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운곡 원천석의 제화시 고찰

        황수정(Su-jeong Hwang) 운곡학회 2021 운곡논총 Vol.10 No.-

        본고는 운곡 원천석(耘谷元天錫)의 제화시를 고찰한 것이다. 운곡은 여말 선초(麗末鮮初)의 학자이자 문인이다. 고려 말의 혼란한 정치를 개탄하면서 치악산에 은거한 인물이다. 그동안에 그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그의 시사적 위상이라든가 그의 한시가 보여주는 시적 소재의 다양성 등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본고는 운곡 한시의 다양한 시세계 중 그의 제화시에 초점을 두었다. 제화시를 통해 운곡의 그림에 대한 안목과 시선, 그 정서와 미적 역량을 파악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먼저 운곡의 시편을 통해서 세상을 보는 날카로운 시선과 군자로서의 진면목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어미의 애절한 울음 앞에 아비는 그 슬픔 또한 절제할 수밖에 없는 시적 상황을 잘 드러냈다. 이러한 부분은 운곡의 시적 단련과 표현의 진정성을 알 수 있다. 운곡은 누구보다 더욱 치열하게 세상에 대한 비상한 관심과 안목을 시를 통하여 보여주었다. 이러한 운곡의 시는 제화시에서 그림에 대한 공감과 소통의 면모를 보였다. 화가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과 제화시로써 함께 공감하고 소통하고자 하였다. 그림 감상의 시점이 시인의 초점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확장시켜서 공유하면서 소통으로 이끌고 있다. 또한 사호도(四皓圖)와 삼소도(三笑圖)에 대한 시를 통해서 은자다운 삶의 소신과 여유를 표출하였다. 이는 그림 속의 인물과 시인을 동일시하는 관점에서 정서를 표출한 것이다. 그리고 운곡은 우중목우도(雨中牧牛圖)와 원성서방구품도시(願成西方九品圖詩)를 통해 불가의 무념무상과 안녕의 기원을 담고 있다. 이처럼 운곡은 제화시를 통해서 시인으로서 예술적 역량과 은자(隱者)의 소신과 여유, 그리고 불가(佛家)의 무심과 안녕에 대한 염원을 표출하였다. This study speculated on Jehwasi(Poetry with Painting) by Ungok Won Chon-Seok who was a scholar and literary person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Chosun period. He was a hermit in Mt. Chiak while deploring confusing politics of the late Goryeo period. There are diverse studies on him during that time and the studies gave a focus on his topical status or diversity of the materials in his Chinese poetry. This study gave a focus on Ungok’s Jehwasi although his poetry had diverse materials and orientations.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his insight, sensibility and aesthetic capability on painting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Jehwasi. It shows his true character as a noble man and as an intellectual with sharp insight into and worries about the society, and expressed a poetic situation that father could not help controlling himself before mother’s grief. It indicates that his poetic mind was cultivated and his poetic expression was very sincere. He paid his deeper attention and sharper insight into the society through poetry than anyone else. He felt sympathy and communicated with painting in Jehwasi. He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painters and intended to be in sympathy and communicate with them. The viewpoint of appreciation led to communication beyond the poet’s focus. He expressed belief on his life as a hermit through poems on Sahodo(四皓圖) and Samsodo(三笑圖). Ungok expressed freedom from all ideas and thoughts and peace of Buddhism through the Woojungmokwoodo(雨中牧牛圖) and the Wonseongseobanggupumdosi(願成西方九品圖詩). Thus, Ungok’s Jehwasi expressed his artistic capability as a poet, confidence as a hermit and his desire for freedom from all ideas and thoughts, and peace.

