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진 다산문화의 활용 현황과 과제

        윤석호(Yoon, Suk-ho)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0 다산과현대 Vol.13 No.-

        다산에게 강진은 유배지이자 학문과 삶의 공간이었다. 그리고 강진에서 다산은 지역의 문화와 풍광, 사람, 아픔과 함께 호흡하는 이웃이었다. 서로가 동행했던 18년 동안 많은 성과와 자취, 그리고 스토리가 쌓여갔다. 또한 여기에는 다산이 ‘죄인’으로서 수밖에 없었던 당대의 구조, 그리고 강진의 연혁과 사회경제적 위상이 배경으로 자리한다. 이로써 이들이 엮어낸 유·무형의 문화를 강진의 ‘다산문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일찍부터 강진군과 다산박물관, 그리고 연세대학교 부설 강진다산실학연구원은 강진의 다산문화를 진작 및 활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해왔다. 유적지의 복원에서부터, 전시 및 체험의 강화, 컨텐츠의 개발, 교육 및 문화사업의 다변화 등이 그러하다. 이와 같은 성과를 토대로 하되, 앞으로의 강진 ‘다산문화’ 활용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전환의 시기에 부응해야 한다. 기술적 진보가 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수록, 역설적이게도 인간의 삶은 더욱 단절, 소외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본다면 인간과 사회에 대한 공감과 치유는 우리 사회에 던져진 중요한 과제이다. For Dasan, Gangjin was a place of exile and also a place of study and life. For Gangjin, Dasan was a neighbor who breathed with local culture, scenery, people, and their pain. During the 18 years that they accompanied each other, many achievements, traces, and stories had been accumulated. It is also set in the background of the structure of the time when Dasan was forced to come down as a "sinner," and the history and socio-economic status of Gangjin. This allows us to defin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e that they had woven as ‘Dasan culture’ in Gangjin. Gangjin-gun, Dasan Museum, and Gangjin Institute of Dasan Studies attached to Yonsei University have made great efforts to promote and utilize Dasan culture of Gangjin. This includes the restoration of historical sites, strengthening exhibitions and experience programs, development of contents, and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and cultural projects. Based on such achievements, the future use of ‘Dasan Culture’ in Gangjin should meet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is because the more technological advances overcome the physical limitations of space, ironically, human life is being cut off and alienated. In this regard, empathy and healing for humans and society is an important task for our society.

      • 위당 정인보의 양명학 연구와 다산 이해

        한정길(Han, Jeong-gil)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5 다산과현대 Vol.8 No.-

