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서구의 인간과 환경에 대한 논의 : 인간에 의한 환경변화'와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양식'을 중심으로

        박의준(Eui-Joon Park)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8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

        20세기 들어 지구환경 변화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들은 시기별로 ① 환경변화에 대한 인간의 영향을 탐구한 논의의 태동 시기와 ② 레오폴드의 ‘환경윤리’, 탠슬리의 ‘생태계’, 마시의 ‘인간과 자연’으로 대표되며 환경변화가 인간에게 주는 영향을 탐구한 논의의 발전시기, ③ 자연환경에 대한 보전과 개발을 둘러싼 갈등의 전개 시기, ④ 환경변화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일부 지식인에서 전 사회계층으로 확장된 논의의 확장시기, 그리고 ⑤ 다수 학자들에 의해 다각화된 과학적 논의로 발전하는 20세기 후반으로 나누어 정리해 볼 수 있다. ‘인간과 환경’에 대한 논의는 환경변화에 있어서 인간의 역할에 대한 자성, 자연환경에 대한 인간의 책임의식을 주장하는 윤리적 자세, 미래세대를 고려하는 지속가능의 개념 등을 담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시공간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생태계 내 물질의 흐름 파악, 과거의 환경변화에 대한 연구, ‘인간생활의 장’으로서의 지역환경에 대한 관심 등이 병행될 때 한국의 환경문제의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With increasing interests i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in the 20th century, there has been much discussion about issues related to it. Those debat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different periods: (1) the birth of discussion about the effect of the human being on environmental change (2) development of discussion about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hange on humans, which can be represented by environmental ethics of Aldo Leopold, ecosystem of Tansley, and human and nature of Marsh (3) discord surrounding preservation vs. development of natural environment (4) expansion of the discussion about environmental change from intellectuals to whole society, and (5)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debates have developed into scientific discussion by scholars. Discussion about 'the human being and environment' includes reflections on the role of the human being in environmental change, ethical attitude that argues the responsibility of human for natural environment, and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which considers the future generation. We could find a solu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in Korea only with the establishment of a space- and time-integrated database, research on the past environmental change, and interests in local environment as the ground of human life.

      • KCI등재

        생태 인문학 연구를 위한 제언

        박정호(Park Jeong-H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

        본고는 오늘날 환경 문제의 시급성과 중요성에 비추어 ‘생태 인문학’이라는 새로운 인문학 분야를 연구할 필요성과 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환경 문제에 대한 기존의 인문학적 담론은 심층 생태학에서 보듯 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집중되어 왔고, 대체로 자연 친화적인 생활을 하거나, 인간 중심주의를 버리고 자연 중심주의ㆍ생태 중심주의 세계관을 갖는 것을 해결책으로 제시하여 왔다. 하지만 이는 현대가 처한 복합적인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서 설득력이 떨어진다. 근대 산업 혁명 이후 우리는 기술의 산물, 즉 인간이 만든 기계, 건물, 도로, 공장, 댐, 항만 등 자연을 가공한 물리적 인공 환경에 둘러싸여 살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엄청난 양의 지식과 정보가 인터넷 연결망으로 연결되어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고 있어서 인류 전체를 망으로 연결하는 제3의 환경 층위가 생겨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환경 문제는 인류가 자연, 기술, 지식 등과 같은 다차원의 환경에서 어떻게 조화롭고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 인문학의 새로운 대응을 ‘생태 인문학’(Eco-humanities)으로 개념화했다. 생태 인문학은 모든 생물체가 자연이라는 하나의 커다란 집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생태학적 사고와 인간 삶의 의미와 가치를 탐구하는 인문학을 결합한 것이다. 즉 생태 인문학은 인간 삶의 의미와 가치를 다루되, 인간을 그 자체로서 고립적으로 고찰하지 않고 환경과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고찰하는 학문이다. 이때 전근대 전통 사회에서는 ‘자연’이, 근대 산업 사회에서는 ‘기술’이, 탈근대 지식 사회에서는 ‘지식’이 인간의 주된 환경 층위로 부상하는 것으로 본다. 그렇지만 모든 시대에서 자연, 기술, 지식의 세 층위를 추출할 수 있고 이것들은 중층적으로 얽혀 있는데, 다만 시대별로 주도적 층위가 달라질 뿐이고, 주도적 층위로 부상하기까지는 인간의 사회와 역사를 규정하는 힘으로서 표면에 드러나지 않을 뿐이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학제적 연구, 통시적 접근, 공시적 접근, 비교학적 접근, 한국적 시각 등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 제안된 생태 인문학은 확립된 이론틀이라기보다는 ‘작업 가설’의 성격을 갖는다. 그리고 생태 인문학은 인간과 생태계의 더 나은 삶, 더 좋은 삶에 대한 도덕적 관심을 갖고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a new branch of the humanities named 'eco-humanities', The eco-humanities combine the ecological thinking with humanistic concerns. According to the ecological thinking, all organisms live in the nature-home(oikos)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e humanities search for the meaning and value of human life. The eco-humanities search for the meaning and value of human life viewing human beings not isolated from but interrelated with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includes not only nature but also technology and knowledge. The main layer of environment varies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In pre-modem traditional societies it was nature, in modem industrial societies it was technology, and in post-modem societies it is knowledge. So eco-humanities' ultimate concern is how human beings live in harmony with the multi-layer environment such as nature, technology and knowledge. The eco-humanities suggested here is not an established framework but a working hypothes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갈레노스의 인간애(philanthrôpia) 관념과 의술의 목적