      • KCI등재후보

        耘谷이 영위한 大同의 삶과 敎育 活動

        정순태(Soon-tae Jung) 운곡학회 2022 운곡논총 Vol.11 No.-

        운곡은 忠節과 隱逸의 인물로 알려져 왔다. 조선 중기 士林들은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禑昌眞王說과 山林에서의 隱居生活을 근거로 이처럼 평가했고, 지금까지 답습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기존의 충절과 은일을 넘는 운곡의 사상적인 면과 실천적인 면모를 중심으로 인생관을 조명해 보았다. 『예기』 <예운편>의 大同에 대한 설명으로 바탕으로 그의 사상을 추적했다. 그 결과 운곡의 사상과 교육 분야의 족적을 통해 운곡의 인생관이 친자연적, 평등적 대동사상을 바탕으로 함을 밝힌다. 운곡은 당대가 요순시대가 되기 바랬고, 실천했다. 天下爲公의 인식으로 누구든 능력있는 사람이 백성을 잘 다스려주기 바라는 選賢與能을 추구했고, 講信修睦을 실천했다. 신의를 강의하는 교육자의 역할을 했고, 融攝의 사상을 시로 표출하고, 사람을 가리지 않고 교유하며 화목을 실천했다. 강신의 모범으로 우창진왕설을 말했고, 三敎一理詩로 修睦을 설명했다. 講信의 구체적으로 실천으로 교육적인 足跡을 남겼다. 시에 나오는 원문질 뿐만 아니라 沈繼年, 徐選, 曺恰, 李攀桂와 같은 출중한 직전 제자를 두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곡의 교육활동의 성과는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다. 운곡이 살았던 시기에 우창진왕설이나 삼교일리는 위험한 주장이었기 때문이다. 운곡 스스로가 史書를 숨겼듯이 제자들과의 交遊를 숨기고 살았을 수도 있다. 운곡의 시에서 나나타는 운곡의 삶은 시대적 격동기에 경계에 서서 우주를 품고, 평화롭고, 자유로운 大同社會를 꿈꾼 흔적을 볼 수 있었다. Ungok is known for his loyalty and seclusion. In middle Joseon, Sarimpa assessed him this way based on Woochangjinwangseol and his reclusive life in mountains to meet their needs. Their practice has been followed till today.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is view of life with a focus on his ideological and practical aspects beyond the old loyalty and seclusion elements, as well as trace his ideas based on the Daedong explanation of the <Yewoon> anecdote in The 『Book of Rites』. His traces in the fields of ideology and education show that his view of life was based on the nature-friendly and egalitarian Daedong ideas. Ungok wished that his times would be like the times of Emperors Yao and Shun[堯舜時代] and practiced accordingly. Based on his perceptions of Cheonhawigong[天下爲公], he sought after Seonhyeonyeoneung[選賢與能], which reflects his wish for able individuals ruling people whoever they were, and practiced Gangsinsumok[講信修睦]. He played the roles of an educator teaching about loyalty, expressed the ideas of Yungseop in his poems, and practiced harmony by associating with all people. He talked about Woochangjinwangseol[禑昌眞王說] as a model of trust before teaching about it and explained the practice of harmony with Samgyoilisi[三敎一理詩]. He left his educational marks through the specific practice of Gangsin. He had preeminent Jikjeon pupils such as Sim Gye-neyon, Seo Seon, Jo Heup, and Lee Ban-gye as well as his pupils in his poems. Despite these achievements, however, hi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not known enough because Woochangjinwangseol and Sambyoili were dangerous arguments during his days. He might have hidden his association with his pupils just like he hid his historical books. Based on his Gangsinsumok activities, his life holds the traces of his embracing the universe and dreaming about a peaceful and free Daedong society on the border of turbulent times.

