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육과정 지식 분석

        김리나 ( Ri Na Kim ),신항균 ( Hang Gyun Sih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지식이 학생들의 수학 수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현직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육과정 지식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수학 수업과 관련한 교사의 지식은 단순하게 수학 문제를 푸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을 넘어, 수학적 내용을 학습자 수준에 맞게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는 지식을 지칭한다. 이와 유사하게 수학 교육 과정 지식 역시 교사가 단순히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주제들의 제시 순서를 암기하는 수준이 아니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주제들의 관련성을 해석하고,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변환하여 활용하는 지식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학습 주제들의 연관성의 이해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자체 개발하였으며, 동일 문항을 사용하여 317명의 현직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 교육과정 지식의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17명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설문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교육과정 지식은 교사의 성별, 초등수학교육 관련 학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교사 연수 및 학위 과정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과 관련하여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e study presented in this paper was to explore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indicates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regarding mathematics topics,which were presented by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South Korea.However, it does not represent teachers`` simple memorization about the order of topics in the curriculum. It is because teachers apply their knowledge regarding the relationship among mathematics topics based on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m according to students`` characteristics. An independent t-test and ANOVA are applied to examine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female elementary teachers might have more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than male teachers. Also,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elementary teacher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in terms of their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However, there is a little affect of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certification levels on the teachers`` mathematics curriculum knowledge. The results of this quantitative study would help us to understand South Korean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which have a deep impa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 KCI등재

        상상력 생태교육에 기초한 초등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 제안

        유인순 ( Reu In Soon ),김기대 ( Kim Kee Dae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상력 생태교육이라는 새로운 방법적 접근을 통해 초등학교 현장에 사용가능한 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문헌 조사를 통해 Kieran Egan과 Gillian Judson의 이론인 상상력 생태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상상력 생태교육에서 사용하는 특별한 인지도구가 교육적 중요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습득 과정이 논리적, 심리적 순서를 따라야 한다는 것을 파악하였으며, 2015 교육과정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생태관련 학습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상상력 생태교육의 인지도구를 활용한 초등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중 생태교육관련 교과는 1∼2학년의 경우에는 통합교과, 3∼4학년은 과학교과, 5∼6학년은 사회와 과학교과에서 생태교육과 관련된 학습 내용을 파악하였다. 각 교과의 생태관련 교육과정 및 내용요소의 분석을 통해 현재 초등학교 생태교육의 내용과 시수가 부족하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생태교육에서 상상력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상상력 교육은 학생들이 생태개념을 이해하고 어떻게 주제가 학생들의 감정과 상상력에 연결되는지를 설명하며, 학생들을 참여시킬 수 있는 능력을 확장시켜 생태교육에 중요한 공헌을 한다. 셋째, 상상력 생태교육을 활용한 초등생태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할 때 초등학교와 관련지어 신화적 이해는 1~2학년의 통합교과, 3∼4학년의 과학교과로 나누었고, 낭만적 이해는 5~6학년의 사회교과와 과학 교과로 나누었다. 초등학교 생태관련 교육내용은 총 23개로 선정하였으며 학습내용을 느낌(feeling)의 8개 인지도구, 활동(activeness)의 5개 인지도구, 장소감(sense of place)의 3개 인지도구를 활용하여 수업을 구성하였고, 결론 부분의 수업 구성은 결론의 확장 및 생태소양의 정의적 ·행동적 영역의 함양에 중점을 두었으며, 평가부분은 평가의 다양성 및 다른 교과 학습으로의 전이와 연관 지었다. 자연체험활동 중심의 제안되는 활동을 제시하여 자발적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경험과 사고의 확장을 가져오도록 유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of ecological education and to create a program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ecolog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a new method approach called imaginative ecological education for effective learning. This study discovered that learning process needs to follow logical and psychological order for a special cognitive tool used in imaginative ecological education to have importance by investigating imaginative ecological education, a theory of Kieran Egan and Gillian Juds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ed learning contents on ecology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 by analyzing 2015 curriculum.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created an elementary ecolog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cognitive tools of imaginative ecological educ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subjects related to ecological education among 2015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ecological education were identified in integrated subject for 1∼2 grade, in science subject for 3∼4 grade, and in social studies and science subject for 5∼6 grade. This study identified the status of current ecological education by analyzing curriculum and content elements on ecology. Secondly, imaginative educ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in ecological education. Imaginative education explains how students understand ecological concept and how topics are connected to the feelings and imagination of students, and make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ecological education by extending ability to engage students. Thirdly, in terms of developing an elementary ecolog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imaginative ecological education, this study classified the program into an integrated subject of 1~2 grade for mythic understanding, science subject of 3~4 grade, and social studies and science subject of 5~6 grade for romantic understanding in connection with the grade level of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초등학교 고학년용 녹색소비교육이 초등학생의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명숙 ( Myung Sug Kim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2

