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이해 학습’ 분석

        홍하은(Hong Ha Eun)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1 초등교육연구 Vol.- No.15

        본 연구는 현재의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초등 1~4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특히 ‘이해 학습’ 부분에 한정지어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바는 현장 실천본이라 일컬을 수 있는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개정된 교육과정이 교과서로 실행되는 과정에서 성취기준, 단원목표와 차시목표와의 관계, 언어 사용 목적과의 관계 정도를 살피며 일관성 있게 구성되고 있는 지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정 상세화 측면에서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의 관련성,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 차시 목표를 중심으로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그 중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는 외형적 관계로 분류하였고 성취 기준과 단원 목표, 차시 목표는 서로 간의 내용 연계 정도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에게 학습 안내 역할을 하는 ‘이해 학습’에서 다루고 있는 교육적 내용의 지식 형태와 분포 정도를 알아보고 교과서 내에서 어떤 유형으로 구현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이 반영된 교과서 분석을 기반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개정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과 대안의 기준이 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밝혀진 원리는 수시개정체제로 바뀐 차기 교육과정 개정 및 향후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o which extent the curriculum was reflected in textbooks, particularly limited to the part of understanding learning focusing on 20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irst to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objectives to be achieved in a curriculum is to reflect in textbooks, which can be called as the edition for field practice. Therefore, it is able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contents of revised curriculum are made consistently in the course of practising to textbooks while watching the achievement criteria, the relation betwee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and how much it relates to the objectives of language use. Henc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criterion and unit objectiv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focusing on the achievement criterio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in the aspect of curriculum detailing. Out of them, the achievement criterion and unit objectives are classified as external relation and the achievement criterion, unit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are judged to that extent of a connection in the contents between each other. Lastly, it deals with three kinds of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learning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Chapter V. First, what should be achieved in a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unit learning objectives and lesson objectives in textbooks as the tool for realization of the curriculum should be made in the ever consistent appearance, and second, continuous studies of application learning to involve the meaning of practice must proceed together with the ones of understanding learning as the education of knowledge and function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texts. Lastly, it needs active analysis of textbooks by teachers who have various prospective. This study is made on the basis of analysis of textbooks in which the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o that it can be the criterion of direct criticism and alternative plan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in which the revised curriculum was reflected. And those principles found out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next revision of curriculum which was changed to the real-time revision system as well as future development of textbooks.

      • 한국과 프랑스 미술교육 비교 연구

        송선영(Song Sun Young)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4 초등교육연구 Vol.- No.18

        미술 교육은 인간의 정서를 순화하고 삶의 질을 높이며 현대 사회에서 중요시 여기는 창의성과 상상력을 기른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교과목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미술교육의 문제는 입시제도나 수업환경의 열악함, 인식의 부족 등으로 인해 미술교육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발달에 아주 중요한 시기인 초등학교의 미술교육을 모든 교육의 기본이며 견인 수단으로 여기는 프랑스의 미술교육과 비교 연구함으로써, 국내 미술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프랑스 미술교육에 대한 객관적인 비교 분석을 통하여 장점은 받아들이고, 단점은 보완하여 한국 미술교육의 현실에 맞는 이론을 정립하여야 한다. 스스로가 창조자로써 나아가야할 방향을 정하고 그것을 목표로 재능을 키워나가도록 고양시켜주어야 할 것이며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스스로 찾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야 말로 진정한 의미의 미술교육이라 할 것이다. Art education is an important course that refines human emotions and improves quality of life,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bring creativity and imagination which are considered significant in modern society. However, the current issue of Art Education in Korea is that it has not been performing the role of art education properly due to poor entrance system or learning environment and lack of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ture direction of national art education with the comparative study on art education of domestic elementary school which is a very important period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of French art education which is a basis and driving means of all education. Also, by conducting an objective analysis and research on art education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France, a theory of art education in Korea which fits the reality will need to be established, accepting the benefits and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Art education will need to present a better way to go as a creator, and provide students with a guidance to grow their talent. Helping them to find what they really need will be the true meaning of education.

      •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과 내용 영역별 중요도, 지도 능력 인식 및 교육 요구도 조사

        김은정(Kim Eun Jeung)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육연구 Vol.- No.16