      • KCI등재후보

        耘谷 元天錫의 自然觀

        김원준(Won-joon Kim) 운곡학회 2022 운곡논총 Vol.11 No.-

        운곡은 치악산 아래에서 생애의 대부분을 자연과 함께 했지만 늘 현실에 눈을 둔 大隱의 길을 추구했다. 이는 자연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삶 속에 용해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 여기에 사상적 유연성이 더해져 자연을 대하는 운곡의 시각은 확장되어 나타나고 있다. 본고는 자연에 대한 운곡의 시각을 無欲·疏通·和樂의 공간에 방점을 두어 각 공간에서 보여주는 운곡 자연관의 특징을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는 무욕의 공간으로서의 자연이다. 자연과 접하는 운곡의 무욕은 시기별로 변화를 보여준다. 자연을 차분히 관조하면서 무욕의 경계로 나아간 후 자연의 본연성에 따른 무욕의 일상성을 거쳐 자연과 함께 절로절로의 경지에 이르는 모습을 통해 무욕적 삶과 자연을 연결하고 있다. 둘째는 疏通 공간으로서의 자연이다. 인간은 자연에게 있어 근원적으로 분리될 수 없는 관계이다. 운곡의 눈에 비친 자연 물상들은 그런 점에서 개별적 존재가 아니라 항상 소통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운곡은 자연 물상을 통해 자연의 순리와 소통하며 조화하는 유기적 연속체임을 밝혀 物我가 일체의 걸림이 없이 조화유행 하는 疏通과 和諧로서의 자연을 말하고 있다. 셋째는 和樂 공간으로서의 자연이다. 자연을 무욕과 소통의 공간으로 인식할 경우 일정 부분 자연에 대한 미적 감흥은 절제될 수밖에 없다. 화락의 공간은 天理라는 이성적 시각에서 벗어나 자연의 美景이 자연스럽게 발동하는 정서적 미감으로 표출된다. 자연에 대한 운곡의 감응은 정제된 정서의 표출에서 출발하여 물아의 구분을 제거하여 담박한 화락의 묘미로 나아간 후 시공의 경계를 허물어 물아의 분별은 사라지고 자연과의 화락하는 세계로 나가는 특징을 보여준다. Ungok spent most of his life with nature under Chiaksan Mountain, but always pursued the path of seclusion, who had eyes on reality. This is a measure of how to accept nature and dissolve it in life. With the addition of ideological flexibility, Ungok's view of nature is expanding. This paper focuses on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Ungok's natural view shown in each space, focusing on the space of unselfishness, communication, and enjoy together. The first is nature as a space of unselfishness. Ungok's insults in contact with nature show changes over time. After calmly contemplating nature and moving toward the boundary of unselfishness, it connects insults with nature through the daily life of unselfishness according to the nature of nature and reaching the state of being with nature by itself. The second is nature as a communication space. Humans are fundamentally inseparable relationships for nature. Natural objects reflected in Ungok's eyes are not individual beings in that respect, but are always objects of communication. Ungok revealed that it is an organic continuum that communicates and harmonizes with the order of nature through natural objects, and refers to nature as a communication and reconciliation in which objects and I are in harmony without any obstacles. The third is nature as a peace and harmony space. When nature is recognized as a space of unselfishness and communication, the aesthetic impression of nature in some part is bound to be restrained. The space of peace and harmony is expressed as an emotional aesthetic in which the beauty of nature naturally invokes, away from the rational view of natural law. Ungok's sensibility to nature begins with the expression of refined emotions, removes the distinction between objects and me, moves toward the clean beauty,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time and space, the separation between things and me disappears and shows the characteristic of going out into a world in harmony with nature.

