹은 결혼과 가족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 어떠하든 분명한 것은 현대 우리에게 가족 담론이 일상적이고 친근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우리는 늘 가족과 더불어 가족 안에서 살아간다고 생각하며 가족을 매우 친숙한 개념으로 간주한다. 그래서 우리가 ‘가족’이라는 이름 안에 담고 싶어하는 이상적인 ‘어떤 것’이 있다고 꿈꾼다. 그런데 그 이상적인 ‘어떤 것’은 어떻게 마련되어야 하는가? 본고에서는 이를 혈연가족에 제한되지 않는 방식으로, 그리고 차별적 요소와 결별하는 형태로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를 가톨릭의 ‘믿음적’ 가족 개념을 통해 제시한다. 가톨릭의 신앙에 근거한 공동체 의식과 그에 따른 가족에 대한 사고가 열린 가족으로서의 의미를 확산시키는 데에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은 성경이 전통적으로 가족과 가정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또한 가톨릭 교회가 최근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가족 문제와 변화적 추이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가톨릭 신앙 이론에 근거한 가족 개념을 통해 연대 의식, 유대감, 일체감 등으로 표현되는 가톨릭의 합일성을 확인하고 강화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큰 공동체를 구성하는 원동력으로 만들 수도 있다. However the existing state of the family is, or however our thought about marriage and family is, what is certain is that for us in the modern society, family discussion is formed in our everyday life and formed intimately. That is to say we think that we always live together and within the family. We also consider family as a very familiar notion. Because of this, we sometimes dream that there is an ideal ‘something’ that we want to put into the name of ‘family’. Then how should the ideal ‘something’ be prepared? It should not be made up of a notion that is equal or familiar with the original. It should be prepared in a way that is not restricted by blood relation and in separation of the discriminative element. I suggested these methods in the thesis through the Catholic ‘faithful’ family notion. I think that cooperation made through the Catholic belief and the following speculation about family will be a useful tactic to diffuse the meaning as an open-family. This kind of though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Catholic church has had a great interest in family and household traditionally and also recently the church has recognized the various forms of family problems and the diverse changes in Korea and is endeavoring to arrange an active plan for them. By the Catholic’s faithful family, we can make certain the unity expressed through alliance, relationship, accord and so on and strengthen them as well.

      • KCI등재

        존 헨리 뉴먼의 『대학의 이념』에 비추어 본 한국 가톨릭대학교들의 발전 전망

        이종진 ( Lee¸ Jong-ji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6 가톨릭철학 Vol.0 No.26

        본고의 목적은 고전의 가치를 지닌 존 헨리 뉴먼의 『대학의 이념』이 다루고 있는 중요한 주제들을 요약해서 소개하고, 이를 통해서 오늘날 한국 가톨릭대학교들의 현실을 진단함과 동시에 미래의 발전 전망들을 가늠해보는 것이다. 본론의 첫째 부분은, 뉴먼이 다루고 있는 주제들 중에서 오늘날 여전히 시의성을 지니고 있는 네가지 주제들을 소개하는 것이다: 가톨릭대학교의 설립목적, 학문으로서의 신학의 통합적 역할, 자유교양교육의 중요성, 가톨릭 인본주의에 입각한 교회의 의무. 이어서 둘째 부분에서는, 뉴먼의 저서에 대한 현대 미국의 대학교육자들의 견해를 소개하는 것인데, 이는 오늘날 대학의 문제 역시 세계화의 맥락에서 반성될 수 있는 것이기에 우리 현실을 진단하는데 참고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해서 필자가 생각하기에 한국의 가톨릭대학교들이 비전을 세움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열거하였다: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통합적 비전과 차별성, 교육의 중요성, 교양교육과 전문교육 사이의 균형, 대학의 연구 기능이 실천적인 문제들과 연관성을 확보하는 일, 온라인 교육의 확장 추세와 관련해서 양적 성장보다는 내실화를 기하는 일의 중요성 등이 그것들이다. 결론에서는, 재정건전화의 가능성과 가톨릭대학인들 사이의 연대에 대해서 일언하였다.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some important topics in John Henry Newman’s The Idea of a University in order to reflect the reality and the developmental prospect of contemporary Korean Catholic universities. In the body, this paper first presents four topics in the book of Newman which have still timeliness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Catholic University, the integrating role of Theology as Science, the importance of teaching Liberal Arts Knowledge, and the duties of the Church on the basis of Catholic Humanism. Second, it introduces some views of contemporary American Scholars about Newman’s book to consider the problems of university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Third, the writer enumerates several points to which one can refer in making visions of a Catholic university: the integrating vision and the uniqueness which should reveal the identity of a Catholic university,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e symmetry between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education, the connection of the university research agenda with the practical issues of the time, and the effective university administration in the tendency of developing electronic university. In the conclusion, the writer alluded to the financial crisis of a university and emphasized the solidarity among the members of Catholic universities.

