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허학회가 걸어온 길과 이태준 연구의 전망

        이봉범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This article was written as part of an academic conference to commemorat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Sanghur Society. I reviewed meaningful academic practices in the course of the Sanghur Society and sought ways to critically develop their unfinished achievements. I suggested two things. First, there is a need to reset the identity and function of the society.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existence and society functions of the society due to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onfusion of the society and the deepening asymmetry betwee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researchers. The society and the researcher are one body. At the external level, it is necessary to focus on adjusting the society environment centrally, while seeking a method to protect and enhanc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researchers. It is a time when efforts to find a way out are urgently needed as the field of academic activities is drastically reformed, including active participation in the Open Access movement. Reorganization of society activities focused on holding academic conferences, publishing academic journals, improving the editorial system of academic journals, and practical orientation of academic solidarity based on academic publicity. Second, as the prospect of Lee Tae-joon’s literature research, an integrated south korea labor party affiliation literary study was proposed. It is necessary to take Lee Tae-joon’s research, which has been practiced for 30 years by the Sanghur society, to restore the reality of the south korea labor party affiliation literature centered on Lee Tae-joon, to dismantle the widow of the Cold War division, and to start research on inter-Korean integrated literary history again. It is the mission given to us by the history of literature to restore the unrestored things that have passed through 40 years of exclusion and prohibition and 30 years of lifting. 이 글은 상허학회30주년 기념 학술대회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상허학회의 역정에서 의미 있는 학문적 실천들을 개관하고 그 미완의 성취를 비판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봤다. 두 가지를 제안했다. 첫째, 학회의 정체성과 그 기능을 재설정할 필요성이다. 학회의 난립과 한국연구재단/학회·연구자 간 비대칭성의 심화 등 여러 내·외적 요인으로 말미암아 학회의 존립 및 그 학술적 기능을 수행하기가 곤란한 형편에 처한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학회와 연구자는 한 몸이다. 대외적인 차원에서 학술 환경을 우리 중심적으로 조정하는 데 주력하는 한편 연구자의 권익을 보호·신장시킬 수 있는 방법적 모색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오픈 액세스(OA) 운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비롯해 학회활동의 영역을 과감히 쇄신하는 가운데 활로를 찾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학술대회 개최, 학회지 발간으로 치중된 학회 활동의 개편, 학회지의 편집체제 개선, 학술의 공공성에 기초한 학회 연대의 실질적 지향 등. 둘째, 이태준문학 연구의 전망으로 남북통합적인 남로당계 문인(학) 연구를 제안했다. 상허학회가 30년간 실천해온 이태준 연구를 한 단계 진전시켜 이태준을 구심점으로 한 남로당계 문인(학)의 실체를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냉전분단의 미망을 해체하는 동시에 남북통합적인 문학사 연구를 다시금 시작할 필요가 있다. 배제 및 금지의 40년, 해금(제)의 30년을 관통하고 있는 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복원(권)하는 일은 문학사가 우리에게 부여한 소명이다.

