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산문체론으로 살펴본 한국 현대소설의 가사문학 수용 가능성 - 서정인 소설 「철쭉제」와의 문체적 유사성을 중심으로 -

        문한별 ( Moon Han-byoul ) 심훈학회 2023 심훈학보 Vol.2 No.0

        본 연구는 가사문학의 현대적 수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한 일환으로 한국 현대소설의 서술 방법과 가사문학 사이의 문체적 접점을 구체적으로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가사문학은 4·4조 4음보의 율격을 형식적 문체의 특징으로 하며, 운문과 산문의 중간 형식으로서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작품이 창작되었다. 이에 비해 한국 현대소설은 산문의 형식적 서술 특징을 지니지만 다양한 표현 기법과 타문학 장르를 폭넓게 수용한다는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차별되는 특징을 기반으로 하여, 먼저 가사문학의 문체적 특질들을 전산문체론(computational styl-istics)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통계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는 한글 옛 표기를 현대어로 전환한 후, 형태소분석기를 통하여 분할하고, 기계학습을 통하여 구성인자를 추출하는 전처리 작업을 바탕으로 한다. 이후 결과값을 통계화하여 계량적으로 대비군과 비교하는 작업을 통하여 고유의 문체적 특징을 찾아내는 것이다. 가사문학의 비교 연구군으로는 전통적 문체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고 평가받는 현대소설가 서정인의 소설 『철쭉제』(1983)을 포함한 6편의 중·장편 작품들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가사문학의 문체적 특질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작품으로는 「철쭉제」의 어휘적 특질이 가장 유의미하게 확인되었으며, 어휘의 활용과 운율에 이르기까지 가사문학과 상당한 유사성을 보인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두 비교군의 차이로는, 가사문학의 경우 기능어들을 활용하여 작품의 주제를 향해 의미를 집중시키는 양상을 보이지만 현대소설의 경우에는 어휘들의 의미가 하나로 집중되지 않고 확장되도록 만드는 미결정의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유사한 문체적 특질임에도 시대적 차이가 가져온 가치 지향과 세계관의 차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precisely find the stylistic interface between the narrative method of modern Korean novels and lyrics literature as part of examining the contemporary acceptability of lyrics literature. In general, lyrics literature is characterized by the formal style of the rhythm of 4 and 4 notes, and many works have been created over a long period as an intermediate form between verse and prose. On the other hand, modern Korean novel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formal narratives in prose, but they accept a wide range of expression techniques and different literary genres. Based on these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this study first analyz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stylistic attributes of lyrics literature using the computational stylistics method. This is based on the preprocessing work of converting the old Korean notation into modern language, dividing it through a morpheme analyzer, and extracting constituent factors through machine learning. After that, the results a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quantita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o find the unique stylistic features. Six medium-length works were selected as a comparative study group of lyrics literature, including 「Azalea Festival」(1983), a novel by Seo Jeong-in, a contemporary novelist who is evaluated to have actively accepted traditional style. As a result of the study, as a work that actively took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lyrics literature, the linguistic part of 「Azalea Festival」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and it can be seen that it shows considerable similarity to the lyrics literature in the use of vocabulary and prosody.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mparison groups, the lyrics literature showed a pattern of concentrating the meaning toward the subject of the work by using functional words, but the modern novel showed an undecided attitude to expand the meaning of the words than concentrating on one. This seems t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value orientation and worldview brought about by the difference of the times despite the similar stylistic characteristics.

      • 일제강점기 과학담론을 통한 전쟁양상 연구 - 최초의 대체역사소설 안전민의 「태평양의 독수리」(1941)와 김동진의 『(세계대전) 비행전쟁』(1934)을 중심으로

