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 안전문화 매개작용을 중심으로 -

        백승수,장길상,박창권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7~2021년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 중 40%가 협력사업장이며, 그 중 추락 · 끼임 · 부딪힘 등 기본 안전수칙 준수로 예방 가능한 사고가 전체의 62.6%(2021년 기준)이다. 따라서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안전문화 정착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정착을 위한 방안으로,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 조성과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단면조사 연구로서 2021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21년도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건설 · 제조 · 서비스업 7,308개소 중 제조업 협력사업장 739개소를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자료는 SPSS 통계패키지(ver. 21)를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협력사업장은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가 91개소 12.3%였으며, 산업안전보건 전담부서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94개소 13.9%로 대체로 산업안전보건체계 구축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와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원청의 안전지원은 협력 사업장의 안전문화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세부적으로는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협력사업장 경영진의 리더십은 부분매개작용이 있으며, 안전소통과 교육 및 제도는 완전매개작용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원청사업장의 적극적인 안전지원은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이 향상되어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협력사업장은 일반적으로 원청에 비해 안전능력이 부족하므로, 원청의 안전지원을 통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한 안전문화 정착으로 소속 근로자의 불안전한행동 제어를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유통산업의 ESG경영을 위한 임파워링리더십, 안전문화, 안전행동, 조직신뢰관계 연구

        김나경(Na Kyoung Kim)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9

        최근 기업경영의 핵심 패러다임이자 화두는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한 ESG경영이다. 급변하는 경영환경속에서 유통산업은 AI, 로보틱스 등 디지털전환(DX)을 통해 지속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려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나, ESG안전에 있어서는 산업적 특성을 고려한 대응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유통산업의 ESG안전경영을 위해, 임파워링리더십, 안전문화, 안전행동, 조직신뢰의 매커니즘을 규명하고, 임파워링리더십과 안전행동간 안전문화의 매개효과와 안전문화와 안전행동간 조직신뢰의 조절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유통업게 400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응답 16명을 제외한 384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주요변인 간 관계확인 및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5.0 Process Macro, AMOS 22.0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파워링리더십은 안전행동, 안전문화, 조직신뢰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리더십은 안전문화를 향상시키고 안전문화를 통해 구성원의 안전행동을 강화 · 촉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문화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안전문화를 통한 임파워링리더십과 안전행동간에 조직신뢰의 조절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통산업의 ESG안전스텐다드를 마련하고, 안전컴플라이언스 대응전략과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ESG management, which considers non-financial elements of companies, is the current emphasis of corporate management. To sustain development in the shifting business landscape, the distribution industry is exploring digital transformation(DX) initiatives like AI and robotics. However, to ensure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ESG) safety, industry-specific precautions must be taken. This study focused on the ESG safety management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It aimed to identify the mechanisms of empowering leadership, safety culture, safety behavior, and organizational trust. The study also empirically confirmed that safety culture acts as a mediator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Additionally, it found that organizational trust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a survey was performed online with a sample size of 400 worker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Out of the 400 replies, 384 were considered reliable for analysis after eliminating 16 dishonest responses. Th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SPSS 25.0 Process Macro and AMOS 22.0 to check the link between the main variables and test the hypotheses. The study reveal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d a large and beneficial impact on safety behavior and safety culture. Furthermore,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empowered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safety culture, hence strengthening and initiating safety-related actions among individuals. Furthermore, it was discovered that organizational trust acts as a moderating mediator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specifically through safety culture. The study confirmed that as the level of organizational trust increases, the positiv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safety behavior is enhanced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safety culture. The given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implementing ESG safety compliance response systems and safety processe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 KCI등재