      • KCI등재

        ‘조선학/ 한국학’의 국교정상화: 한국학자들의 ‘조선학회’ 연차대회 참가와 아시아재단의 지원을 중심으로

        정종현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Joseonhakhoe(朝鮮學會) in Japan officially invited 10 Korean scholars to the 12th Joseonhakhoe(朝鮮學會) that was held in 1961. Behind this event that had been the first officially academic exchange, which was mad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following the liberation, there was an intervention of the Asia Foundation that is America’s private organization. In those days, the United States established the Asian security strategy centering on Japan and then suppressed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hich becomes its basis. Living up to American’s this strategy, even the Asia Foundation, which is private organization, gave their best to vitalizing a private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e Asia Foundation supported the expenses for the participation in Joseonhakhoe(朝鮮學會) of totally 10 Korean scholars at 12th Joseonhakhoe convention and totally 6 Korean scholars at the 14th convention. ‘Joseonhakhoe(朝鮮學會)’ in Japan is the research academy of Joseonhak(朝鮮學, Joseon studies), which was established in 1950 centering on researchers who had been in office as a professor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before the lost war. Joseonhakhoe(朝鮮學會), which was composed of Japanese colonial settlers who returned following Japan’s lost battle, had been put in the position of the non-mainstream in Japanese society after the war. Accordingly, an academic conference, which is opened by officially inviting Korean scholars, was ever a good opportunity that may emphasize what their colonial experience in the past is helpful for Japan. The view of the society can be observed through an English report that Korean participants contributed to a newspaper and a magazine and submitted to the Asia Foundation following the participation in academic conference. In a keynote speech of the 12th convention, Lee Byeong-do stressed identity and independence in ancient Korean culture, and criticized Japanese scholars’ perspective of a research on Nangnang, which had been the basis of heteronomy in Joseon history of Japanese Oriental studies in the past. Kim Du-heon proposed a change of terminology called ‘Joseon,’ which is used in the Japanese academic circles, into ‘Korea.’ Park Jong-hong, who is a keynote speaker at the 14th convention, asserted that the official language in Joseonhakhoe(朝鮮學會) should be changed into Korean language from Japanese language. The Korean scholars, who joined, sympathized with this, and progressed a debate in Korean language, thereby having allowed Japanese researchers to be astonished. As for Korean scholars, the participation in Joseonhakhoe(朝鮮學會) became an opportunity of perceiving self-identity as a researcher of ‘Korean Studies’ on de-colonization against a backdrop of the liberated country with escaping from ‘Joseonhak(朝鮮學)’ as part of the Oriental studies in the past and as the regional studies of the empire. 일본의 ‘조선학회’는 1961년 개최된 제12차 조선학회에 10명의 한국 학자들을 공식 초청했다. 해방 이후 한국과 일본 사이에 이루어진 첫 번째 공식 학술 교류였던 이 사건의 배경에는 미국 민간 기구인 아시아재단의 개입이 있었다. 당시 미국은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 안보 전략을 수립하고, 그 근간이 되는 한일 간의 국교 정상화를 압박했다. 이러한 미국의 전략에 부응하여 민간기구인 아시아재단도 한일 민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힘을 쏟았다. 아시아재단은 조선학회 제12회 대회에 총 10명, 14회 대회에는 총 6명의 한국 학자들의 조선학회 참여 경비를 지원하였다. 일본의 ‘조선학회’는 일본 패전 이전에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재직했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1950년에 설립된 ‘조선학’ 연구 학회이다. 일본 패전 이후 귀환한 재조선일본인 출신들로 구성된 조선학회는 전후 일본 사회에서 비주류의 위치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한국학자들을 공식 초청하여 개최하는 학술회의는 자신들의 과거 식민지 경험이 일본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했다. 한국 참가자들이 학술회의 참가 이후 신문․잡지에 기고하고, 아시아재단에 제출한 영문보고서를 통해 학회 풍경을 엿볼 수 있다. 이들 보고서에 따르면, 기조강연에서 이병도는 고대 한국문화의 독자성과 주체성을 강조했으며, 과거 일본 동양학의 조선사의 타율성의 근거가 되었던 일본 학자들의 낙랑 연구 관점을 비판했다. 김두헌은 일본의 학계에서 사용하는 ‘조선’이라는 용어를 ‘한국’으로 바꾸자고 제안하는가 하면, 14회 대회의 기조강연자 박종홍은 조선학회의 공식적인 언어를 일본어에서 한국어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참가한 한국 학자들이 이에 동조하여 토론을 한국어로 진행하여 일본 연구자들이 경악하는 장면이 보고되고 있다. 한국 학자들에게 조선학회 참가는 과거 동양학의 일환이자, 제국의 지방학으로서의 ‘조선학’에서 탈피하여 해방된 국가를 배경으로 한 탈식민지 ‘한국학’ 연구자로서 자기정체성을 자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근대 계몽기 지식인 단체 네트워크 분석 -학회보 및 협회보(1906~1910)를 중심으로

