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민법학에서 로마법 연구와 현대 로마법

        김영희(Kim, Young-Hee)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0 法學論文集 Vol.44 No.1

        한국 민법학계 전반은 로마법 연구에 대해 비교적 우호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 우호적인 태도는 기초 법학 내지 고전 법학에 대한 예우 차원일 수 있다. 그러나 기초 법학 내지 고전 법학에 대한 예우로 로마법 연구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를 계속하여 유지하기는 힘들다. 민법학은 실용성이 강한 법학 분야이기 때문이다. 한국 민법학계 전반이 로마법 연구에 우호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이유를 생각해보면, 우선적으로 설득력을 가지는 것은 한국 민법의 법사적 기초가 로마법이라는 이유일 것이다. 한국 민법 시행 60년이 지난 현재에도 한국 민법학계는 민법의 기초를 튼튼히 할 필요가 절실한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유는 한국 민법학의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일 수 있다. 세계의 주요 민법들이 로마법에서 파생되어 변형되었고, 한국 민법이 계수한 독일 민법과 일본 민법이 그중 하나들이고, 한국 민법도 그중 하나라고 할 때, 한국 민법은 로마법 아래 동등한 여러 변형 중의 하나로서 독자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유를 세계 민법들의 동조화 현상에서 찾을 수도 있다. 오늘날 사람들의 행위가 국경을 넘어 연결되고 있는 까닭에 세계 민법들의 동조화는 자연스런 현상인데, 로마법이 세계 주요 민법들에 공통요소로 자리하고 있는 만큼 로마법 연구가 유용한 것이다. 로마법이 오늘날에도 이렇게 세계의 민법들 사이에서 역할을 하고 있는 한, 로마법은 과거의 로마법이 아닌 현대의 로마법으로 관념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현대 로마법 관념은 미래 로마법 관념으로 확장될 수 있다. 민법학자들은, 근대 민법학자들이 근대 사회의 필요에 맞추어 재구성한 근대 로마법과 그 영향 아래 있는 현대 로마법의 한계를 넘어, 현재와 미래에 필요한 새로운 로마법을 구성하는 일을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Korean civil law community as a whole maintains a relatively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study of Roman law. This amicable attitude can be a courtesy to the classical law. However, The Korean civil law is one of the most practical areas among the Korean laws.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uch a friendly attitude toward the Roman law on the grounds that it is the classic law. There must be a reason for that. Considering the reason why the Korean civil law community is amicable to the study of Roman law, one of the quite convincing reasons is that the foundation of Korean civil law is the Roman law. Even now, 60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civil law, Korea still needs to solidify its foundation. Meanwhile, the Korean civil law community would have a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study of Roman law, even in order to secure the identity of Korean civil law. The world s major civil laws including Korean civil law have been derived and transformed from Roman law, then Korean civil law could secure its own identity through joining in studying Roman law. However, these days, the main reason of the friendly attitude might be found in the phenomenon of harmonization of civil laws around the world. Since people are interconnected across borders, the harmonization of world civil laws is a natural phenomenon. As far as Roman law can be used to explain the harmonization, every each civil law around the world has to deal with Roman law as ‘current and modern’ Roman law. Such a notion of current and modern Roman law does not only count for the continental European civil laws, but also true to the british common law and the american common law. Actually the Roman law tradition in the common laws is more like the original form of Roman law in its core parts. Therefore, the greater the significance of Korea in the world increases, the more the Korean civil law community needs to be active in Roman law study.

      • KCI등재

        법학교육 양성목표 및 실현방법에 관한 연구

        허신건 ( Shen Jian Xu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1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5 No.2

        The Legal Education of China is currently under serious criticism for its hug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is article issuing a call to vary the goal of Legal Education, upgrade the Experiential Teaching. The author has varying perspectives for the future of Clinicians` shared mission of improving Lega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스포츠 법의 현황과 과제

        장재옥(Chang Jae-Ok)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06 法學論文集 Vol.30 No.1

