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법원의 종교 성지 공간에 대한 이해: 성지 공간을 둘러싼 종교 간 갈등에 관한 두 판례들을 중심으로

        임복희 종교문화비평학회 2023 종교문화비평 Vol.44 No.44

        우리나라에서 성지 공간을 둘러싼 종교 간 갈등 중 주목할 만한 것은 국가나지방자체단체가 특정 종교의 문화관광지 조성 사업에 대해 재정적 지원을 함으로써 이것이 결국 현대 한국 종교의 성지 공간을 둘러싼 갈등을 심화시키고 특히국고지원금의 배분문제와 관련하여 특정 종교에 대한 지원 반대의 형식으로 나타나는 사례이다. 본고에서는 강원도 횡성군 내 풍수원 성당 일대 문화관광지 조성 사업을 둘러싼 국고지원개발사업에 대한 불교와 가톨릭 간의 갈등이 문제된 사안, 그리고세종특별자치시가 조계종의 불교문화체험관 건축사업에의 건립비 지원을 한 것에 세종시 주민들이 반대하며 불교와 기독교 간의 갈등이 문제된 일련의 판결들을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 두 판결들에서 한국 법원이 종교 간 갈등이나 형평성에관한 논의를 정교분리 문제로 다루면서 미연방대법원의 ‘레몬심사’ 기준을 원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대상 판결들에서 특히 한국 대법원은 ‘레몬심사’ 기준의 단계별 검토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 그리고 불교나 가톨릭에 대한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합헌이라는 근거로 문화재 보호 내지 지역경제활성화의 필요성이 곧 정교분리원칙 위반이 아니라는 도식적 판단을 그 기준으로심사하였다. 또한 이 두 판결들에서 한국 법원의 성지 공간에 대한 이해를 해당 법원이지닌 종교 개념, ‘성과 속’의 구분, 그리고 문화와의 관계 설정 등 종교가 법현실에서 존재하는 모습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그 결과 한국 법원은 풍수원 성당사건에서는 성지를 문화적⋅사회적 맥락에 따라 관광상품에 적합한 형태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보았고, 세종시 불교문화 체험관 사건에서는성역화 공간 및 종교문화관광 단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성과 속의 이분법’에 의하여 종교를 세속의 공간에서추방하고자 했던 정치가 종교를 다시 그 안으로 불러들이면서 종교에게 사회내에서 종교적이 아닌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일종의 종교와 정치의타협의 산물임을 법현실에서 현저히 보여준다. 그리고 법원은 이 때 문화라는개념을 등장시켜 종교가 세속 안에서 그 무엇, 주로 문화재로 현존하며 기능을수행하는 ‘종교’를 ‘종교’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종교가 세속에서 그 무엇이 되어 종교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스스로 자신의 종교성을 상당한 정도 희생하는 것이 담보되어야 하며, 정치도 정교분리원칙을 훼손하면서까지 종교를 문화로 변형시켜 세속의 공간으로 불러들이기위해서는 종교에 대한 지원에 있어 수반되는 형평성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 법원은 종교학적 담론을 수용하여 성지 공간을 점유 또는소유하는 종교가 법현실에서 문화가 아니라 종교 자체의 양식으로 존재할 수있는 기준을 모색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본고는 이러한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하나의 시론으로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One example of interreligious disputes over sacred space in Korea is the state or a local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of a construction project for a cultural tourism that centers on a specific religion. This support exacerbates contempory interreligious frictions over sacred space in Korea and manifests as opposition to support for a specific religion, particularly concerning the distribution of national subsidies. In this paper, a series of court rulings were examined regarding the two cases of disputes between Buddhism and the Catholic Church over projects for religious, and cultural heritages which are developed by government subsidies surrounding the construction project for cultural tourist destinations around Pungsuwon Catholic church in Hoengseong County, Gangwon Province as well as a dispute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that occurred when citizens of Sejong City demanded the termination of the city’s financial support and the return of subsidies provided, after Sejong Special Self- Governing City granted subsidies to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for the project to build the Korean Buddhist Cultural Experience Center. As a result, both court rulings demonstrated that Korean courts treat debates over interreligious disputes or equity as an issue related to the separation o f church and state by applying the ‘ lemon test’ established by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However, in the said rulings, in particular, the Korean Supreme Court failed to sufficiently examine the ‘lemon test’ step by step.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the Korean courts interpreted sacred space according to schematic judgment by ruling that support for Buddhism or the Catholic Church by the state or a local government is deemed constitutional based on the formulaic judicial grounds that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or the need to stimulate local economies does not constitute the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these cases.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judiciary on sacred space in these two cases, focusing on the presence of religion in the legal reality, such as the courts’ conception of religion, distinctions between sacred and profane, and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 to culture. First, in the case of Pungsuwon Catholic Church, this study found that a sacred space was defined as a location that could be imbued with new meaning that is suitable for a tourism product according to the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whereas in the case of the Korean Buddhist Cultural Experience Center in Sejong City, it was defined as a sanctified location and a religious and cultural tourism complex. This can be seen to indicate the judiciary’s acceptance of a sort of compromise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which demands that religion performs certain non-religious functions in society. Such a compromise was reached as politics had initially sought to expel religion from secular spaces under the doctrine of ‘dichotomy between sacred and profane,’ but later invited it back into secular spaces. During this process, the courts introduced the concept of culture and began to define ‘religion’ to constitute ‘religion’ when it exists and functions in secular spaces as something, primarily cultural heritage. However, f or r eligion to a ssum e any role a nd p erform i ts r eligious functions in secular spaces, it must be willing to sacrifice a considerable degree of its own religiosity. Similarly, politics must address the perennial issue of equity in supporting religion before allowing religion to enter secular spaces as a form of culture, even at the expense of undermining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To this end, it may be a viable option for the judiciary to consider embracing the religious discourse of sacred space and seek to recognize the religious occupation or possession of sacred space as an intrinsic aspect of...