        전성규,허예슬,이여진,최장락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twork of intellectual groups in the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the Modern Enlightenment(1906~1910). First, the total number of members of each of the 11 groups, which had been estimated so far, was accurately identified based on the member list of each academic journal. Based on this database, network analysis was attempted using the network visualization program Gephi.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topographical maps of all 11 groups. Among the 11 groups, the Daehan-Hyeobhoe is the most central node and the hinge that mediates heterogeneous groups. This position itself represents the moderateness and expandability of the Korean Association to become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of the peopl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osition of the Daehan-Hyeobhoe as a hub that mediates several hubs between multi-centric hubs.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is of 11 groups was conducted through modularity measurement. As a result, the computer classified group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Japan into one small group. Because the overlap of members of these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ocieties, it was judged that they had a single sequence. However, when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detail, it was confirmed that many of the overlapping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 groups in Japan belonged to the members of the domestic branch. In the past, Daehan-heung-hakhoe was mainly meant as an integrated organization of foreign students in Japan, including Daehan-hakhoe and the Taegeuk-hakhoe. However, it is judged that branch members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ratio of duplicate members, and relatively few members of the main body in Japan have flowed into the Daehan-heung-hakhoe. Through network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new people migrated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aehan-heung-hakhoe. As a result of examining information on some of the people who joined only the Daehan-heung-hakhoe, some of them included groups that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of the 1920s. There is very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future activities of those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dern Enlightenment Society movement. If the information on people who were active in various aspects of literary fields and cultural and social movements is adde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on modern Enlightenment journal materials will also be overcome. Finally, information on some of the people who were listed in various group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through the Out-Degree figure was investigated. Among those who were active in 3-5 groups, many were from Ham-gyeong-do (province) and Pyeong-an-do(province). As a result of regional statistics of people with high out-degree, Yeongheung and Yeongyu regions in Pyeong-an-do were the most prominent. In particular, this area has been a place where enthusiasm for civilization and modernization has been high, and economic movement was promoted due to abundant resources such as mines. These groups started their movement based on the region and some classes at first, but they are gradually expanding the base of participation classes and mobility. They put their efforts into the expansion of branches, and through the production of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magazines, they formed the basis of public opinion. At that time, the group movement was considered a movement for the country and the people. With various directions and purposes, various groups intended to reach all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본 연구는 근대 계몽기(1906~1910)에 발간된 학회보 및 협회보를 대상으로 지식인 단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우선 각 학보의 회원명부란을 중심으로 그간 추정에 머물러 왔던 11개 각 단체의 전체 회원수를 정확도 높게 파악하였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 시각화 프로그램 Gephi를 사용해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우선 11개 전체 학회 지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11개 학회 중 대한협회는 가장 중심성이 높은 노드이자 이질적인 그룹을 매개하는 연결점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는 대한협회가 인민의 대표기관이 되고자 표방한 중도성, 확장성을 그 자체로 대변하고 있다. 다 중심적 허브들 사이에 여러 허브를 매개하는 허브로서 대한협회라는 위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듈성(modularity) 측정을 통해 11개 단체의 소집단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는 대한학회, 태극학회, 대한흥학회 등 재일유학생 단체를 하나의 소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단체의 회원의 겹침이 다른 학회들보다 많았기 때문에 하나의 계열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분석을 구체적으로 진행하였을 때 재일유학생 단체끼리 겹치는 회원 중 상당수가 국내 지회 회원 소속으로 확인되었다. 그간 대한흥학회는 대한학회와 태극학회를 비롯한 재일유학생의 통합 단체로 주로 의미화되었다. 하지만 지회 회원이 중복회원의 비율 중 상당수를 차지하고 상대적으로 일본에 있는 본회 회원들 중에는 대한흥학회로의 유입이 적었다고 판단된다. 재일유학생단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그동안 일본 유학생의 흡수와 통합으로 설명된 커뮤니티의 성격이 재의미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근대 계몽기 학회 운동에 활발히 참여한 사람들의 이후 행적에 대해서는 정보가 매우 소략한 실정이다. 실업이나 교육 외에도 문학운동, 문화와 사회 운동의 다양한 측면에서 활동한 인물들에 정보가 추가될 경우 근대 계몽기 학보 자료의 연구의 제한성 또한 재고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Out-Degree 수치를 통해 여러 단체에 이름을 올리며 학회 운동에 높은 관심을 가진 인물들 중 일부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였다. 3~5개 단체에서 활동한 사람들 중에는 함경도와 평안도 지역 출신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Out-Degree가 높은 인물들의 출신지역 통계를 내본 결과 평안도 영흥, 영유 지역이 가장 두드러졌다. 이 지역은 특히 예전부터 문명개화와 근대교육에 대한 열의가 높았던 곳이었을 뿐만 아니라 광산 등 자원이 풍부해 실업이 진흥되던 곳이었다. 그러한 이유로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서우학회, 서북학회 등 여러 학회들이 지회 설립에 공을 들였던 곳이기도 하다. 실업가들이 다양한 학회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근대계몽기 학회 및 협회는 처음에는 지역을 기반으로, 일부의 계층을 중심으로, 그 움직임을 시작하였지만 점차 참여계층과 활동의 기반을 넓혀나가는 운동성을 띠고 있다. 많은 단체들이 지회와 지교의 확장에 힘을 쏟았고 신문이나 잡지와 같은 매체의 생산을 통해 담론적 실천으로서 여론의 기반을 만들어 나갔다. 이 당시 단체운동은 국가와 국민을 위한 운동으로 사념되었다. 다양한 방향성과 목적성을 가지고 여러 단체들은 자신이 개척하는 언로가 한반도 곳곳에 닿기를 기도하였다. 단체와 회원을 중심으로 ...