        이 글은 위당 정인보의 다산 이해의 특징과 의의를 규명하려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 글의 주요 논지는 정인보의 양명학적 관점이 다산 이해의 기반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정인보는 강화학파 양명학의 중심인물인 난곡 이건방으로부터 양명학의 대의(大義)에 대한 가르침을 받는다. 그것은 양명학을 실심(實心)에 기반을 둔 실학(實學)으로 이해한 점, 양명학을 통하여 사회의 병폐를 치유하려고 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정인보는 이것을 지적 배경으로 하여 양명학의 관점에서 세계를 인식하고 판단하게 된다. 정인보 양명학 이해의 특징은 우리의 본심이 타인의 아픔을 자기의 아픔으로 느끼는 ‘감통(感通)"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본 점이다. 정인보에 따르면 이 본심은 조선의 민중과 나라에 감통하여 그들을 애틋하게 여기는 데서 그 참모습이 나타난다. 어떤 학술이 실학인지의 여부는 본심이 민중과 나라에 감통하여 그들을 애틋하게 여기는지에 달려 있다. 정인보는 이러한 관점에서 정약용의 인물과 학설을 조명한다. 정인보는 다산의 학문 동기를 백성과 국가를 구제하고자 하는 정성스러운 마음에서 찾는다. 그리고 그 마음이 다산의 모든 저술에 표현되었다고 본다. 다산의 저술 속에 양명학의 정신인 ‘백성을 애틋하게 여기는 마음’이 흐르고 있다고 본 것이다. 그는 다산의 학문 목적을 국가와 민생의 실리 · 실익을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찾는다. 이것은 다산 학문의 핵심을 백성과 국가를 구제하려는 경세사상에 있다고 본 것이다. 그는 다산의 경학(經學)까지도 경세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와 같이 정인보는 다산실학이 실심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이것은 다산이 ‘국가와 민생의 실리실용’을 중시했다는 점에만 초점을 맞추어 다산 실학을 공리(功利)를 중시하는 실용실학(實用實學)으로 이해한 입장과는 차이가 있다. 그동안의 실학 연구는 결과적인 공리를 중시하는 실용실학의 측면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정인보가 구상한 실심에 기반한 실학은 이제는 그 명맥을 찾아보기 어렵다. 앞으로의 과제 가운데 하나는 정인보가 제창했던 실심실학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 하는 점이다. This thesis aims at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understandings of Dasan accomplished by Jung In Bo. The main theme is that the standpoint of Jung In Bo’s Yang-ming Studies has become the basis of understanding Dasan Studies. Jung In Bo learned the grand idea of Yang-ming Studies from Lee Gun Bang who was the main figure of the Yang-ming Studies of Ganghwa school. That Yang-ming Studies could be understood as a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and that it is possible to heal the social issues through Yang-ming Studies. The main characteristic of understanding Jung In Bo’s Yang-ming Studies is that it is said that our Original mind has the ability of ‘being acted upon and penetrating things’ that feels the pain of others as one’s own pain. According to Jung In Bo, this original mind shows its true self by being acted upon and penetrating the people and country of Chosun and caring for them. Whether a certain academy is an authentic Practical learning or not totally depends on Sincere mind by which acts upon and penetrates the people and country. At such point, Jung In Bo looks into the character and academics of Jung Yak Yong. Jung In Bo finds the core motive of Dasan Studies in terms of the mind of sincerity to save the people and country. Also, that mind is said to be have been expressed in all books of Dasan, especially in his Confucian classical studies. It is said that in the books of Dasan, the ‘heart of caring people’ which is the spirit of Yang-ming studies flows within. He finds the purpose of Dasan’s studies in pursuing the true interest and welfare of the country and people. This means that the core of Dasan’s academics lies in the spirit of saving the world which saves its people and country. It is understood that he thinks Dasan’s Confucian classical studies pursues the spirit of ‘saving the world’. As such, Jung In Bo sees the Practical learning of Dasan as the basis of the Sincere mind. This shows its eminent difference among other Practical academies of Chosun dynasty in its standpoint of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Owing to influence of Sincere mind inherited from Yang-ming studies, Dasan produced hundreds of books for Practical learning (실학) focused only on the ‘real interest and welfare of the country and people’

      • 『목민심서』에 반영된 예제와 실학의 공공성

        이봉규(Lee, Bong-kyoo)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8 다산과현대 Vol.11 No.-

