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과 세계, 상대성 보편성의 경계에 선 철학

        박치완(Tchi 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철학의 세계성(globality)은 실제 철학의 지역성(locality)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지역성, 상대성이 높을 때 세계성, 즉 보편성에 다가갈 확률이 높다는 것을 증험(證驗)한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사람들은 철학을 논할 때면 예외없이 비지역적이고 초시간적인 보편성만을 사유의 모범으로 고집한다. 보편성, 세계성은 물론 시공간을 초월하며, 누구에게나 적용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런 인문 지식의 보편성이 존재할까? 서구인들을 위한 서구적 보편성이 동양이나 한국에서도,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서도 타당한 담론일까?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지역학으로서 철학(philosophy as a localology, the study of localness)의 밑그림을 제시해보았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은 기본적으로 철학에 대한 지리ㆍ문화적 해석에 기초한 것이며, 실제 우리가 구분하곤 하는 독일고전철학, 프랑스현상학, 영미분석철학, 한국불교철학 등도 이에 기초한 것이다. 이렇듯, 서로 다른 지역에는 서로 다른 철학이 존재한다. 한국철학도 결국 자신의 지역성, 상대성을 모태로 연구될 때 이제까지의 외부에 의해 강요된 타자의 시선으로부터 독립되어 자발적ㆍ창조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지역학으로서 철학'을 통해 본고에서 우리가 강조해보려고 했던 것은 다음 명제다: 철학이란 지역성에 도달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지역성에서 출발한다. 즉 땅의 정령이 숨 쉬는 지역이 철학의 출발지요, 모태라는 것과 지역성의 표현이 철학의 최종 목적지라는 것은 구분되어야 한다. 지역의 독립은 결코 세계로부터의 고립을 의미하지 않는다.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philosophical globality is controlled by the philosophical locality. This has proved that the provability to approach to the globality, in other words universality is getting higher when the locality, the relativity is higher. But for what reason, people stick to the non-local and trans-temporal universality as the norm of rational faculty of the mind without exception when discussing philosophy. Of course it can be said that the universality, in other word globality is transcend time-space, and applied to everyone. By the way, really can such a universality of the knowledge of humanities be existing? Can the western universality for Westerners be a rational discourse in the East, Korea and Ethiopia in Africa? In this study, under this critical mind, the rough sketch of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has been proposed. The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is fundamentally based on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interpretation of philosophy, and German classic philosophy, French phenomenology, Anglo-american analytic philosophy, and Korean Buddhism, practically classified by us are also based on this concept. So, every different region has its own philosophy. Eventually Korean philosophy, when its location, locality and relativity are the matrix of studies, can be independent from the forced external eye-line and spontaneously and creatively restructured. Through Philosophy as the study of Localness the propositions intended to emphasize is: "A locality is not the destination of/to philosophy, but the starting point." In other word, the fact that the region, where the spirit of the soil is breathing, is the starting point as well as the matrix of philosophy and the fact the expression of localness is the final destination of philosophy shall be segregated.

      • 소통의 관점에서 본 한글의 문화코드 분석과 활용 방안

        허소정,So-jung Her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5 철학과 문화 Vol.32 No.-

        한 나라의 문화산업은 국가의 경쟁력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나라마다 경쟁력이 있는 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문화상품화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문화의 다양성이 중요시되는 시대에는 문화적 정체성과 함께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의 발굴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한 콘텐츠는 한 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인간과 인간 간의 소통을 넘어 인간과 자연, 국가와 국가 간의 소통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적 정체성과 함께 소통이 중요시 되는 시대이다. 소통은 타인의 다름을 인정하고, 타인을 존중하며, 타인을 배려하며 이해하는 가운데 이루어질 수 있 다. 한글은 문화적 정체성과 함께, 소통의 문화코드를 가지고 있는 훌륭한 문화 유산이다. 소통의 관점으로 본 한글의 문화코드는 ‘어울림’ 혹은 ‘조화’, ‘자연스 러움’, ‘생명존중사상’ 등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소통의 문화코드는 국내적으로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콘텐츠가 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한글의 문화코드 분석을 통해서, 한글콘텐츠는 인성교육과 한류콘텐츠 두 가지 측면으로 활용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한글은 인성교육의 핵심인 소통의 코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성교육은 우리의 문화유산의 가치를 생각 하면서 동시에 소통의 문화를 배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글은 소통이라는 인류 보편적인 가치와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을 갖고 있는 훌륭한 한류콘텐 츠로써 한국 문화의 위상을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Cultural industry is regarded as a main factor to reinforce national competence. Therefore many countries is trying to develop culture contents which hav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n era of cultural diversity,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develop culture contents which has their national cultural identity and that people can communicate and empathize with. These cultural contents can lead to communica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country, as well as reveal the cultural identity of a nation. Communication is also valuable factor in a global world. Communication can be done well by respecting and considering for others, while acknowledging the differences of others. Hangeul is our great cultural heritage that has not only cultural identity, but also the code of communications. In the view of communications, the culture code of Hangeul is ‘harmony’, ‘naturalness’, ‘respect for life’. This code of communica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our culture better and be a worldwide competitive contents. Through the analysis of culture code of Hangeul, Hangul contents can be used for personality educations and Hallyu contents. Because Hangeul has a communication code that is a focus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personality educations, we can learn the culture of communication thinking of the value of our cultural heritage. Hallyu contents using Hangeul can also raise the national status because it has our cultural identity and communication code as a universal value.