      • KCI등재

        국고(國故)와 문고(文庫) -조선어문학회의 출판활동을 중심으로

        이용범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publishing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 AKL) in the 1930s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heritage arrange movement(國故整理運動). Unlike Japan and China, Sinographic texts, not Hangeul texts, was considered to be the main national heritage in colonial Korea. The publication work of the AKL was closely related to the trend of the contemporary publishing industry. The first publications of the AKL were Journal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報) and a library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eries(朝鮮語文學叢書). Journal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has a high proportion of primary sources and tends to gradually expand, and a change of direction to the collection of primary data is also observed for the library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eries. As the research level of the AKL participants deepened, it is believed that they began to focus on the basic work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primary data, avoiding the presentation of substandard research results. The commercial success enjoyed by Shinseonsa(新朝鮮社)’s Yeoyudangjeonseo(與猶堂全書) was to show the marketability of the national documents. The <Collection of Korean Literature(朝鮮文學全集)> of the JoongAng Inseogwan(中央印書館) was a project aimed at the proven marketability. Lee Byung-gi(李秉岐, 1891~1968) and Kim Tae-joon(金台俊, 1905~ 1949), who were named as proofreaders, were also the most widely known scholars in the Korean Literature study of the time. In contrast to the early publication works of AKL, which relied heavily on their own account, importan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e investment of publishing capital in collaboration with the JoongAng Inseogwan. ‘Chunhyang fevor(春香熱)’ in the mid to late 1930s gave great strength to the editor’s <Korean library(朝鮮文庫)>. The publication of <Korean library>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academic society to reunite by reuniting those who had been distant from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as a venue for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with the help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ecturer Kim Tae-joon. Lim Hwa(林和, 1908~1953), the editor of <Korean library>, also devoted himself to academic training and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his later writing in the New literature hitsory(新文學史). <Korean Library> was written in Hangeul, so that the readership of the “imagined nation” was broader than the former Sinographic-based publications in the national heritage. The release and commentary by professional scholars added along with the Hangeul notation suggested the direction of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he wide social spread of the most advanced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time, <Korean library> showed the most ideal form of the National Treasury Reorganization Movement. 이 논문은 1930년대 조선어문학회의 출판활동을 국고정리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국문’ 문헌이 논의의 중심이 된 일본과 중국과는 달리, 식민지 조선에서는 한문문헌 중심성이 두드러진다. 조선어문학회의 출판작업은 당대 조선 출판계의 동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학회의 최초 간행물은 기관지 조선어문학회보 와 <조선어문학총서>였다. 조선어문학회보 는 1차자료의 비중이 높고 점차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며, <조선어문학총서> 또한 자료집으로의 방향전환이 관찰된다. 동인들의 연구수준이 심화됨에 따라 수준미달의 연구성과 발표를 지양하고, 1차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토대작업에 힘을 쏟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신조선사의 여유당전서 가 만끽한 상업적 성공은 국고문헌이 지닌 시장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중앙인서관의 <조선문학전집>은 검증된 시장성을 노린 기획이었다. 교열자로 이름을 올린 이병기와 김태준은 당대 조선문학 연구의 가장 널리 알려진 학자이기도 했다. 조선어문학회의 초기 출판작업이 자비(自費)에 크게 의존하는 것이었던 것에 반해, 중앙인서관과의 협업에서는 출판자본의 상황판단과 투자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1930년대 중후반의 ‘춘향열’은 학예사의 <조선문고>에 큰 힘을 실어주었다. <조선문고> 간행작업은 한국문학 연구에서 멀어졌던 동인들이 재결집하여 학회가 재생하는 계기이자, 경성제대 강사 김태준을 매개로 학문 후속세대들을 육성하는 장이기도 했다. 학예사 편집인 임화 또한 학문적 훈련에 함께 매진하며 훗날 신문학사 서술의 기초를 닦을 수 있었다. <조선문고>는 한글표기를 전면화하여 기존의 한문 위주의 국고 간행작업보다 더 폭넓은 ‘상상된 국민’을 독자층으로 삼았다. 한글표기와 함께 부가된 전문학자의 해제와 해설은 국고문헌 해석의 방향성을 제시해주었다. 당대 가장 고도화된 학문적 성과의 폭넓은 사회적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조선문고>는 국고정리운동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문학과 사회, 그리고 문학연구 - 상허학회 20주년과 국문학 연구