        중소병원 간호사의 안전 동기, 상사 신뢰, 조직 의사소통 만족, 환자 안전 침묵이 근접 오류보고 의향에 미치는 영향

        김세진,정귀임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6

        This study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developing manage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near miss reporting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by identifying the degree of willingness of nurses to report near miss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willingness to report such occurrences. The participants were 205 nurses. who were recruited from the 4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with more than 200 beds in K-city, Gyeongnam Province.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self-administered from June 20 to July 20, 2019.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WIN 24.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egree of participants’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was 73.41 out of 100 points.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silence was 2.27 out of 5 points . The degree of the safety motivation was 3.22 out of 5 points . The degree of faith in supervisor was 4.01 out of 5 points .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organization's communication was 3.31 out of 5 points . The factor of patient safety motivation(β=.328, p<.001), patient safety silence(β=-.285, p<.001), and safety accident reporting procedure(β=.142, p=.021) were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report the near-miss level of nurses. The total explanatory power accounted for 26.2%. In conclusion, factors that affect the willingness of nurses to report near mis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were safety motivation, patient safety silence, and safety accident reporting procedure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willingness of nurses to report near mis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safety incentives should be enhanced through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s for individuals. Moreover, organizations should be applied to reduce patient safety silence. Additionally, the reporting procedure should be clarified and simplified so that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understand w the safety accident reporting procedure well and can access it easily.

      • KCI등재

        위험성평가의 실효성이 건설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진우(Jin Woo Park),박종용(Jong Yong Park),박소미(So Mi Park)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7

        고용노동부는 2022년 11월 중대재해감축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사망 · 사고 만인율을 OECD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기 위하여 위험성평가를 사고예방과 재발방지의 핵심수단으로 개편하는 한편 위험성평가의 문제점으로 어렵고 힘들다는 이유로 제대로 실시하지도 않고 근로자의 참여도 낮은 상황을 문제점으로 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한 위험성평가의 실효성이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본 연구를 통해서 위험성평가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위험성평가의 실효성과 안전행동의 관계와 위험요인인지의 매개효과를 구명하고자 서울, 경기지역의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25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프로그램인 JAMOVI를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사용하여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위험성평가 실효성은 안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β=0.135, p=0.01), 위험성평가의 실효성과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위험요인인지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69, p<.001).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위험성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근로자에게 위험성평가 교육과 외부 안전전문가 또는 안전전문기관의 컨설팅을 통한 방법이 필요하겠다.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November 2022, announced a major accident reduction roadmap, aiming to reduce the fatality and injury rate to the level of OECD advanced countries by revamping risk assessments as a key tool for accident prevention and recurrence prevention. They cited the difficulty and lack of proper implementation of risk assessments, as well as low worker participation, as major issu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influences workers' safety behavior, and contribute to the foundational data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s. The study surveyed 250 workers at construction sites in Seoul, Gyeonggi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s and safety behavior,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risk facto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JAMOVI,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s significantly influenced safety behavior (β=0.135, p=0.01), and perceived risk factors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s and safety behavior (β=0.269, p<.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s requires providing workers with education on risk assessments and utilizing consulting services from external safety experts or safety organizations.

      • KCI등재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기술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민경석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4

        본 연구는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기술의 적용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스마트도시의 교통, 의료, 환경, 자연 및 방범 분야에 대하여 안전관리와 연관성이 높은 스마트 기술인 AR, BIM, 빅데이터, 클라우드, IoT, VR, 로봇자동화, 드론 및 3D프린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매트릭스 평가법을 활용하여 안전관리전문가로 부터 각 분야별 스마트 기술의 적용성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교통분야의 경우 GPS, GIS 및 스마트 폰 앱을 통한 교통정보 수집, 처리를 위한 빅데이터 기술, 실시간 교통정보의 모니터링 및 차량, 도로, 신호기기 등 센서를 연동시켜 활용하는 드론기술, 다양한 수집정보의 교통패턴을 통한 예측모델 구축하는 IoT기술 등을 적용하여 스마트도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의료분야의 경우 원격진료, 건강관리, 약품처리와 감염병에 대한 예측 모델을 설정하는 로봇자동화기술, 환자와 의료진의 이동, 모니터링 기기의 부착 활용 및 공중보건 대응 데이터의 확보 등을 활용하는 드론기술, 의료기구, 보조기기 및 각종 인공 신체를 제작하고 다양한 의료모형 및 교육도구 제작할 수 있는 3D프린팅 기술 등을 통해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환경분야의 경우 수질, 대기 및 각종 환경요소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드론기술, 도시 내 환경데이터 수집을 위한 장소에 로봇을 활용하는 로봇자동화 기술, 건물, 차량 및 각종 인프라 시설 설치 및 수집하는 환경기반 IoT기술은 스마트도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자연분야의 경우 영상, 열화상 이미지, LiDAR스켄, 레이터 및 센서 등을 부착하여 다양한 데이터 수집 활용이 가능한 드론기술, 주택, 건물 및 각종 인프라 시설 설치와 환경 변화에 집약된 중앙 시스템과 연계 통합 관리가 가능한 IoT기술, 3D모델을 통한 풍수해, 한파․열사 및 지진에 대한 대응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BIM기술, 안전관련 데이터 수집, 통합 및 플랫폼을 구축하는 빅데이터 기술 등을 활용하여 스마트도시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방범분야의 경우 소리, 열, 광학센서 등의 이상신호의 발생감지 및 관할 경찰서와의 연계가 가능한 드론기술, 지능형 CCTV의 안면 및 차량인식 강화와 음성인식 기술에 대한 수집 분석이 가능한 IoT기술, AI기반 로봇의 배치 및 드론, IoT 기술과의 협업이 연계된 로봇자동화기술을 통해 스마트도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 KCI등재

