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 인구교육의 운영 사례와 실천 과제-학교인구교육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유종열 ( Yu Jong Youl ) 인구교육센터 2014 인구교육 Vol.7 No.-

        본 연구는 학교 인구교육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학교 인구교육의 실천 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특히, 보건복지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던 학교인구교육 사례들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인구교육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SWOT) 요인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인구교육의 강점으로는 인구교육에 참여하는 이론가와 실천가들의 강한 열정, 학교 인구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재 개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 등이었다. 약점으로는 학교 인구교육의 저변이 약하고, 학교 인구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법률적 뒷받침이 부족하며, 학교 인구교육 담당자의 잦은 교체를 들 수 있다. 기회요인으로는 학교 인구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문 인력 확보의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학교 인구교육의 성격과 특성에 대한 전문가 집단 간의 갈등이나 정부 지원의 유동성 등은 위협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학교인구교육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강점과 기회 요인은 유지하면서 약점과 위협 요인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함을 제언 하였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current situation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and suggest action plans for school population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For the purpose, the study analyzed school population education project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o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dentifying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factors. According to the research, strong passion of theorists and doers engaged in that fiel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materials, continuous interest served as strength factors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On the other hand, fragile infrastructure, lack of legal support, and frequent changes of the persons in charge served as weakness factors. Increasing social requirement for school population education and better chances of securing population experts served as opportunity factors. And last but not the least, a conflict between expert group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dentity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worked as threat factors along with the fluidity of government supports.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for the vitalization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strength and opportunity factors need to be promoted, making weakness and threat factors reduced.

      • 「희망소리 코칭」프로그램을 통한 올바른 인구관 형성 형성

        김인숙 인구교육센터 2013 인구교육 Vol.6 No.1

        저출산 고령사회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는 가운데 본교는 보건복지부 요청 대전광역시 교육청지정 인구교육 시범학교로 지정되어 「희망소리 코칭」프로그램을 통한 올바른 인구관 형성이라는 주제로 학생, 학부모, 교직원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였다. 첫째, 교육 여건 조성을 위하여 환경 조성과 연수 및 홍보 활동을 전개하였다. 홍보 게시판 설치, 도서관코너 운영 및 학생 작품 전시 등 물리적 환경 조성과 더불어 사이버 환경 조성을 위해 홈페이지 메뉴 구성, QR코드를 이용한 홍보 등에 힘을 기울였다. 또한 저출산?고령사회의 심각성을 알리는 홍보 활동도 다양하게 전개하였다. 둘째, 교과와 연계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하여 교과 영역과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에서 인구교육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연간지도계획을 세운 결과 학년별 최소 60시간 이상을 배정하여 운영할 수 있었다. 인구교육 영역을5가지(인구문제, 인간존중, 가족, 평등, 복지)로 선정하여 지도 요소를 추출한 후 이를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하기 위한 과정안도 개발 및 적용하여 인구코칭 교재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구안?적용을 위하여「희망소리 코칭」협의회를 활성화한 결과 전교사의 시범학교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월 2회 금요일 아침활동 시간을 ‘인구의 날’로 지정하여 동영상 시청과 인구교육 관련 표현활동 시간을 가짐으로써 인구문제의 심각성을 생활 속에서 체험할 수 있었다. 셋째, 「희망소리 코칭」프로그램 운영은 교육과정, 학교행사,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모니터링제도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피드백 하였다. 전 교사의 연2회 이상 인구교육 관련 수업공개를 통하여 과정안과 학습 자료를 수정 보완하고, 체험 및 행사활동을 통하여 인구문제에 대한 긍정적 마인드를내면화하고자 하였다. 인구마인드의 내면화는 지식보다는 체험활동이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봄 체육대회 퍼포먼스, 주민들과 함께하는 인구관련 프로그램 추진, 학예행사, 거리 홍보 캠페인, 희망소리 한마음 축제, 인구교육 자료 홍보 및 일반화 등의 체험활동을 통하여 인구문제에 대처하는 긍정적 마인드를 내면화하고자 하였다. 시범학교 운영 결과를 설문지와 소감문 등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인구관 인식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학생들의 결혼관과 자녀관에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중학교 사회 교과서 인구영역의 내용 변화 분석