        강진호 상허학회 2013 상허학보 Vol.37 No.-

        This writing is about a opinion of history and study record of Sanghur Study Society which reach its 20th anniversary. On second thought, launching of Sanghur Study Society is in collusion with the flow of academic activity which was started genuine then. Chief scholars who took lead Sanghur Study Society and Institute for Research in Collaborationist Activities was student who was political activists. They attended university in 70-80, and they indirectly experienced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y learned Marxian study way through studying social science. They are the case of a social movement through study activity instead of labor site. For that reason, they studied realistic issues and problems facing society. Their 3 main study issues were division literature, North Korean literature, and feminist Literature. These parts of studies are poor today but still have to go on caues the problems are not solved perfectly. For example, although people face away the overcome division rather then showing their will , if division literature is not the end unification but should contain all the tragic parts of human beings, it should not be halted and so does the North Korean literature. North Korean literatures were ruled by history and principles different from our own and more political. To plan unification literature, it is important to check homogeneity but studying difference is also important to communicate. Lastly, studying feminism is important because it raise problems which is valid today. These days, environment surrounding women is complex and diverse more then ever. Accelerating separation breaks belief of pure blood and makes women from Southeast Asia and North Korean defector to be a stranger. On this situation, feminism needs to be reorganized in a plural and complx way. Thus, The 386 generation scholars has stuck to resolve the realistic problem. The tendency of recent scholars is de-social and de-realistic and very instersting but need so be self-examinated. 이 논문은 상허학회 20주년을 기념해서 학회를 만든 사람의 하나로서 학회 태동 당시의 취지와 이후 진행된 연구에 대해서 정리한 글이다. 돌이켜 보자면, 상허학회의 출범은 당시 본격화된 학술운동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하고 있었다. 상허학회와 민족문학사연구소를 주도했던 소장 학자들은 대부분 학생운동권 출신이었다. 1970년대 후반 혹은 1980년대 초반에 대학을 다녔고, 광주항쟁을 직·간접으로 경험했으며, 사회과학 공부를 통해서 마르크스주의적 연구 방법론을 습득한 사람들이었다. 그런 관계로 이들은 현실 참여적이고, 사회의 당면문제와 긴밀하게 연동되는 내용으로 연구활동을 수행하였다. 이들이 주목한 대표적인 연구는 1)분단문학 연구, 2)북한문학 연구, 3)여성문학 연구이다. 이 세 주제의 연구는 모두 최근 들어 저조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지만, 그럼에도 이들 주제가 제기한 문제점이 여전히 미해결의 상태라는 점에서 앞으로도 연구는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가령, 주변에서는 분단극복의 의지를 내세우기보다는 그것을 외면하는 경향이 늘고 있지만, 분단문학이 통일이 종점이 아니라 통일이 된 이후에도 인간 존재의 모든 비극을 극복하려는 의지까지 담아야 하는 것이라면, 현실을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해결의 실마리를 모색하는 일은 중단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북학문학 연구의 경우도 동일하다. 북한문학은 우리와는 다른 역사와 원리에 의해서 규율되어 왔고, 또 훨씬 정치적이다. 통일문학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동질성의 기반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이질성의 영역도 탐구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페미니즘 연구가 오늘날도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제기한 문제의식이 여전히 유효한 까닭이다. 오늘날 여성들이 처한 환경은 전에 비해 훨씬 더 복잡하고 다양하다. 지구촌 시대에 가속화되는 이산의 상황은 한국 사회 내부의 순혈주의 신화를 파괴하고 동남아시아 신부, 탈북자 등을 우리 안의 타자로 양산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페미니즘은 지난 시절의 도식적 인식에서 벗어나 다원적이고 복합적인 차원에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386세대 연구자들은 개인적인 주제와 연구 영역은 달랐으나 현실의 문제를 인식하고 그것을 어떤 식으로든지 해결하려는 자세를 견지해 왔다. 최근 젊은 연구자들이 보여주는 탈현실, 탈사회의 경향은 흥미롭지만 한편으로는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성찰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해방 후 한글전용론의 주체, 방법, 범위의 문제 - 조선어학회의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과 김기림의 우리말 논의를 중심으로