      • KCI등재후보

        耘谷 元天錫 先生의 山水詩 硏究

        李貞和(Jeong-hwa Lee) 운곡학회 2022 운곡논총 Vol.12 No.-

        운곡은 자신이 지향하던 이상 사회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역사를 목도한 이후, 운곡은 조시(朝市)로부터 멀리 떨어진 초야(草野)에서 은사(隱士)로 살아가게 된다. 운곡은 도를 지키며 두 마음을 가지지 않음으로써 몸을 깨끗이 한 점에서 후세인의 존숭을 받았다. 「홍천을 지나가다(過洪川)」 시에서 운곡은 절의를 지키며 살아가는 선비들의 삶을 떠올리기도 하는데, 그들이야말로 산수에 은거하며 살아가는 자신과 심정적으로 합치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산수가 베풀어준 혜택이 적지 않음을 시화한 것으로 「18일(十八日)」 시가 있다. 「산(山)」 시에는 산수에의 은거를 스스로 선택하게 된 정황이 잘 나타나 있다. 운곡은 그 당시의 정세가 자신이 뜻하던 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임을 예견하였다. 따라서 운곡은 더 이상 환로(宦路)에 자신의 삶을 의탁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산수자연에 의탁하며 살아가는 것으로 충신(忠臣)의 일편단심을 실천하였다. 운곡시에는 속인(俗人)의 마음과 상반되는 망기(忘機)의 심경(心境)을 시화하고 있으니, 「남쪽 시내(南溪)」 시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운곡이 지향한 청정한 시정신은 세속에 대한 욕망이 없는 것이므로 이는 곧 망기(忘機)의 마음으로 표출된다. 한편 「배웅(送行)」 시를 통해 운곡은 자신의 기상이 세속적 욕망과 무관한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운곡에게 산수는 변함없는 자연의 이치를 체득하는 공간이었다. 그는 천지자연이 만물을 길러내는 모습을 보며, 자신 또한 천지자연이 만물을 기르는 기상과 일치되기를 희구하였다. 「병오(1366년) 늦은 봄(暮春 丙午)」 시에서는 일개의 화초일지라도 소중한 생명체로 대하고 그것을 아끼는 것이 선비의 참마음임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자연을 애호한 그의 마음이 진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운곡의 마음은 세상사에 초연하고 자연이 만물을 만들어 기르는 기상과 합일하기를 바라는 증점의 마음과 합치되어 있다. 「죽령(竹嶺)」 시는 고봉준령(高峰峻嶺)을 지나갈 때 겪은 일을 소회(所懷)로 삼아 시상을 전개한 것이다. 상자연(賞自然)의 공간인 죽령의 산수 풍광이 그에게 적지 않은 감흥을 불러일으켰음을 알 수 있다. 상자연의 공간은 그에게 도심(道心)을 함양할 수 있는 장소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자연의 모습은 완월(玩月)의 이미지로 표출되기도 하는데, 「막비가 개임(新晴)」 시에서 지조 있는 선비의 삶을 지향한 그의 내면은 소나무 가지 끝에 걸린 달의 모습에 투사되어 있다. 소나무의 불굴과 달의 영원은 변함없는 선비의 마음과 무관하지 않으며 상자연의 도를 깊이 체득한 그의 내면에서 우러난 것이다. Ungok was respected by descendants by protecting the mind of truth and cultivating his mind. Ungok sees history flow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ideal society. This leads him to live in the country far away from the city. His poems also remind us of the lives of scholars who live in loyalty. It shows that they can empathize with themselves staying in nature. He also expressed that nature has given him many benefits. His poem clearly shows the meaning of staying in nature and living in nature is well illustrated. Ungok abandoned his greed and desire and hoped to live as a true human being. In his poems, this mind is well expressed and contains a clear and clean spirit. A clear and pure spirit is expressed with no desire for the world, so it is expressed with a spirit of greed. Ungok shows that his spirit has nothing to do with worldly desires. He watched nature grow all things, and he also hoped that nature would be consistent with the weather that grows all things. It showed that even a single grass is a precious creature and that it is a true heart to love it very much.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his heart that adores nature is sincere. Ungok's mind sought to stay away from worldly affairs and become one with nature.

