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 접촉빈도, 관계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윤형 ( Chio Yun-hyung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전국적 대표성이 있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2014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관계망의 다양한 특성을 크기, 접촉빈도, 관계만족도로 유형화하여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관계망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활성화와 적절한 사회적 지원의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독립변인으로는 사회적 관계망 양적 측면(크기, 접촉빈도), 사회적 관계망 질적 측면(관계 만족도)을 종속변인으로 우울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2014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고 이중 신체적 혹은 정신적 이유로 가족 등이 대리 응답한 170명의 자료를 제외한 10,281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 방법은 STATA 13.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특성들과 주요 변수의 특성과 실태, 정규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방법을 활용하였고, 다중공선성 확인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우울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비교해 보기 위해 t-test와 AN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회적 관계망 변수들이 우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 지원체계 확대를 통한 경제적 어려움의 해소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비공식적 관계망의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복지기관들의 네트워크를 통한 예방사업 및 유사가족을 통한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 This study utilized 2014 National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s」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ith a national representativeness and categorized various traits of the social network into size, contact frequenc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se on the elderly depression. Thus, examin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luence of social network on depression and henceforth a way to vitalize the elderly social network and support it socially was aime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quantitative aspects of social network (size, contact frequency) and the qualitative aspects of social network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a depression.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2014 National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s」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as utilized and from among these, 10,281 data except for 170 data answered by the family or others for physical or mental issues were finally analyzed.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TATA 13.1 and utilizing a descriptive statistic to determine traits of objects and the natural characteristics, actual states and normality of variables and a correlation analysis to confirm a multicollinearity. Also, a t-test and an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a depression based on general traits, and lastly a hierarch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rehend the relative impact of social networking variables on a depr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practition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below: First, releasing an economic burden through an extended public support system is needed. Second, the reinforcement of an informal network is needed. Third, the establishment of community safety net through a network among social welfare agencies is needed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적응수행의 구조적 관계: 진로포부 매개효과 중심으로

        장현정 ( Hyunjeong Jang ),유정민 ( Jeongmin Yoo ),조태준 ( Taejun Cho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4년제 대학에 재학 또는 휴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적응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와 진로포부 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에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과 진로포부는 적응수행의 구성요소인 위기상황 대처, 창의적 문제해결, 대인관계 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이 진로포부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진로포부는 긍정심리자본과 적응수행의 하위요인인 위기상황 대처, 창의적 문제해결, 대인관계 적응 간에 간접효과 보다 직접효과의 영향력이 더 커 부분매개를 나타내었다. 긍정심리자본에서 진로포부를 지나 적응수행으로 연결되는 간접효과가 가장 큰 변인은 창의적 문제해결, 위기상황 대처, 대인관계 적응 순서이다. 총 효과는 위기상황대처, 창의적 문제해결, 대인관계 적응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바탕을 두고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4차 산업역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학생들을 육성하기 위해 인지적인 전공지식전달과 습득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대처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린 유연한 사고를 가지며, 다수의 의견과 생각의 차이를 조절하고, 이들과 원만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대학교육 시스템이 진화해야 한다. 둘째, 수업내용과 교수방법의 변화에 맞추어 평가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학생들은 대학에서 제공하는 지식에 의존하기보다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는 자기 주도적으로 탐색하여 활용하기 때문에, 이제 대학에서는 직접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것에서 확대하여, 학생의 호기심을 배가하여 진로에 대한 포부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대학교육에서 배운 자산으로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대처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대학의 교육시스템이 변화해야 할 것이다. We have tried to cope with the changing world, but there are limitations in predicting and preparing for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change. The environment, culture, education, medical care, and organization are making plans to cope with change, and the organization focused on finding and nurturing talent who can adapt to the change. However, it is not the current situation of yesterday tha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organization selects new employees through various procedures based on the talent image of excellent talent, but before they can adapt to the organization. In the end, it remains an important task to find and nurture these talents by knowing what kind of talents can adapt to changing external situations from various angles. Therefore, I would like to look for various variables that can improve the adaptation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who will become members of the future organizational society, and study how these variables can be applied to universi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aspir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aspi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bjects for inquiry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 college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 aspirations affect adaptive performance? Second, Second, do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ollege students affect their ability to cope with crisis situation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adapt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ch are components of adaptation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s? Third, does career aspiration affect the performance of adaptation?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s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daptation performance? For this study, 1,363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across the country were collected, and self-reported online survey data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daptation performance, career aspiration, and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department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aspir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daptation performanc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MOS 25.0 program. Bootstrap was us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areer aspir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daptation performanc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MOS 25.0 program. Bootstrap was us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model. The major results sho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had an effect on adaptation performance. I think this is also a characteristic of performing adaptation, such as adapting to the situation and solving complex problems creatively. Seco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spirations. Among the constituent concepts of career aspiration: achievement aspiration, leadership aspiration, and education aspiration, it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eadership variables. Third, it was found that career aspiration has an effect on adaptation performance. Fourth,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daptation performance, career aspira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handling emergencies or crisis situations, solving problems creatively, and Demonstrating interpersonal adaptability, which are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adaptation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남성 육아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수용자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에서의 의사사회 상호작용을 적용한 프로그램 시청률과 포털사이트 검색어 자료의 시계열 분석을 중심으로