        이재은 상허학회 2014 상허학보 Vol.41 No.-

        This essay reviewed the backgrounds of 'the Recovery Movement of Korean Words,' develope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Subsequently, it examined the problematic aspects about the controversy over the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Recovery Movement of Korean Words' began under the universal and full support from top to bottom. However, this movement was embroiled in controversy due to the abolition of Chinese characters, argued by Choi Hyeon Bae, highlighting the creation of new words, carried in the textbooks without people's consensus. Choi Hyeon Bae who was a key figure of the Chosun Language Society and editing director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ernalized the logic of national rebirth from the colonial period. He clung to have the pure words based on a pure-blooded nation. In this regard, the author of this essay takes note of four relevant writings of Kim Gi Rim published at the same time;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style (Nov. 1948)," "The path of a new style(Mar~Apr. 1949)," "The creation of new words (Jul. 1949)," and "the reality of Chinese Character (Oct. 1949)." His writings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Recovery Movement of Korean Words‘ and demonstrated the aspect of ideal language movement, even though he admitted that the Recovery Movement of Korean Words would be significant. Judging from his argument in his writing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left-wing movement was proclaimed as being illegal and becoming a member of the Federation Protecting and Guiding the Public was forced by going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government, his argument in his writings must have implied an urgent and critical aspect. To elucidate this matter, this essay reviewed the new words like "the ingenious public" suggested by Kim Gi Rim, and analyzed the claims of him who argued that the unification of the writte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should be an ultimate goal in an attempt to change the style going beyond the aspects of words. Put simply, Kim Gi Rim believed that democracy which puts the public into the priority in view of social and cultural aspects c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settlement of the language life based on the unification of the written language and spoken language. Choi Hyeon Bae and Kim Gi Rim set different subjects, methods, and scopes and designed the concepts of language. The former dealt with the efficient methods, which could acquire the standards which are inclusive of a special man who felt the necessity within the realm of words, while the latter considered the styles based on the free language life by putting up the public as subjects. At that time, the formation of the style was problematic in a sense that the style indicates the realm beyond the colligation of words. For Kim Gi Rim, the space of liberation was the place to make it possible to realize such ideal. 이 글은 해방 이후 전개된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의 배경을 검토하고 이 운동에서 제시된 한자폐지론과 이 논의의 문제적인 국면을 살폈다.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은 위·아래의 보편적이고도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면서 시작되었지만, 교과서에 대중적인 합의 없이 실린 ‘창조된 새말’과 최현배로 부터 강하게 주장된 한자폐지론 때문에 논란에 휩싸였다. 조선어학회의 주요 인사이자 문교부 편수국장에 있었던 최현배는 식민지기부터 민족갱생의 논리를 내면화한 인물로서, 민족적 순혈주의에 입각하여 순수한 우리말을 갖는 것에 집착하고 있었다. 여기서 함께 주목한 논자는 김기림과 그가 동시기에 발표한 「새 문체의 확립을 위하여」(1948.11), 「새 문체의 갈길」(1949.3~4)), 「새 말 만들기」(1949.7), 「한자어의 실상」(1949.10.)이 네 편의 글이다. 그는 이 일련의 글들을 통해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의 의의를 인정하면서도 그 문제점을 자세히 분석할 뿐만 아니라, 그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언어운동의 양상을 제시하고 있었다. 단정 수립을 거치며, 좌익운동이 불법으로 선포되고, 보도연맹에 가입해야 만하는 상황 하에서도 이 논의를 제출해야만 했다면, 이 논의들이 내포하고 있는 긴급하고도 중대한 측면이 분명히 있었을 것이다. 본고는 이를 해명하기 위해 김기림이 제시한 “천재적 대중”의 새 말들을 검토하고, 어휘의 차원을 넘어 궁극적으로 ‘문체’의 변화를 꾀하되, ‘언문일치’를 목표로 해야 한다는 그의 주장들을 분석했다. 김기림은 그러한 언어생활의 정착을 통해서 사회·문화적인 차원에서 대중을 우선이자 보편·표준으로 삼는 ‘민주주의’가 정착될 수 있으리라고 여겼던 것이다. 최현배와 김기림 등은 각각 다른 주체, 방법, 범위를 내정하고 언어의 자장을 설계했다. 전자의 경우, 필요를 느낀 특별한 일인으로부터 비롯하여 효율적으로 표준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을 특히 ‘어휘’적 차원에 국한해서 다루고 있었다면, 후자의 경우는 대중을 주체로 내세워 자유로운 언어생활에 기반을 둔 문체까지를 고려하고 있었다. 이때 그 ‘문체’가 형성하는 것은, 제도가 규정지을 수 없는 차원에서 어휘들의 종합 이상의 영역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문제적이었다. 김기림에게 해방공간은 그러한 이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거나, 가능하게 해야만 하는 공간이었다.

