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엄복의 노장 해석에 나타난 중국 전통의 정반합

        김현주 ( Kim Hyunju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0 중국사회과학논총 Vol.2 No.2

        중국 근대 초기 자유주의자로 잘 알려져 있는 엄복(嚴復, 1854-1921)은 몽테스키외나 밀과 같은 서구 사상가들의 저서를 번역하여 서구 사상을 중국에 소개한 인물이다. 후에 그는 서구 자유주의사상을 중국의 전통, 특히 노장사상과 연관시켜 이해하여 서구와 중국, 전통과 현대를 결합시키고자 하였다. 그는 중국의 전통적 주류 사상에 대해 “쓸모도 없고(無用)”, “내용도 없다(無實)”고 비판하였지만, 노장 사상 속에 서구의 자유와 민주사상적 요소들을 발견하였다. 그에게 있어서 중국의 전통은 양면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었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부정의 대상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긍정의 대상이었다. 즉 그것은 극복의 대상이면서도 재건의 대상이기도 했다. 엄복에 의해 전통은 더 이상 낡고 쓸모없는 것이 아니라 새롭고 쓸모 있는 현실의 철학이 되었다. 전통의 부정, 긍정, 종합이라는 변증법적 과정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그는 그동안 비주류로서 간과되어 오던 노장사상에 대해 긍정하는 한편, 자유, 민주, 개인, 사회 등과 같은 개념들을 중국 사회가 자신의 것으로 수용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노장사상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엄복은 경제적으로는 자유주의적이고,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적이고, 철학적으로는 개인주의적인 자신의 입장을 투영했는데, 서로 상반되어 보이는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천리(天理)’라는 자연법에 따르는‘무위(無爲)’를 통해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 점에서 이를 통해 엄복의 사상 전반의 기본적 토대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중국 사회에서 상이한 가치들의 공존이 가능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엄복의 노장 사상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당대 중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의 재해석이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정당화를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점과 달리, 엄복의 목적이 자유와 민주를 선전하고 내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Yanfu(嚴復, 1854-1921) who has been known as an early liberals in the Modern China, translated many books of Western thinkers such as Montesquieu and J. S. Mill. He tried to combine Western thoughts with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especially Laozi’s and Zhuangzi’s. Even if he criticized Chinese traditional main thought as “useless” and “insubstantial”, he found elements of freedom and democracy in Laozi’s and Zhuangzi’s thoughts. He recognized them to prepare the ground to accept and disseminate Western concepts like freedom, democracy, individual, society, etc. in China. Chinese tradition had ambivalence to Yanfu. It was what to deny on the one hand, and it was also what to affirm on the other. So to speak, It is what to overcome on the one hand, and it was also what to rebuild on the other. Now tradition is no longer old and useless, but has become a new and useful philosophy of reality. Through modern reinterpretation, Yanfu projected his position which is economic liberalist, political democrat, and philosophical individualist. And he thought that the political ideologies that seems to contradict each other, could be reconcilable by ‘Wuwei無爲’ following ‘Tianli天理’, the nature law. Understanding these can make us understood Yanfu’s whole idea and futhermore it can show us some possibility to see that different values can coexist in Chinese society. Actually the reinterpretation and modernization of Chinese tradition is on going in contemporary China. But it is so much different from Yanfu, who wanted to promote freedom and democracy in modern China.

      • KCI등재후보

        상하이협력기구의 확장과 중국의 제도적 전략

        강수정 ( Kang Su-jeong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4 중국사회과학논총 Vol.6 No.1

        중국의 지역 다자외교에서, 상하이협력기구(SCO: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는 중국이 그 설립과 발전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온 대표적인 지역 다자기구로서, 중국이 자국의 이익과 목표에 부합하도록 지역 질서를 변화시키기 위해 어떠한 제도적 전략을 활용해 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SCO의 설립 및 제도화 과정에서 중국의 참여와 전략에 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최근 SCO의 발전 및 확장 과정에서 중국이 자신의 이익을 수호하고 장기적인 전략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어떠한 제도적 전략을 활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따라서 기존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은 제도균형이론에 기반하여 최근 SCO의 발전 및 확장 과정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어, 중국이 그 과정에서 어떠한 제도적 균형 전략을 통해 지역 질서를 자신의 이익과 목표에 더 잘 부합하도록 변화시키려고 하는지를 분석하고, 그러한 중국의 제도적 균형 전략이 어떠한 도전에 직면해 있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가 상호 협력과 경쟁을 통해 SCO의 발전 및 확장 과정을 주도해 왔다는 점에서, 중국이 역내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리더십 역할을 추구하기 위해, 어떠한 제도적 전략을 통해 러시아와의 관계를 조율해 왔는지도 분석한다. 더 나아가서, 중국과 러시아가 SCO에 기반하여 구상한 새로운 지역 질서의 전망과 관련하여 ‘비서구 유라시아 공동체’ 구축 가능성을 강화하고 실현하는 데에 SCO가 직면한 도전 과제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지난 20여 년간 SCO의 발전 및 확장 과정에서 중국의 전략적 계산과 제도적 전략들을 설명하는 데에 제도적 균형의 분석 틀이 가지는 유용성과 한계를 논의한다. In the realm of regional multilateral diplomacy,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 as a prominent regional multilateral institution in which China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its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represents a significant case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strategies employed by China to reshape the regional order in alignment with its interests and goals. While there has been extensive research on China’s participation and strategies during the establish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CO, there has been a relative scarcity of studies regarding China’s employment of institutional strategies in the recent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SCO to safeguard its interests and achieve its long-term strategic objectives. Therefore, to complement the existing studies, this article, grounded in the theory of institutional balancing, focuses on the analysis of China’s institutional balancing strategies during the recent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SCO. It aims to explore how China utilizes institutional balancing strategies to better align the regional order with its interests and goals, analyzing the challenges faced by such strategies. Furthermore, considering the leadership roles played by China and Russia through cooperation and competition i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SCO, this article also examines how China, in expanding its influence within the region and pursuing its leadership role, harmonizes its relationship with Russia through institutional strategies. Additionally, it delves into the prospects of a new regional order envisioned by China and Russia based on the SCO and analyzes the challenges that the SCO faces in enhancing and realizing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non-Western Eurasian community. Building upon these analyses, this article discusses the utility and limitations of the institutional balancing framework in explaining China's strategic calculation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i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SCO over the past two decades.