          I would like to report three points on the Korean sports law in this paper. First, it is on the current legal system of sports in Korea. Second, law cases are interesting to understand the trend of sports law. Third, the introduction of researches on Korean sports law is my concern.<BR>  Sport Law is related with the sports or sports industry implicated in the various fields of law. Generally, we classify the sports law into two categories: the sport national laws and the sports autonomy enactments. The latter is like sport rule, the engagement between participants or the spirit of sports.<BR>  I initiate to report, hereby, the sport national law. The Korean Law for Promotion of People"s Physical Education (No.7630) has many defaults. In other words, the law has some drawbacks in such a basic law as the sound spiritual development and the promotion of sports. Recently(on 3rd of May, 2005), the lawmakers propose the Bill of Sports Industrial Promotion Law in the Assembly of Korea. The law is pending in the course of its decision. The law has a crucial meaning in order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organization as well as educate the professionals in sports industry areas. The Bill of Leisure Sports Promotion Fundamental Law was also proposed on 20th of October in 2005. The law focuses on the basement of law so that citizen can enjoy their sound cultural lives in leisure. This law targets for the operation of fund in order to develop the leisure sports by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standard of safety on the leisure sports facilities, and for the support to develop in the field of the leisure sports.<BR>  The main assignments, however, is the enactment of Sports Fundamental Law. The purpose of the Sports Fundamental Law must focus on the guarantee of citizen right in sports. The law should include the whole boundary of sports based on the corporation ranging from person and group to local government. The law should have some traits to present the national direction in sports complementing its drawbacks and organizing the law system related to sports.<BR>  Concerning with the report of case trends, recently the cases on sports have been increased in Korea. Some traits related to the case of civil law are largely on the case of contract law. For example, the case on the golf club membership is dominated, and other cases are followed: exclusive contract of sports player, cases on the drafts, conflict of breach of contract in transferring the sports teams. Cases of torts are mainly on the custody or supervising on players, the employer"s liability, and the liability of sports facilities.<BR>  In Korea, the researches on the sports law have been studi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in 1999. As a result, the 16th academic seminar has been held, and the academic activities have been evaluated by a lot of scholars and lawyers who concern with the field of sports law. The 8th edition of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has been published by this academic association. This association enrolled in the Incorporation in June 2005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systematic law structure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academic relationship.<BR>  Futhermore, I suggest that we should need more researches on sports autonomy as well as enhanc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ticipants in sports area.

      • KCI등재후보

        어린이 미니컵 젤리 窒息死亡事件에 대한 國家賠償法理 考察

        김종천(Kim, Jong-Cheon)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法學論文集 Vol.35 No.2