      • 한국과 일본 정원문화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 : 일본의 '료안지'와 한국의 '부용지'를 중심으로

        김후련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4 철학과 문화 Vol.27 No.-

        본고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는 일본 교토(京都)의 선사(禅寺)인 료안지(龍安寺)와 한국 서울의 창덕궁 후원(後苑) 부용지(芙蓉池)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을 분석한 논문이다. 일본의 료안지는 선불교 코드를 함축한 정원으로, 선(禪, Zen)의 정신을 고도로 함축한 정원이다. 따라서 료안지 정원은 돌아다니면서 감상하는 정원이 아니라, 한 곳에서 조용히 바라보면서 관조하고 사색하는 정적인 정원이다. 반면에 창덕궁 부용지는 성리학 코드가 함축되어 있는 정원으로 물경(物景), 정경(情景), 의경(義景)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정원이다. 부용지는 단순히 한 곳에서 조망하며 감상하는 정원이 아니라 학문과 정치 공간으로도 활용된 동적인 공간이다. 그런데 이들 정원에 함축된 철학과 미의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사실은, 선불교 코드의 대표적 정원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료안지는 선불교의 철학보다 이미지, 즉 미의식에 치중하고 있는 이미지텔링의 정원에 가까웠다. 반면에 자연과 동화되어 아무 것도 담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한국 정원은 정원의 경물을 이미지텔링하여 당대의 철학을 완벽하게 인코딩(encoding) 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원은 세계 정원사에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한국 정원이 차지하는 위상은 아직 미미하다. 그 이유는 한국 정원은 자연과 정원의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자연과 정원이 물아일체(物我一體)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정원에 인코딩되어 있는 철학과 미의식을 우리 스스로 제대로 디코딩(decoding) 해내지 못하면, 한국 정원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알릴 수가 없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philosoph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mplied in two UNESCO World Heritage sites - Ryoanji, a Zen temple in Kyoto, Japan and Buyongji, the Changdeokgung's main backyard landscape element which is located in Seoul, Korea. Japan's Ryoanji is a garden that poignantly portrays the spirit of Zen Buddhism. On the other hand, Buyongji of Changdeokgung is designed to accommodate three appreciations - object appreciation, landscape appreciation and psychological appreciation. During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philosoph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mplied in the these gardens, it was revealed that the Japanese garden, which is acclaimed worldwide as the most renowned Zen Buddhism code garden, is actually an image-telling garden that is lopsided toward the aesthetics consciousnes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Zen Buddhism philosoph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garden that looks somewhat desolate by being assimilated with the surrounding nature was actually perfectly "encoding" pertinent period's philosophy by image-telling its landscape elements.