        본 연구는 소비교육과 녹색교육의 관련 문헌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5·6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여, 소비자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획, 설계 및 검증, 적용,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초등학교 고학년용 녹색소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8주 동안 총 1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량적 검사지는 목건문(2010)과 김미란(2010)의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5·6학년 교과 중에서 실과 교과가 소비자교육의 전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며, 특히 ‘친환경소비와 문화’ 영역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어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가장 적합한 교과였다. 이에 5·6학년 실과 교과에서 소비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 재구성하여 프로그램을 구안·적용시켰다. 소비의식과 소비행동의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소비의식과 소비행동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소비의식이 높은 학생일수록 소비 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성적 분석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일 뿐만 아니라 녹색소비에 대한 의식의 변화와 실천 의지 및 소비행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로서 앞으로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지향하는 녹색소비교육 프로그램을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을 비롯한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green consumer educational program for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awareness for the consumption of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achieve the purpose, documentary and investigatory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reafter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was implemented by following the 4 stages of planing, design/verification, field test, evalu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ne-group pretest-postest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for two hours every week in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for 8 week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students` awareness and behaviour on the consumption.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trie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benefits and verify its effec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educational program dealing with the green consumption through not only the analysis of the course of study, or the consideration of the case studies, but also the research for the references on the green growth education and consumer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on 5th/6th grade textbook and the guide book of 2007 revised curriculum, practical arts was the most suitable curriculum organizing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because it covered evenly the area of consumer education containing ``eco-friendly consumption and culture`` area etc. By extracting and reconstructing the relevant green consumption contents in this 5th/6th grade practical arts,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can be developed and applied. Second,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onsumption awareness and behavior. Third,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correlation(.683) between consumption awareness and behavior. Fourth, according to qualitative analysis, students appear to be more concerned in the green consumption and environment, learning motivation and comprehension after receiving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s to bring the case of study of green consumer educational program to promot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field.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 follow-up activity.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물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 고학년용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김유라 ( You Ra Kim ),이지은 ( Ji Eun Lee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본 연구는 인간이 사용하는 물의 양의 나타내는 지표인 물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고학년용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교에서 물의 소중함, 물 오염과 부족, 물의 보존과 같은 물 환경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는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의 학습자 발달단계뿐만 아니라 복잡한 시스템이나 인과관계에 대한 이해보다는 일상생활과 연계된 내용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물 환경교육과 물발자국에 대한 이론적 고찰, 물 환경교육 모형 설정, 교육프로그램 목표 및 주제 선정, 교육프로그램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전문가 검토, 수정·보완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한 개 학급(30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에 적용하고, 물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물 환경교육에 활용할 8개 주제 16차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수·학습 과정안, 활동지, 읽기 자료, 평가 자료로 구성된 교사용 교수자료와 활동이 포함된 활동지, 읽기 자료, 학습자용 자료로 구성하여 실제 수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개발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물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향상시키는 교육적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최근 국제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물 오염과 부족, 물의 보존 등과 관련한 물 환경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서, 우리 사회가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 교사들이 물 환경교육을 효율적으로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ater footprint concept-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the water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 of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o achieve the effectiveness of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containing precious water, pollution and shortages of water, the program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following 4 stages of preparation, development, verification, field test and evaluation. The experiment made progress a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in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hour for 8 week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on water environment. The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program follows the three regions which are contents process of water conservation, practical part on water conservation based on water footprint concept and expanding environments principle in accordance with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is made up of eight parts: our life and precious water, water pollution and shortages, understanding of water footprints, closing & textiles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dietary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housing life to reduce the water footprints, reducing water footprints of school and local community life, and reducing water footprints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society life. Third, the developed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on water environment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n conclusion, the developed program was an applicable example on water-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tudy provide to teaching material to proceed with effective class on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by field teacher toward sustainable society.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more intensively and systematicall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lated to a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후보