        『주례』를 바탕으로 『목민심서』의 체제와 내용을 구성하였던 것은 다산이 서리와 백성을 다스리는 실질적인 통치요령의 차원을 벗어나 왕정(王政)의 청사진을 수립하여 제시하려는 시대적 문제의식에 입각해 있었기 때문이다. 『목민심서』에서 다산은 제사와 빈객의 접대에 소요되는 재정을 적절한 수준에서 절약하기 위하여 등급에 맞게 규모를 조정하면서도 환대의 뜻을 충분히 담아내는 형태로 의절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사적인 접대나 사적인 제사를 제한시키면서도, 감사 등 외부 관원에 대한 접대나 표류자에 대한 문정(問情) 등에서 예우를 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사(士)가 중심대상이 되는 향약의 시행에서는 민생의 경제적 안정을 먼저 확립하고 교민(敎民)을 행해야 한다는 율곡의 관점에 따라 토호가 향권을 전단하지 않게 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였는데, 이것은 당시 정조의 관점이기도 하였다. 다산은 지방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행하는 서노(庶老)의 의절을 비롯하여, 향음주례와 향고례(饗孤禮) 등의 의절을 제정하여 제시함으로써, 양노의 예에 기반한 공공성을 수령의 목민 수준에서도 실현하는 왕정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다산은 양노례 등 향례의 의절 구성에서 독약(讀約) 등 상명하달의 타율적 의절 대신 걸언(乞言) 등 “하정상통(下情上通)”의 자율적 의절을 살리고 있다. 경세에 반영된 이런 예제들은 다산이 왕정을 부국보다 안민 관점에서 구성하였음을 말해준다. 다산은 정(政)과 교(敎)의 영역을 구분하면서도 정을 교로 통어하는 예주형보(禮主刑補)의 체제로 경세론을 구성하였다. 그것은 형정의 제도로서 정(政)을 인륜이라는 교(敎)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맹자』 이래 이학과 실학이 공유하는 왕정론이다. 항산을 위해 다산은 법제를 사회적 약자의 생존을 가능하게 해주는 곧 존망계절(存亡繼絶)의 방향에서 구성하였다. 이것은 부국보다 안민을 우선시하는 인정(仁政)의 왕정론이다. 근대 이행기 이래 부국강병의 관점에서 다산을 비롯한 실학자들의 경세론을 설명하였던 것은 경세서에 반영된 예제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던 것과, 법제 구상에 대한 실학자들의 문제의식을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강국을 만들고자 하는 근대 국민국가의 관념으로 읽었던 것에 기인한 측면이 많다. 이러한 근대론의 독법이 지니는 편향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예제에 대하여 도덕의 차원이 아닌 사회적 공공성의 차원에서 학문적으로 설명하는 시야가 좀 더 상세해질 필요가 있다. Dasan constructed the system and content of Mo-Min-Xin-Shu(牧民心書) based on Zhou-Li(周禮) to present a blueprint for the confucian governance beyond the practical governing skills. Dasan reorganized the rituals of the ceremonies such as commemorative rites and reception in such a way as to fully accommodate the meaning of hospitality, while adjusting the scale to the appropriate level in order to save the finances. Dasan stated that the local powers should not overturn the power according to Yulgok "s view that the economic stability of the people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the people should be edified. This was also the view of king Jeongjo at the time. Dasan, when reconstructing the rituals of rural rites such as Yanglao(養老) and Xiangyinjiu(鄕飮酒), removed the top-down ritual of reading code(讀約), and instead inserted the autonomous doctrines of the people freely presenting advice on the state(乞言). These rituals indicate that Dasan formed his blueprint for the confucian governa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making people live in peace than making the country rich and strong. Dasan, dividing the rule of law and the enlightenment of humanity, constituted the policy of the state administration which is led by enlightment of humanities and helped by the law. It was a policy for monarchy that had been shared by Lixue(理學) and Shixue(實學) since Mengzi. Dasan constituted institutions and laws that enabled the survival of the weak. His blueprint leads the people to practice confucian humanites after they established the conditions for stable living. This is a typical policy which was given priority to the stable survival of the people. Since the modern times, the researchers have explained the national policy of Shixue(實學) including Dasan’s opinion in terms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They understood Dasan’s blueprint for the national management under the concept of the modern nation-state that wants to make a powerful nation while satisfying the individual"s desire. As such, they did not fully take into account the rites system used in national policies. In order to go beyond the bias of this view of modernism, it is necessary to elaborate the view of the ritual system academically from the dimension of social publicness, not the dimension of morality.

