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Youtube 관광 인플루언서 콘텐츠의 시청동기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아랑(Ah Rang Ju)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3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9 No.1

        목적: 관광산업은 지난 3년동안 코로나19 상황의 어려움으로 인해 직접 소비가 주춤하고 콘텐츠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이로인해 뉴미디어의 대표적인 플랫폼인 유튜브에서 관광을 주제로 한 인플루언서의 콘텐츠를 시청하는 이용자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튜브 관광인플루언서 콘텐츠의 시청동기를 모색하고, 그에따른 행동의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시청동기와 행동의도간 콘텐츠 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실증연구를 위해 유튜브 관광 인플루언서 콘텐츠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총 299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유튜브 관광 인플루언서 콘텐츠의 시청동기 중 오락/휴식, 사회적 상호작용은 콘텐츠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났지만 정보습득은 콘텐츠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동기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정보탐색, 오락/휴식, 사회적 상호작용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동기와 행동의도간의 영향관계 중 콘텐츠몰입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유튜브 관광 인플루언서 콘텐츠의 이용자들은 콘텐츠 시청을 통하여 여가시간을 즐기는 것뿐만 아니라 관광 정보를 획득하고 이는 관광지 방문으로 이어진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광은 경험재이고 실재감이 중요한 만큼 관광콘텐츠도 타 콘텐츠보다 더욱 알차고 차별화된 정보로 콘텐츠의 내용을 보다 실감나고 흥미롭게 기획· 제작한 다면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콘텐츠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용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몰입력을 높이고 뉴미디어에서의 관광 콘텐츠 활성화와 콘텐츠 재이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Due to the difficulties of the COVID-19 situation, the direct consumption has slowed down and the content consumption has been active. As a result, the number of users who watch influencer content on the theme of tourism on YouTube, a representative platform of new medi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motivate viewing of YouTube tourism influencer contents and analyzed the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content flow between viewing motiv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Methods: For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YouTube tourism influencer content users, and a total of 299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pss 27.0 program was used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3-step hierarchical mediation effect analysis. Results: Among the viewing motivations of YouTube tourism influencer content, entertainment/rest and social inter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ntent flow, but acquisition of inform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tent flow. As for the effect of viewing motivation on behavioral intention, acquisition of information, entertainment/rest, and social interaction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s. In addition, between viewing motiv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ontent flow.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sers of YouTube tourism influencer contents not only enjoy their leisure time through watching contents, but also obtain tourism information, which leads to visits to tourist destinations.

      • KCI등재후보

        위치기반 AR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활용 가능성 : 한양도성 사례를 중심으로

        전지윤(Ji Yoon Chun)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1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7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위치 기반 AR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융합형 문화예술콘텐츠의 결합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AR 기술적 발전을 현재도 진화되고 있기 때문에 융합적 결합의 질적 향상을 위한 실증적인 연구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향후 융합관광콘텐츠로 미래지향적 대안적 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AR 기반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한양도성의 혜화문을 이미지 매칭 기반 AR 기술을 활용하여 GPS 기반으로 혜화문을 탐방하여 체험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사례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융합적 접근 내용을 기술하였다. 결과: 한양도성을 바탕으로 한 AR 기반 융합형 문화예술콘텐츠를 결과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콘텐츠로 구현하였다. GPS 기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지점에서 대상을 판단할 수 있는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대상성을 사용자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현실과 가상의 세계가 사용자에 의하여 실제 공간 속에서 역사적 대상의 시간성을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로 구현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역사적 장소와 대상을 단순히 바라보는 탐방 유형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통하여 대상을 역사를 새롭게 인식하고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를 통하여 향후 융합형 문화예술콘텐츠의 차별화된 시도로 제시하고자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convergence-typ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based on the use cases of location-based AR interactive contents. As AR technology is still evolving, empirical research is continuously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onvergence metho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it as a future-oriented alternative case as a future convergence tourism content. Methods: The Hyehwamun of Hanyang Doseong was implemented to explore and experience Hyehwamun based on GPS using image matching-based AR technology.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the convergence approach are described so that it can be practically implemented through such cases. Results: AR-based cultural and artistic convergence contents on Hanyang Doseong were implemented as concrete contents that can be experienced as a resul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think about objectivity through image recognition that can recognize a GPS-based location and can determine an object at a selected point. The real and virtual worlds are implemented as content that allows users to experience the temporality of historical objects in real space.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esent a differentiated attempt for future convergence-type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through contents that can newly recognize and sympathize with the history of objects through the user s experience in the type of exploration that simply looks at historical places and objects.