        임인명 ( In Myoung Lim ) 인구교육센터 2011 인구교육 Vol.4 No.1

        인구현상과 인구문제가 교과서의 인구관련 교육내용에 어떻게 반영되어 서술되어 잇는지, 그리고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교과서 인구영역 내용의 변화와 그 특징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인구관련 내용에 대한 교과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7차 교육과정의 2003년 발행판 중3 사회교과서, 동일한 7차 교육과정 체제였지만 인구단원 내용에 있어서 질적 변화가 많았던 2008년 발행판 중3 사회 교과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2010년 발행판 중1 사회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인구 단원의 비중이 커졌다. 둘째, 2007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인구 급증과 관련된 항목의 비중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인구변동의 주요 요인인 출생?사망 항목의 비중도 2007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넷째, 저출산?고령화 문제 항목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다섯째, 세 교과서 모두 인구문제 항목의 비중에 비해 인구정책 항목의 비중이 작았다. 여섯째, 세 교과서 모두에서 저출산?고령화 대책 항목의 비중은 미미하였다. 특히 가치관교육 관련 항목은 교육과정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판 교과서 서술에서도 찾아보기 힘들었다.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데 목표를 두었다는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고려한다면, 2010년판 사회 교과서 인구단원의 가장 큰 한계라고 할 수 있다. 교과서의 인구관련 가치관 교육 부재에 대응하기 위해 결혼관, 가족관, 출산?자녀관, 양성평등 가치관과 같은 인구관련 가치관교육을 위한 내용이 부족하므로 교과서 중심의 수업 중에 활용할 수 있는 인구교육 보완자료를 개발?보급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 교과서 인구영역에 인구관련 가치관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이 가치관 교육의 중요성을 잘 깨달을 수 있도록 가치관 교육에 초점을 맞춘 인구교육 중단기연수가 학교현장에서 이뤄진다면 가치관련 학교인구교육이 더욱 활성화 될 것이다.