        본 연구는 2007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제주 지역의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실과교과의 영역별 목표에 따른 교사 집단 간의 중요도, 지도 능력 및 교육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 조사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경력 별 중요도 인식에서는 10년 이상 경력의 교사 집단이 10년 미만 경력의 교사 집단 보다 나의 생활과 옷차림, 생활 속의 식물에서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교직 경력별 지도 능력 인식에서는 10년 이상 경력의 교사 집단과 10년 미만 경력의 교사 집단 간에 꽃이나 채소 가꾸기, 간단한 조리, 바느질 도구를 이용한 용품 만들기, 손바느질로 용품 만들기, 간단한 전자회로 꾸미기, 전기·전자 용품의 사용과 관리 등에서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 나의 생활과 옷차림, 나의 옷 관리를 제외한 전영역에서 0 이상 나타나고 있으며, 건강한 먹을거리의 마련, 음식 만들기, 전기·전자용품의 사용과 관리, 나의 미래와 진로에서는 1.0 이상의 높은 교육 요구도를 보여 주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educational needs and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Jeju on importance and teaching ability of education contents in Practical Ar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level of importance awareness of the teachers with minimum of 10 years educational experience was higher statistically than that of the teachers with maximum of 10 years educational experience in my life and dress and plants in life area. Second, the level of their teaching ability awareness of the teachers with minimum of 10 years educational experience was higher statistically than that of the teachers with maximum of 10 years educational experience in growing of flowers and vegetables cooking , making articles by needlework , making articles with haberdashery , use and management of electricity/electronic products , designing of simple electronic circuit and etc. Third, educational needs in all education contents were over zero except my life and dress and mending dress . And such as house works and roles of family members , nutrition and food , getting good food , cooking , use and management of electricity/electronic products , my future and career were higher than 1.0 in educational needs.

      • 디지털매체 활용을 통한 판화수업 연구

        우현정(Woo, hyun jung)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초등교육연구 Vol.-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판화교육의 다양성을 위하여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판화교육의 가능성을 제시는 데 있다. 먼저 판화의 개념을 알아보고,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판화 교육 활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5∼6학년 미술교과서에서 판화와 사진 단원을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판화 단원으로 재구성하여 적용하고 학생들의 작품을 분석하여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판화 교육의 효과를 알아보려고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물음으로 시작한다. 첫째, 판화란 무엇인가? 둘째,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판화교육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가? 첫째, 판화의 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판화의 역사를 간략하게 알아본다. 초기 판화는 복제와 복수제작을 위한 매체였다. 르네상스 이래 화가의 작품을 장인이 판화로 복제하고 그 수를 제한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사진술의 발달로 판화가 가지고 있던 복제의 기능이 약화되고 판화는 복수로 된 원본 그림이란 개념으로 순수 화화의 영역에 진입하며 19세기 말 가장 대중적인 예술로 자리매김 했다. 20세기 엔디 워홀은 실크스크린 연작들로 순수 미술과 대중 미술의 경계를 허물었고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판화의 개념은 재정립되었다. 둘째, 5∼6학년 미술교과서의 판화와 사진 단원을 10차시로 통합하여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판화교육으로 재구성하였다. 목판화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판화를 제작하여 다양한 판화 기법과 판화 제작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적 체험 과정에서는 발상과 구상을 위해 마그리트와 오윤 등 동서양 작가들의 다양한 판화 작품을 감상하게 하였다. 표현 활동에서는 목판화 제작,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판화 제작 활동을 하였다. 감상 활동에서는 전시회를 하고 되돌아보기 활동을 통해 성장을 위한 피드백 기회를 갖도록 했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판화교육은 미적체험, 표현, 감상 전 영역에 걸쳐 활용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판화교육은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학생들이 미적 감수성을 키워 예술품의 소비자이자 생산자로서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자질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print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for the diversity of elementary print education. First, we will look at the concept of printmaking and examine what kinds of printmaking education activities using digital media are through prior research. Next, I try to reconstruct the 5th and 6th grad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to printmaking units using digital media, analyze the works of students, and tr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rintmaking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This study starts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print? Second, how can you organize print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First, the history of printmaking is briefly review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rintmaking. Early prints were the medium for reproduction and duplication. Since the Renaissance, artisans have copied works of art by prints and have not limited their number. However, the development of photography has weakened the function of reproduction, and the print became the most popular ar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s it entered into the field of pure painting with the concept of the original painting of plural. Twentieth Century Endy Warhol broke the boundaries between pure art and popular art with silk screen series, and the concept of print was redefined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Secondly, we reconstructed the 5th and 6th grade art textbooks into the 10th class by incorporating prints and photographs into digital arts. We tried to develop various printing techniques and printmaking methods by making woodcut paintings and digital prints. In the process of aesthetic experience, various works of artists from the East and the West such as Magritte and Oyun have been watched for ideas and ideas. In his expression activities, he made woodcut paintings and produced prints using digital media. In appreciation activities, we have opportunities to provide feedback for growth through exhibitions and retrospective activities. Printmaking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can be applied to all areas of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addition, the print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is expected to enhance the aesthetic sensitivity of the students, thereby enhancing the qualities that can live independently as consumers and producers of art products.