      • KCI등재후보

        해외 골프관광에 대한 위험지각이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경(Min Kyoung Kim)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2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8 No.1

        목적: 본 연구는 해외 골프관광에 대한 위험지각이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 변수 및 요인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위험지각, 태도, 행동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골프참여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해외 골프관광 수요증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미래 골프시장 활성화로 관광산업 회복에 기여할 수 있는 실무적인 방안과 이론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해외 골프관광의 잠재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COVID-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373부를 수거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22 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51 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가설 1로 설정된 해외 골프관광에 대한 위험지각과 태도 간의 영향 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5개의 요인 중 사회·심리적 위험지각, 기능적 위험지각 2개 요인이 태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골프관광에 대한 위험지각에서 신체적 위험지각, 재정적 위험지각, 정치적 위험지각은 태도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설 2로 설정된 해외 골프관광에 대한 위험지각과 행동의도 간의 영향 관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5개의 요인 중 사회·심리적 위험지각은 행동의도에 가장 높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정치적 위험지각과 기능적 위험지각이 행동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골프관광의 위험지각에서 신체적 위험지각, 재정적 위험지각은 행동의도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설 3으로 설정된 태도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 관계는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로 조사되었다. 결론: 해외 골프관광에 대한 위험지각은 해외 골프여행에 대한 태도형성과 행동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연구되었다. ption of physical risk and the perception of financial risk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set by Hypothesis 3 was investigated as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relationship. Conclusion: It was studied that the risk perception of overseas golf tourism can positively induce attitude form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ward overseas golf travel.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한 섬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 신안군 섬을 중심으로

        조한나(Han Na Jo),김명진(Myung Jin Kim),전유미(Yu Mi Jeon)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1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7 No.2

        목적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관광을 통한 섬다움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남 신안군의 섬을 대상으로 섬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방법은 전남관광재단에서 제공한 지역내 숙박업, 여행업 등을 수행하는 업체중에 주민이 직접 운영하는 업체 3개 업체를 선정하였으며, 전남관광 관련 학계 및 전문가집단 중 2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신안군 섬의 지속가능한 섬관광을 위해서는 첫째, 섬을 찾는 관광객이 원하는 휴식, 일상에서의 탈출, 신기성 등을 충족시켜주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 섬 자원의 재생을 통한 관광 하드웨어 구축으로 섬자원을 최대한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관광산업 개발을 하여야 한다. 셋째, 섬 주민을 관광산업의 주체로 내세우되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을 위해 부족한 부분은 외부 전문가와의 지속적 소통 및 협업을 통해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단기 프로젝트가 아닌 지속가능한 섬관광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섬관광 사업에서 발생한 수익 일부를 지역 전통문화 개발사업에 환원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자원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섬 고유성을 살린 문화콘텐츠 복원을 통해 관광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신안군 섬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정책적 함의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지만, 현장연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어 향후 연구는 실제사례에 접목하고 이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주장한 제안들의 타당성을 검증하려는 시도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Purpose In order to maximize the value of islandness through sustainable tourism,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revitalize island tourism for Shinan-gun, Jeollanam-do. Methods Study was conducted Three companies operated by residents were selected from the local lodging and travel business provided by the Jeollanam-do Tourism Organization, and two from the academic and expert groups related to Jeollanam-do tourism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Results First, tourism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to satisfy the rest, escape from daily life, and novelty that tourists visiting the islands. Second, th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should be carried out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damage island resources as much as possible by building tourism hardware through the regeneration of island resources. Third, the islanders should be the main agents of the tourism industry, but the lack for the sustainable tourism industry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external experts to operate sustainable island tourism. Fourth, some of the profits from the island tourism project are to be returned to the local traditional culture development project. Finally, tourism value should be created by restoring cultural contents that utilize island uniqueness without damaging local resources.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islands in Shinan-gun, but there is a limitation that empirical analysis has not been conducted through field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한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나주시 농촌을 중심으로