      • KCI등재후보

        중국 공산당 논쟁과 노선투쟁의 100년: 파(破)와 입(立)의 교차

        하남석 ( Ha¸ Nam Suk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1 중국사회과학논총 Vol.3 No.1

        중국 공산당은 지난 100년간 그 안과 밖에서 끊임없이 논쟁과 노선 투쟁 속에 있었던 정당이다. 흔히 일당 독재 체제와 최고 지도자 일인으로의 권력집중을 보며 공산당을 하나의 단일한 이데올로기와 균열이 없는 일괴암적(monolithic)인 조직으로 보게 된다. 하지만 실제 역사를 살펴보면 사회 변화의 곡절을 거칠 때마다 여러‘주의’와‘노선’이 등장했다. 때때로 공산당의 노선과 관련한 갈등은 잔혹한 정치적 억압이나 폭력적인 갈등으로 번져나가기도 했지만, 이 노선투쟁을 둘러싼 논쟁은 중국의 사회 성격 혹은 체제 성격을 놓고 어떻게 중국을 변혁시키고 발전시킬 것인가가 그 핵심이었다. 그렇기에 중국 공산당은 다당제와 직접선거를 통한 정권 교체가 없었던 일당통치의 당-국가 체제이지만, 당 내외의 논쟁과 노선투쟁이 일정하게 그와 유사한 기능을 해온 측면도 있다. 중국공산당을 둘러싼 지난 100년간의 논쟁들을 살펴보면, 큰 논쟁이 벌어질 때는 기존의 권력 혹은 사상을‘무너뜨리면서도(破)’새로운 권력과 사상을‘세워 나가는(立)’교차점에서 발생했다. 중국 공산당의 창당이 그러했으며, 혁명의 과정과 사회주의 건설, 개혁개방과 기타 중국의 발전을 둘러싼 논쟁들이 모두 그런 이중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문화대혁명과 1989년 천안문사건과 같은 거대한 대중운동을 지나면서 점차 당 내부의 논쟁과 노선 투쟁이 사라졌거나 혹은 그 갈등을 드러내지 않기 시작했다. 1990년대 이후로는 지식인들의 논쟁이 당내 이론 논쟁과 노선 투쟁의 기능을 일부 대신하기 시작했지만 일명 시진핑 시기인 ‘신시대’에 들어서서는 그마저 쉽게 허용되지 않는다. 현재 시진핑 시대의 중국은 일단 당 중앙 이외의 목소리들을 억압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통제 와 억압 외에 아래로부터의 민의가 반영될 수 있는 통로와 민주적 제도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논쟁은 언제든지 다시 활발하게 터져 나올 수 있다. 그 가능성은 다름 아닌 바로 중국 공산당의 100년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s been in constant ideology debate and line struggle for the past 100 years. The communist party is often viewed as a monolithic organization with a single ideology, looking at the one-party rule and the concentration of power to the supreme leader. However, in history, there have been many “-ismˮ and “lineˮ whenever China go through social changes. Sometimes the conflict over the line struggle spread to brutal political oppression or violent conflict, but the debate over the line struggle was key to how to transform and develop China over its nature of regime. Therefore,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s a one-party-state system that has not had a change of government through multi-party systems and free votes, but internal and external debates and line struggle have functioned similarly. Looking at China's ideology debates over the past 100 years, when a major debate broke out, it occurred at the intersection of “breaking downˮ existing power or ideas and “building upˮ new power and ideas. The creation of the Communist Party was the case, and the process of revolution, socialist construction, reform and opening and other debates surrounding China's development all have such dual characteristics. As it passed through huge popular movements such as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1989 Tiananmen Square Incident, the party’s internal disputes gradually disappeared or the conflict in party began not to be revealed. Since the 1990s, intellectuals’ debates have begun to replace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party’s theoretical debates and line struggles, but even those in the so-called “new eraˮ of Xi Jinping are not easily allowed. In the Xi Jinping era, China is moving toward suppressing voices outside of the party. However, in addition to this control and oppression, if the party fails to create a channel and a democratic system that can reflect public opinion from below, the debates over China’s regime can flare up again at any time. That possibility is evidenced by the 100-year histor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