        김예진 ( Kim Yejin ),모희준 ( Mo Hee-june ) 심훈학회 2023 심훈학보 Vol.2 No.0

        이 연구는 한국 최초의 대체역사소설인 안전민의 「태평양의 독수리」와 김동진의 『(세계대전) 비행전쟁』을 통해 당대의 전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시도했다. 일제강점기의 과학소설은 창작소설보다는 번역·번안 작품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김동인의 「K박사의 연구」처럼 몇 안 되지만 순수 창작과학소설 또한 존재한다. 특히 안전민의 「태평양의 독수리」의 경우 대체역사소설의 서사 구조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최초의 대체역사소설이라고 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 과학담론을 통해 당대의 전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 시도는 현재까지도 찾아보기 어려우며, 특히 「태평양의 독수리」와 『(세계대전) 비행전쟁』을 살핀 연구는 전무하다는 점에서 두 작품을 통해 당대의 전쟁 인식을 살피고자 하는 시도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안전민의 「태평양의 독수리」는 미국의 선전포고로 전쟁이 시작되어 전쟁 중의 태평양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이다. 소설의 주인공 하나다는 전투기의 엘리트 파일럿으로, 홀로 미군 전투기 53기를 격추시킨 영웅이다. 미군은 일제에 비해 우월한 물자를 가지고 있지만 하나다를 비롯한 일본군의 활약으로 미군은 연패를 거듭한다. 이 과정에서 강조되는 지점이 바로 ‘대동아공영권’과 일본군의 공격 지점인 ‘산호해’이다. 일제의 대동아공영권을 염려하며 선전포고를 한 미군과 일본군이 산호해라는 명확한 공격 목표를 지니고 이를 공격한다는 소설의 내용은 「태평양의 독수리」가 대동아공영권의 선전과 전쟁에 대한 정당성 부여, 그리고 일본군의 사기 고양을 위해 창작되었음을 시사한다. 김동진의 『(세계대전) 비행전쟁』은 「태평양의 독수리」보다 이전의 작품이지만 소설의 형식을 하고 있을 뿐 전쟁 무기를 소개하는 일종의 교양서적과도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미래의 무기를 언급하며 비행기가 미래 전쟁에서 중요한 무기가 될 것임을 강력히 주장한다. 김동진은 작품 내에서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급변하는 환경속에서 필연적으로 전쟁이 발생할 것임을 예견하고 있으며, ‘전쟁이 사라지지 않는 한 전쟁에 대한 지식이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김동진은 미래에 발발할 전쟁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기 위해 『(세계대전) 비행전쟁』을 쓴 것으로 추측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Korea's first alternative historical novels, An Jeon-min's 「Eagle of the Pacific Ocean」 and Kim Dong-jin's 『(World War) Flight War』,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war of the time. Japanese colonial era's scientific novels are mainly translated and translated works rather than creative novels, and few like Kim Dong-in's 「Doctor K's Research」 but pure creative science novels also exist. In particular, An Jeon-min's 「Eagle of the Pacific Ocean」 can be seen as Korea's first alternative historical novel in that it faithfully follows the narrative structure of alternative historical novels. Attempt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he war of the time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scientific discourse are still difficult to find, and there is no research on the 「Eagle of the Pacific Ocean」 and the 『(World War) Flight War』, so attempt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he war of the time through the two works are likely to be meaningful. An Jeon-min's 「Eagle of the Pacific Ocean」 is a novel set in the Pacific Ocean during the war as the war began with the declaration of war by the United States. Hanada,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is an elite pilot of fighter jets and is a hero who shot down 53 U.S. fighters alone. The U.S. military has superior supplies compared to the Japanese, but the U.S. military continues to lose consecutive games due to the performance of the Japanese military, including Hanada. The points emphasized in this process are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the “Coral Sea” the Japanese military's attack point. The novel suggests that the U.S. and Japanese forces, who declared war o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ttack it with a clear attack goal of the Coral Sea, suggests that 「Eagle of the Pacific Ocean」 was created to justify the propaganda, war, and boost the morale of the Japanese military. Kim Dong-jin's 『(World War) Flight War』 is a work earlier than 「Eagle of the Pacific Ocean」, but it only takes the form of a novel and contains a kind of liberal arts book that introduces war weapons. In particular, referring to future weapons, he strongly argues that airplanes will become important weapons in future wars. In the work, Kim Dong-jin predicts that war will inevitably occur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fter World War I, and says, “Unless war disappears, knowledge of war is necessary.” Taking these points together, it is presumed that Kim Dong-jin wrote 『(World War) Flight War』 to present the justification for the war that will break out in the future.