        강대훈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2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revitalize rural tourism in Naju City, Jeollanam-do, in order to maximize the value of rurality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Methods: 3 companies that carry out the accommodation and travel business affiliated with Chunnam Tourism Company were selected, and 2 people from the academic and professional groups related to Chonnam Tourism were selected and conducted by interview. Results: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in rural Naju City, first, we must develop an identity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s. Second, we must develop the commercialization of rural tourism by the main body of rural residents. Third, the tourism content of various rural villages should be developed. Fourth, damage to rural natural landscapes and local cultural resources should be minimized. Fifth, a portion of the revenue generated from rural tourism should be returned to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region. Finally, you need to develop strategies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Conclusion: Although this study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ural Naju City, due to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make a practical empirical analysis of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based on real cases in future research to try to propose a feasibility verification as claimed in this study, an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election and number of interviewees, it is necessary to collect more objective data by soliciting various opinions from rural residents and rural tourism exper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위한 농촌다움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라남도 나주시의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방법: 전남관광업체에 가입된 숙박업과 여행업을 수행하는 업체 3개를 선정하였고, 전남관광 관련 학계 및 전문가집단 중 2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나주시 농촌의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위해서는 첫째, 농촌마을의 고유한 특성을 가진 정체성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농촌주민 주체의 농촌관광 사업화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농촌마을의 관광 컨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넷째, 농촌의 자연경관과 지역문화자원의 훼손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농촌관광 사업에서 발생한 수익 일부를 지역의 전통문화계승에 환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나주시 농촌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및 운영을 위한 정책적 함의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지만, 현장의 실무적인 실증분석을 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어 향후 연구에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효과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타당성 검증의 제안을 시도할 필요가 있으며 인터뷰 대상자의 선정과 횟수의 한계로 인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어 향후 연구는 농촌주민과 농촌관광 전문가의 여러 의견을 청취하여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영성관광의 개념화에 대한 재고(再考)

        이윤정(Yoon Jung Lee)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1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7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학적 맥락에서 영성관광을 재개념화하는데 있다. 해외에서는 영성관광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영성관광의 개념화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내 영성관광의 활발한 연구를 위해 영성관광 개념화에 대한 재고찰을 하였다. 방법: 영성관광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위해 영성의 개념, 영성의 등장배경, 영성 추구의 혜택에 대해 설명했고, 선행연구에서 시도되었던 영성관광의 개념화 시도를 한 논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과: 선행연구에서 보여주고 있는 영성관광의 개념화는 여전히 종교관광과 구분되지 못 하고 종교관광의 범위 안에서 시도되고 있었다. 종교적 동기에 의해 행해지는 관광은 종교관광의 테두리 안에서 연구가 되고, 영성관광은 영성을 추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되어야 한다. 연구가 누적될수록, 영성관광의 개념은 더 정교해지고 있는 가운데, 영성관광의 종교관광의 한 부분이 아닌 관광의 한 유형으로 보기 위해서는 영성관광의 핵심적인 동기인, 초월성과 삶의 목적/의미를 중심으로 재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관광학계에 영성관광에 대해 잘 알리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국내에서도 영성관광의 개념화 및 방법론, 또 영성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경험론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에는 템플스테이라는 영성관광의 대표적인 사례가 있다. 기존에는 템플스테이가 문화관광, 종교관광 등 유사한 다른 관광유형으로 분류되었으나 앞으로는 영성관광의 테두리 안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rethink spiritual tourism in a tourism context. While research on spiritual tourism is being conducted actively in other countries, conceptualization of spiritual tourism is not being done properly in Korea. In order to conduct active research on spiritual tourism in Korea, the concept of spiritual tourism was reconsidered. Methods: For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tourism, the concept of spirituality, the history of spirituality, and the benefits of spirituality pursuit were explained, and an analysis of a paper that attempted to conceptualize spirituality tourism was attempted. Results: The conceptualization of spiritual tourism shown in previous studies was still not distinguished from religious tourism and was being attempted within the scope of religious tourism. Spiritual tourism should not be studied within the boundaries of religious tourism, while spiritual tourism should be studied with a focus on pursuing spirituality. As research accumulates, the concept of spiritual tourism becomes more sophisticated, and in order to see it as a type of tourism, rather than a subset of religious tourism, it is necessary to reconceptualize it, focusing on transcendence and the purpose/meaning of life.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promote spiritual tourism to domestic tourism academia, and that conceptualization and methodology of spiritual tourism in Korea, as well as empirical research on spiritual tourists, will be actively conducted. Temple Stay, a type of spiritual tourism in Korea, is a good example. Temple stays were previously classified as similar types of tourism, such as cultural tourism and religious tourism, but in the future, they will be actively researched within the boundaries of spiritual tourism.