      • KCI등재후보

        운곡 시의 후대 전승과 수용 양상

        권현주(Hyun-ju Kwon) 운곡학회 2022 운곡논총 Vol.12 No.-

        운곡은 여말선초에 은거의 삶을 살았던 인물로 유명하며, 시조는 네 작품이 남아 있다. 필자는 운곡의 시조가 시조라는 장르의 출발점에 있는 중요한 작품이라는 인식과 함께 후대의 작품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운곡이 기술한 고려에 대한 절의가 후대에는 어떤 모습으로 전승, 수용되었는지에 대해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운곡이 창작한 네 작품의 시조 중 한 작품은(4002) 후대에 전승, 수용되지 않아 본고는 세 작품의 시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운곡의 시조 4723을 수용한 작품은 총 4작품으로 4723에서 운곡은 흥과 망이 운수에 있다고 하였으며, ‘망’의 때를 맞이한 고려의 상황을 이 작품에서 노래하였다. 이를 수용한 4722는 송강의 시조로 4723과 겉모습은 상당히 닮아 있지만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달랐다. 송강은 ‘망’보다 현재의 ‘흥’에 충실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주옹의 시조 2223의 초장과 종장은 운곡의 시어를 수용, 중장은 삼봉(三峰)의 작품을 수용하고 있었다. 두 작품 모두 고려를 소재로 하고 또 너무나도 유명하여 자연스럽게 발현된 것이라 하겠다. 시조 5445는 운곡의 시조를 수용하였으나 표현상의 변이가 더해 만월대의 슬픔을 묘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조 5295의 경우는 작자가 운곡과 같은 상황에 처하였기에 운곡의 시어를 수용하였다. 하지만, 운곡처럼 국가의 ‘망’을 노래하는 것이 아닌 국가의 ‘흥’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곡의 시조 946은 총 두 작품에서 종장만 수용되었다. 특히, 시조 946은 대나무(竹)를 소재로 하여 굳은 절의를 보여주었지만 이 작품을 수용한 시조 1229와 시조 445에서는 ‘국화’를 소재로 한 것이 특징이었다. 운곡의 시조 1866은 초장과 중장에 엄자릉의 고사를 기술하고 있으며, 단 한 작품에서 수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곡이 엄자릉의 고사를 수용한 것은 자신이 은자로 살아가는 것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시조 1867은 운곡의 시조를 수용하여 ‘은일’을 가장 완벽하게 표현하고 있었다. 이처럼 운곡의 세 작품은 15세기부터 20세기의 시조 작품에 수용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운곡 시조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Ungok is famous as a person who lived a life of seclusio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four works of Sijo remain. The author tried to analyze Ungok’s Sijo as an important work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genre and how it influenced the works of later genera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how the rituals for Goryeo honor by Ungok were transmitted and accepted in the future generations. One of the four poems created by Ungok (4002) was handed down and not accepted. There are a total of 4 works that accommodated Ungok’s progenitor 4723. Ungok said that rise and fall are in fortune, and the situation of Goryeo, facing the time of ‘fall’, is sung in this work. 4722, who accepted this, is Song Kang’s progenitor and is very similar to 4723 in appearance, but the point of the story is different. Song Kang was more faithful to the present ‘rise’ than ‘fall’. Chojang and Jongjang of Jooong’s founder 2223 accommodated the poems of Ungok, and the lieutenant general accommodated the works of Sambong(三峰). Both works are based on Goryeo and are so famous that they appear naturally. Sijo 5445 accepted the Sijo of Ungok, but added a variation in expression to describe the sorrow of Manwoldae. Lastly, in the case of Sijo 5295, the poets of Ungok were accepted because the author was in the same situation as Ungok. However, I was able to confirm that it was not singing the national’s ‘fall’ like Ungok, but expressing the desire for the national ‘rise’. In Ungok’s 946 works, only the final chapter was accepted. In particular, Sijo 946 showed honor by using bamboo as a material, but Sijo 1229 and Sijo 445, which accepted this work, were characterized by using ‘chrysanthemum’ as the material. Ungok’s 1866 sijo describes the history of Umjareung in the first and middle chapt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ccepted in only one work. Ungok accepted the tale of Um Jareung, because he needed to understand that he was living as a hermit. Sijo 1867 was the most perfect expression of ‘Eun-il’ by accommodating the Sijo of Ungok. As such, the three works of Ungok were accepted as the Sijo works of the 15th to 20th centuries, and the status of the Sijo of Ungok could be confirmed.