        송민호 ( Min Ho Song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남성 육아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남성의 육아 참여와 관련한 수용자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시청률과 의사사회 상호작용의 하위 요인인 인지적, 행위적, 정서적 상호작용을 대변할 수 있는 포털사이트의 검색어 자료를 추출하였고 프로그램 방영 기간 동안의 수용자들의 연속적인 인식 변화를 검증하고자 ARIMA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시청률은 정서적 상호작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행위적 상호작용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상호작용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성 육아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률 증가가 온라인에서의 능동적인 정보 검색활동으로 연결될 뿐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를 실생활로 적용하기 위한 인지적 상호작용과 더불어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이상적인 아버지 상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interests in paternal-parenting reality TV programs and changes in the audience’s perception of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arch term data of the portal site that can represent the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dimensions of parasocial interaction and TV ratings of < superman came back > using an ARIMA time series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V ratings were positively related to behavioral interaction, whereas such an association was not observed for affective interaction. Also, TV rating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gnitive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ncrease of TV ratings on paternal-parenting reality programs leads to more active information search activities online. However, the increase of TV ratings on father-parenting reality programs did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ither cognitive interaction, which entails apply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program to one's real life, or affective interaction, which involves adjusting one's image of an ideal father figure.

      • KCI등재후보

        도서관 마케팅 도구로서 SNS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차병철 ( Cha Byeong Chul ),조재인 ( Jane Cho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11 No.2

        SNS는 마케팅 캠페인을 저렴하게 전개할 수 있는 저비용의 플랫폼으로 인식되고 있어 정치, 비즈니스 공공영역에서 최근 가장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SNS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신규 서비스가 갑자기 등장해 시장을 점유하기도 하며, 차별화된 속성을 개발하거나 다른 속성을 모하면서 경쟁적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도서관 SNS 마케팅 전략 수립 시 SNS의 속성과 그에 적절한 마케팅 요소의 속성을 대응시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를 이용자가 인식하는 특징에 따라 분류하여 속성화 하고 이러한 속성이 도서관의 마케팅 요소에 어떻게 대응될 수 있는지 포지셔닝 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도서관 방문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다차원척도법 및 대응일치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인지 체계를 실제 인천 지역의 공공도서관 SNS 마케팅 현황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제시하였다. 이용자들의 인지 체계를 분석한 결과 SNS의 속성은 소통중심의 개방형(SOC), 정보제공 중심의 개방형(SOI)과 폐쇄형(SC)으로 구분되었으며, 마케팅 요소 역시 단문의 빠른 소식 전달 중심의 개방형(MOS), 장문의 정보제공 중심의 개방형(MOL)과 폐쇄형(MC)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군집화된 SNS와 마케팅 요소 간의 1:1의 대응 관계는 형성되지 않았으나 폐쇄형 마케팅 요소는 폐쇄형 SNS(SC) 적절하게 대응되며, 개방형 마케팅 요소는 정보제공중심의 SNS(SOI)보다 소통중심의 개방형 SNS(SOC)에 대응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도서관 SNS 마케팅 전략 수립시, 한정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은 네이버 밴드와 같은 폐쇄형 SNS(SC)를, 그렇지 않은 개방형 마케팅은 페이스북과 같은 소통중심의 개방형 SNS(SCO)를 활용하는 것이 이용자들의 인지 체계에 부합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이용자들의 인지 체계와 인천지역 공공도서관의 SNS 마케팅 실제를 비교해 본 결과 큰 차이가 존재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착도서와 참고봉사 서비스에 트위터, 페이스북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지각하는 이용자의 인식과는 달리 실제로는 SNS를 활용한 신착도서 알림과 참고봉사 서비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블로그는 서평 제공보다 홍보, 도서관의 각종 소식 제공과 동아리 운영 등 도서관 마케팅에 범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eing considered as a low-cost platform to develop a marketing campaign with a small budget, SNS is recently used as the most useful tool in politics, business and the public sector. In SNS marketing strategies, it will be thus desirable to have the SNS attributes correspond with their proper marketing elements. This study set out to categorize the SNS attribut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SNS users and position them as elements of library marketing.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150 library visitors making active use of SNS and analyzed collected data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orresponding analysis. The resulting cognitive system was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e of SNS marketing by public libraries in the Incheon Area to demonstrat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analysis results of users' cognitive system show that SNS attributes were categorized into communication-oriented open SNS(SOC) and information-oriented open(SOI) and closed SNS(SC). Marketing elements were categorized into quick news delivery-oriented open elements based on short sentences(MOS) and information-oriented open(MOL) and closed elements based on long sentences(MC). There were no one-on-one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SNS clusters and marketing elements, but the closed marketing elements corresponded with the closed SNS(SC) appropriately. The analysis results also reveal that the open marketing elements corresponded with communication-oriented open SNS(SOC) rather than information-oriented SNS(SOI). The study compared users' cognitive system with the actual SNS marketing practice of pulic libraries in the Incheon area and found no big differences between them. Unlike users' understanding that Twitter and Facebook could be put to the helpful use for new arrival book notifications and reference service, however, there was no active use of SNS-based new arrival book notifications and reference service in reality. It was also analyzed that blogs were comprehensively used in library marketing including promotion, all kinds of library news, and club management rather than book reviews.