      •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 분석

        임보아(Lim, Boa),김은석(Kim, Eunsuk)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초등교육연구 Vol.- No.22

        이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의 선사시대 교육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고, 제주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선을 위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제주 삼양동 선사 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양동 선사 유적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은 전체적으로 ‘기술-직접적 설명’ 접근법을 취하고 있었다. 둘째, 삼양동 선사유적 전시 및 교육 프로그램은 순차적으로 제시된 경로를 통해 체험을 유도하였다. 셋째,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은 관람자의 의미 구성 방식과 관련해 문화사적 기술의 습득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설명 패널과 유물 라벨에는 유물의 시기, 명칭, 용도, 재질, 형식, 이주 및 전파에 관련된 정보들만 제공되고 있었다. 또한 현장체험학습교재는 이러한 고고학적 기술 내용을 확인하는데 그치고 있었다. 삼양동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기술-직접적 설명 접근법 유형에 치우쳐, 설명-발견적 접근, 해석-구성주의적 접근을 고려한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선사유적박물관은 선사인의 삶을 추론하고 해석하는 고고학자들의 탐구 과정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교육공간으로, 학생들은 선사유적 박물관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고고학적 맥락에서의 역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삼양동 선사유적 전시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분석은 향후 삼양동 유적지의 교육적 개선 작업의 일환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value of prehistoric museum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as a part of an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prehistory education in schools. Based on this fact, this study attempted a critical analysis o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for their improvement. Prior to analysis, the three approaches to archaeological studies were explored, namely culture historical archaeology, processual archaeology, and post-processual archaeology as well as the constructive museum education put forth by George E. Hein. Based on the findings, the archaeological exhibition structure and educational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explanation-discovery approach’, and ‘interpretation-constructivism approach’ and their analytic perspectives and factors were develop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are as follows: First,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in general, took up the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Second,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encouraged the spectators to take in the experience in the sequence that they intended. Third, with respect to construction of meanings by the spectators,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focused on learning of ‘cultural historical descriptio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is exceedingly predisposed toward ‘description-direct explanation approach’ and must be modified to incorporate ‘explanation-discovery approach’and ‘interpretation-constructivism approach’. Because a prehistoric museum should be an educational space for the spectators to experience the exploratory courses of archaeologists in inferring and interpreting the lives of people in prehistoric times and th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historical thinking skills in an archaeological context. The results of this critical analysis on the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f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should be utilized in the course of museum’s attempt at educational improvement. In the same context, I hope this study serves as a steppingstone for schools to exploit Samyang-dong Prehistoric Museum as a part of their history courses.

      • 초등학교 실과에 있어서 발명교육의 변천과정 연구

        이영찬(Lee, Young-Chan)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초등교육연구 Vol.- No.2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에 있어서 발명교육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시대에 따른 변화의 내용을 파악하고 앞으로 초등학교 발명교육의 방향을 알아보는 것이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 문제 해결 능력군과 관련된 발명교육 내용은 과거에는 학습 내용이 제시되지 않다가 2009 개정 실과교육과정 이후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는 발명문제 해결 방법 사례와 절차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 둘째, 발명품 모형 제작 능력군과 관련된 발명교육 내용은 과거에는 다양한 재료와 도구를 다루었으나 시대가 변하면서 점차 재료와 도구에 제한이 있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재료와 도구의 사용에 대한 학습 내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 영역은 실습과 경험 위주로 내용이 구성되었으나 학교 시설 및 실습 시간 부족으로 직접 체험의 기회가 제대로 제공되지 못했던 분야이다. 셋째, 지식재산권 관리 능력군과 관련된 학습 내용은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제시되었으며, 지식 재산 보호의 의미를 이해하고 실생활에서 실천하도록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 발명 문제 해결 능력군과 관련된 내용이 증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반면, 실습과 관련된 발명품 모형 제작 능력군과 관련된 교육 내용은 감소하고 있다. 학교에서의 시설 부족 등이 원인이 되어 실습과 노작 활동에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포기하는 것은 아닌지 점검이 필요하다. Our society has experienced rapid economic growth and innovative industrial development after liberation. Contents of Practical arts grea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echnology. There has been each time every huge change in from the primary national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content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also has changed greatly in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national curriculum. In Practical arts, the contents and units of Invention education are specified from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But in the previous Practical arts curriculums, content elements related to Invention education were contained with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s. The meaning of Invention education contained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can be more accurately understood by examing the process of changes in content elements related to Invention education contained in the Practical ar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in the Pratical arts curriculm in elementary schools. Moreover, it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Invention education in elementray school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vention education contents related to the invention problem solving ability group has not been presented in the previous curriculums, but appeared after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have more emphasis on cases and procedures for solving invention problems. Second, the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related to the ability to make models of inventions dealt with various materials and tools in the past, but according to the times changed, there were gradually limitations on materials and tools. In recent years, the contents of learning about the use of materials and tools have been gradually decreasing. This area was composed mainly of hands-on practice and experience, but the opportunity for hands-on experience was not properly provided due to lack of school facilities and training time. Third,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ere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structur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and practice them in real lif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abilities of solving the invention problems have been increasing. The increase in educational contents in this area can be inferred because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is area are structure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reasonably and rationally solve various problems that may arise in the future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related to the abilities to produce invention models are decreasing.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educational effect that can be botained from practiced and labor activities is abandoned due to lack of facilities at school. The education content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curriculum due to the emphasi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