      • KCI등재

        가톨릭의 평화사상과 평화권 연구 -한국사회의 새로운 평화원리 구상-

        심현주 ( Shim Hyunju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0 가톨릭철학 Vol.0 No.34

        현대 가톨릭교회의 평화 사상과 국제사회의 ‘평화권’ 운동은 모두 ‘보편적 인권’에 기반하는 평화체제’를 강조한다. 가톨릭 평화사상과 국제사회의 평화운동이 같은 노선 위에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던 배경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사회변화에 있다. 전쟁의 참상, 빈곤의 고통, 국가 간 갈등을 발생시키는 구조적 폭력의 문제들은 인권의 문제를 직시하게 만들었다. ‘평화권’에 대한 구상은 더는 물리적 폭력이 없는 소극적 평화에 만족하지 않고, 경제 사회문화적인 구조적 폭력을 없애는 적극적 평화개념에 이르렀다. 평화 만들기를 위한 제안들은 ‘평화롭게 살 권리’와 ‘연대권’으로 개념화되고 있다. 이 권리들은 ‘전쟁을 거부할 권리’, ‘군사외교안보정책을 민주적으로 통제할 권리’, ‘발전과 환경에 대한 권리’ 등을 포괄하며, 평화권이 개인과 집단의 권리이며 의무라는 점을 확인한다. 난민을 포함한 이주민의 문제도 국가 간 불평등을 제거해야하는 평화의 문제에 속한다. ‘평화권’ 개념은 가톨릭의 평화사상과 공통된 지향을 가질 뿐 아니라, 아래로부터 요구되는 평화운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국사회에서 ‘평화권’은 특별히 1919년 ‘거리의 평화운동’을 계승한다는 역사적 의의도 지닌다. 여전히 냉전시대를 살고 있는 비동시적 상황에서, 한국사회는 ‘평화권’에 기초한 새로운 평화주의 원리를 발전시켜야 할 과제를 지닌다. 그 원리는 한국사회의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한반도의 문제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풀어 나가는 방안이어야 하며, ‘동아시아 평화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동력이 되어야 한다. The modern pacific thought of Catholic Church and ‘the right to peace’ movement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emphasize a peace regime based on the universal human rights. The background that the catholic pacific thought and an international peace movement have the transition on the same route was the social change Post-War. The problems such as the horrors of war, suffering of poverty, and structural violence bringing about conflicts between nations make you to look the matter of human rights in the face. An idea about ‘the right to peace’ has reached over negative peace to positive peace which means the elimination of structural violence bringing about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inequality. Suggestions for peacemaking have been conceptualized into ‘right to live in peace’ and ‘right to solidarity’ that embrace ‘right to reject war’, ‘right to democratic control the military-foreign-security policies’, and ‘right to development and to environment’. These confirm that ‘the right to peace’ is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rights. The problem of an immigrant include refugee belongs to task of peace that should eliminate the inequalities between nations. The concept ‘right to peace’ has the common direction with catholic pacific thought, also it can be understood as peace movement required from below. In Korean society, ‘right to peace’ get a historic significance to take over the ‘peace movement on the street’ in 1919. A new peace principle based on ‘right to peace’ should be a way to develop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Korean Peninsula stably and persistingly. Additionally, it should be an energy to establish an ‘East Asian Peace Community.’

      • KCI등재

        1950년대 한국에서의 실존주의 논쟁과 사회비평의 가능성 -최일수의 ‘민족적 리얼리즘’을 중심으로-

        나종석 ( Na¸ Jong-se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1 가톨릭철학 Vol.0 No.16

        이 글은 50년대 실존주의 수용 과정에서 진행된 논쟁들 중 최일수의 실존주의 비평의 의미를 중심으로 실존주의 논쟁이 지니는 사회비평의 함축들을 성찰해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선 실존주의가 왜 50년대에 광범위하게 수용되었는가를 문학비평의 활성화의 측면에서 간단하게 살펴본다. 그 후 다루어지는 것은 실존주의에 대한 최일수의 비평을 중심으로 50년대 전개된 그의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의미를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50년대 한국의 실존주의 사조에 대한 최일수의 비평이 현재적 맥락에서 전해주는 의미들이 무엇인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현재 비평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실마리를 추적한다. In Korea during the 1950s there was much debate on existentialism, which was the most influential philosophy at the time. Of the many debates that took place the author focuses on the significance of Choi Il' Soo's criticism regarding existentialism to reflect on the socio-critical implications that the debate on existentialism carries. Thus the author will briefly introduce the reasons why existentialism was widely accepted in the 1950s, in regard to the invigoration of literary criticism. The author will then focus on Choi Il Soo's criticism of existentialism to elaborate on the meaning of his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theory which progressed in the 1950s. The author will discuss Choi' Il Soo's criticism of Korea's existentialism of the 1950's, and the significance that the criticisms hold in today's context. Through this, the author seeks to discover solutions to overcome the crisis of today's criticism.