      • 동은 김충식과 연세대세브란스병원

        박형우(Park, Hyoung Woo)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7 다산과현대 Vol.10 No.-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의 동은의학박물관(東隱醫學博物館)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인 세브란스 의과대학의 발전을 위해 거액을 희사하여 재단을 설립했던 강진의 갑부 김충식을 기념하기 위해 1999년 재개관하였다. 그가 거액을 희사했던 세브란스는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제중원으로 시작했던 연합 기독교 기관으로 많은 한국인 의료진을 배출함은 물론 하나님의 사랑으로 한국민의 건강 증진에 온 힘을 다해 왔다. 하지만 1940년대 선교사들이 철수한 이래 심한 재정난에 빠졌고, 광복 이후 6년제 의과대학으로의 승격도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때 김충식이 거액을 희사했던 것이다. 김충식은 30세 전후에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토지를 운영하면서 재산을 늘리는데 남다른 재능을 발휘하여 상당한 부를 쌓았다. 그는 자산을 축적하는 것에만 관심을 두지 않고 사회 활동 및 교육 사업에도 눈을 돌렸는데, 세브란스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한 재단 법인 동은 학원은 그가 추진했던 교육 사업의 절정이었다. 1940년대 초 폐렴에 걸리고 2~3년 후 중풍으로 쓰러졌을 때 최동의 도움을 받은 것이 계기가 되어 김충식이 기증한 92만평의 토지를 토대로 1949년 5월 세브란스를 후원하기 위한 재단법인 동은학원이 설립되었다. 하지만 토지개혁과 화폐가치의 하락은 갓 출범한 동은학원에 큰 시련을 가져다주었다. 토지는 모두 지가증권으로 바뀌었고, 이것을 매각하여 귀속재산을 불하받는 과정에서 매매절차상의 하자로 학원 재산은 일부만 남게 되었고, 이를 토대로 1975년 동은의학박물관을 설립하였다. 1980년 전후에 박물관은 활동 영역을 넓히려 노력하였으나 재원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1980년 2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으로 넘겨졌다. 재단마저도 1982년 4월 해산되었다. 동은 김충식이 기부했던 많은 자산 중에 현재 그 흔적이 남아있는 것은 동은의학박물관이다. 하지만 현재의 박물관은 공간이 좁고 위치도 좋지 않으며, 시설과 인원의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런 부족한 점들이 조속히 개선되어 김충식의 숭고한 뜻이 영원히 기록되기를 소망하며, 이를 바탕으로 강진군과 연세의 협력이 더욱 견고해 지기를 기대한다. Dong-Eun Medical Museum,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was reopened in 1999 to commemorate Mr. Choong Sik Kim(金忠植, 1889~1953), from Kang Jin(康津), who generously donated and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the advance of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Severance hospital is a Union Christian Institution that roots from Korea’s very first westernized hospital, Jejoongwon. Numerous Korean medical professionals were educated at the institution and operated under strong Christian faith and belief for promoting health for Koreans. However, the institution went under a serious financial difficulty when mission workers were pulled out in early 1940s and even after independence, it was not expected to be elevated to a 6 year medical college. At that time Mr. Choong Sik Kim willingly donated a large amount of fund. Mr. Kim was talented in expanding money and was able to accumulate wealth by investing in real estate around his 30s which was inherited by his father. He not only was interested in saving money but also in soci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business, one of them being Dong-Eun Foundation which was established to support Severancel. When he got pneumonia in the early 1940s and collapsed from a stroke after 2-3 years, Dr. Paul Choi, who was a Professor of Severance, aided him and this event provided a cause for Mr. Kim to establish a Dong-Eun Foundation at May 1949, to support Severance hospital. However, due to land reform and depreciation the foundation had to be gone through hardship. The land became a stock by the law and during the process of selling it and securing the attributed property from the Government, only parts of property of foundation was left due to flaw in process, and it was decided to establish Dong-Eun Medical Museum in 1975. Around 1980, the museum tried to expand its activity area but faced shortage in basic fund and was handed over to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on February 1980. The remaining foundation was also dissolved on April 1982. The only legacy that Mr. Choong Sik Kim left that can be traced is Dong-Eun Medical Museum. The current museum is short of facility and labor support along with its physical issues such as being cramped and location. It is our hope that these issues be solved as soon as possible to honor Mr. Kim’s noble work, and also wish for a stronger cooperation between Kang Jin County and Yonsei.