      • 영화 <스팽글리쉬>로 살핀 미국의 다문화성

        임아영(A-young 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3 No.-

        오늘날, 우리는 여러 문화들이 마주하며 섞이는 문화 다양성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물론 문화란, 동일 집단 안에서도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우리는 과거로부터 이미 다문화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을지 모르지만, 기술문명의 발달 등을 이유로 초국가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현대사회에서는 타문화와 공생이 더욱 삶의 필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과거로부터 문화전파나 교류는 주로 개개의 고유성과 특수성을 인정하지 않는 일방적인 문화이식이나 지배로 이루어진 것이었고, 그 결과 타문화에 대한 배려보다 공공연하게 문화의 우열을 가리는 서구중심의 제국주의적 사고가 우리 안에 자리 잡아 문화정체성을 흔들게 되었다. 하지만 문화정체성 없이 문화다양성은 존재 할 수 없으며, 문화다양성 없이 다문화사회가 만들어질 수 없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문화다양성은 일방적으로 타자화 된 문화 여럿을 말하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이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멕시코 불법이민자의 좌충우돌 미국 적응기를 다룬 영화 <스팽글리쉬>를 통해, 다문화사회라 자부하는 미국사회의 다문화성을 찾아보는 과정으로 글을 진행하였다. 인물 개개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들이 타인과 타문화를 어떻게 마주하는지 들여다보고 현실을 반성해 봄으로써, 다문화 사회의 정체성과 소통이 어떠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언어가 영화에서 중요한 기제라는 전제로, 언어와 소통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주인공 플로르와 딸 크리스티나가 겪는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영화의 배경인 미국사회의 다문화성을 관찰하였다. Today, we live in an age with many diversified cultures. While one may argue that people have been living in a multi-cultural environment since many ages ago, because each individual, even within the same group, ma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and morals; the real multi-cultural environment didn’t really emerge until recently, especially due to fast advancem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dvancem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allowed for easier exchange in many information and cultures, and reinforced accepting and embracing other cultures not only symbiotic but also mandatory in our lives today. However, when viewed more closely, such cultural exchange has not really been an “exchange” historically. Rather, transferring or interchanging of culture has always been enforced by stronger nations, ruling and implanting its own culture and neglecting individual’s specialties or characteristics of weaker nations. As a result, we often create a hierarchy of various cultures internally and identify which culture is more superior than the other. Such notion many times brings crisis in our cultural identity. However, cultural identity cannot exist without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cannot exist without cultural identity. Based on these speculations, this thesis emphasizes the existence of the identity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recognition in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s through the movie "Spanglish", which shows the Mexican illegal immigrant's adopting to American life, and how the individuals' characteristics face different culture and people.

      • 유럽의 다문화정책에 나타난 상호문화주의 고찰

        홍종열(Jong-youl H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본 연구는 기존에 국내에 보편화되어 있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또 다른 대안으로서 유럽의 상호문화주의에 대해 고찰해본다. 국내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는 다문화주의는 다문화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보완하기 위한 방식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여기에 관해 현재 여러 가지 한계점들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본고는 다문화사회의 해결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국내에서 아직 연구가 미비한 ‘상호문화주의’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다수의 유럽인들은 주로 다문화적 입장에 지향을 둔 영미 계통의 사람들과는 달리 이미 상당히 오래 전부터 다문화주의에 대한 회의를 드러내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여러 가지 문화적 실천을 해 오고 있는 것이다. 또한 현재 유럽연합은 다문화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수많은 과제를 풀기위한 하나의 열쇠로 상호문화주의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이 각 회원국 내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상호문화주의가 유럽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되어 왔는지에 관해 고찰하고자 한다. 유럽으로의 외국인 이주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각국가들은 비교적 유사한 이민의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각기 다른 성격과 방식으로 다문화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고는 독일, 프랑스, 영국이 어떻게 다문화정책을 시행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상호문화주의를 추구해왔는지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상호문화주의는 우리에게 다문화성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재고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interculturalism in Europe as an alternative to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ism is just one way to trying to solve problems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some limits and critical points raised on multiculturalism. The history of foreign immigration in Europe has a long time.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s related to how to implement multicultural policy in Europe as well as how to seek interculturalism in the process. Interculturalism will open a new possibility to rethink some aspects involved with multicultural socity.