        송유레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2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9

        Galen introduces love for humans (philanthrôpia) as a pivotal motive for medical practice and attempts to establish medicine as a ‘philanthropic’ ar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Galen’s conception of love for humans. First, I make clear that while health is the specific goal of medicine, what is beneficial for humans is the general goal of the art of caring for humans. Next, it is shown that Galen’s conception of love for humans has the basic meaning of a disposition to benefit and help fellow humans in adversity, and includes the related meanings of generosity and kindness, but is distinct from feelings of compassion or pity. In addition, it is argued that the key elements constituting Galen’s conception of love for humans are to be found already in the literature of the Greek classical period. This suggests that Galen, who was active in the Roman Imperial period, established a model of the ‘philanthropic’ philosopher-doctor by appealing to the ideas of the Greek classical period. Based on this, I suggest that Galen’s conception of love for humans crystalizes classical thoughts about the goal and function of art (technê) in general. I conclude that it is not simply an anachronistic error on his part to attribute this love for humans to classical doctors including Hippocrates. 갈레노스는 인간애philanthrôpia를 의료 행위의 중추적인 동기로 도입하고, 의술을 ‘인간애적 기술’technê philanthrôpos로 확립하길 시도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갈레노스의 인간애 관념을 규명하는 것이다. 우선, 우리는 건강이 의술 고유의 목적인 데 비해, 인간에게 이로운 것이 인간을 돌보는 기술 일반의 목적임을 밝힐 것이다. 이어서, 우리는 갈레노스의 인간애 관념이 역경에 처한 인간들에게 이로움을 주려는 마음 자세, 즉 선행의 성향을 기본 의미로 하며, 이에 더해 관후와 친화의 의미를 포함하지만, 동정이나 연민의 감정과는 구분됨을 보일 것이다. 이와 더불어, 갈레노스의 인간애 관념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이 이미 고전기 문헌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이 드러날 것이다. 이는 로마 제정기에 활동한 갈레노스가 철인 의사哲人 醫師의 모범을 정립하기 위해 인간애 관념을 구성하면서 무엇보다도 그리스 고전기 관념들에 호소했음을 암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갈레노스의 인간애 관념이 기술 일반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고전기 사유들이 집약된 결정체라는 해석과 더불어, 갈레노스가 이러한 인간애를 히포크라테스를 비롯한 고전기 의사들에게 귀속시킨 것이 단순히 시대착오적인 오류가 아니라는 결론을 제안할 것이다.