      • KCI등재후보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셰어런팅 경험에 관한 연구: 인스타그램을 중심으로

        강누리,강지영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셰어런팅(자녀의 사진과 일상을 SNS에 공유하는 행동) 경험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인스타그램에 자녀의 사진을 공유하는 영유아 어머니 10명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수집한 질적자료로 귀납적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7개의 중심주제와 14개의 범주, 2개의 영역으로 나타났는데 7개의 주제는 ‘엄마 연출, 아이 주연’, ‘육아 정보, 신뢰와 불신의 양면성’, ‘육아 친구, 위안과 불안을 주는 관계’, ‘육아 계정, 취미와 사업의 경계’, ‘부정적인 면에 대한 인식’, ‘셰어런팅 패턴 조절’, ‘아이를 위한 보호장치 고안’이었다. 이 주제들은 다시 ‘셰어런팅 체험하기’, ‘셰어런팅 조율하기’의 2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영유아 어머니들은 인스타그램에 자녀의 사진을 공유하며 다른 어머니와 관계를 맺고, 그 안에서 사회적 지지를 얻기도 하고 사회비교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어머니들은 셰어런팅의 부정적인 면을 인식하고 나름대로 셰어런팅 패턴을 조절해가며 삶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sharenting’ experience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Data was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0 mothers of young children who share photos of their children on-lin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inductive subject analysis and 7 central subjects, 14 categories, and 2 domains were found. The 2 domains were ‘sharenting experiences’, and ‘adjusting sharenting’. The 7 subjects were ‘mother directed, child starred’, ‘both sides of parenting information: trust and distrust’, ‘relationship in Instagram that gives comfort and anxiety’, ‘boundary between hobby and business’, ‘awareness of negative aspects’, ‘adjusting sharenting patterns’, and ‘protection for children’. Mothers of young children made relationship with other mothers through sharing photos of their children and gained social support and experienced social comparison in a relationship on Instagram. They knew the negative effects of sharenting and kept their life balance through adjusting the sharenting patter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not only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light and shade of sharenting in terms of children’s rights and mother’s welfare but also practical implication.

      • KCI등재후보

        상대적 박탈감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

        이혜정 ( Lee Hye Jung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12 No.2

        청소년 시기에 형성된 사회적 인식은 한사람의 평생에 걸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격적인 다문화사회의 주인공이 될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의 확대는 중요한 사회적 과제이다. 본 연구는 학교생활 요인, 정책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청소년활동 요인, 청소년의 사회인식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상대적 박탈감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2018년 인천시 연수구에서 시행한‘ 연수구 청소년활동 실태 및 욕구조사 설문조사’ 데이터의 1,159명의 표본 중 1,075명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교사관계,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청소년활동 경험이 많고 국제교류경험이 있는 경우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 박탈감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부적인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다문화수용성의 영향요인과 청소년의 상대적 박탈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current study looked at the influence of school life factors,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at are emphasized in youth policy, and the perception of relative deprivation on the youth’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data from the “Status of Youth Activity and Desire Survey” conducted by Yeonsu-gu, Incheon, in 2018 were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analyzed through SPSS 23.0.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youth’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relationships and their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international exchange experienc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Relative depriva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policy directions to enhance the youth’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KCI등재후보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장서 구성에 대한 연구