      • 1894년 강진지역 동학농민전쟁과 다산 정약용의 『경세유표』

        홍동현(Hong, Dong Hy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5 다산과현대 Vol.8 No.-

        강진은 1894년 강진읍성 전투, 강진병영성 전투 등 동학농민군과 관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지역이다. 특히 1890년대를 전후해서 동학이 전파된 이후 이 지역 출신 동학교도들은 1893년 교조신원운동과 1894년 1차 봉기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전주성 철수 이후 강진 동학농민군의 독자적인 활동보다는 장흥 동학농민군과의 합세 속에서 도소를 설치한다든지 또는 이후 전투를 치루고 있었다. 이는 강진지역이 갖는 하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강진지역은 동학이 전파되던 초기부터 관과 유생들이 향약을 통해 동학의 확산에 대응해 왔으며, 이는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이들 반(反)동학농민군의 조직적인 대응은 강진동학농민군의 독자적인 활동을 제약했으며, 결국 장흥동학농민군과 합세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한 배경 속에서 강진병영에는 반농민군이 동학교도를 내세워 ‘가짜 도소’를 설치했던 것이며, 이를 통해 타지역 동학농민군의 진입을 막을 수 있었다. 또 한가지 특징은 강진에는 해남 윤씨 집안의 동학농민전쟁 참여가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해서 다산이 18여년간 유배생활을 한 곳이 강진이며, 외가인 해남 윤씨 집안과의 학문적 교류가 활발했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 특히 다산 정약용의 대표적 저서인 『경세유표』가 전봉준 등에게 전해졌다고 하는데, 윤세현이라는 인물이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강진읍지』는 전하고 있다. 윤세현은 강진 대구 출신의 대표적인 동학농민군으로 강진동학농민군을 이끌었던 인물이다. 이는 결국 다산의 개혁사상이 해남 윤씨 집안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학문적 배경이 그들로 하여금 동학농민전쟁에 참여토록 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그동안 동학농민전쟁의 사상적 배경을 실학사상에서 찾고자 했던 맥락에서 실학과 동학농민전쟁의 관계를 좀 더 실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Gangjin is the region where fierce battles including the Gangjin fortress battle and the Gangjin barracks battle took place between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the government troops. Specifically, since the transmission of Donghak during the 1890s, the Donghak followers from this region participated in the 1893 Movement to vindicate the innocence of the founder of Donghak and the first uprising. However, after the withdrawal from Jeonju castle, they built Dosos or fought subsequent battles by joining forces with Donghak peasant troops from Jangheung rather than act independently. This may be referred to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Gangjin, In other words, the Gangjin region, authorities or Confucian scholars responded to the spread of Donghak through the Hyangyak from the beginning of the transmission of Donghak in the Gangjin region, and this extended in to 1894. The organized response of the anti-Donghak peasant troops restricted the independent activity of the Gangjin Donghak peasant troops, and ultimately they had no choice but to join forces with the Jangheung Donghak peasant troops. Against such a background, the anti-peasant troops installed a ‘fake Doso’ by putting up Donghak followers, which prevented the entry of Donghak peasant troops from other regions.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the household of the Haenam Yoons in Gangjin noticeably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War. In regards to this,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place Dasan was exiled to was Gangjin, and also that he actively interacted in academics with the Haenam Yoon household. In particular, Dasan Jeong Yak yong‘s representative book 『Gyeongseyupyo』 is said to have been delivered to Jeon Bong-jun, and the 『Gangjin Town Chronicle』 says that a figure named Yoon Sae-hyeon deeply participated in this affair. Yoon Sae-hyeon was the representative Donghak Peasant troop to hav hailed from Gangjin Daegu and was a figure leading the Gangjin peasant troops. This means that ultimately the reformative thought of Dasan greatly influenced the household of the Haenam Yoons, and such a scholastic background may have enabled them to participate in the Donghak Peasant War. This seems to be the basis for a more positive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ilhak and the Donghak Peasant War within the context of attempting to fi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Silhak thought.

      • [기조강연] 다산과 강진 - 다산학과 강진의 다산문화

        임형택(Lim, Hyung-taek)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0 다산과현대 Vol.13 No.-

        다산은 강진으로 유배를 가서 지내는 동안 제자들을 양성하며 저술작업을 하였다. 그리하여 강진 지역을 중심으로 다산학단이 형성되었고 이곳이 다산학의 산실이 되었다. 이런 점에서 ‘강진의 다산문화’를 고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서 그것을 실천적 과제로 중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다산과 강진’을 테마로 설정, 강진에서 다산의 삶과 만난 사람들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다산학단에서 실시했던 특유의 교육방법론을 ‘독서지도’와 ‘생활지도’의 양면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끝으로 다산문화를 어떻게 창조적으로 계승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떠올려 다산학단에서 이강회란 존재를 언급하였다. In his exile in Gangjin, Dasan educates pupils and writes numerous researches. Since Dasan School is originated, centering Gangjin as the nursery home, Dasan culture in Gangjin can be regarded academically and practical matter. In this paper, I display his living and encountering specific individuals in it. Moreover, I present his educational methodology as learning guidance and life guidance and his pupil I Ganghoe as the creative successor of Dasan School.