      • KCI등재

        인간 : 미완의 기획

        이태수(Lee Tae-So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8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

        이 글은 우선 ‘인간’이란 말이 일상적인 용법으로도 어느 정도 규범적 의미를 가진 말로 쓰일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인간의 한 중요한 본질적인 면모를 밝혀내고자 시도한다. 이 사실은 무엇보다도 인간이 자신의 정체성을 자신이 규범적인 모델로 설정한 것과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그런 경향은 humanitas라는 개념이 인간의 본성과 동시에 이상적 인간이 지닌 특성을 동시에 의미하면서 서구 문화사의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 중요한 배경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정체성은 차라리 그런 규범적 모델을 실현하려는 노력 또는 그 노력의 역사가 만들어낸 내러티브에서 찾아져야 한다. 정체성에 관한 이와 같은 생각은 일찍이 중세 철학자 룰루스가 인간을 animal homificans 즉 인간을 만들어내는 동물로 정의한 데에서 드러나고 있다. 이 글을 그의 착상을 출발점으로 삼아 ‘인간’을 어떤 실체를 지시하는 이름이 아니라 차라리 인간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기획의 이름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그 검토는 인간을 탐구한다는 인문학의 학문적 성격이 실상은 이미 존재하는 인간의 속성에 관한 연구라기보다는 인간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기획의 일부로 파악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 In this paper I try to illuminate an essential feature of the human being first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evaluative usage of term 'human' is quite familiar in the everyday communication. This usage reveals our tendency to seek our identity in a normative model of idealized human beings. It is largely on account of this tendency that the concept humanitas, which represents the normative model of human beings and at the same time their essential property, could play such a determining role in the cultural tradition of the West. However, the real identity of human beings is not to be sought in their idealistic self-understanding. Rather, it consists in the endeavor to form their identity, or in the narrative of this endeavor. Now, leaning upon Raimundus Lullus, a Catalan thinker of 14<SUP>th</SUP> century, who defines the human being as animal homificans, that is, animal creating human being, I propose to take the possibility seriously to conceive the term 'human' not as referring to a substance with a fixed set of static properties, but a never-ending project of forming self-identity. The conception of humanitas should be also accordingly modified; it should be taken as meaning the contents of the project called 'human'. This has also an important consequence for our understanding of humanities, such disciplines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lthough these disciplines are known as undertakings engaged in research of human beings, they are concerned more with the project of forming the identity of human beings than with researching factual truths about human nature or their past doings.

      • KCI등재

        매체와 자연의 소멸 - 매클루언의 스푸트니크 1호에 대한 평가와 그 함의

        박성진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3 인간 · 환경 · 미래 Vol.0 No.31

        이 논문은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에 대한 매클루언의 ‘자연 소멸’이라는 평가를 분석하고 환경, 자연, 인공은 모두 매체에 의해 매개된 환경으로서 인간의 조건이라는 점에서 볼 것을 제안하는 연구다. 본문의 논의는 지구의 확장, 자연의 소멸, 인간의 조건으로 구성되어 전개된다. 지구의 확장은 인간이 지구를 자각함이자 동시에 우주적 시점을 갖게 되었다는 점에서 접근한다. 이러한 지구의 확장은 지구가 지구로부터 떨어져 나옴에 주목한다. 이어서 지구의 확장은 자연의 소멸이라는 논의로 이어간다. 이때 자연의 소멸은 자연이 매개됨을 뜻하며, 소멸 혹은 매개의 결과는 생태로의 전환이다. 전환된 결과는 또한 환경이고, 그 환경은 자연이다. 이 때 자연은 제2의 자연으로서 자연이다. 자연이 매체에 의해 탈자연화되고 곧바로 재자연화되는 것이다. 재자연화된 자연은 제2의 자연이자 생태와 환경이 결합된 ‘생태적 환경’으로 볼 수 있다. 생태적 환경은 인공적 환경이다. 인공적 환경은 매체 혹은 기술 자체이거나 혹은 그것들에 의해 매개된 자연이다. 그 자연의 바깥에 존재하는 또 다른 자연은 없다. 환경, 자연, 생태는 모두 인공적 환경으로서 인간의 실존을 조건 짓게 된다. 인간의 실존적 조건은 ‘인간이 그 안에 있는 개념으로서의 생태계’를 형성하고 생존하며 삶을 영위하는 문제가 된다. This article analyzes Marshall McLuhan's evaluation on the world's first artificial satellite, Sputnik 1, which might be titled "The Disappearance of Nature," and explores the issue of how to perceiv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nature, and the environment. This topic implies the problems of environment, nature, and artificiality as existential conditions for human beings. The article discusses McLuhan's notion of the disappearance of nature and the transition to ecology. In this process, it includes reflec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the environment, and artificiality. Through this reflection, it raises the necessity of interpreting and approaching the conditions of human beings. Those human conditions involve the idea of nature mediated, which is to be interpreted and re-naturalized as a second nature, and the re-naturalized nature becomes the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s are the very existential condition for human beings.