      • KCI등재후보

        DMZ 접경지 관광 개발의 방향성 고찰: 경기도 파주시를 중심으로

        강준수,장용철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2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detailed discussion on the effect as well as the practical tourism development plan for the border area based on the pursuit direction of DMZ tourism. This is because this study identifies the DMZ tourism development as the possibility of a transition to a peaceful atmosphere in the rigid inter-Korean relations and a base for mutual exchange. Methods: In order to suggest the necessity of DMZ tourism development, this study discussed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the border area and comprehensively considered the cultural tourism resources of Paju city.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effects that Paju city's DMZ tourism development can provide, focusing on local tourism resources, borderline characteristics, and tourists' desire for tourism. Results: The nature of the DMZ border has limitations in development due to the good conservation status of natural ecosystems, the backwardness of regional development, and various regulatory policies. Conclusion: In order to revitalize DMZ tourism, it is necessary to relax regulations, closely link the Paju DMZ tour program with local cultural and tourism resources, and actively attract private enterprise capital.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DMZ 관광의 추구 방향성을 토대로 접경지의 실질적 관광개발 방안뿐만 아니라 효과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DMZ 관광개발을 경직된 남북한 관계의 평화 분위기 전환과 상호교류의 전지 기지 가능성으로 파악하기 때문이다. 방법: 본 연구는 DMZ 관광개발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서 접경지에 대한 종합적인 개념을 논의했고, 파주시의 문화관광 자원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파주시의 DMZ 관광개발이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지역 관광자원, 접경지 특성, 그리고 관광객의 관광 욕구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결과: DMZ 접경지의 특성은 양호한 자연생태계의 보전 상태, 지역개발의 낙후성, 그리고 다양한 규제정책들로 인해서 개발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결론: DMZ 관광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규제의 완화, ‘파주 DMZ 투어 프로그램’과 지역 문화관광자원과의 긴밀한 연계성, 그리고 민간기업 자본의 적극적 유치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노년층과 영유아층의 여가제약에 대한 비교 연구

        송화성(Hwasung Song),이윤정(Yoon Jung Lee)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3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9 No.1

        목적: 본 연구는 관광약자로서 노년층과 영유아층의 여가제약, 그 가운데 관광제약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관광약자인 장애인이나 노년층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영유아층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면서 여가의 조건들이 팬데믹 이전의 조건과 동일해지고 있는 가운데 관광약자에 대한 관광제약의 연구가 필요하다. 방법: 노년층과 영유아층의 구체적인 여가제약을 먼저 확인해보기 위해 노년층 4명, 영유아 보호자 4명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Crawford & Godbey(1987)이 제시하고 있는 여가제약의 카테고리인 내제적 제약, 대인적 제약, 구조적 제약에서 주제로 분석하였다. 결과: 노년층과 영유아층의 여가제약을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와 달리 두 그룹 모두에서 뚜렷한 내재적 제약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노년층과 영유아층 공통적으로 대인적 제약에서는 '타인의 부정적 인식'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제약에서는 노년층과 영유아층 각각에 대해서 '맞춤형 여가 프로그램의 부족'과 '무장애 시설 미비'를 언급하였다. 특히, 영유아층에서는 노년층에 비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시설의 요구사항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관광약자로서 그간 연구가 미비하였던 영유아층의 관광제약을 알아보고 이를 노년층과 비교해봄으로써 각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두 집단에게 공통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제도를 제공하고 각 집단별로 맞춤형으로 관광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구조적 제약을 제공하는 데 있어 밑받침으로 기여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eisure constraints of seniors and preschoolers as vulnerable tourism groups.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vulnerable groups of the disabled and seniors, but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the preschool age group. With the end of the COVID-19 pandemic, leisure conditions are returning to pre-pandemic levels, necessitating research on tourism constraints for tourism-vulnerable groups. Methods: To determine the specific leisure constraints of senior citizens and preschoolers, in-depth interviews with 4 senior citizens and 4 preschoolers' caregiver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Crawford & Godbey's categories of leisure constraints(1987).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niors' and preschoolers' tourism constraints, unlike previous studies, there were no clear intrapersonal constraints in both groups, and both groups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others” in terms of interpersonal constraints. Lack of customized leisure programs and lack of barrier-free facilities were cited as structural constraints for both seniors and preschoolers. Particularly, specific and detailed facility requirements were confirmed for the preschoolers compared to the seniors. Conclusion: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y identifying the understudied tourism constraints of preschoolers and comparing them to those of seniors. Through this, it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providing a system that can be complemented in common by the two groups, as well as providing tourism constraints that can be tailored to each group.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의 SNS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이 관광지 이미지와 신뢰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민(Eun Min Lee)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3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9 No.1