      • KCI등재후보

        『운곡시사』의 지명에 관한 연구-강원북부 여행지를 중심으로-

        김은철 운곡학회 2024 운곡논총 Vol.15 No.-

        운곡은 공적・사적으로 여행을 많이 하였고, 그때 쓴 시에는 당시의 지명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운곡의 경우 공식 기록이 전무한 실정이므로 우리는 그가 남긴 시작품을 통하여 역으로 그의 일생과 세계관을 재구성하여야 한다. 그의 행적과 세계관을 파악하기 위해서 여행 일정 및 이동 노선, 여행의 목적을 우선적으로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시에 나타나는 지명 고찰은 필수적이다. 본고에서는 『운곡시사』에 등장하는 지명 중 현재까지 미해결 상태로 남아 있는 것들을 대상으로 하여 현재의 위치를 고증하고자 하였다. 『운곡시사』에 나타나는 여행지 및 지명의 범위가 너무 넓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그의 1~3차 강원북부 여행에서 나타난 지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당시의 고지명과 현대의 지명을 고증하기 위해서 단순한 지명의 비교에서 벗어나 여행 노정 및 당대의 교통망, 시대에 따른 지명 변천과정을 고려하였다. 지금까지는 단순한 지명의 비교에 머물러 전혀 다른 곳의 지명으로 고증되어 행로가 어긋나는 수가 많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여행 중의 이동 거리와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그 노선상에 있는 지명을 고찰하여 현재의 위치를 확정함으로써 운곡의 여행 경로를 충실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운곡은 주로 말을 타고 이동하였기 때문에 역로를 따라 여정을 잡았고 주로 객사 또는 驛院에서 숙박하였다. 운곡의 경우 작품에서 유추되는 하루 이동거리는 평균 60~70리였고 때로는 120~130리를 이동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하루 평균 이동 거리와 역로를 따른 여정에서 당대의 지명과 현재의 지명을 비교하여 현재 위치를 추정 또는 확정하였다. 여정을 추적하는 지도로는 「대동여지도」를 기본자료로 사용하고 1930년도의 지적도를 보조자료로 사용하였다. 지리지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을 기본자료로 활용하였다. 본고에서 위치를 새로 밝히거나 구체적으로 논의한 지명은 ‘원양역’, ‘원천역’, ‘말흘촌’, ‘향성’, ‘통포현’, ‘청양’, ‘사물동’ 등이다. 여기에서 드러난 바는 운곡은 조선시대에 확정되는 지명을 이미 쓰고 있거나 자신이 임의로 고쳐 쓰기도 하였다는 것이다. 즉 고려 말에는 지명이 혼용되어 쓰이기도 하였고 임의로 변용도 가능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Ungok traveled a lot, publicly or privately, and many place names of the time appear in the poems he wrote at that time. In the case of Ungok, there are no official records, so we must reconstruct his life and worldview in reverse through the original products he left behind. In order to understand his travels and worldview,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his travel itinerary, route, and purpose of the trip, and for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place names that appear in the poems.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research the current location of place names that appear in 『Ungoksisa』 that have remained unresolved until now. Since the range of destinations and place names appearing in 『Ungoksisa』 is so wide, this study focused on place names that appeared during his first to third trips to northern Gangwon. In this paper, in order to research the old place names of the time and modern place names, we beyond the mere comparison of place names and considered travel routes, the transportation networks of the time, and the changing process of place names over time. This is because, until now,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the path has been misaligned as it has been limited to a simple comparison of place names and has been verified as a place name from a completely different pla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faithfully reveal Ungok's travel route by tracing the distance and route traveled during the trip, examining place names along the route, and confirming the current location. Since Ungok mainly traveled on horseback, he followed the horse station and stayed mainly at Gaeksa or Yeogwon. In the case of Ungok, the daily distance inferred from the work was 60 to 70 ri(里) on average, and sometimes 120 to 130 ri(里). In this study, the current location was estimated or confirmed by comparing the old place name with the current place name in the average daily travel distance and the itinerary along the station route. To track the journey, 「Daedongyeojido」 was used as basic data, the cadastral map of 1930 was used as auxiliary data. And geography used 『Donggugyeojiseungnam』 as a basic data. Place names newly revealed or discussed in detail in this paper are ‘Wonyangyeok’, ‘Woncheonyeok’, ‘Malheulchon’, ‘Hyangseong’, ‘Tongpohyeon’, ‘ Cheongyang’, and ‘Samuldong’. What is revealed here is that Ungok was already using place names confirm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at he had arbitrary corrected it himself. In other words, it appears that place names were used interchangeably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could be arbitrarily changed.