      • KCI등재

        인도네시아의 헌법과 법률에 나타난 종교문화 고찰

        이세경 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4 No.34

        Many Muslims have settled down in Korea by way of the employments and the marriages. Although the Koreans have the tolerance for the various religious traditions, they still feel unfamiliar with Islam. But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Korean society is requested to embrace new perspectives related to Islam. At this point, it is meaningful to review the influences of the Islamic tradition and the significance of religion in the Indonesian Constitution. The Republic of Indonesia is a democratic society with a culture of mutual coexistence based on a variety of languages, peoples, and religions. In spite of the fact that Indonesia consists of the majority of Muslims, freedom of religion is widely accepted when compared to other Islamic countries. And this freedom of religion in Indonesia is protected through the Indonesian Constitution and law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m in detail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nesian Constitution and the religions in the reality of its institutions. In this paper, I examined legally the culture of religion in Indonesia from the standpoint of the Indonesian Constitution and laws and conclude that ‘The Constitution of Indonesia’ presents religion in terms of national ideology, social institutions, and human rights. So, the freedom of religion for the individual human being in one hand and the restriction of religion as for the social institution in the other are conflicted each other in Indonesian legal system, including Constitution and Acts. We will need to see this conflict in order to understand Indonesian culture of religion, properly and deeply.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s understand Islam as the religion and the culture as a reality, which is approaching nearer to the Korean society. 문화적 다양성의 물결 속에서 한국사회는 새로운 관점과 세계관을 수용해야 하는시대를 살고 있다. 역사적으로 중국, 일본, 미국, 유럽의 종교와 문화 전통은 이제 수용의 단계를 넘어 일부 내용을 제외하고는 이질감을 느끼지 못할 정도가 되었지만, 최근다양한 방면에서 접촉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슬람권 문화는 상호이해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거리감이 존재한다고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슬람 전통이 확고히 자리 잡고 있으면서,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어 있는 인도네시아의 헌법에 담긴 종교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현대사회에서 종교가 단순히 사회공동체의 관습적 전통으로 개개인간에 수용, 종결되어 내적 가치에 머물고 마는 것이 아니라 결국 국가를 규범 하는 법에의해 하나의 권리로서 확정되는 양상을 띤다는 점에서, 종교를 국가의 법률체계라는 강제규범 내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고, 법률체계 내에서 종교가 갖는 의미를 충분히 살필수 있을 때 타 종교와 관련된 오해와 불필요한 노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도네시아 헌법에 담긴 종교의 의미가 국가, 사회, 개인으로 나누어 각각의 층위에서 통치이념, 사회구성체, 인권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살피고, 이를토대로 다양한 층위에서 우리와 접촉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종교문화전통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고, 더 나아가 법적인 관점에서 전반적인 이슬람과무슬림 문화를 이해하는 접근의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인도네시아의헌법과 종교의 관계를 논한 기존 논문들이 기술적 관점에 머물러, 인도네시아 헌법에 담긴 종교문화의 다층위적 의미를 수용해내지 못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노력하였다. 한국사회에 내재하고 있는 종교적 다양성과 관용이 무슬림들의 한국사회 진입에 대해서는 어떻게 반응해낼지, 또한 한국이 세계화를 통하여 다양한 이슬람권으로 진출하고 있는 시점에서 종교로서의 이슬람이 포함하고 있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어떻게 접근해 나갈지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인도네시아의 헌법과 법률에 나타난 종교문화고찰은 분명히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종교문화콘텐츠의 진단과 대중화