      • 인구교육 전문가 양성 표준교육과정 개발

        차우규,김태헌 인구교육센터 2013 인구교육 Vol.6 No.1

        이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인구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강사 양성의 범위를 넘어 인구교육 발전을 위한 연구와 적용을 수행할 수 있는 연구와 교육의 전문가양성을 위한 노력을 추구하고 있다. 학교와 사회의 인구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표준교육과정으로 정규 교육과정(석사과정 또는 특별 연구과정)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교과목 중에서 대표적인 교과목을 선택하여 표준강의안을 개발함으로서 앞으로 전문 강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설과 효과적인 교육활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성과로는 다음과 같다. (1)인구교육의 목표를 총괄목표와 하위목표(가치영역별 목표, 학문배경별 목표 등)로 구분하였다. (2)인구교육의 동향을 통해 인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3)인구교육 석사과정 전공 교육과정을 영역별(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로 교과목을 해설하였다. 인구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즉, 우수한 인구교육 전문가양성과 가르치고 학습하기 좋은 맞춤형 인구교재가 필요하다. 또한, 인구교육 전문가양성을 위한 교육 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그 동안 일부 기관이나 단체에서 인구교육 전문강사 양성 과정을 운영하고 있지만, 그것은 단기 연수 과정 수준으로 전문가 양성에는 한계가 많았다. 대학원과정에서 인구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석사학위 과정의 개설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지만, 어느 정도 타 영역의 수준과 단계에 이르기 위해서는 준비하고 노력해야 할 부분이 적지 않다. 이 연구는 그 일환으로 진행된 것이며, 향후 이런 노력과 준비가 더 체계적이고 대규모로 진행되어 학문적 기반을 튼튼히 할 때 인구교육 전문가양성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우리 사회의 저출산?고령화 극복 문제는 제도 개선과 문화 변혁을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해 나가야 하며, 그 중심에는 인구 및 인구교육 정책 리더양성을 위한 인구교육전문가양성 노력이 있어야 한다.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학교 인구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윤인경 ( Yoon In Kyung ),이수정 ( Lee Soo Jeong ) 인구교육센터 2017 인구교육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고령사회를 대비하여 미래지향적인 인구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인구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를 설정하고 내용 상세화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구교육 관련문헌 고찰을 하였으며 연구진이 개발한 학교 인구교육, 목표, 내용체계, 학습목표와 내용요소의 체계화와 내용 해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내용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 협의회와 현장 적합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개발한 인구교육의 내용 체계는 ‘대영역(인간존중, 가족, 인구, 복지 등 4개)- 중영역(10개)- 소영역(23개)- 내용요소(71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용 요소는 인간존중 영역(17개) -가족영역(20개)- 인구영역(17개) -복지영역(17개)과 같이 4개 대영역별로 양적으로 균형있는 내용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특히 저출산·고령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국가 및 사회적으로 가족친화적인 문화 조성이 중요하므로 가족영역의 내용요소를 강조하였다. 그리고 내용요소의 내용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어떤 학교급에서 다루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인지의 여부, 즉 학교급별 교육의 적합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출산·고령 사회를 대비하는 학교 인구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체계화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인구교육의 의미를 명료화함과 동시에 구체적으로 학교교육을 통해서 인구교육을 어떻게 체계화하고 실제 수업 장면에서 전개할 것인가에 대한 미래지향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최근 국가수준의 2015년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향후 5~6년간 교육과정 개발 및 고시, 학교급별 교과서의 순차적 개발 등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를 위해 인구교육 반영에 대한 각 교과 및 국가 사회의 요구가 급증할 것이므로 이 때 활용할 수 있는 최신의 인구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저출산·고령사회 대비한 인구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는 향후 인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므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인구교육의 정착을 위해서는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급별로 활용할 수 있는 ‘인구교육 교과서(가칭)’와 함께 이를 활용하여 수업을 실시할 수 있는 ‘학교 인구교육 교과별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이 후속 연구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contents system of population education developed by this study is composed of large domains(four domains including respect for human, family, population, and welfare), mid domains(ten domains), small domains(23 domains), and contents elements(71 elements). And regarding the contents elements, just like the respect for human domain(17 elements), family domain(20 elements), population domain(17 elements), and welfare domain(17 elements), the contents system was composed in balance quantitatively in each four large domain. Especially, in order to cope with the low birthrate & aging society,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the family-friendly culture nationally and socially, so that the contents elements of family domain were emphasized. Also,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contents elements, it suggested which school grade would be suitable to handle them, and the suitability of education in each school grade. This study clarified the meaning of population education at school by systematizing the goal and contents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to cope with low birthrate & aging society, and also suggested the future-oriented guideline of how to systematize/develop population education in the actual school lesson.