      • 글로컬 시대의 철학

        박치완(Tchi-wan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이 논문에서 우리는 글로컬 시대의 철학이 천착하고 또 지향해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거시적으로 제시하면서 한국철학의 정체성, 현주소를 점검해보는 자리를 마련해보는데 연구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는 현대철학의 지형도 변화를 설명하면서, 차이와 타자를 배제의 대상이 아니라 교류, 소통의 대상으로 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논리를 통해 철학이 일반적으로 기대고 있는 서구유럽적 보편성, 보편주의를 문화적 상대성, 특수성과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조명해보았다. 그리고 본론에서는‘glocalization’(국내에서‘세계지역화’로 번역하고 있는)에 대한 새로운 번역과 해석(‘지역세계화’)을 통해 시장경제의 세계화나 문화의 세계화도 문제지만 특히 지식의 세계화를 미연에 막기 위해 대한민국의 철학계에서 고민하고 또 풀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적시해보았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모든 철학은 기본적으로 지역성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독일철학, 프랑스철학, 영미철학 등), 한국철학도 이제는 우리의 삶-생활 연관적 지역성을 살려야만 하고, 그렇지 못하면 보편성/특수성에도, 지역성/세계성에도 다다를 수 없다는‘화두’를 던져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모든 철학에도 문화적 색깔이 상존한다는 점을 확인할수 있었다. 미국, 프랑스, 독일 등 경제∙문화강국일수록 그렇다. 게다가 현대에 이르러서는, 19세기에‘과학’이 그랬던 것처럼,‘경제’가 모든 학문 영역을 좌지우지 한다. 사유-자유의 추구를 본질로 하는 철학이‘과거의 죽은 보편성’에 빠져 소일 할 수 없는 이유이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보편성은 ‘로컬들’을 넘나들 수 있는 보편성이어야 하며, 그때 비로소 철학은 소수자에게만 이로운 것이 아니라 온 인류에게 봉사하는 공공성을 살릴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intend to propound macroscopically the adequate direction of Korean philosophy, which is inquired in the age of glocalization, by presenting the identity and current position of it. Firstly, a new logic which embraces difference and other-ness as objects of exchange and communication, not objects of elimination, is proposed. In this perspective, the western european universality and universalism, in relation with the cultural relativity and cultural speciality, is also examined, along with explaining the change of the topographic map of contemporary philosophy. Secondly, we discuss the problem of glocalization (interpreted as 'localization of global' in Korea) of the market economy and culture, in order to highlight the danger of the globalization of knowledge. It is also argued that the task of Korean philosophy is to avoid this danger, through a new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glocalization as 'globalization of local'. Finally, in conclusion, we argue that Korean philosophy must vitalize the locality related to life-living of its own, to establish the Korean indigenous perspectives of universality/speciality, locality/globality.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at what we call 'philosophy' in the academic world, fundamentally, reflects it's own locality, as German philosophy, French philosophy, and Anglo-American philosophy, etc. Through this study, we find every philosophy connotes its own cultural color, as is remarkable in the economic and cultural super-power countries, like USA, France, Germany, etc. Moreover, as 19th century’s science did, economy overwhelms every region of studies. This is why philosophy, that pursues thought-freedom, should not flounder in the realm of dead universality. Thus, it is not until the concept of the contemporary universality crosses over locals that philosophy can revitalize its public nature by serving not a few but whole mankind.

      • 대화론적 문화론의 지형도

        전종윤(Chong-yoon CHUN)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2 No.-

        국문화적 관점에서 우리의 세계는 척박하거나 메마르지 않고, 오히려 풍요롭고 ‘살만한 세계’다. 세계의 의미를 찾고 그 의미를 증가시키는 행위가 바로 문화를 생산하는 작업이다. 문화는 세대 간의 의사소통과 최소한 두나라(또는 지역) 이상 사이의 ‘의사소통’을 전제로 한다. 이 점에서 문화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힘을 갖는다. 즉 문화는 시간적인 면에서 ‘전통들의 교차점’의 역할을 하면서 세대 간의 만남을 주선해주고, 공간적인 면에서 새롭고‘낯선 이문화간’의 관계를 형성해준다. 세계의 의미와 의사소통으로 대표되는 문화는 ‘인정’의 개념을 요청한다. 자기만(또는 우리만)의 문화라는 주장에 반하여, 인류가 갖고 있는 놀라운 능력인 언어를 매개로 하여 지속적으로 타자에게로 나아가는 자세는 나의 문화뿐만 아니라 타자의 문화도 인정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다. Notre étude vise à comprendre la carte topographique de la théorie culturelle dialogique, à travers de “la culture, la communication et de la reconnaissance” chez G. Vincent. Pour cette compréhension, nous exposons les diverses perspectives culturelles; le culturel et la culture, les principes du novlangue, les métaphores culturelles, la culture et la reconnaissance. A la lumière de cet exposé, nous pourrions aborder le problème central de notre article: c'est-à-dire que la culture peut être communiquée en vue du monde commun possible. Par exemple, la théorie d'Hannah Arendt nous invite à considérer comme normal le phénomène de croisement des traditions et des rencontres interculturelles. Et l'approche orwellienne est significative: il y est question de la langue, non de la culture; et non d'une langue en soi, ni de la langue pour nous, mais d'une sorte de langue fonctionnellement appauvrie, machine sémiotique nous forçant à nous soumettre, corps, âme et raison, à une réalité inhumaine. Tout se passe comme si cet article met en question le champ sémantique de la notion de culture, en mettant l'accent sur le rapport entre la culture, la communication et la reconnaissance.