      • KCI등재

        가톨릭 전통에서의 만민법 사상 -그 사상의 발전과 현대적 실행방안에 관한 연구-

        심현주 ( Shim Hyun-ju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3 가톨릭철학 Vol.0 No.21

        가톨릭 사상 전통에서 만민법은 자연법에 근원을 두고 있으며, 근대 국제법이 형성되는데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현대적 의미에서 국제적 규범으로 인식되는 만민법은 모든 국가에게 권리와 의무를 부여한다. 그 규범들은 사람들의 사회적 권위에 의해 만들어지는 인정법(人定法)에 속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만민법 규범들이 실질적 권한을 가질 수 있는 까닭은 그것이 만민들의 의지에 의한 합의이기 때문이다. 비토리아에 따르면, ‘만민들의 합의는 법을 제정하는 일반의지’이다. 모든 사람은 사회적 존재로서 일정한 정치체계를 요구하게 되는데, 도덕적 존재인 사람이 요구하는 정치체계란 도덕적 법 규범에 의해 질서지어 진 것이다. 수아레즈에 따르면, 만민법 규범의 도덕성은 모든 국가들의 공통된 관습에 근거한다. 모든 국가에게서 보이는 공통된 관습들은 그들 민족이 자연적 이성에 의해 발견하는 자연법 규정들이다. 이런 규정들에 근거하여 만민들이 사회적 이성에 의해 합의한 규칙들은 자연 도덕률을 담보한다. 가톨릭 만민법론자들이 목적한 것은 ‘Bonus Orbis’(세계공동선)다. 그것은 모든 국가가 서로의 주권을 존중하고 형제애로써 관계를 맺으며 정의에 따라 교역하는 사회다. 이런 만민법 사상의 전통안에서 오늘날 가톨릭교회는 국가적 차원에서와 마찬가지로 국제적 차원에서도 공동선의 주체가 개인들임을 명시한다. 국가 주권은 바로 모든 국가 시민들의 주권이기 때문이다. 사회의 공동선을 위해서는 사회적 권력의 보조성과 개인들의 연대성이 밀접한 관련성 안에 놓여 있어야 한다. 이런 사상이 구체화되고 현실화 될 수 있는 가능성은 모든 국가들이 평등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세계 연방공화국 체제 안에 또 세계의 모든 시민들이 만민법 규범에 합의할 수 있는 세계적 자유주의 사상에 있다고 여겨진다. 그 사회는 계몽된 세계시민들이 세계 공동선을 위한 법을 제정하는데 참여하는 곳이며, 모든 국가가 만민들의 복리와 평화를 증진시키는 곳이다. In the Catholic tradition, ‘jus gentium’ is based upon ‘natural law’ and it has had a decisive influence on modern international law. In the modern sense ‘jus gentium’ is in general recognized as international norms and grants all rights and duties to all states. The norms of ‘jus gentium’ don’t belong to human law that is established by human social authority. Nevertheless the norms of ‘jus gentium’ have actual power for the regul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s, because those norms are based on the consent of people. According to Vitoria, the consent of people is ‘Volonté Générale’ to establish the constitution. Everyone, as a social being, requires a certain political system that is operated through the moral legal norms. According to Suárez, the morality of ‘jus gentium’ is based on the common custom of all states. That custom is just the contents of natural law that is inferred by natural reason in all states. On the grounds of that, people make a settlement on certain rules by social reason. That rules are included ‘jus gentium’ that guarantees the natural moral code. The purpose of ‘jus gentium’ is ‘Bonus Orbis’ that means a world society, in that all states respect the state sovereignty of each other, have a fraternal relationship and trade according to principles of justice. In this tradition, today Catholic Church states that the main agent of common good is individuals not only in national dimension but also in world dimension, because the state sovereignty is just the citizen sovereignty of all state. For common good, subsidiarty of social power and solidarity of individuals must be linked closely. The possibility to concretize and to actualize of the thought ‘Jus gentium’ must be in a republican world society in that, all states can maintain equal relationship and in the though of cosmopolitan liberalism in through, citizen in all states can participate in consent to ‘Jus gentium’. In that world society, an enlightened citizen of the world engages in establishing the constitution for the common good of the world and all states promote the welfare and peace of people through solidarity.

      • KCI등재

        가톨릭 교회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저출산 문제

        박은호 한국가톨릭철학회 2022 가톨릭철학 Vol.- No.38

        Currently,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lowest-low fertility with the total fertility rate below 1.3. The low fertility is a social phenomenon that causes various socio-economic problems due to a decrease in the working population, so the government is trying to resolve this problem by mobilizing a huge budget. This situation can be thought to be caus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birth control policy that the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for over 30 years, job instability, the increase in the costs of children, and especially the situation of women in which they have to carry out both paid work and housework, value changes regarding marriage and family, etc. The Catholic Church doesn’t emphasizes the great number of children but teach that the vocation of marriage, family, and parenthood is a journey of realization of person so that the process of procreation is consistent with the dignity of the person. In the meantime, it has been carrying out the pro-life movement rather than the encouraging childbirth However, in the era of lowes-low fertility, it is necessary to look at and act on the issues of childbirth and nurture more actively while preserving the pro-life movement. There are necessary the education about marriage, family, human life based on Christian anthropology, celebration of the dignity of life in the liturgy and everyday life and practical activities to help childbirth and nurture. Since marriage and childbirth cannot be imposed, the Catholic Church should invite people to know the precious value and meaning of marriage and famil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