        옥정원 ( Jungwon Ok ),정옥경 ( Ok Kyung Chung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하여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장서의 현황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인천광역시의 특성을 살린 다문화장서의 구성과 운영을 위한 장서구성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장서를 구비하여 제공하고 있는 인천광역시 구·군의 대표격인 7개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다문화장서보유현황을 분석하고, 다문화인구대비 다문화 장서구성 비교 및 국가별 1인당 장서수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인천광역시 구·군의 대표도서관 격인 7개 도서관의 다문화장서 보유현황을 조사분석한 결과, 영미자료 및 중국어 자료에 편중되어 있어서 효율적인 다문화인서비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도서관 관련법과 시행령에 다문화인들을 지식정보취약계층으로 지정하여 다문화장서구성과 다문화서비스의 근거를 마련하여야 하며, 둘째, 인천광역시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다문화장서기준과 예산이 마련되여야 하며, 셋째, 인천광역시의 다문화대표도서관을 설립하여 모든 도서관을 컨트롤하며 이용자와 다문화장서를 연결하고 각 도서관들의 정보교류를 통한 협력으로 체계화 된 다문화장서를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multicultural books at public librari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investigation, and to suggest a plan for collectio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ulticultural books which features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we analyzed the current holding amount of multicultural books of 7 libraries that are equipped and provide multicultural book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compared the multicultural library collection of the population, and also analyzed the number of books per person across the countri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after the investigation and the actual proof analysis the current holding condition of multicultural collection at 7 representative librarie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was found to be weighted on the English and Chinese materials. And Effective multicultural services have been confirmed to be unfulfilled. To solve this problem, the Multicultural Collection Standards and budget should be prepared for the composition of multicultural book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representative multicultural librar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should be designated so that it can control every library, connect multicultural books, and consistently develop multicultural collection by cooperating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of each library

      • KCI등재후보

        도시재생사업 과정에서의 지역주민의 갈등현상 분석 연구: 인천 송월동 동화마을 대상으로

        조민호 ( Cho Minho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13 No.1

        도시재생사업인 송월동 동화마을이 관광지화로 인해 주민 간 갈등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송월동 동화마을을 중심으로 동화마을이 지역주민의 삶에 미친 갈등과 현상을 알아보고 사회복지 측면에서 실천적과제를 제언하고자 한다. 지역주민들이 실제 거주하고 있는 송월동으로 방문하였으며 개별심층면담은 2018년 4월1일~6월30일 이루어졌다. 지역주민 등 12명과 1회 실시하였고 그들의 경험을 녹취하여 원 자료를 구성하고 이를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 형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줄 단위 분석 결과, 117개의 개념과 3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0개의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축 코딩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을 사용 범주를 재배열하고 ‘갈등악화’를 중심현상으로 도출하였다. ‘도시재생과정에서의 지역주민 갈등’이라는 선택코딩을 통해서‘ 주민들의 자발적인 네트워크 활동을 통한 공동체 회복’이라는 핵심범주를 발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적극 수용형’,‘ 소극적 대응형’,‘ 위축형’으로 유형화하였고. 이런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도시재생사업 수립 시 사회복지적 관심의 부재함을 제시하고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Due to the tourism, Songwol-dong Fairy Tale Village,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experiencing various forms of conflict among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flict that the project caused on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focusing on Songwol-dong Fairy Tale Village, and suggest practical tasks in terms of social welfare. We visited Songwol-dong where local residents live,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ook place from April 1 to June 30, 2018.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local residents to capture their experiences; and the original data were record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Strauss and Corbin (1998). As a result of the line analysis, 117 concepts, 30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derived; and in axis coding, the paradigm model was used to rearrange the categories and derive 'conflict' as the central phenomenon. Through the selective coding of 'community conflict in urban regeneration', I discovered the core category of 'community recovery through voluntary network activities of residents'. Based on this, it was categorized into “actively acceptable”,“ negative response” and“ atroph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ointed out the absence of social welfare attention and proposed policy suggestion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