        김진형 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4 No.34

        이 논의는 종교문화콘텐츠의 현재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 대중화 전략을구상하는 것이 핵심이다. 구체적으로는 종교문화콘텐츠 연구사례에 나타난 종교문화콘텐츠의 보편적 의미와 한계를 파악한 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종교문화콘텐츠의 새로운인식과 개념, 접근의 관점과 방향을 도출하고, 나아가 대중화 전략을 구상하는 데까지이르고자 하는 작업이다. 먼저, 종교문화콘텐츠의 보편적 의미를 학술적·활용적 측면에서 파악했다. 우선학술적 측면에서는 제 연구분야들이 ‘관심주제’를 유사하게 설정하고 있었다. 관심주제는 1) 응용학문적 접근방안 모색, 2) 문화원형 활용, 3) 관광 연계였다. 여기서 알 수 있는점은, 종교문화콘텐츠가 응용학문적 대상이라는 것, 종교문화의 원형이 가공되었을 때비로소 종교문화콘텐츠가 된다는 것, 종교문화콘텐츠의 가장 익숙한 실현방법을 관광콘텐츠화로 본다는 것이었다. 활용적 측면에서 종교문화콘텐츠는 ‘창출의 지점’들을 유사하게 설정하고 있었다. 구체적인 창출지점은 1)의례, 2) 포교, 3) 공공재, 4) 대중화였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종교문화콘텐츠는 신앙인과 일반대중 모두를 위한 것, 종교문화콘텐츠는 종교단체주도의 결과물과 콘텐츠산업계 주도의 결과물로 구분된다는 것, 종교문화의 저변 확대와 대중화를 위한 코어종교문화콘텐츠 육성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통시적 인식을 통해 종교문화콘텐츠의 개념을 정의했다. 종교문화콘텐츠를 ‘문화가 매체에 담긴 결과물’이라는 광의적 개념을 적용하면, 통시적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종교문화콘텐츠의 인식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에 입각해 종교문화콘텐츠 개념을 ‘인간사회에서 문화적 또는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종교문화에 관한 서사·문학·예술적 텍스트를 매체에 담아낸 결과물’로 정의했다. 다음으로, 역사적 측면에서 종교문화콘텐츠의 유형적 확대과정을 파악했다. 먼저선사시대는 종교축제콘텐츠가 성립된 시기, 상고시대는 종교축제콘텐츠 기반 위에 종교공연콘텐츠와 종교교육콘텐츠가 성립된 시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고시대에 구축된 종교문화콘텐츠 전승형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졌다. 근대에 와서는 이러한전승형태에 종교전시콘텐츠가 더해졌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기존의 ‘신앙 목적의 종교문화콘텐츠’가 유지되는 가운데 ‘산업 목적의 종교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유형들이 새롭게 형성되어 대중을 위한 상품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그 가운데 종교적 역사성과 맥락을가진 유형인 종교축제, 종교공연, 종교교육, 종교전시는 ‘종교란 무엇인가’를 오랜 옛날부터 지금까지 체계적·역동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메타종교문화콘텐츠 유형이라 할 수있다. 마지막으로, 종교문화콘텐츠의 대중적 저변 확대를 위한 ‘세계종교문화축제 발전 3 대 전략’을 수립했다. ‘제1전략’으로 종교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지향하는 비전 선포, ‘제2 전략’으로 개방형 방식의 축제조직 확대 재편, ‘제3전략’으로 MSMU화를 통한 메타종교문화콘텐츠 실현이 그것이다. 이 3대 전략이 성공적으로 적용된다면, 세계종교문화축제가 한국 종교문화콘텐츠 대중화에 획기적으로 기여하는 명실상부한 코어종교문화콘텐츠로서 위상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e c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religions in Korea today and to devise a strategy for its popularization. Specifically, it set out to examine the meanings and the bounds of the cultural contents in religions. I use the case studies and with them I try to define “the cultural contents” in religion in terms of how to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nt and its concepts, and methods of approach and finally design of its popularization strategies. First, I examined and captured the universal meanings of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in the academic and the practical use. In the academic aspect, the similar topics of approaches are set, which are included 1) the applied science-based approaches, 2) the referring to archetypes of culture, and 3) connected to tourism with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here are intertwined with the applied science, the archetypes of religious culture and the tourist content. In the practical utilization, this cultural contents start with the similar points of creation, which are specifically 1) ceremonies, 2) propagation, 3) public goods, and 4) popularization. Here, this contents are both for the believers and the general public, and its contents are divided into the products led by religious groups and those led by the industrials, and accordingly there is no interest in the promotion of the cor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which are to expand the religious culture ground and popularize it. I defined the concept of this cultural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achronic awareness. If this contents are contained in media, it can enable the diachronic awareness in the cultural contents and thus expand its conscious domain. Based on this, I defined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as the products of narrative, literary, and artistic texts, being put in the media to create the culture and the economic values. In the historical aspect, during the prehistoric time the religious festival content was established, and the ancient times can be set as a period when religious performance and education content was set up along with the religious festival. In Korea, from ancient period to Joseon dynasty, th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continued to transmit. At the modern times, the religious exhibition are added to these transmission content. Today, the old religious cultural contents are still retained with the faith and the industrial goals have been newly created and sold as the products for the public. Of them, the religious festival, performance, education and exhibition represent meta-religious cultural contents, providing the systematic and the dynamic interpretations about "what is religion". Finally, I set three major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global religious culture festivals to expand the popular base of religious cultural contents. Strategy 1 is to proclaim a vision oriented toward religiosity and popularity all together. Strategy 2 is to expand and reorganize the festival in an open form. Strategy 3 is to realize meta-religious cultural contents through MSMU. If these three major strategies are applied successfully, the global religious culture festivals will establish their status as the core religious cultural contents, making a groundbreaking contribution to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religious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이슬람 혐오를 넘어서 : 이태원의 신앙기반단체와 이슬람을 바라보는 시선들