      • 근 · 현대 한국의 실학연구와 다산

        정호훈(Jeong, Ho-H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5 다산과현대 Vol.8 No.-

        연희전문-연세대학은 오랫동안 한국에서의 실학과 정약용 연구의 중심 공간이었다. 해방 후 초창기 연구에서는 현실의 폐단을 해결하고자 그 방도를 적극 모색한 ‘정치경제학’으로서 실학을 이해했다. 정약용의 정치경제 사상을 다룬 홍이섭 교수는 정약용이 조선 사회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경세유표』와 『목민심서』와 같은 책을 저술했으며, 이 과정에서 정약용이 “민생을 중시하고 국법을 높이는” 개혁안을 마련했다고 파악했다. 1970년대 중반 이후, 김용섭 교수는 근대적 · 농민적 사회개혁사상이자 한국형 근대화론으로서의 실학론을 제기했다. 이 시각은 주자학을 지주 · 양반층의 처지를 반영한 학문론으로 평가하고 또 주자학이 한말에 이르러서는 개화파의 개혁론으로 계승된다는 판단을 전제하며 이루어진 것으로, 학계의 일반적 이해와는 크게 달랐다. 이 같은 실학관은 정약용 이해와도 맞닿아 있었다. 김용섭 교수는 정약용의 농업경영론(農業經營論)에 보이는 정치경제적 사고가, 사회 제 계층의 평등화의 문제를 모색하는 초기의 농업론, 30대 후반의 공동농장(共同農場)적인 농업경영론, 유배기에 정립한 독립자영농(獨立自營農)적인 농업경영론 형태로 변화한다고 정리했다. 정약용의 구상이 단계적으로 변화했으며, 초기의 급진적인 방법론을 벗어나 온건하면서도 점진적인 방식을 택했다는 이해였다. 실학 연구의 역사는 끊임없이 연구의 시각이 확대되며 변화하는 과정이었다.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실학 연구는 분단 체제의 극복, 통일 국가의 실현을 전망하며 그에 필요한 지혜와 방법을 모색해 나가는 노력의 하나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research of Silhak(實學) in the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at Yonsei University has been developed by a professor Hong I-seop and Kim Yong-seop. Hong I-seop understood Silhak as a political economy to reform social reality, and confirms it more concretely through Jeong yak-yong’s thoughts. In the perspective of Hong I-seop, reformation proposal of Jeong Yak-yong(丁若鏞) aims to promote people’s life and reinforce the national law. Kim Yong-seop comprehends Silhak as modern social reform thoughts and also the theory of Korean style modernization. Professor Kim thought Silhak reflects class interest of the peasants, in contrast Neo-Confucianism reflects social interest of the landowners, or the gentries. On the thought of Jeong Yak-yong, Kim esteems Jeong Yak-yong has the egalitarian orientation representing the pesant but this radical egalitarian orientation at the early period turned into rather moderate perspective as time passed. The history of the study on Silhak has been a process with constant extension and variation of a perspective regarding the research. The study of Silhak is expected to be progressed toward an Unification of the n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of Korean society.