      • KCI등재후보

        운곡 원천석 시의 감각적 형상화 양상

        황수정(Su-jeong Hwang) 운곡학회 2022 운곡논총 Vol.12 No.-

        본고는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 시의 감각적 형상화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운곡은 여말선초 학자이자 시인이다. 그의 시 중에서 시인의 오감을 활용하여 감각적으로 표현한 작품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시각과 청각, 그리고 미각의 멋을 담은 작품을 연구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곡이 꽃에 대하여 읊은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꽃은 시인의 시선에서 감각적인 심상을 가장 극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소재이다. 운곡도 그의 많은 작품 중에서 시제(詩題)에 꽃 관련 작품이 11題13首이다. 운곡은 주로 관조적인 자세로 달밤에 꽃을 대하는 표현은 맑으면서도 깨끗한 청징(淸澄)의 미로 형상화되었다. 둘째, 운곡 시 중에서 새와 벌레 소리에 집중한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작은 풀벌레 소리에서부터 닭 울음소리, 꾀꼬리 소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중심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운곡 시의 소리는 시인의 수심과 근심을 승화시키는 차분한 정취로 묘사되었다. 셋째, 운곡 시의 먹고 마시는 맛에 대한 다양한 표현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의 시제에 먹고 마시는 음식을 소재로 한 작품은 모두 33題46首이다. 음식을 통해 교류와 소통, 공감과 화합의 멋을 표출하고 있다. 더불어 맛에 대한 표현으로만 머물지 않고 시각과 후각에 대한 감각을 복합적으로 혼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sensible configuration in Ungok Won Chon-Seok’s Poetry. Ungok is a scholar and poet of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This study gave a focus on the poetry where his five senses were sensibly represented. In particular, those with elegant tastes of vision, auditory sense, and palate were examin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oems that represented flowers. Flowers are a material of poetry that can most clearly show sensible images. Of lots of poems Ungok wrote, there were 13 poems with 11 themes on flowers. His meditative expression on flowers in moonlit nights was very refined. Second, this study gave a focus on the poems that expressed the sound of birds and insects. From tiny grass bugs sound, cock crowing to bird’s eye sound, his poems configured diverse materials. Such sound was calmly depicted in his poetry so that agony and depression he felt could be transcended. Third, this study examined diverse expressions on tastes such as eating and drinking. There are a total of 46 verses with 33 themes on food eating and drinking. The poems expressed tastes of sympathy, communication, exchanges and reconciliation through food beyond the expressions on tastes by mixing senses of vision with smell.

      • KCI등재후보

        耘谷 元天錫의 시에 나타난 志向意識

        李九義(Ku-eui Lee) 운곡학회 2022 운곡논총 Vol.12 No.-

        이 논문은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 1330~?)의 시에 나타난 지향의식을 고찰하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운곡 시에 나타난 지향의식은 첫째 외물(外物)과 화합을 통한 낭만 정신이다. 그의 시에 나타난 자아는 가끔 외물에 부정적이었지만, 대부분 외물에 대하여 긍정적이었다. 둘째 예스러우면서 꾸밈없는 정신세계의 지향이다. 운곡의 정신은 상고주의(尙古主義)에 있었다. 셋째 운곡은 혼돈을 넘어 질서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그는 이 세상의 삼라만상이 순환(巡還)하듯, 역사도 일회성이 아니라 순환한다고 생각하였다. 넷째 외물(外物)과 통섭(統攝)을 통한 이상세계(理想世界)의 지향이다. 운곡은 외물을 통하여 서로 화합하기를 바랐다. 그가 이러한 지향의식을 갖게 된 것에는 다음의 몇 가지 이유에서 비롯한다. 첫째 그의 가문은 그리 번성한 집안이 아니었다. 둘째 그가 태어나서 생활한 지역은 지리적으로 한쪽에 치우쳐 있었다. 셋째 운곡은 집안뿐만 아니라, 학맥(學脈)에서도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가 신흥 학풍인 성리학에만 몰두하지 않았다. 넷째 운곡은 개혁파(改革派)가 아니라 보수파(保守派)였다. 다섯째 운곡은 신흥사대부가 주축이 된 개혁파에 속하지 않았기에 그가 정계(政界), 또는 관직에 나아갈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그의 의식이 위에서 논의한 몇 가지로 향할 수밖에 없었다. This thesis was written to examine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expressed in the poetry of Ungok Won Cheonseok(元天錫, 1330~?)’s. First, the intentional consciousness expressed in his poetry is the romantic spirit through harmony with external things. The persona expressed in his poetry was mostly positive toward externalizations. Second, it is the direction of the spirit world that is gentle and unadorned. The spirit of Ungok was in classicalism. Third, his aims for a world of order beyond chaos. He thought that just as all things in this world cycle, history also circulates, not a one-time thing. Fourth, it is the orientation of the ideal world through external things and consilience or configuration. He hoped to harmonize with each other through external sources.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he has such a sense of orientation. First, his family was not very prosperous. Second, the area where he was born and lived was geographically biased to one side. Third, He was not so prominent not only in the family, but also in the academic system. He did not focus solely on Neo-Confucianism, an emerging academic style. Fourth, He was not a reformist, but a conservative. Fifth, He did not belong to the reformist sect led by newly created scholars, so he could not advance into politics or public office. For these reasons, his consciousness had to be directed towards some of the things discussed abov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