      • 포석 조명희의 소설과 망명에 관한 고찰

        이승준 ( Lee Seung-jun ) 심훈학회 2023 심훈학보 Vol.2 No.0

        포석(抱石) 조명희는 1920년 희곡 「金英一의 死」를 발표하였고, 1925년 『개벽』에 「땅속으로」를 발표하며, 소설을 쓰기 시작한다. 특히 1927년 발표한 「낙동강」은, 방향전환기의 카프 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1928년 포석은 돌연 소련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한다. 소련 망명과 관련하여, 1914년 중앙고보 시절 포석은 중요한 사건을 벌인다. 그는 무관학교에 들어가 무관이 되어 독립운동을 할 결심으로 중국행을 결행하지만 실패하는 것이다. 이때부터 ‘여기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포석의 마음속에 자리하게 된다. 그리하여 ‘여기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끊임없이 포석으로 하여금 어디론가 떠나는 길을 끊임없이 모색하게 만든다. 그는 일본으로 유학을 다녀오고, 만주로 가는 꿈을 꾸다가, 마침내 소련으로 망명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여기서는 안 된다’는 부정적 심리는 ‘어디에도 없다’는 절망으로 바뀌고, 다시 ‘어디서든 해야 한다’는 현실 인식으로 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조명희의 소설 「땅속으로」, 「농촌 사람들」, 「새 거지」, 「춘선이」, 「아들의 마음」, 「낙동강」을 중심으로 소련 망명으로 향하는 포석의 사유 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Jo Myeong-hi published the play 「Kim Young-il's death」 in 1920 and he wrote his first novel 「Into the ground」 in 1925. In particular, Nakdonggang River, which was released in 1927, is considered his representative work. The work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socialist literary movement (KAPF). In 1928, Jo Myeong-hi abruptly exiled to Vladivostok, Soviet Union. In connection with Soviet exile, Jo Myeong-hi has a significant event in 1914. Then he decided to travel to Manchuria. He wanted to enter a military academy, receive military training, and pursue independence activities. However, his trip to Manchuria fails due to his family's dissuasion. Afterwards, Jo Myeong-hi is obsessed with the idea of ‘not here’, which constantly makes him look for a way to leave somewhere. He went to Japan to study, dreamed of going to Manchuria, and finally exiled to the Soviet Union. In the process, the negative psychology of ‘not here’ turns into the despair of ‘nowhere’, and again into the reality that ‘have to do anywhere’. In this paper, I tried to track the process of changing my thoughts on 'not here' in Cho Myung-hee's novel.

      • 현대시조의 형식을 지닌 쟁점들에 대한 점검 - 가람 이병기의 「시조는 革新하자」를 중심으로

        황치복 ( Hwang Chi-bok ) 심훈학회 2023 심훈학보 Vol.2 No.0

        이 논문은 현대시조의 형식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쟁점들을 점검하여 현대시조의 형식적 특징과 작시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현대시조의 특징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이 우의적 성격, 즉 알레고리로서의 양식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현실적 세계를 반영하는 데에 장점이 있지만 계몽적 성격과 교훈적 의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두 번째는 시조 종장의 완결적 구조가 지닌 문제를 지적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시조의 구조는 논쟁적이고 모호한 시적상황에 대한 무능력을 드러내고 회의나 의심과 같은 시적 태도를 억압할 수 있다. 현대시조의 성격 가운데 화자 우월적인 태도는 자신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독자들에게 획일적으로 강요함으로써 파편적이고 분열적인 현대적 삶의 양태를 드러내기 어렵게 한다. 마지막으로 연시조의 형식은 단형시조로서의 폐쇄성을 지니면서도 개방되어야 한다는 딜레마적 상황에 처해 있는데, 이로 인해서 시적 대상과 정서에 대한 집중과 수렴을 방해함으로써 긴장의 이완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various issues inherent in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sijo (Korean traditional poetry) and explore new possibilities in its formal features and poetic techniques. The most frequently discussed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sijo is its lyrical nature, specifically its formal features as allegory. While this feature has the advantage of reflecting the realistic world, it has limitations in terms of its enlightening nature and instructional intent. The second notable point is the problematic nature of the conclusive structure of sijo. The structure of sijo, with its conclusive form, can point out the difficulties in handling controversial and ambiguous poetic situations, revealing an incapacity to deal with poetic attitudes such as doubt or skepticism.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sijo, the speaker's dominant attitude makes it difficult to reveal the fragmented and divisive aspects of modern life by imposing their values and worldview uniformly on readers. Lastly, the dilemma lies in the formal structure of linked sijo, which, while having the closed nature of a fixed form, must also be open. This dilemma poses a risk of disrupting concentration and convergence on poetic subjects and emotions, leading to the potential relaxation of tension.