        목적: 관광산업에서 SNS 마케팅커뮤니케이션과 관광지 이미지, 신뢰와 행동의도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지방자치단체의 SNS 마케팅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의 SNS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이 관광지 이미지와 신뢰 그리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방법: 설문지는 총 35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거나 부정확한 응답으로 인한 11명을 제외한 총 339부를 최종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는 변수들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 그리고 가설을 위하여 SPSS 24.0을 활용하여 단순 및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지방자치단체의 SNS 마케팅커뮤니케이션에서 SNS 구전과 SNS 퍼블리시티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 하였다. 또한 관광지 이미지가 신뢰에 영향과 관광지 이미지와 신뢰가 높으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방자치단체의 SNS 담당자는 SNS 구전과 SNS 퍼블리시티의 중요성을 인지하여야 하며, 관광객이 SNS에 그 지역의 관광정보를 업로드를 할 때 지역의 좋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에서 올리는 SNS에 자세한 관광정보를 업로드 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Purpose: In the tourism industr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SNS marketing communication, tourist destination image,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but research on SNS marketing communication by local governments is insufficient. Based on this research background, the impact of local governments' SNS marketing communication on tourist attraction image,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is empirically verified to derive implications. Methods: A total of 3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a total of 339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11 people due to insincere or inaccurate responses. As an analysis method of the study,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to verify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hypothesis of variables.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NS word of mouth and SNS publicity are important factors in SNS marketing communic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mage of a tourist destin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if the image of a tourist destination and the trust were high. Conclusion: SNS managers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NS word of mouth and SNS publicity, and it may be important to upload detailed tourism information on SNS posted by local governments so that tourists can provide good local information when uploading tourism information on SNS.

      • KCI등재후보

        관광위험지각이 관광지 선택 결정장애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명진(Myung Jin Kim)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3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9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지에 대한 위험지각과 결정장애의 관계 분석을 통해 관광지 선택에 대한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관광 마케팅의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주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관광지 결정장애 영향요인으로써 관광 위험지각 X 조절초점 메시지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관광지 결정장애의 영향요인으로 설정한 관광 위험지각은 관광지 결정장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 위험지각이 관광지 결정장애 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초점 메시지의 조절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 위험지각, 조절초점 메시지의 상호작용은 소비자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관광지 선택에 있어서 결정장애라는 새로운 개념과 관광지 결정장애를 통해서 사회 현상으로 발생되는 결정장애를 실무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 등은 연구의 말미에 포함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variables for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decision disorder for tourist destinations,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ourism marketing through this study.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tourism risk perception X adjustment focus message was applied as an influencing factor for tourist destination decision disorder.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ourism risk set as an influencing factor for the decision disorder of tourist destinations affects the decision disorder of tourist destinat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oderating focus message occurred when tourism risk perception affects the behavior of tourist destination decision disorde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of tourism risk perception and regulatory focus messages had an effect on consumer emotion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new concept of decision disorder in selecting tourist destinations and decision disorder caused by social phenomena through decision disorder were studie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included at the end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