      • 梁漱溟与胡适文化哲学浅析 : 以中西文化观比较为中心

        윤지원(尹志源)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6 철학과 문화 Vol.35 No.-

        1921년 양수명은 『동서문화와 그 철학』이라는 책을 출간한다. 이 책에서 그는 스스로의 중서문화에 대한 견해인 삼대문화의 길을 제시한다. 일년반 후 호적은 <양수명선생의 동서문화와 그 철학>을 읽고 라는 글을 발표하였는데 여기서 그는 양수명의 삼대문화의 길을 비평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시 자신의 중서문화관인 유한의 가능설 을 주장한다. 각자 주장이 모두 스스로의 입장에서 논리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나 문화의 한 단면만을 강조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본 글은 양수명과 호적의 동서문화관에 기초 그들의 모순되는 주장을 살펴보고 중서문화의 특징을 융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本文所关注的重点就是对梁漱溟和胡适的文化哲学进行分析, 来考察他们中西文化观的特点。1921年, 梁漱溟讲演并出版了《东西文化及其哲学》一书。在此书中, 他提出了自己的中西文化观: 三大文化路向 说。一年半后, 胡适发表 读梁漱溟先生的《东西文化及其哲学》 一文, 批评了梁漱溟的 三大文化路向 说, 并在此基础上, 提出了自己的中西文化观: 有限的可能 说。梁漱溟认为, 意欲决定生活, 生活决定文化, 不同的文化, 其根源就在意欲趋向的不同。胡适认为, 人类的本性和需要都是相同的, 因此得出不同民族的文化在本质上也是相同的, 没有根本的区别笔者认为, 他们的文化哲学正好各自抓住了文化属性的一个侧面, 或强调文化之民族性, 而不承认文化之时代性;或突出文化之时代性, 而排斥文化的民族性。实质上, 梁漱溟与胡适的文化争论只是各自出发点和侧重点不同。

      • 질베르 뒤랑과 글로컬문화콘텐츠

        유제상(Jae-sang YU)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글로컬(glocal)은 용어의 해석과 용례에 있어서 다양한 의견을 내포한 용어이다.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로 구성된 이 합성어는 문자 그대로 ‘세계적인 동시에 지역적이며, 세계성은 지역성에 의해 수정되고 변경된다’는 정반대의 방향성을 함축하고 있다. 글로컬 개념의 성립에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될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글로벌에 대한 재해석’으로 발현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때의 재해석은 글로벌에 대한 회의감이 반영된 것도 있으며, 글로벌을 수정·보완하는 입장이 투영된 것도 있다. 이러한 해석의 차이는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에서도 계속된다. 문화콘텐츠는 그 특성상 문화를 배경으로 삼고 있기에, 국가간 거래에 있어서 공산품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에서 문화콘텐츠를 문화상품의 대체어로 가정한다면, 글로컬에 대한 논의는 경영·마케팅에서 공산품 교역의 문제를 벗어나 문화콘텐츠의 국가 간 거래라는 새로운 분석 대상에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경제의 세계화, 정치의 세계화에 이어‘문화의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글로컬 개념은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를 통해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우선 웰맨(B. Wellman)과 리처(G. Ritzer)의 견해를 분석하여 경영·마케팅 전략 위주의 기존 글로컬 논의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아울러 글로컬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기 위하여 뒤랑(G. Durand)의 ‘의미의 물줄기(bassin sémantique)’ 개념을 활용하고자 한다. 글로컬 개념에 대한 활발한 논쟁이 벌어지는 오늘날을 20세기 이후 현대사회를 지배해온 글로벌이라는 거대담론에 맞서 합류하는 시기(confluences)로 본다면, 이러한 분석은 순환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글로컬문화콘텐츠의 ‘동시대적(Contemporain)인 성격’을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진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Glocal is a compound word of 'global and local'. And it has a variety of means inside the term. Glocal is implying 'global and local at the same time'. It is also implying 'globality is modified and developed by locality'. Many of the concepts associated with glocal is reinterpretation of globality. Some of them skeptical about global, and some contained is intended to supplement and modify the global. Such glocal features can also be found in 'glocal culture contents'. Usually, culture contents is created in the background of culture. Therefore, culture contents of trade differ from those of manufactured goods. Based on these differences, the discussion about non-cultural products(manufactured goods) should be changed to cultural products. In other words, glocal and glocal culture contents concepts needs to be changed. For the transition of these perception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views of B. Wellman and G. Ritzer. These two men are presented for critical comments on existing posts to former glocal contestation. B. Wellman suggested that 'global' is the ideal communication in his theory, and 'glocal' is a transitional way. G. Ritzer pointed to the articl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lobal and local. In addition, in order to cleanup the study, I propose the concept of G. Durand's 'bassin sémantique'. Bassin sémantique is the concept of creation, prosperity, and depicts the destruction of natural phenomena insinuating. According to it, the current glocal study beginning to enter 'confluences'. It needs confrontation between the various theories.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theories is necessary. If we precise definition of research about the situation of glocal and glocal culture contents, we will be able to diagnose our cultural direction.