      • 강진의 고문헌과 연구 현황

        허원영(Heo, Won-Young)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2 다산과현대 Vol.15 No.-

        강진 고문헌은 지역학으로서의 강진학 뿐만 아니라 한국학의 제 분야 연구에 의미가 있는 자료이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 알려진 강진의 고문헌을 개괄하고, 그 연구 성과를 간단히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주요 문화재로 지정된 강진의 문화재를 중심으로 강진 고문헌과 그 관련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들은 강진을 대표하는 문화재로서 강진 고문헌과 연구의 성격을 살펴 볼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 둘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등 주요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강진 고문헌의 현황과 성격을 검토하였다. 이들 고문헌은 강진이란 지역적 제한을 벗어난 것으로, 강진 내의 고문헌과는 다른 성격의 주요 정보들을 제공한다. 강진 고문헌과 강진학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중요자료라 할 수 있다. 셋째, 국사편찬위원회의 강진 지역의 사료 조사성과를 검토하였다. 이는 조선후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개인과 문중, 마을 등 강진의 여러 주체들에 의해 생산, 전래된 것들로, 강진 고문헌에 대한 가장 폭넓은 사례를 보여준다. 넷째, 호남권한국학자료센터(http://hnkostma.org/)에 탑재된 강진 고문서를 대상으로 강진 고문서의 현황과 성격을 검토하였다. 강진의 고문서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며, 호남권한국학자료센터에 탑재된 강진 고문서의 현황과 성격을 살펴봄으로써 그 이유를 검토하였다. 강진에는 개인과 문중, 마을 등 다양한 주체들이 조선후기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문헌들을 소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다량 소장처가 없고, 자료의 집중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조선후기로부터 현재까지의 연속성을 지닌 자료군이 존재한다는 점과 특히 마을과 지역에 밀접한 자료가 다수 존재한다는 점은 강진 고문헌의 뚜렷한 특징이자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강진의 고문헌은 지역사와 마을사 연구에 중요하며, 활용성과 확장성은 충분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강진 지역 내 고문헌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조사와 지역 외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지역 내 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하게 요청된다. 또한 강진 외부에 존재하는 강진 고문헌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조사와 정리도 필요하다.

      • 다산(茶山)과 문산(文山)의 강토(講討): 행사(行事)와 본원(本源)의 두 길

        전성건(Jeon, Sung-k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1 다산과현대 Vol.14 No.-

        이 글은 다산 정약용과 문산 이재의의 학문적 토론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들이 지향하는 지점이 각각 어디를 향하고 있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작성한 것이다. 다산박물관에서 제공한 자료[『다죽문답』·『잡록』·『다산시첩』]를 대상으로 정리하였지만, 관련 자료가 빠져있어, 《여유당전서》와 『문산집』 등을 추가하여 살펴보았다. 문산 이재의는 무신가문에서 성장하였지만 학문적 자질이 있어 학자의 길로 들어선 인물이고, 조선후기 집권세력인 노론의 호론과 낙론 계열의 스승 모두에게 수업하였지만, 다산 정약용은 성호학파 계열로 천주학과 관련하여 18년 이상을 유배지에서 생활했던 근기남인이었다. 그들의 성장과 수학이 달랐던 만큼, 그들의 철학과 사상도 다를 수밖에 없었다. 다행인 것은 그나마 당시의 교유가 이전 시대만큼 당색으로 상대를 폄하하는 시대가 아니었다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다산과 문산의 학문적 지향점을 각각 행사와 본원으로 정리하였다. 그들의 학문적 토론은 본성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에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문산은 주자학자로서 마음속에 내재하는 인의 예지를 본성으로 이해하였고, 이것은 본원을 함양하여 덕성을 기르는 주자학의 공부법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이에 비해 다산은 주자학을 비판하면서 인의예지는 행사를 통해 성취되는 것으로 마음속에 내재하는 이치가 아니라, 행사 이후에 지칭되는 명칭이라고 하였다. 그들의 토론 현장은 매우 격렬하였는데, 문산은 다산을 향해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병, 이른바 태양증에 걸린 것은 아니냐며 다산의 호승심 가득한 마음가짐을 비판하였으며, 다산 또한 문산에게 당파의식을 가지고 아랫사람을 나무라는 식으로 토론을 전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언급을 표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그들의 토론은 매우 격렬하였지만, 그들이 죽을 때까지 안부를 묻기도 하고, 서로의 가족에 대한 안부를 묻기도 하는 등 친밀한 관계를 유지한 것도 사실이다. 전근대 유학자들이 갖고 있는 선비정신의 이면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다면, 바로 이러한 부분에서 찾아질 수 있을 듯하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examine the academic discussion process between Tasan Jeong Yak-yong and Moonsan Lee Jae-ui and to confirm where they were aiming. The materials provided by the Dasan Museum[Dajukmundap, Japrok, and DasanSichup] were organized, but related materials were missing, so we added Yeodangjeonseo and Munsanjip to examine them. Moonsan grew up in the military family, but he entered the path of a scholar due to his academic qualities, and taught both teachers of Noron, a ruling pow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Dasan was a man who lived in exile for more than 18 years. As their growth and study were different, their philosophy and ideas were inevitably different. Fortunately, the relationship at that time was not an era where people disparaged their opponents with political party as much as they did in the previous era. In this article, the academic orientations of Tasan and Moonsan are summarized as events and headquarters, respectively.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their academic discussions diverge from their understanding of nature. Moonsan, as a runner-up scholar, understood the art of humanity inherent in his mind as his nature, and this corresponds to the study method of runner-up who fostered virtue by cultivating his original purpose. On the other hand, Tasan criticized neo-confucianism and said that the prediction of humanity is achieved through events, not a reason inherent in the mind, but a name referred to after the event. Their discussion site was very intense, and Moonsan criticized Tasan"s fierce mindset, saying that he had a disease that could not control his anger toward Tasan, so-called solar syndrome, and Tasan also expressed his comment that he was blaming his subordinates with a sense of partisanship. As such, their discussions were very intense, but it is also true that they maintained a relationship that said hello and talked about the world until they died. If there is a place where you can see the backside of the scholar spirit of pre-modern Confucian scholars, we should find it in this area.