        녹색성장 개념을 기반으로 한 초등실과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조유진 ( Yu Jin Cho ),강종표 ( Jong Pyo Kang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본 연구는 녹색성장 개념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초등실과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생에게 적용하여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마와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제 7차 및 2007 교유과정의 실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추출한 녹색성장교육 내용을 토대로 완격, 생활, 기술, 경제영역에서 영역당 두 개 의 학습 주제를 프로그램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그래고 개발된 프로그램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2개의 학습을 대상으로 전,후 검사설계를 통하여 16차사에 걸쳐 수업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및 2007 실과 교육과정에서 추출한 녹색성장 관련 내용을 재구성하여 녹색성자 기념을 기반으로 한 초등실과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쨰,녹색성장 개념을 기반으로 한 초등실과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해였다. 둘째, 녹색성장 개념을 기반으로 한 초등실과 통합교육 프로그램 적용은 초등학생의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과 태도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교육방법으로써 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차후 초등학교의 녹색성장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이와 관련된 보다 심층적인 연구 및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n the elementary practicalarts based on green growth concept,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green growth of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o achieve the purpose, documentary and investigatory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reafter an integrated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3 stages of planning, preparation and implement. And, the experiment was made progress as two-group pretest-poisttest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for every two hours in a week in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for 8 week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hrough restructruing the green growth related contents extracted from the 7th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2007 curriculum. Second, the developed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green growt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developed program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attitude. Fourth through the result of a case analysis of observation, interview and protfolio, most stydents had an interested in green growth concept and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wowards green growth. In conclusion,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based on green growth concept is applicable to the deucation field. Moreover,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6th graders towards green growth. This suggests an intefrated green growth education with practical arts in meaningful as a new method of green growth education and needs to research more intensively and systematically on the professor an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an integrated education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 KCI등재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동진 ( Dong Jin Kim ),구덕회 ( Duk Hoi Ko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과학과 IT를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학과 IT의 적절한 융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에 적용할 수있는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둘째,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문제로 설정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및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하여 총 4개 주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기존 과학과의 영역인 ‘물질, 운동과 에너지, 생명, 지구와 우주’에 속하는 단원 중에서 IT의 적용이 학습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는 단원을 선정하여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실험반과 통제반을 선정하여 두 반의 과학흥미도와 ICT 리터러시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과학흥미도와 IT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융합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의미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초등 Science IT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일부 학생의 실험 결과는 그 효과를 전체 학생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해져가는 우리 주변의 문제에 대해서 보다 융합적 사고를 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 기술을 활용하는 것은 21세기에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이다. 즉, 과학과 IT의 융합이라는 주제로 진행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한 가지의 방법으로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ne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gainst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 by develop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topics w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2. Analysis of the applying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first step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previous studies on IT convergence education and science program, and to analyze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of the sixth grade. Then, a new program which consists of four theme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selected one unit from the sixth grade textbook which was related to each of four following science fields, ``substance, movement and energy, biology, earth and universe``. The units were also selected based on appropriateness to apply the elements of IT. Finally, a teaching program with a suitable IT element for each theme was developed. To apply the developed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program, one class was pre-selected while other classes followed traditional education. The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 and post-test for interest in science and ICT literacy was conducted. As a result, tw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These results imply that elementary Science IT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rom this study has a great potential to help students to improve ICT literacy and interest in science ompared to other existing education programs. However, to generaliz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developed program sole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s unreasonable. Nevertheless, in modern society with more complex and diverse Science IT, the convergence of thinking and IT literacy are very important skills for learners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for new convergence education has enough significance in developing bright minds with convergence thinking skills.