        유원지 종교문화비평학회 2022 종교문화비평 Vol.42 No.42

        본 연구는 이태원의 신앙기반단체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로서, 개신교 사회활동가들과 자원봉사자들이 어떻게 종교적 가치를 실천하면서 무슬림과의 관계를재설정하는지를 탐구한다. 한국 기독교와 이슬람의 관계를 묘사하기 위해서 종종갈등과 반목의 수사가 동원되고, 또한 기독교는 이슬람 혐오 담론의 생산과 소비주체로 간주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통상적인 이슬람 혐오 현상과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는 기독교적 자선활동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신학적 담론과도덕적 실천이 합류하는 지점으로서의 기독교적 자선활동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인 이태원 활동가들은 종교적 가치와 인도주의적 이상이 결합된 활동에 헌신하는데 이들이 표방하는 종교윤리적 비전은 단일한 도덕 명령에 기반하고있지는 않다. 활동가들은 저마다의 동기와 목표에 따라 종교적 자선활동을 개념화하면서도, 무슬림이라는 종교적 타자와의 공존에 대해 고민하고 상호협력 관계를 구축한다. 어떤 이들은 보편적 사랑과 환대라는 가치의 실천에 방점을 두는가하면, 다른 이들은 복음전도와 영혼구원이라는 보다 분명한 선교적 비전을 강조한다. 또한 새로운 문화에 대한 학습 및 경건성의 함양을 목적으로 자선활동에참여하는 이들도 있다. 자선과 봉사활동에 헌신한 이태원 활동가들의 삶은 단일한 종교적, 도덕적 가치에 의해 결정되는 단선적인 궤적을 그리고 있지는 않으며, 종교적 타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재조정된 형태를 띤다. 이질적이고 충돌하는것처럼 보이는 다양한 목소리들이 뒤엉켜 있는 자선활동의 현장은 자선과 종교가교차하는 종교윤리적 생태계가 닫힌 세계로 수렴하기보다는 오히려 복수의 종교지식과 도덕적 실천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확인시켜준다. 다른한편,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종교와 자선의 교차는 배타적 종교 신학에서 배려윤리적 실천으로의 이행이라는 최근 한국 종교 지형의 변화를 일부 반영한다. 이태원의 활동가들은 다원적, 다문화적 현대 한국 사회에서 종교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다름과 차이를 존중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에 각자의 방식으로 응답하려고노력하며 바로 이 노력들이 수렴하는 지점이 이주 무슬림을 향한 자선활동이다.

      • KCI등재

        정동, 이름에서 찾아가는 불교문화의 흔적 그리고 남은 이야기들

        민순의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0 종교문화비평 Vol.37 No.37

        지난 《종교문화비평》 35호의 ‘종교문화기행’ 코너에 〈정동의 역사적 지층 속에서 만난 종교문화〉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되었었다. 2018년 가을에 진행되었던 종교문화탐방을 토대로 방원일 선생께서 집필한 이 글은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덕수궁 동쪽 담길을 따라 탐방 직전 개방된 “고종의 길”, 장로교와 감리교를 위시한 한국 개신교의 초기 선교 흔적 등을 중심으로 정동의 문화유적을 살폈다. 특히 필자의 전문성을 십분 발휘하여 근대 이후의 정동 내지 정동과 개신교(성공회를 포함하여)의 친연성을 부각하며 소개한 점은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장소에서 지금의 우리를 살게 하는 역사와 문화의 그리 멀지 않은 시작을 확인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익숙한 새로움을 안겨 준다. 그러나 조금 더 소급된 시간을 전공한 이의 입장에서는 현전하지 않고 단절되어 있으며 그래서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그렇지만 이름 하나, 지표석 하나에서 어렴풋한 자취로 감지되는 또 다른 정동 속 종교문화의 함몰에 내심 아쉬움이 있었다. 오늘 이 지면을 빌어 그에 대하여 잠시 소개해 볼까 한다.