      • 박경수의 『동토』에서 농촌과 귀향의 의미 - “농촌 소설” 담론에 대한 재고와 지식인 반영 소설의 의의

        양가영 ( Yang Gayoung ) 심훈학회 2023 심훈학보 Vol.2 No.0

        박경수는 『사상계』를 통해 등단하고 활동하며 평단의 주목을 받았던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논의는 많지 않아 논의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작가이다. 본고에서는 주요 인물이 서사에서 보여주는 강박을 분석하여 이를 확인하고, 당대 『사상계』에서 이루어졌던 농촌 문학 담론과의 관계에서 작품과 평가 사이의 균열을 확인하고 <동토>의 의의를 재고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동토』에서 농촌에 대한 향수와 계급적 상황 인식이 공존하며 부르주아 계급에 대한 불신과 분노가 깊게 새겨짐을 확인하고, 귀향 후 이와 같은 불신과 분노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나는 낭만과 토지에서의 유리를 보였다. 주요 인물의 갈등 또한 농민 계급의 계급적 상황과 유리되어 당대의 농촌 소설 담론과 『동토』에 대한 농촌 소설 평가의 균열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사상계』에서 이루어진 농촌 소설의 담론과의 관계 아래에서 『동토』에서 주요하게 부각되는 계급 상승에 대한 강박과 그에 대한 거부를 살폈다. 『사상계』에서 이루어진 농촌 담론이 농촌에 대한 기술적인 발전과 민주주의에 대한 계몽의 진작에서 농민 개개인의 도덕성에 대한 계몽으로 유폐되었으며, 이후 1970년대에 이루어진 농촌 소설에서는 농촌에 대한 근대화 담론에서 비판적 거리를 갖고 농촌의 요구를 드러내는 소설에 주목하였음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동토』에서의 문호가 보여주는 내면의 변화는 농촌 소설담론과 거리를 가짐을 보이고 부르주아 계급에 대한 분노와 동경의 모순 내면에서 억압된 분노가 저항을 거처 거부로 드러나고 있음을 밝혔다. 나아가, 이것이 <동토>에서 “농촌”과 “귀향”의 의미임을 밝혔다. 즉, “농촌”은 계급 사회의 모순과 부르주아 계급에 대한 분노에 찬 비판을 배태하게 하는 공간이며, “귀환”은 이와 같은 “분노에 찬 비판”이 해소되지 않았으나 부르주아 계급에 대해 갖는 동경의 모순을 보여주는 공간인 것이다. 이것은 『동토』가 농촌 소설로서 갖는 한계를 보여주며, 동시에 당대 지식인 내면의 농촌과 계급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이와 같은 한계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 농민 소설이 농민들에 대한 민주주의 계몽의 의도에서 농민들의 개인적인 도덕에 대한 계몽으로 유폐된 변형과 유사하여서 더욱 의미를 갖는다. Although Park Gyeong-soo is a writer who made his debut through Sasanggye and received attention from critics, there is not much discussion about him, so the need for discussion is required. I analyzed the obsession that the main characters show in their narratives, confirmed the cracks between the work and its evalu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rural literary discourse that took place in the Sasanggye, and reconsidered the significance of Frozen Land. First, in Chapter 2, I confirm that nostalgia for the countryside and awareness of the class situation coexist in Dongto, that distrust and anger toward the bourgeois class are deeply engraved, and that the romance and anger that appear in a situation where such distrust and anger are not resolved after returning home are discussed. So he was devided from the land. It was revealed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main characters was also divorced from the class situation of the peasant class, symbolically showing the cracks in the contemporary rural novel discourse and the rural novel evaluation of Frozen Land. Based on this, Chapter 3 examines the obsession with and rejection of class rise, which is highlighted in Dongto, under the relationship with the discourse of rural novels made in Sasanggye. The rural discourse made in Sasanggye was transformed from the promotion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enlightenment on democracy in rural areas to the enlightenment of the morality of individual farmers, and later, in the rural novels of the 1970s, a critical distance was taken from the modernization discourse on rural areas. It was summarized that attention was paid to novels that reveal the needs of rural areas. Based on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inner change shown by the writer in Frozen Land shows a distance from the discourse of rural novels and that the suppressed anger within the contradiction between anger and admiration for the bourgeois class is revealed as resistance and refusal.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this is the meaning of “rural” and “homecoming” in Frozen Land. In other words, “rural” is a space that gives birth to the contradictions of class society and angry criticism of the bourgeois class, and “return” is the contradiction of longing for the bourgeois class, even though this “angry criticism” has not been resolved. It is a space that shows. This shows the limitations of Frozen Land as a rural novel, and at the same time, has the meaning of reflecting the perception of rural areas and classes within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This limitation is all the more meaningful because it is similar to the transformation of peasant novels from the 1950s to the 1960s, which went from the intention of democratic enlightenment to the enlightenment of the peasants' personal mor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