      • KCI등재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장애요인 분석

        조혜연 ( Hye Yeon Cho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운영현황과 교육 시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115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개발된 교육현황과 장애요인을 알아보는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에 있어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지 결과 분석은 엑셀과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운영현황과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장애를 느끼지 않는 교사에 비하여 수업시간에 ‘생물다양성‘과 ‘먹을거리‘ 주제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할 때, 대부분의 교사들은 ‘기후변화’, ‘에너지’, ‘생물다양성’, ‘물의 이용’과 같은 환경 영역의 주제를 선택하는 것으로 볼 때, 환경, 사회 및 경제 영역에 대한 균형성을 가진 주제를 발굴하고, 그에 맞는 다양한 교재 및 수업자료를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대중매체를 통해 교육자료를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인터넷에서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 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를 위한 필요 요소에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확대’와 ‘교재 및 수업자료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어 공감대가 형성되고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수업 자료들이 확충되는 등 여건이 조성될 때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전문성 함양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자료개발이나 연수 기회의 확대와 같은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in elementary school and ESD, identifies the barriers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oing ESD.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teachers who were selected to work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questionnaire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was modified and us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the barriers of ES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The Excel and i-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acing barriers in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are inclined to have more education topics of ``biodiversity`` and ``food``. But, most ESD topics that are used in elementary school class are composed of the environmental domain such as ``climate change``, ``energy``, ``biodiversity``, ``water use``. So, it needs further development of a well-balanced topic among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domain. Second, the teachers facing barriers of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need to support the educational materials with diverse and high quality on the internet, because they tend to obtain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the mass media than others. Third, most teachers need ``Expanded awareness of ESD`` and ``Expansion of teaching materials on ESD` to support the activation of ES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activate ESD of elementary school if ESD is included in curriculum after expanding the awareness and forming an educational consensu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need the awareness cultivation and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teachers on ESD to activate ESD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on ESD, expansion of mor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 KCI등재후보

        한국교육의 역사 속에서 살펴본 "초등교육"의 의미와 특성

        정윤경 ( Yun Kyoung Ch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3

        본고는 초등교육의 의미가 한국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형성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은 교육대상인 아동, 교육과정(교육목적과 내용), 초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본고의 시기 구분은 초등교육을 담당한 학교 명칭의 변화를 준거로 하여, 서당시기(조선), 소학교 시기(갑오개혁∼1906년), 보통학교 시기(1906년 보통학교령∼1941년 초등학교령 이전), 국민 학교 시기(1941년 국민학교령∼1996년), 초등학교 시기(1996년 이후)로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Ⅱ장에서는 초등교육 대상인 아동을 보는 관점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고, Ⅲ장에서는 교육과정(또는 교재)에 나타난 초등 교육목적과 내용, 그리고 시대사회적 배경 속에서 초등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볼 것이다. Ⅳ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한국 역사 속에서 초등교육의 의미와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초등교육의 과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have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Korean history. The analysis is done with focusing on the meaning of child(subject of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aims & content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social percep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he period of analysis is classified on the basis of change of elementary school names. The period of analysis is as follows: Seodang period(Chosun Dynasty), the Gabo Reformation -1906, 1906-1941 elementary education rules, 1941-1996(the year of changing school name into elementary school), after 1996.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meaning of a child through Korean history was analyzed in ch. Ⅱ. The aims, contents, and social perceptions of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period were searched in ch. Ⅲ. Based on the discussion so far,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were discussed and the tasks for develop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 수학 영재 교육에 대한 미국 사회의 이슈와 쟁점: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김리나 ( Ri Na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2