      • KCI등재

        새로운 세계종교 수업을 위한 제언: 전통과 이론의 구분을 넘어선 세계종교 교육

        방원일 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4 No.34

        The classroom of World Religion is a special place serving a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social demands for the religious studies are communicated. The harmonization of the academic ideals with the realistic demands within the lecture can be an important attempt to test the social role of the religious studies. New suggestions are required to dissolve the gaps between the ideals of religious studies and the reality of the lecture room, rather than sticking on the conventional teaching styles; limited time frames, within pre-programmed lectures, and the various levels of students. In the past, the World Religion classes are given under the assumptions and even the prejudices of the separation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theory. This idea of separation could not be avoided that World Religion is a kind of class of conveying the 'clear facts' about the religious traditions. However, recent religious studies criticizes that the past classes have been merely functioned as transferring of the knowledge system and now required to present a new paradigm of World Religion. Alternatively, World Religion classes of today encourage the students to virtually recognize the 'facts' of religion as the 'discourses' of religion, and to provide them with the ability of criticizing it in every regards. This effort is to establish a new identity as the study of religion and the realistic demands for the religious studies. The members of this Institute for Religion and Culture have so far confusedly experienced of teaching the World Religion classes in Korean context. Based on this conflicting experiences, they published a book which succinctly showed the problems of the reality and ideal of the study of religion in the Korean classroom. Some limitations and defaults of the book should be pointed, but it contains clues approached to the problematics that can be linked to the critique of the World Religion paradigm, of which the students of religion of today are now discussing. The progress of the World Religions class can be anticipated if we put together the problematics and the clues in it and produce a new text focused on the raised questions. 세계종교 강의는 종교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전달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특별한 수업이다. 강의 내에서 학문적 이상과 현실적인 요구를 조화하는 것은 종교학의 사회적 역할을 시험하는 중요한 무대를 실험하는 의미를 지닌다. 한정된 시간, 강의라는 형식, 다양하고 많은 수강생을 이유로 기존의 수업 방식을 고수하기보다는 종교학의 정체성을 녹여낼 수 있는 새로운 시도가 요청된다. 기존의 세계종교 수업에는 종교학 내의 전통과 이론의 잘못된 구분이 전제되어 있었다. 세계종교가 종교전통에 대한 ‘명확한 사실’들을 전달하는 수업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종교학계에서는 기존의 수업이 지식체계 전달에서 벗어나지 못함을 비판하고 새로운 세계종교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안적인 세계종교수업은 종교에 대한 ‘사실’들이 사실은 ‘담론’임을 인지하고 이를 비평할 수 있는 능력을부여하는 것을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노력은 종교학이 당면한 현실적인 요청에 부응하면서도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종교문화연구소는 한국의 강의실에서 세계종교 강의를 진행했던 이들을 구성원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이 저자가 되어 한국 강의실에서 느낀 문제와 나름의 답변을담은 교재를 발간하였다. 현재 시점에서는 그 책이 가진 현실적인 한계들을 지적할 수있지만, 중요한 것은 그 책이 지금 종교학계가 논의하는 세계종교 패러다임 비판과 연결될 수 있는 문제의식의 실마리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시점에서 그 실마리들에 대한 학문적 진전을 모아 물음 중심의 새로운 교재를 기획한다면, 세계종교 수업의한 단계 진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인간적인 것 너머의 종교학, 그 가능성의 모색: 종교학의 ‘생태학적 전회’를 상상하며

        유기쁨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5 No.35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인간적인’ 현상으로서 종교를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한 종교학은 그간 꾸준히 연구 범위를 넓혀왔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는 실제적인 생태환경 악화의 문제를 통해 인간중심적 사고의 한계를 심각하게 경험하고 있다. 많은 현대인들은 생태적 위기를 경험하면서, 세상을 바라보는 우리의 인간중심적 시각에 문제가 있었음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인간적인 것 너머로 확장된 시야에서 인간을, 그리고 인간적인 것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가 전 방위에서 요청되고 있다. 실제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로서 생태환경의 악화는 오늘날 종교를 논의하기 위해서도 매우중요한 맥락을 형성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이 생태학적 시각과 종교연구의 접목이다. 이 글은 종교연구에 생태학적 시각을 접목해서 진행되어온 학계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른바 ‘인간적인 것 너머의 종교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그런데 생태학이라는 단어가 포괄하는 내용은 광범위하며, 생태학적 접근법은 단일하지 않다. 이 글에서는 생태학으로 통칭되는 여러 층위의 이야기들을 엄밀히 구분하기보다는, 그러한 복합적 층위의 생태학과 종교학이 만나서 새롭게 탄생할 수 있는 이야기의 층위들을 상상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른바 자연과 문화의 관계에 주목해서 진행되어온 연구의 갈래를살필 것이다. 많은 학자들은 생태학적 시각을 자신의 연구에 접목시킬 때, 종교를 포함한 인간의 문화가 자연과 상호관계 속에 있다는 점에 착안해서 연구를 진행해왔다. 곧인간의 문화는 “자연”이란 개념 자체가 구성되는 방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연 세계 자체는 “종교” 개념이 구성되는 방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II장에서는이처럼 자연과 문화의 상호 관계에 주목해서 진행되어온 연구 흐름을 살피고자 한다. 그런데 생태학과 종교연구의 만남이 ‘자연과 문화’의 상호관계의 구도에서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자연과 문화의 분리를 암묵적으로 전제한 뒤 그것들을 다시 연결하려는 기획에 문제를 느껴온 학자들이 있다. 그러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III장과 IV장에서는 고전적인 ‘문화와 자연’의 이분법을 넘어서 생태학적 시각을 종교연구에 접목할 수있는 가능성을 살펴보려 한다. III장에서는 문화의 중재 없이 개인의 직접적인 경험을 중시하는 흐름을 살피고, 이를 종교연구에 접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려 한다. IV장에서는 이른바 ‘유기체+환경’의 생존단위에서 종교현상을 재정위하고, 문화, 나아가 인간적인 것 너머로 확장하는 종교학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려 한다 The religious studies, which started from an attempt to explain the religion in terms of ‘the distinctive human’ phenomenon, has been steadily expanding its scope of researches. However, this human-centered perspectives and reasonings have caused the ecological problems and we are now seriously confronted with the ecological crises. And the changes are greatly asked in the human -only-oriented viewpoint. The deterioration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re urgently practical problems and involved in complex issues, which eventually draw our attentions into the context of the religious studies. What is important in here is how the ecology and the religious studies work together in the same arena.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urvey the research trends how to combine the ecological perspectives with the religious studie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what is so-called ‘the Religious Studies Beyond the Human’. Here, I try to figure out the various layers of the ecological views and explore its possibilities and the proposals and offerings done by the religious studies. For this purpose, I firstly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culture. The scholars of the ecological studies have importantly focused on the fact that human cultures, including religion, are in a keen relationship with nature. Human culture plays an crucial role in a way, in which the notion of “nature” is itself consisted, and the natural world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way, in which the concept of “religion” is constructed. In Chapter II, I will look at research tendency,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culture. However, the encountering between the ecology and the religious studies does not proceed only in the direction of elucidating the interrelationship of 'nature and culture'. But some scholars felt the problems in tacitly presupposed separation of nature and culture and then propose to plan to reconnect this separation. In Chapter III and IV I am applying the ecological perspective to the religious studies over beyond the classical 'culture and nature' dichotomy. In Chapter III, I look at the direct individual experience of the ecological agendas without the intervention of culture and look for the possibilities to incorporate Arne Naess's the “deep” awareness of the deep ecology into the religious studies. In Chapter IV, I explore to redefines the religious phenomenon on focusing on the so-called ‘organism+ environment’ format, and look for the possibilities of establishing the notion of ‘the Religious Studies beyond the Human’.