      • KCI등재

        현대소설사와 이태준의 위상 - 이태준 연구와 향후의 과제

        강진호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In this paper, I want to show the accomplishment and the limit of lee tae joon’s literature through the structure and logics of the art in his novel. Lee’s novel was against to the philistinism of modern capitalism. His art was one of the main reaction to that, so the art had the meaning including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at. But before researches approached that just as a formal skill, so they could not explain of lee’ art well. In lee Tae Joon’s novel, the concept of art includes a contradictory idea for collective nations. Because he understand the unfairness of modern philistinism as the same realities of the colonial, he regarded art as a true practice for peoples who supper from the japanese colonist. Therefore his concept of art combines with nationalism ‘in the beginning’. That regulates the quality and achievement of his art. After the mid 30’s, lee tae joon was in pursuit of art in earnest but the inner world that included enlightenment impetus regulated critical tension of art. His novel was in pursuit of the images and spatial structure which against the cognition of the modern capitalism. however that could not go ahead to the level of ideology. Late in the 30’s, Lee’s novel certainly showed the impetus for enlightenment. But that did not maintain critical insight, so his novel went wrongness. 본고는 이태준 소설이 추구하는 예술의 구조와 논리를 시기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예술 자율성을 통해 상허 문학이 성취한 의의와 한계를 해명하고자 했다. 상허 소설은 이윤추구의 목적성이라는 경제논리에 따라 진행되는 자본주의적 근대의 속물성을 30년대 식민지 현실의 주요한 모순으로 인지하였고 ‘예술’은 그러한 근대의 속물성에 대한 문학적 대응의 방식으로서 상허 소설의 인식과 실천을 포괄하는 의미가 있다. 상허의 예술 개념에는 집단적 이념으로서의 ‘민족’이 모순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식민지 근대의 속물성을 그것의 강압적인 주체인 일제와 연결시키는 상허는 근대의 부정성에 침윤된 생활현실을 벗어나 경제논리에 훼손되지 않은 예술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를 민족적인 현실에서 찾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예술 개념은 처음부터 민족주의라고 하는 식민지 지식인의 계몽적 윤리감과 결합됨으로써 상허 소설이 보여주는 예술 자율성의 질과 성과는 이로부터 제한을 받게 된다. 30년대 중반 이후 상허는 미적인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대상인식을 통한 예술을 추구하지만 예술가의 내면에 존립하는 계몽주의자의 이질적인 충동이 예술의 근대비판적 장력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미지와 공간적인 구성은 형식을 통해 근대의 동일시적인 사유와 효용적 지배연관에 대한 항의를 표현하지만 여전히 근대에 대한 부정성을 이념적인 차원으로까지 고양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것은 30년 후반 그가 예술의 비판적 가능성을 포기하고 행동적인 실천을 추구하는 데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예술의 자율성이 전제로 하는 생활과의 분리를 거부하고 현실 속에서의 행동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인데, 그러나 현실과의 비판적 거리를 상실하고 현실의 유입과 행동적 실천 자체가 목적으로 추구됨으로써 현실참여를 강요했던 일제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흡수되는 동참의 위험을 보여주는 것이다. 30년대 후반 근대주의의 맹목성이 폭력적으로 관철되는 시기 상허는 예술의 자율성을 포기함으로써 오히려 지배현실을 추수하는 오류를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이태준 문학과 예술 자율성