        In September and December 2010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nation could not be held responsible for the compensation in relation to the case of the children's death from suffocation by jelly mini cups. However, the nation has an obligation to scrutinize and test whether there is any risk and danger in connection with food safety regulations to protect people's lives and the bodies. In other words, the nation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compensation if it neglects duties for food safety inspection. In the finial judgement (Ⅰ) and the finial judgement (Ⅱ) of the deaths caused by suffocation from mini-cup jelly, protecting the private interest is required in order to demand that legal profits of the families of the deceased were violated but existence of the illegality is determined depending on how the aim of the norm and the regulations are interpreted and apply on the basis of the former Food Sanitation Act while the KFDA chief and the officials are performing their duties. Therefore the Supreme Court should set up the standard of judgement whether the duties of the KFDA chief and the officials in the former Food Sanitation Act are general public interest or to protect the personal safety and benefit. In conclusion, if the Supreme Court determined the official criteria of officials according to the teleological interpretation methodology,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oncept-centric methodology in favor of the plaintiff than against the plaintiff may have been ruled. And this is the legal interpreta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legal common sense and legal emotion of public. 대법원은 2010년 9월과 12월에 어린이 미니 컵 젤리 질식사건과 관련해서 “국가에 배상책임을 물을 수 없다”라고 하는 두 번의 판결을 선고했다. 하지만 국가가 존재하는 목적은 국민의 생명과 신체 등에 대한 식품안전규제와 관련해서 어떠한 리스크와 위험이 존재하는 지에 대하여 항상 조사하고 검사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고 하겠다. 즉 국가는 식품안전에 대한 검사 등의 의무를 소홀히 한 점이 있다고 한다면 배상책임을 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대상판결(Ⅰ)과 대상판결(Ⅱ)에서 미니 컵 젤리로 인하여 窒息死亡한 사건에서, 유가족들이 법률상 이익을 침해당했다고 요구하기 위해서는 “사익보호성”이 요구되는데, 식약청장 및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그 근거가 되는 (구)「식품위생법」상의 규범목적과 관련규정을 어떻게 구체화 시켜서 해석 및 적용하느냐에 따라 위법성 존부가 판단된다고 할 것이다. 실제 대상판결(Ⅰ)・(Ⅱ)는 사익보호성과 관련하여, 대상판결(Ⅰ)의 1심법원인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 8. 17. 선고 2005가합32369 판결과 2심법원인 서울고등법원 2008. 8. 26. 선고 2006다92129 판결 그리고 대상판결(Ⅱ)의 1심법원인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 12. 8. 선고 2005가합57993 판결 은 “사익보호성”에 대한 별다른 논의 없이 곧바로 배상책임을 인정하였다. 하지만 대상판결(Ⅱ)의 2심법원인 서울고법 2008. 9. 11. 선고 2007나7074 판결에서는 직무행위의 제3자성, 즉 직무행위의 관련규정의 사익보호성 물음을 제기하여 -가정적인 인정의 가능성을 첨언하였지만-, 부정적으로 판단하였다. 하지만 대상판결(Ⅰ)∶大法院 2010. 11. 25. 宣告 2008다67828 判決, 대상판결(Ⅱ)∶大法院 2010. 9. 9. 宣告 2008다77795 판결은“(구)「식품위생법」은 국민의 일반의 건강에 위험이 될 식품의 제조, 판매, 수입 등을 규제하고, 국민의 생명과 신체 및 재산상의 안전에 위해를 끼칠 물품이나 용역을 규제함으로써 국민의 전체의 보건을 증진한다고 하는 공공일반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와 함께 사회구성원인 개개인의 건강상의 위해를 방지하는 등의 개별적인 안전과 이익을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규정”으로 “사익보호성”을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대법원은 (구)「식품위생법」상 식약청장 및 공무원의 직무상 의무의 내용이 공공 일반의 이익인지, 개인의 안전과 이익을 보호하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기준을 마련하여 논증을 하여야 한다고 하겠다. 결론적으론 대법원이 공무원의 직무상 판단 기준을 목적론적 해석방법론에 의거해 판단을 했다면, 개념 중심적 해석방법의 결과인 “원고패소” 판결보다는 “원고승소” 판결이라고 하는 일반인이 생각하는 법 상식 및 법 감정에 합치하는 법해석을 했다고 판단을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에서의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및 활용에 관한 행정법적 소고 - 법⋅정책적 현황을 바탕으로 -

        Pengyuan Ji,임단비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論文集 Vol.47 No.1

        근년 들어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 인류사회가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이산화탄소의 과다한 배출은 기후변화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가급적 억제하고, 배출되더라도 이산화탄소를 대기중에 흩어지지 않기 위하여 “완화책”으로서 CCUS(이산화탄소의 포집・저장 및 활용)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CCUS사업은 이산화탄소의 흡수원으로서 이산화탄소 과다 배출로 인한 악영향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CCUS사업을 위한 법적・정책적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CCUS사업 그 자체에 수반하는 과학적 불확실성, 사업 진행의 장기성, 사회적 수용성 문제 등 일련의 문제로 인하여 관련 법제도 정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에서도 중앙정부 차원에서부터 지방까지 CCUS사업의 촉진을 위한 법적・정책적 제도상의 뒷받침이 점차 정비되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 중국에서의 CCUS사업은 정책적 성격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14차 5개년 규획(2021~2025)」과 「에너지생산 및 소비혁명전략(2016~2030)」에서 국가차원의 거시적 계획에 따른 CCUS 시범 프로젝트로의 전개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현재 중국의 입법체계상 CCUS사업의 규제에 관한 ‘법률’차원의 입법례가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국무원 내부 부서가 제정한 ‘부문규장’으로 법적 규제 또는 지원을 규정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요컨대 CCUS사업과 관련하여 정책적 규제 외에 법적 규제수단이 아직 충분하지 않으며, 향후 CCUS사업 법제화를 위하여 CCUS사업에 관련되는 행정허가의 조건・시기・사후관리 측면에서의 검토 그리고 CCUS사업의 기술상・환경상 관리기준의 정비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다. CCUS사업과 관련하여 현재 중국행정법 중의 여러 실정법 체계에는 미비한 부분이 많이 있으며, 지방정부차원에서도 CCUS사업의 촉진을 내용으로 하는 지방성 규정은 1건에 그친다. 중국 CCUS사업의 법제화를 위해 관련 입법과 연동되고 통일적 법규범의 등장이 있어야 한다는 요청이 있다. 본 고에서는 중국 CCUS사업의 법적 규제・지원의 빈약한 현실을 제시한 후에 CCUS사업에 대한 규제의 어려움 및 한계점을 밝히고, 중국법상 해결할 수 있는 대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고에서 제시한 중국 현행 법체계의 부족한 부분 외에도 꼭 해결해야 할 환경행정법 이론상의 해석가능성도 남아 있다. 즉, 환경리스크의 존재 및 공사협동 모델의 요청이 있기 때문에 해당 이론과 CCUS사업 사이에 어떤 연결을 맺는지가 검토하여야 하는 내용이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리스크’사회에서는 사전적으로 미래 발생가능한 리스크에 대하여 법률합치적(비례적) 대응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관하여, 국가(행정)만으로 완전히 대응하기가 힘들다. 이러한 정부의 실패와 시장의 실패가 동시에 나타나는 환경리스크 사회에서 CCUS사업을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이른바 ‘공사협동’ 패러다임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러한 환경행정법학상의 흐름과 중국 현행법 체계의 미비점을 종합적으로 보면, 법적연구는 물론, 법정책적 연구의 접근도 필요하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CCUS사업의 법적 성격에 대한 검토에 기초하여 행정허가제도, 사전・사후 관리제도, 민간자본의 진입을 위한 제도, 환경영향평가제도, 주민참여제도 또는 지방입법권의 확 ...