        초등 수학 영재 교육과 관련된 국제적 이슈와 쟁점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본 연구 에서는 미국에서 진행된 선행 연구 사례에 대해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른 국가의 연구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수학 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들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 여, 국내 연구에서 놓친 부분에 대해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술지에 게 재된 연구물, 관련 서적, 초등 수학 영재 교육 관련 단체의 웹사이트 신문 기사 등에 대한 폭넓은 자료 수집과 이에 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초등 수학 영재 교육과 관련한 세 가지 이슈를 도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쟁점, 「초등 수학 영재 교육과 창의성 신장 교육」, 「초등 수학 영재 교육에서의 다문화 학생 차별」, 「초등 수학 영재 교육에서의 남녀 차이」에 대해 한국 연구 사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초등 수학 영재 교육 관련 미국의 이슈와 쟁점분석에서 미국 연구의 방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첫째, 수학적 창의력 신장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는 현재 미국 연구의 흐름을 감안할 때, 초등 수학 영재 교육으로 인해 사회에서 얻게 될 이익은 무엇이라는 시각에서 초등 수학 영재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알수 있다. 수학적 창의력 신장 교육은 수학 자체뿐 아니라, 사회의 문화와 경제 성장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둘째, 최근 미국 초등 수학 영재 교육에서는 그동안 소외되었던 사회적 약자들을 어떻게 초등 수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 안에 포함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의 초등 수학 영재 교육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In order to broaden our perspectives towards International issues and discussions about research on mathematics gifted child,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s published in U.S. This literature review may provide opportunities for us to understand the missing points in research on mathematics gifted child in South Korea. I analyzed academic journals, books, web-sites, and articles from newspapers, which focused on mathematics gifted child. Based on the wide ranges of review processes, I found the three major issues regarding research on mathematics gifted child in U.S.; Creativity education in mathematics gifted child education,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ed students in mathematics gifted child education, and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mathematics gifted child education. Comparing to the discussions regarding major issues in mathematics gifted child education in U.S, and South Korean, this study provides new and in-depth perspectives and ideas to both countries. From the analysis of major three issues, I also found changes of research streams in U.S research on mathematics gifted child education. Considering U.S. discussions about creativity in mathematics gifted child education, I assume that they may focus on social benefits from mathematics gifted child education. Moreover, I notice that the efforts to involve students who were marinated from the society in mathematics gifted child education. The undertrading of current issues and discussions on research on mathematics gifted child ma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to South Korea.

      • KCI등재

        초등 안전교육에서 학습 지도의 기본 원리와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

        이언주 ( Lee Eon Ju ),유병열 ( Yu Byung Yul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최근 우리 사회와 학교에서 안전교육은 대폭 강화되어 가고 있다. 더욱이 국가에서는 학교 안전교육을 혁신적으로 개선, 강화하기 위해 초등 1, 2학년 교육과정 속에 안전교육 시간을 별도로 설치해 놓고 이를 역점을 두어 지도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실제적인 안전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마땅하고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미미하며 특히 안전교육 학습 지도의 기본적인 과정 내지 절차 및 유용한 수업 모형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시피 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의식에 터하여 초등 안전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의 원리 및 일반적 과정·절차를 탐구하는 데 주안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먼저 국가적 수준과 안전교육 기관·기구 수준 및 학자·전문가들 수준에서 제시되고 있는 여러가지 안전교육 지도 이론들을 검토하여 초등 안전교육 학습 지도의 기본원리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러한 원리들에 기초하여 초등 안전교육 교수·학습의 일반적 과정·절차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하여 인지적 측면과 행동적 측면 및 정의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추구하여 종합적 안전 능력의 함양을 지향하는 일반 모형을 제시한 후 이 모형의 전체적 및 단계별 운영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앞으로 초등 안전교육 교수·학습을 보다 실효적으로 운영하는 데 긴요한 구체적인 하위 수업모형들 또한 연구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 안전교육을 위한 수업모형들은 적어도 실천체험 중심, 탐구 중심, 직접 교수 중심이라는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수업모형들이 강구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다만, 초등 안전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모형 관련 탐구가 이 연구에서 논의된 것들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앞으로 보다 많은 이론적·실증적 연구들이 수행되어 안전교육의 적합성과 실효성을 더욱 제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Recently, safety education has been strengthened in our society and schools. Furthermore, in order to innovate and strengthen the school safety education, the nation is requesting to set up the safety education time separately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curriculum and emphasize it. However, there is little study on how effective and proper the safety education in schools should be made. In particular, there is almost no study on the basic processes and procedures of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and useful teaching models.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principles and general processes and procedur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based on this probl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various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theories which are presented at national level, safety education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level and scholar experts level, and examined basic principles of elementary school ㆍ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Then, based on these principles, the general process and procedur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elementary safety education should be investigated to pursue the cognitive aspect, the behavioral aspect and the affective aspect integrally, After presenting the model, we discussed the overall and stepwise management plan of this model. This study explored the general process and procedures of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specific subordinate instruction models that are important for more effective 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uture. Specific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ructional models for elementary school safety education should be modeled in at least three directions: practice and experience, inquiry, and direct instruction. However, it should not remain in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and mor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further improve the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