      • KCI등재

        한국의 종교연구와 비평(비판)의 세속성 논의

        장석만 종교문화비평학회 2022 종교문화비평 Vol.42 No.42

        이 글은 종교연구와 비평 그리고 비평에 내포된 세속성의 문제를 살펴보고자마련하였다. 2장과 3장이 한국의 경우에 초점을 두었다면, 4장과 5장은 서구에서이루어지고 있는 비판(비평)에 관한 논의를 언급하고 있다. 2장은 그동안 문화비평에 관해 종교학 분야에서 거론된 논의를 검토한 것이다. 이 주제를 선도하고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정진홍의 중요성과 이어지는 후학들의 논의에 대해평가가 이루어진다. 3장의 내용은 한국의 세속성과 종교연구이다. 문학과지성창간사를 통해 당시 비평과 세속성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길희성의 글을 통해종교학과 세속성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었는지 검토한다. 4장은 도발적인 질문, 즉 “비판(크리티크)은 세속적인가?”라는 물음을 던짐으로써 그때까지 누구도 묻지 못했던 지평을 연 책을 검토하였으며, 5장은 보다최근의 연구 경향을 알 수 있는 두 가지의 논의를 소개하였다. 하나는 종교 개념에관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포스트-크리티크의 경향을잘 보여주는 것이다. 비판은 근대적 연구자가 거의 ‘무의식적’ 차원으로 전제하고움직여 가는 지향성이라고 볼 수 있다. 관성대로 움직여 가는 연구자는 그를 밀어낸 힘이 다하면 설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자기를 움직이는 힘에 대해 성찰하는 연구자는 그 힘에 의해 밀려만 가지 않고 방향을 바꾸거나 강약의 조절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종교연구와 비판, 그리고 세속성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은 결코 사소한일이 아닌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영화에 나타난 자살과 종교치유에 관한 연구:<도가니>, <내 이름은 칸>, <세 얼간이>를 중심으로