        송인화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In this paper, I want to show the accomplishment and the limit of lee tae joon’s literature through the structure and logics of the art in his novel. Lee’s novel was against to the philistinism of modern capitalism. His art was one of the main reaction to that, so the art had the meaning including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at. But before researches approached that just as a formal skill, so they could not explain of lee’ art well. In lee Tae Joon’s novel, the concept of art includes a contradictory idea for collective nations. Because he understand the unfairness of modern philistinism as the same realities of the colonial, he regarded art as a true practice for peoples who supper from the japanese colonist. Therefore his concept of art combines with nationalism ‘in the beginning’. That regulates the quality and achievement of his art. After the mid 30’s, lee tae joon was in pursuit of art in earnest but the inner world that included enlightenment impetus regulated critical tension of art. His novel was in pursuit of the images and spatial structure which against the cognition of the modern capitalism. however that could not go ahead to the level of ideology. Late in the 30’s, Lee’s novel certainly showed the impetus for enlightenment. But that did not maintain critical insight, so his novel went wrongness. 본고는 이태준 소설이 추구하는 예술의 구조와 논리를 시기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예술 자율성을 통해 상허 문학이 성취한 의의와 한계를 해명하고자 했다. 상허 소설은 이윤추구의 목적성이라는 경제논리에 따라 진행되는 자본주의적 근대의 속물성을 30년대 식민지 현실의 주요한 모순으로 인지하였고 ‘예술’은 그러한 근대의 속물성에 대한 문학적 대응의 방식으로서 상허 소설의 인식과 실천을 포괄하는 의미가 있다. 상허의 예술 개념에는 집단적 이념으로서의 ‘민족’이 모순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식민지 근대의 속물성을 그것의 강압적인 주체인 일제와 연결시키는 상허는 근대의 부정성에 침윤된 생활현실을 벗어나 경제논리에 훼손되지 않은 예술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를 민족적인 현실에서 찾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예술 개념은 처음부터 민족주의라고 하는 식민지 지식인의 계몽적 윤리감과 결합됨으로써 상허 소설이 보여주는 예술 자율성의 질과 성과는 이로부터 제한을 받게 된다. 30년대 중반 이후 상허는 미적인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대상인식을 통한 예술을 추구하지만 예술가의 내면에 존립하는 계몽주의자의 이질적인 충동이 예술의 근대비판적 장력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미지와 공간적인 구성은 형식을 통해 근대의 동일시적인 사유와 효용적 지배연관에 대한 항의를 표현하지만 여전히 근대에 대한 부정성을 이념적인 차원으로까지 고양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것은 30년 후반 그가 예술의 비판적 가능성을 포기하고 행동적인 실천을 추구하는 데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예술의 자율성이 전제로 하는 생활과의 분리를 거부하고 현실 속에서의 행동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인데, 그러나 현실과의 비판적 거리를 상실하고 현실의 유입과 행동적 실천 자체가 목적으로 추구됨으로써 현실참여를 강요했던 일제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흡수되는 동참의 위험을 보여주는 것이다. 30년대 후반 근대주의의 맹목성이 폭력적으로 관철되는 시기 상허는 예술의 자율성을 포기함으로써 오히려 지배현실을 추수하는 오류를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논문 제목과 주제어의 공기어 네트워크로 본 『상허학보』의 30년

        이재연,한남기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This article is designed to commemorate the 30th anniversary of the publication of Sanghǒ hakbo, one of the most distinguished academic journal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It aims to approach the large spectrums of research topics in a quantitative way in order to grasp an important part of Korea’s history of literary studie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For this objective, I apply three quantitative methods to my analysis of Sanghǒ hakbo: 1) frequency analysis of the words comprising articles titles, 2) frequency analysis of titles as well as the keywords of the article, and 3)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of title words and keywords. In order to employ those approaches respectively in a diachronic analysis of the magazine, I divide its thirty-year run into three phases, each one decade in length (the first phase, 1993 to 2002; the second, 2003 to 2012; and the third, 2013 to 2022). Each phase correlates with one of three clusters on the co-occurrence network, and those three clusters yields the most reasonable results in explaining the major academic discourses of each phase. For instance, the most important words from Phase 1 include “fiction,” “discourse,” and “women”; ‘for Phase 2, “modern,” “subjectivity,” and “culture”; and for Phase 3, “cold war,” “North Korea,” and “women.” At the end of the paper, I briefly discuss how scholars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ave engaged with those academic topics while also summarizing the conference presentations. 이 논문은 『상허학보』의 발간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기획된 논문이다. 학회지에 게재된 한국문학 및 문화와 관련된 연구의 큰 흐름을 계량적 방법으로 접근하고 이 결과를 거시적 시야에서 통시적으로 파악함이 목적이다. 계량적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1) 논문 제목 어휘의 빈도분석, 2) 제목과 주제어의 빈도분석, 3) 제목과 주제어의 공기어 네트워크 분석이며 각각의 방식을, 10년 단위의 세 시기(1기: 1993년~2002년, 2기: 2003년~2012년, 3기: 2013년~2022년)에 맞춰 각각 실행할 것이다. 논문 제목보다는 제목과 주제어를 함께 했을 때가, 빈도 분석만 실행했을 때보다는 공기어 네트워크와 중심성(연결정도, 근접, 매개) 분석을 함께 고려했을 때가 좀더 정합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각 시기의 공기어 네트워크에서 상위 3개의 소집단을 구성하는 단어를 살펴보면, 1기는 ‘소설’, ‘담론’, ‘여성’이고 2기는 ‘근대’, ‘주체’, ‘문화’이며 3기는 ‘냉전’, ‘북한’, ‘여성’이다. 이 결과는 『상허학보』를 통해 찾은, 한국문학연구사의 한 흐름을 읽어낼 수 있는 지표라고 볼 수 있다. 논문 말미에서, 학술대회 발표를 정리하면서, 이들 지표와 관련한 학문적 주제를 연구자들이 논의해온 과정의 한 단면을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