      • 인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과 개선 방향

        차우규 ( Cha Woo Kyu ) 인구교육센터 2010 인구교육 Vol.3 No.-

        본 논문은 기존에 개발된 인구교육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어떤 특징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평가해 봄으로써 향후 인구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인구교육 프로그램과 사회 인구교육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사회 인구교육 프로그램보다는 학교 인구교육 프로그램이 좀 더 다양하고 풍부한 상황이다. 그리고 학교 인구교육 프로그램은 학문적 배경과 이론에 기초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려는 시도가 수년간 꾸준히 지속되어 왔지만, 사회 인구교육 프로그램은 그런 노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둘째, 기존의 프로그램 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은 학적 배경에 기초한 이론적 체계화가 다소 부족, 프로그램에 따라서는 설정된 강좌가 어떤 학문적 배경 하에 등장하였고, 각 강좌들이 모여 어떤 인구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것인지 그 방향이 체계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기도 하며, 대상별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이 부족한 편이고 학교와 사회의 프로그램 간의 연계성 부족 등이 있다. 셋째, 개선 방안으로는 목표와 내용 방법이 일관되게 체계적인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인구교육 내용들에 대한 학적 배경에 터한 이론화 작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전국과 지방을 연계할 수 있는 협의체가 구성되어야 하며, 이론 중심의 선언적인 내용 중심의 강좌보다는 인구교육의 적용을 고려해 협동학습을 통한 수업 시업과 컨설팅, 워크숍, 체험 학습 등을 더 적극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programs for population education are the programatic and systematic education activities included m knowledges and values related to a population. This is consisted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and society population education. This is consisted in the textbooks, PPT & multimedia, various training programs, programs developed in Model Schools and teacher’s clubs. The study background of population education contents are based on 4 study fields, in other words, demography/sociology, ethics, family study, welfare study/gerontology. For developing the programs for population education, it is as in the following; (1) the consistency of objects and contents(or methods), (2) a comprehensive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various studies, (3) lesson demonstration and consulting for field applications workshop, learning by doing, (4) the strength of connections between school population education and society population education, (5) the establishment of organical cooperative systems at cross-governmental level, (6) an expansion of teachers’ training opportunities, (7) an expansion of teachers' teaching in short-time and cyber-teaching, (8) networks of the central and regional centers for population education.

      • 싱가포르 · 대만 사례를 통한 인구교육 방향 탐색

        황문자 ( Hwang Mun-ja ),최희정 ( Choi Hue-jeong ) 인구교육센터 2017 인구교육 Vol.10 No.1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심각한 초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비슷한 문화적 배경과 환경을 지닌 외국의 인구 정책과 교육의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미래 인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저출산 현상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한 싱가포르와 대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두 나라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역사를 지녔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인구교육 방향에 다양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또한 두 나라는 출산장려를 위한 재정적 지원 및 제도개선으로 일컬어지는 직접적인 인구정책이 시행되었으나 실제로는 효과가 미비하였다는 점에서 우리 나라의 정책적 문제점의 원인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싱가포르와 대만 내부에서는 제도 및 재정적 지원 정책보다는 개인의 가치관의 변화를 추구하여 친가족적, 양성평등의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이 먼저라는 목소리가 생겨났다. 이에 따라 싱가포르에서는 친가족적 사회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가족생활 교육을, 대만에서는 일-가정 양립 문화 형성을 위한 양성평등 교육을 이미 시행하고 있다. 개인의 행복을 위해 친가족적 가치관의 변화를 추구하는 인구교육이 방법은 간접적이나 오히려 저출산 극복에 직접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인구교육으로 형성된 친가족적 사회·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인구정책은 더 큰 효과를 만들어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의 대만의 인구현황 및 인구정책의 변화, 학교인구교육과 사회인구교육의 특성과 내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인구교육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viewpoint that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se of foreign population policy and education similar cultural background and environment with Korea and to search the direction of future population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serious low birth rate problem in Korea. Singapore and Taiwan identified the seriousness of the low birth rate phenomenon and implemented the policy to overcome low birth rate before Korea. These two countries have a history similar to our country and can give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population education in our country. In addition, the two countries have implemented direct population policies called financial support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the promotion of childbirth, but the effects of these policies have been ineffective. In Singapore and Taiwan, there was a voice calling for the change of individual values rather than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policies, and to form a social atmosphere of friendly family and gender equality.As a result, in Singapore, there is a family life education to form a family - friendly social atmosphere. In Taiwan, gender equality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a work - family compatibility culture is already underway. This method of population education, which seeks to change the family and family values for the individual's happiness, can have a direct effect on coping with low fertility. Population policy will create a greater effect in a pro - familial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formed by populatio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school population education and the changes of population policy, population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in Taiwan, and to find out the specific direction of population education in our country based on the implications.