        안신 ( Shin Ah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3 No.23

        이 논문은 현대사회의 문화콘텐츠를 대표하는 영화에 담겨져있는 구원의 도식을 발견하기 위하여 자살과 종교치유의 관점에서 영화 <도가니>, <내 이름은 칸>, <세 얼간이>의 내용을 분석한 글이다. 전통적으로 종교는 오랫동안 생명존중사상을 가르쳐왔지 만 현대사회에서 자살은 커다란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실태를 반영하고 있는 영화에서도 자살은 대표적인 죽음의 유형으로 자리를 잡았고 다양한 의미로 해석 되어 왔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그 문제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구원의 도식으로 영화가 담고 있다는 점이다. 첫째로 한국영화 <도가니>는 장애학생들에 대한 조직 적인 교사들의 성폭행사건을 다루고 있다. 성폭행의 피해자들은 공포와 위협 아래 침묵 하거나 자살을 선택하였다. 사회의 안전망으로 기능해야 할 교육, 검찰, 경찰을 비롯하여 심지어 기성종교의 관계자들까지도 가해자들을 옹호하기에 바빴다. 영화전반에서 이 러한 기성종교에 대한 암울한 이미지가 두드러지지만 공지영의 소설 《도가니》에서는 피해자들이 정의실현을 위하여 기도하며 종교적 삶을 사는 것으로 표현된다. 좌절과 소망 의 양명성이 종교의 이미지에 교차되어 있는 것이다. 둘째로 인도영화 <내 이름은 칸>은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의 9 11 자살테러 이후에 미국사회의 종교적 소수자들에 대한 문화 적 편견과 공포증을 다루고 있다. 아들의 죽음으로 칸의 행복은 깨어지고 대통령을 만나 결백을 확인받으려는 무모한 여행이 시작된다. 기성종교의 편견과 폭력성이 제시되면 서도 용서와 평화의 긍정적 이미지도 함께 묘사된다. 참된 마음에 기초한 구체적 선행의 실천만이 종교의 가치를 판단하는 진정한 기준으로 제시된다. 셋째로 또 다른 인도영화 <세 얼간이>는 인도의 잘못된 교육제도에 맞서는 세 청년들의 고뇌와 모험을 다룬 코미 디영화다. 경쟁과 취업 위주의 획일화된 교육제도 앞에서 자살을 선택하는 학생들과 그 에 대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한 청년의 꿈꾸기를 다룬다. 힌두교는 기복종교로 묘사되지 만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은 “알이즈 웰”과 같은 마음의 주문에 달려있다는 메시지를 전 한다. 요컨대 세 영화는 교육현장에서 벌어진 자살을 주요 모티브로 삼으면서도 사회에 만연된 문제로서 장애학생들에 대한 성폭행, 종교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 교육제 도의 왜곡과 획일화를 지적하고 있다. 강조하는 방점은 다르지만 종교가 인간에게 구원 의 도식을 제공하듯이 영화에서도 새로운 가치를 토대로 신종교들이 등장하기도 하며 나아가 영화 자체가 일종의 종교로서 치유의 기능을 감당하기도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suicide and religious healing which appear in three films such as Silenced, My Name is Khan, and Three Idiots. Traditionally religions have taught the reverence for life, but recently suicide became a serious issue in modern society. Some films reflect social problems, and other films change the world permanently by offering the grammar of salvation (or soteriology) to people. First, a Korean film, Silenced, embodies sexual violence against disable students by their teachers within special school. Educators, police, prosecutors, and religious priests empower sexual offender rather than helping victims. This film shows two sides of religion: hope and dispair. Beyond the existing religious system, main characters are described as religious figures. Second, an Indian film, My Name is Khan, gives us serious racial discrimination against Muslims after 9/11 event, which creates prejudice and Islamphobia among American people. As Christians have religious bias against people of other faiths, radical Muslims tends to become violent. This film emphasizes the dimension of hope and peace as the essence of religion. Third, another Indian film, Three Idiots, debunks the reality of distorted educational systems, which overemphasize endless competition and worldly success. Three friends followed their own dreams of photographer, businessman, and scientist with free will. Hinduism is described as the tool of wealth and blessing. This film argues that the real solution to problems clings to the heart of people. In conclusion, three films use suicide scenes as the important motives of main theme. The suicide of disable children, terrorists, or young people plays the role of resisting social structures and transforming values in society. Though real life doesn`t give us any clear solution to existential problems, films contain the religious matrix of salvation or liberation from eternal dilemma.