      •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홍유빈(Hong, you-bi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9 다산과현대 Vol.12 No.-

        본고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성과를 검토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전망하고자 작성되었다. ‘다산학 전승 연구’의 모체(母體)는 역시 ‘다산학(茶山學)’이라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다산학’연구는 근‧현대의 실학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선학들에 의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가 심화 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다산의 학문적 업적의 조력자였던 그의 제자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총론적인 연구 성과의 경우, 다산학단 구성원을 그 시기와 특징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다산학단의 전모(全貌)를 파악하는데 용이한 밑그림을 그려주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이러한 시야 속에서 현재 다산학단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의 대강을 살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정리를 마치면서 관찰되는 것은 다산학(茶山學)이 다산학단에 의해 줄기가 가지로 뻗어 나가듯이 계승 ‧ 발전되는 것과 같이, 이에 대한 연구 역시 다산학에 대한 연구에서 다산학단에 대한 연구로 지속적으로 연장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편 다산학단 연구 전반에 대한 향후 방향의 차원에서의 제언으로는 그 이전에 ‘다산학(茶山學) 연구’로 해왔던 연구 및 자료정리 순서를 참조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산학단 연구의 추동력이 더해진다면 다산학(茶山學)의 연장(延長)으로서의 다산학단(茶山學團)의 특징적 면모가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이와 관련된 다양한 대중서도 함께 출간된다면 다산학단에 대한 관심을 대중들과도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utcome of “Dasan transmission studies” and prospect of the future directions for it. The beginning of “Dasan transmission studies” was also “Dasan studies.” As we all know, the research of “Dasan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y various scholars as the part of Realism research in modern times and today. However, in the process of intensify the studies, there had been more interest by Dasan’s disciples who had been helpers of Dasan. In the case of the general outcome in “Dasan transmission studies”, the classification by the times and characteristics of Dasan school members was helpful for drawing rough sketch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whole story. And we could scan the present Dasan studies by the continued following studies with given perspective. What we observe in the end of organization is Dasan studies have been continued from Dasan studies to Dasan school studies as Dasan studies have been transmitted and continued by Dasan school. On the other hand, the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Dasan School studies is to refer to study of the Dasan studies research and material sequence. And if the impetus of the present Dasan school studies has been added to the given resources, it would show more characteristic features of Dasan school studies as the continuation of Dasan studies. And if the public books have been published, it would be so meaningful to share the interest about Dasan School studies with the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