      • KCI등재

        자연환경을 활용한 긍정 기관의 활성화

        이승훈(Lee, Seung Hoo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8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0

        본 논문에서는 긍정심리학의 세 가지 근간 중 긍정 기관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자연환경이 긍정 기관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가능성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자연환경을 활용하여 긍정 가족, 긍정 학교, 긍정 직장, 긍정 지역사회를 이루어가는 사례들을 개관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자연환경은 가족에게 평소와는 다른 맥락을 제공함으로써 가족 강점을 발휘하도록 도와 긍정 가족을 만드는데 기여한다. 2) 자연환경은 학교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증진시켜주고 학생참여를 촉진함으로써 긍정 학교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3) 자연환경은 근로자의 웰빙증진, 사기 진작, 창의성 촉진을 통해 긍정 직장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 4) 자연환경은 공동체를 강화하고 범죄를 예방함으로써 긍정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마지막으로, 퍼트넘의 사회적 자본 및 비틀리의 자연형 사회적 자본과 관련하여 본 개관의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Among three main topics of positive psychology, this article focuses on positive institutions and pays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that natural environments can facilitate positive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reviewed the examples that positive families, positive schools, positive workplaces, and positive communities were being made by utilizing natural environments. The principal points are as follows: 1) Natural environments contribute to make positive families by providing families a contex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usual one and thus helping to demonstrate family strengths. 2) Natural environments contribute to make positive schools by promoting the relationships among school members and facilitating student engagement. 3) Natural environments contribute to make positive workplaces by promoting the well-being, stirring up the morale, and enhancing the creativity, of employees. 4) Natural environments contribute to make positive communities by strengthening communities and preventing crime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review are discussed in terms of Putnam’s social capital and Beatley’s natural social capital.

      • KCI등재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에 대한 소고: 메타버스와 인성론을 중심으로

        조정호(Joh, Jong-h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1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7