      • KCI등재

        근대 이행기 한국종교사 연구 시론: 19세기 한국 천주교사를 중심으로

        조현범 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4 No.34

        한국종교연구회, 그리고 그 후신인 한국종교문화연구소의 한국종교사 연구는 근대 종교사 연구 분야에 관해서만큼은 독보적인 위치를 마련하였다. 개항을기점으로 시작된 한국 근대종교사에 대한 연구는 종교 개념의 형성, 종교자유나정교분리 등 종교지형의 변천, 개별 종교들의 근대적 변화 등을 탐색한다. 이러한작업의 결과들은 이제 종교학계에서 어느 정도 상식에 속할 만큼 널리 인정받고있으며, 또 관련 연구 논문들도 많이 인용되는 추세이다. 그러니까 근대종교 테제는 한국종교연구회/한국종교문화연구소가 지난 30년 동안 거둔 최대의 연구 성과라 자부할 수 있다. 이 글은 근대종교 패러다임에 대해서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기위하여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중엽까지 조선 천주교 문헌에서 발견되는 순교, 양심, 교 등의 의미를 재검토하였다. 먼저 무속이나 유교, 불교 등의 세계관과 비교할 때 순교라는 극적인 사건 속에서 드러나는 천주교의 세계 인식은 현세와 내세의 절대적 구별, 현세의 유일회성, 내세의 절대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말하자면 현세에 대한 세계부정의 태도이며, 현세의 시간과 공간을 상대화하고, 그렇게 상대화한 시간과 공간을 평가하는절대적 가치 기준을 현세의 바깥에서 찾는 세계관이다. 이것을 역으로 생각하면현세의 의미를 현세 밖에서 발견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탈세속적이라 할 수 있으며, 동시에 현세적인 삶을 평가하는 불변의 고정된 준거를 마련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염세적인 것과는 상반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천주교의 순교 관념이 보여주는 세계관은 기존 한국종교사에서는 대단히 낯설고 새로운 사유 방식이었다. 한편 정하상은 유교의 조상 제사를 거부하는 이유로 양심이 허락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양심은 도덕적 행위의 준칙과 관련되어 있다. 즉 실천적인 행위의 준칙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어떤 행동을 실행하기 이전에 그것을 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반대로 그것을 행하도록 강제하는 내적인 도덕률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정하상이 사용한 양심 개념에 가까운 것은 서구 스콜라 신학에서 말하는 ‘콘쉬엔차(conscientia)’이다. 이것은 천주가 인간의 마음에 부여한 것으로 선과 악을 구별할 수 있고, 천주의 계명에 따라서 행동하도록 인간을 강제하는내적 성향 또는 고유한 인간 능력이다. 그러므로 정하상이 사용한 양심 개념은 서구 천주교 교리에 등장하는 콘쉬엔챠의 번역어라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근대 이후에 사용하기 시작한 종교라는 말과 유사한 것들로는 도(道), 법(法), 학(學), 술(術), 교(敎) 등과 같은 개념들이 있었다. 가운데 특별히 우리의 시선을 끄는 것은 ‘교’라는 낱말이다. 19세기 근대 이행기에 사용되던 ‘교’와 근대 이후의 ‘종교’는 완전히 이질적인 개념이라고 하거나, 전자와 후자의 관계는 단절적이라고만 말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종교 개념이 성립하기 이전의 역사를 형성하는 것이 교 개념의 용법이고, 종교 개념의 성립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심지어 종교 개념이 성립된 이후에도 교 개념은 종교 개념에 완전히 포괄되지않고 종교 개념의 외곽에 포진하면서 종교 개념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끄는 벡터적인 힘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종교 개념 형성에 미친 교 개념의 역할, 그리고 종교 개념의 변천 과정에서 발견되는 교 개념의 영향력 등을 입증하기 위해 ... The Korea Institute for Religion and Culture, formerly the Association of Korean Religions have established its own unique position in the field of the modern religious history of Korea. The research on this topic, which was started at the opening period of Joseon dynasty, explores under the subjects of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the religion”, the transition of religious terrain such as “the freedom of the religion” and the separation of “the religion and the state”,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individual religions during the modernity of Korea.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now widely recognized in the scholarship, and accepted as quoting the various citations from its research papers. Therefore, the thesis of “the modernity of Korean religions” can be claimed as one of the valuable achievements of this Institute, ever made for the last 30 years. In this essay I try to critically review the meaning of ”the religious concepts,” ie., “the martyrdom”, “the conscience”, and “the term of religion”, easily found in the Joseon Catholic literature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Based on those concepts I raise some new questions about the modern religious paradigm. First, compared to the world views such as Sham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Catholicism's world recognition, which is implicitly revealed in the dramatic event of martyrdom is characterized by “the absolute distinction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once for all of this life”, and “the eternity of the future life”. It is the attitude of the world denial, ie., the world view of relativizing the temporal time and space, and seeking the absolute value standard, in which time and space are situated outside of the world. This world attitude is not pessimistic because it is intend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temporality outside of the temporal world, from the supraworld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it is de-secular, and at the same time, it aims to provide a constant reference for evaluating temporal life. Therefore, the world view of the martyrdom of Catholicism seems to be a quite different and strange, and even a new way of thinking in the history of Korean religions. Second, a certain Catholic lay-leader said that the reason of refusing the ancestral sacrifice of Confucianism is due to the “conscientious” objection. The “Conscience”, mentioned here is related to the rules of moral conducts. The concept of conscience used by this Korean Catholics is much closer to the 'Conscientia' in Western scholastic theology. Therefore, Western Catholic “Conscientia” can be possibly translated into “the conscience” as a Korean Catholics understood it. Finally, similar to the word “religion”, which began to be used after the modern era, there already used variable concepts such as way(道), law(法), learning(學) and art(術). Particularly, the term “school(敎)”draws our attention. It is not easy to decide whether “the religious concepts” used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of 19th century are different and heterogeneous to the concept which were used after modern era.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can’t be totally disconnected each other. Rather, the various religious concepts already came into use before the conceptualized term of “religion” was established, and the concept of “religion” as modern terminology was affected therefrom. Even after establishment of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the traditional religious concepts(敎) had not been completely displaced by the new concept of “religion”, but has acted as a vectorial force that pulls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in a specific direction. Another researches might be asked to make point of the role of “the concept of school(敎)” and identify it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and if allowed, we might differently re-evalu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