      • 베르그송 철학에서 직관의 위치

        김윤제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문화연구소 2010 철학과 문화 Vol.20 No.-

        이 글의 목적은 베르그송의 철학에서 직관이 갖고 있는 고유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 베르그송의 철학은 이전의 철학이 시간을 공간화를 통해 파악한 것을 비판하며, 이에 대해, ‘지속’이라는 실재적 시간을 회복을 시도하는 철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르그송의 지속에 대해 숙고하고자 할 때, 지속에 어떻게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된다. 베르그송에 따르자면, 지속은 그 자체가 순수한 운동이며 변화이고, 그렇기에 이질적인 것들 자체이다. 따라서 지속은 그것의 외부를 돌면서는 파악될 수 없으며, 이러한 접근은 오히려 실재적 시간으로서 지속을 다시금 공간화 시켜버릴 뿐이다. 베르그송의 직관이 갖는 독특성은 이러한 철학적 숙고에서 드러난다. 여기서 우리는 베르그송의 직관이 갖는 독특함을 철학사적 접근을 통해, 특히 세계의 인식에 집중했던 근대철학자들이 직관을 어떻게 파악해왔는지, 그리고 그들의 입장에 대한 베르그송의 전반적인 비판은 무엇인지를 검토하면서 그 독특함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비판은 자연스럽게 지성과 직관의 관계로 이끌린다. 이전의 철학자들이 시간을 파악함에 있어서 비번하게 사요했던 방식은 모든 것을 공간화시키는 지성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베르그송에게 있어 지성은 제작인(homo faber)으로서 인간을 잘 드러내는 역능이다. 지성은 인간의 생존을 도우며, 도구의 제작을 통해 인간을 물질의 지배자로 만든다. 사실 지성은 유용성에 입각해 있으며, 베르그송은 이러한 지성은 지속을 파악하기 위해 그것을 자신에게 용이하게 바꾸고자 하며 이러한 결과가 지속의 공간화라 본다. 지성과 달리 직관은 무관심한 본능이며, 지속에 직접 침투하는 것이다. 직관은 항상 운동하여, 변화하는, 그리고 이질성인 지속에 직접 닿는 것이기에 섬세의 역능이다. 결국 지속에 침투하는 직관을 자신의 철학에 있어 주요한 위치에 정립하면서 베르그송의 철학은 총체적인 경험주의, 미래성을 향한 철학이라는 고유한 특징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야말로 베르그송의 철학 내에서 직관이 갖는 함축이다. A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nifest a characteristic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As well known, Bergson's philosophy criticizes a former philosophy that grasps the time by spatializing the time. On the contrary, it is a philosophy that attempts to restore the duration(la durée) as a real time. But when we try to consider the duration, it makes a problem. 'How can we reach to the duration?" According to Bergson, the duration is pure movement, pure variation, so that it is the heterogeneous itself. For tills reason, the duration is not grasped by going around the outside of it, and it just spatializes again the duration. A characteristic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appears this philosophical deliberation. In this article, this characteristic will be manifested by the historical access of philosophy. Especially we will see a notion of intuition of some modern philosophers who concentrate on the cognition of the world, and Berson's critique to them. This critique is leade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the intuition. To cognize the time, former philosophers use the intelligence what spatializes everything. On Bergson's philosophy, the intelligence is capability that makes homo faber of human. It helps human to survive, it makes a dominator of human. The intelligence in fact, is based on the utility, Bergson understands this intelligence as a agency of the spatializing of time, because it easily modifies the duration for grasp of the duration. Unlike the intelligence, the intuition is an disinterested instinct, it permeates directly the duration. And it reaches the duration that always moves, changes, so that it is capability of fineness. After all, to posing the intuition what permeates the duration for a principal position, the philosophy of Bergson manifests the integral empiricism and the philosophy toward futurity as proper characters. And this i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the intuition in Bergson's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