      •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 : 저출산·고령사회 대비·인구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윤인경 ( Yoon In Kyung ),이수정 ( Lee Soo Jeong ) 인구교육센터 2017 인구교육 Vol.10 No.1

        이 연구는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9종)에 제시된 저출산·고령사회의 이해 및 대비와 관련된 인구교육 내용의 반영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그 양상을 살펴보고 통해 향후 인구교육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과서 분석은 윤인경 외(2015)의 ‘저출산·고령화 사회 대비학교 인구교육의 내용 체계’를 분석 준거로 활용였으며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개정 고등학교 기술·가정의 인구교육 관련 내용이 반영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를 살펴본 결과 고등학교의 경우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한 전생애적 관점에서의 가정생활 실천 관련 내용을 다루도록 하고 있다. 즉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저출산·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인구교육 내용을 보다 직접적, 구체적으로 다루도록 명시하고 있었다. 둘째,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인구교육 내용의 대영역 및 중영역별 비율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가족’ 관련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인구’ 관련 내용을 가장 적게 다루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 및 내용체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인구교육에 대한 내용의 중영역별 비율을 살펴본 결과 편차가 매우 코고, 영역간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인구교육 내용의 자료 유형별 비율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본문’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사진·삽화·도표’를 가장 적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고등학교 기술·가정 수업을 통해 저출산·고령사회에 대한 이해를 돕고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영역의 내용 및 유형의 자료가 필요하므로 교과서 집필에 관련 시 많은 내용이 반영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reflection level of population education showed in 2009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r thi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two kinds(A, B)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a framework for analysis was ‘The Content System of Population Education in School Adapting for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of Yoon In-kyung(2015)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content system of population education developed by Yoon In-kyung(2006) by reflecting contents such as social change and demand of country. This consists of 4 large domains, 10 middle domains, 23 small domains, and 71 component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domain ‘Ⅰ. Respect for Man´s Life and Dignity’ dealt with ‘1) Life Respect and Protection’ and ‘3) Human Rights of the Aged’ a little or scarcely unlike ‘2) Human Rights of Children’ of a domain ‘1. Human Rights’, so balance between small domains was not kept. In addition, in case of material types, all material types were used only in a small domain ‘1) Gender Equality’ of a middle domain ‘2. Equality’, and other middle domain used only material of the body. Second, all small domains in a domain ‘Ⅱ. Family’ were addressed in two kinds of textbook, and for material types, each textbook used various material types such as the body, picture, illustration, reading material, and research activity. Third, it was showed that a domain ‘Ⅲ. Population’ reflects the least contents of four large domains. Only three components such as ‘1) Low Fertility’, ‘1) Aging Phenomenon’, and ‘2) The Prospects of Aging’ were reflected, and only communication of contents was conducted through ‘the body’, so there was insufficient diversity in material types. Fourth, a domain ‘Ⅳ. Welfare’ was greatly classified into ‘1. Public Preparation(System and Policy)’ and ‘2. Private Preparation(Career and Life Design)’, and ‘2. Private Preparation(Career and Life Design’ was rarely reflected. For material types, A Textbook suggested it only as ‘the body’, and B Textbook suggested it only as ‘reading material’.

      • 교사의 인구교육 전문성 향상에 대한 연구 -수업 관찰·평가 능력을 중심으로-

        유종열 ( Yu, Jongyoul ) 한국인구교육학회(구 인구교육센터) 2015 인구교육 Vol.8 No.-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인구교육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구교육(수업)에 대한 관찰 및 평가능력을 키워야 함을 이론적·실천적으로 검토하고 그 타당성을 주장하였다. 수업 관찰과 평가는 친근한 것에서 이질적인 것으로 진행해야 하며, 내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공간에서 출발해야 한다. 따라서 나의 수업에 대한 반성이 선행되어야 하며, 그리고 나서 같은 공간에서 수업을 전개하는 동료 교사의 수업에 대한 관찰과 평가, 그 이후에 다른 학교·학교급·학년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관찰·평가하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찰·평가를 바탕으로 자신의 수업을 다시 반성적으로 성찰해 보는 선순환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와 함께 인구교육(수업)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인구교육 관련 수업을 관찰·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교원 양성기관, 임용과정, 재교육기관에서 제도적으로 보장하여야 하며, 인구교육 관련 수업 공개와 멘토링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교사 자신이 스스로 수업 관찰자 겸 평가자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The research studied the theoretical, practical necessity and validity of enhancing the ability to review and assess population classes in order to improve social studies teachers' professionalism m population education. The research also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institutionaliz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opulation classes review and assessment in the field of teacher training schools, teacher appointment process, and re - education organization.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population eduction should be positively supported with demonstration classes and mentoring programs. On top of that, it emphasized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should perceive themselves as both a class observer and evaluator of their own classes.