        인문학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인성에 대한 탐구이다. 특히 동서양 철학 계의 인성론에서는 이데아idea, 이성, 존재, 인仁, 이理, 성선性善, 성악性惡 같은 개념을 통하여 인간의 본성을 탐구해 왔다. 이 같은 학문 동향에서 설명하기 힘든 메타버스 metaverse의 출현은 가히 혁명적 사태라고 하겠다. 인간이 현실과 가상 세계를 넘나들며 활동하는 메타버스에서는, 특정 인간을 표상하는 ‘디지털로 만들어진 가상 인물’이 타인을 표상하는 가상 인물과 인간관계를 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 영역과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알파고처럼 딥러닝을 통해 강화 학습을 하는 가상 인물은 인간을 모사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스스로 행동하는 단계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인간의 아바타로서 회의를 하고 업무를 하는 수동적 수준을 넘어서, 인공지능이 인간이 당면한 문제를 상담해 주거나 스스로 농담을 하거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식을 가르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인공지능에 기반한 전자적 인간은 실제 인간보다 외모나 행동이 더 매력적인 경우가 늘어나고 있고, 강화 학습하는 전자적 인간이 인성 측면에서 인간에 비하여 부족한 면이 없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라서 사회적 규율 측면에서 인간 범주가 기존의 ‘자연인’과 ‘법인’ 외에 ‘전자적 인간’이 추가되는 동향이 확산되고 있으며, 메타버스의 영역 확대와 기능 발전을 고려할 때 인성과 물성을 이항대립적 관점에서 벗어나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One of the main interests of the humanities is the exploration of ‘human nature人性’ In particular, in the personality theory of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cal circles, human nature that is defined through concepts such as Ideas, reason, Sein, Ren仁, Li理, Good Nature性善, and Evil Nature性惡 has been exploring with being unlike ‘physical property物性’ The emergence of a metaverse that is difficult to explain in such an academic trend is truly a revolutionary event. In the metaverse, where humans cross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a phenomenon is occurring in which ‘digitally created virtual characters’ representing a specific human being have a human relationship with a virtual character representing another person. A cyberperson who performs reinforcement learning through deep learning like AlphaGo is developing from the level of imitating humans to the stage of self-judgment and a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is engaged in activities such as consulting on problems facing humans, joking around with themselves, and teaching knowledge based on big data. Cyberpersons, based on AI, are increasingly attractive in appearance and behavior than real humans, and outperform humans in personality. In this regard, in terms of social discipline, as the human category is expanding, the addition of ‘electronic huma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natural person’ and ‘corporate person’ is spreading.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odern personality theory that has been built without reflecting the metaverse and cyberperson, and various follow-up studies on this are needed.

      • KCI등재

        신이 되는 인간: 심층생태주의의 경우

        이태수(Lee Tae-So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

        환경 철학의 한 강력한 입장인 심층생태주의는 인간을 넘어서서 자연 전체를 감싸 안는 입각점을 확보하고자 하는 탈 인간중심주의 기획이다. 심층생태주의의 주창자인 A. Naess는 인간을 포함한 자연세계의 모두가 상호의존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평등한 권리를 지닌 존재라는 사실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일단 그와 같은 입각점이 확보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윤리적 행위 규범의 확실한 근거가 마련되지는 않는다. 그 근거는 인간이 아닌 자연세계의 존재도 그 자체로 존중을 받을 만한 본래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상정을 통해서만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A. Naess에 따르면 결국 인간이 자연과 일체감을 느낄 수 있을 때 비로소 자연 자체의 본래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과학적 인식보다는 느낌을 통한 접근이 자연전체를 감싸 안을 수 있는 입각점의 확보 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다. 실제로 그와 같은 접근은 인간이 인간의 좁은 울타리를 벗어나 자연 전체를 아끼는 신과 같은 존재가 되게끔 해주는 단초를 제공한다. 그러니까 심층생태주의는 탈 인간중심주의라기보다 인간을 신적인 존재로까지 확장시키려는 기획이고 실제로 그런 규모의 기획만이 아마 인간의 환경문제에 대한 윤리적 규범의 궁극적인 정초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idea of deep ecology, as was put forth by A. Naess at first, can be summed up as an exhortation to pass beyond the anthropocentric limits of our attitude towards natural environment. He seemed to believe that this exhortation can be based on the insight into the fact that all the beings in the nature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ir mode of existence and they possess the equal rights in all respects as a member of the whole ecological system. However, the holistic and egalitarian viewpoint alone cannot serve as a sufficiently solid base for deriving effective ethical rules concerning our attitude toward natural environment. Only when intrinsic values of natural beings in ecological system are recognized, the possibility for an adequate environmental ethics opens up. And for the human beings the most-maybe the only-effective way to attribute an intrinsic value to others is surely to identify themselves with those others. It is because Naess is well aware of this fact that he later places more importance on the capacity of human beings to identify themselves with other non-human beings in the nature than on any other points of his deep ecology. One can say that maximally expanded self-identification of human beings with the whole nature constitutes the core of ethical thought based upon deep ecology. Then it seems to follow that what deep ecology aims at is not a categorical denial of anthropocentrism, rather it is by making human being a godlike being capable of embracing all other beings in its being that it can achieve its ultimate go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