      • KCI등재후보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학초보자 교육프로그램의 구상

        전병서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09 法學論文集 Vol.33 No.1

        On July 3, 2007,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passed legislation introducing 'Law School', closely modeled on the American post-graduate system. This year the Law School is started. It is the big reform of the legal education system. The one of major purpose of the new legal education system is to train the superior legal experts from various backgrounds, so it is natural to be admitted the students who don't specialize in law or don't have legal knowledge to the Law School. The new students of the Law School show the diversity in their age, degree, career and social experience. Law school graduates will have to pass the bar exam before practicing, which can start in 2012. Therefore the program that helps the students(non-law degree holders) studying in the new legal education system is needed ; 1. E-learning system 2. Development of the auxiliary textbook, database 3. Reorganization of teaching assistance system 4. Winter Seminar

      • KCI등재
      • KCI등재

        국가면제 인정 여부에 관한 상반된 서울중앙지방법원 판결에 대한 비판적 평가

        이성덕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論文集 Vol.47 No.3

        In two cases of compensation for damages due to illegal acts filed by comfort women victims against Japan, each bench of a court is making different judgments. While one bench reached a decision on the merit, without allowing the application of State immunity and acknowledging the court's jurisdiction, the other bench ruled, on the premise that international customary law on State immunity still grants State immunity even for acts that violate jus cogens norms, that it cannot exercise jurisdiction. It seems that each country's position on whether to recognize State immunity for such violations of jus cogens norms is different. Of course, the majority of countries and international courts such as the ICJ and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recognize that the current international customary law on State immunity also recognizes State immunity for acts that violate jus cogens norms, and that, since there is no situation of conflict of norms between the superior norm, jus cogens and the lower norm, say, State immunity, it is said that the current international customary law on State immunity should be respected. On the other hand, Supreme Courts of Italy, Greece, Brazil, and a lower court’s bench in Korea deny State immunity for violations of jus cogens norms on somewhat different grounds. It seems that there are cases where the issue is resolved through a conflict of norms, there are cases where the issue is attempted to be resolved within the framework of State immunity norms, and there are also cases where the issue is resolved based on the protection of national Constitutional values. How do we understand these two conflicting positions? In particular, the question is whether to view the position of Italy and others as a violation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customary law on State immunity or as the beginning of a new practice that signals a change in international customary law on State immunity. I think it is necessary to make a judgment in light of the process in which the concept of national sovereignty is changing in today's international society. Although it is questionable whether we have fully reached that point, the clock is moving in a direction where national sovereignty is weakening and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is becoming a more important valu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f so, it is assumed that the attitud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be established in the direction of excluding State immunity for acts that violate jus cogens. Methods to accommodate such changes include a functional solution that no longer considers the nature of the act violating jus cogens as a sovereign act, a normative solution that resolves the issue by changing the content of international customary law on State immunity, and a method of resolving the issue by acknowledging the normative hierarchy of jus cogens and State i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