      • 2015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인구교육 적용 방안 -가정영역을 중심으로

        이수정 ( Sujeong Lee ) 한국인구교육학회(구 인구교육센터) 2015 인구교육 Vol.8 No.-

        본 연구는 2015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가정영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와 관련하여 인구교육 요소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교과서 및 교육에서 어떤 방향으로 실천할 수 있을지 그 방안을 모색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실과(기술·가정)의 가정 영역의 경우 성격, 목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영역에서 인구교육 관련 내용이 고루 반영되어 있었다. 둘째, 20105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요소 중 윤인경 외(2015)의 연구의 4개 대영역(인간존중, 가족, 인구, 복지)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영역은 가족 영역이었고, 다음으로는 복지, 인간존중의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실과의 경우는 인간존중의 영역 중 평등(성평등), 가족 영역 중 가족의 의미와 변화(건강한 가족)와 관련된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으며 중학교 기술·가정의 가정영역의 경우 인간존중의 경우 평등(성평등), 가족 영역의 경우 가족의 의미와 변화(가족구조의 변화), 결혼(결혼의 의미), 복지 영역의 경우 공적 대비(제도 및 정책- 진로설계와 직업준비), 사적대비(제도 및 정책 - 가족친화 정책, 생애설계와 노후 준비)와 관련된 내용이 반영되어 있었다. 그리고 고등학교 기술·가정의 가정영역의 경우 가족 영역의 경우 가족 영역과 관련하여 결혼(결혼의 의미, 배우자 선택), 출산과 양약(부모됨, 양육), 복지 영역과 관련하여 공적 대비(제도 및 정책-진로설계와 직업준비), 사적대비(제도 및 정책 - 가족친화 정책, 생애설계와 노후 준비)과 관련하여 중학교보다 심화된 내용을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015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경우 변화하는 가족,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게 되므로 교과의 성격과 목표 특성 상 인구교육과 관련된 내용 요소,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와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수업에서 이와 관련된 요소들이 실천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과 교수·학습 매체 등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이를 위해서는 학생 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 사례 개발, 신문기사, 방송 등 다양한 자료 및 외국 사례 등을 통한 자료 개발, 최신의 통계자료 등을 통해 저출산·고령사회에 대한 문제 인식 제고,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정부부터의 저출산·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교육 및 홍보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application of population education to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with respect to the nature, goals,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and ways in which it can be practiced in the textbook and education in the future.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population education was evenly applied to the nature, goals, content structur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subject. Second, among element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family showed the highest relevance to the four areas (respect for humans, family, population, welfare), in the study of Youn et al. (2015), followed by welfare and respect for humans. Third,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quality (gender equality) among areas of respect for humans, and, meaning and change of families (healthy family) among the areas of family were included, while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cluded equality (gender equality) among areas of respect for humans, meaning and change of families (change of family structure) and marriage(meaning of marriage) among areas of family, and public preparation(system and policy-career design and job preparation) and personal preparation(system and policy-family-friendly policy, life design,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areas of welfare. And the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included marriage (meaning of marriage, spouse choice), childbirth and parenting (parenting, raising children) among areas of family, and public preparation(system and policy - career design and job preparation) and personal preparation(system and policy - family -friendly policy, life design,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areas of welfare, which were more advanced tha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reflected changing families and society and, therefore, is highly relevant to the nature and goals of the subject in terms of content, elem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related to population education. Therefore, for the relevant elements to be taught in classes, research for developing various teaching -learning methods and media needs to be conducted.To do so,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student life and relevant materials can be developed based on relevant news articles, media coverage, data, overseas cases, and statistics, in addition to the government's education and promotion to battle the low birthrate and aging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