        소방대원의 안전 위협 경험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이은숙,김나현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8

        본 연구는 소방대원의 안전 위협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연구 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소방대원들이 소방 활동 중 경험하는 안전 위협의 속성과 본질을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소방대원들에게 있어 안전 위협의 의미를 공감하고 이들의 안전 위협을 해소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보다 안전한 정서적 및 물리적 환경에서 현장 활동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21년 2월 8일부터 2021년 3월 25일까지이며, 연구 참여자는 경력 5년 이상~15년 미만의 안전 위협을 경험한 현재 현장 활동 중인 소방대원으로, 화재진압대원 7명, 구조대원 5명, 구급대원 6명이다. 참여자들이 원활한 상호작용으로 연구 목적에 맞는 풍부한 토론 여건이 조성될 수 있도록 화재진화를 주 업무로 하는 화재진압대원, 구조 활동을 주 업무로 하는 구조대원, 구급 활동을 주 업무로 하는 구급대원의 업무 분야별로 구분하여 총 3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6개의 하위범주(sub-category)와 10개의 범주(category)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2개의 차원(dimension)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2개의 차원은 ‘안전 위협 경험의 의미’와 ‘안전 위협 대처 방안’이다. 안전 위협 경험의 의미 차원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위험한 사고 현장으로 내몰림’, ‘엄습하는 공포를 억누르고 삶과 죽음의 경계 속으로 홀로 들어감’, ‘예기치 못한 아찔한 순간에 무방비로 던져짐’,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기최면으로 버텨냄’, ‘영웅 이미지로 내재화된 숙명’, ‘위험했던 돌발사고 경험이 강렬한 잔상으로 남아있음’, ‘생사를 넘나드는 아찔한 사고 경험이 일상에 투영되어 나타남’의 7개 범주가 나타났다. 안전위협의 대처방안 차원에는 ‘개인적 측면에서의 대처’와 ‘동료와의 관계를 통한 대처’, 그리고 ‘조직적 차원에서 요구되는 대처’의 3개 범주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소방대원들의 소방 활동 중 경험하는 안전 위협의 속성과 본질을 드러내고 안전 위협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여자들은 소방현장 활동 중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경험에 노출되면서 부정적인 정서와 행동 반응을 나타내기도 하였지만, 안전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개인적 노력 및 협력과 신뢰에 기반 한 동료와의 교류를 통해 안전 역량을 키워나가고 있었으며, 조직적 차원에서 필요한 대처 방안에 대해서도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체계 구축사업의 성과 및 발전방안 연구

        권자영(Ja Young Kwon),박향경(Hyang Kyung Park)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7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수행된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을 위한 보호체계구축사업’ 의 성과를 평가하고 사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양적연구는 사업의 성과관리 대장에 기록된 1,23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사전 · 사후 외상 후 성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는 9명의 사업수행담당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통해 사업수행과정에서 경험한 사업수행 시 어려웠던 점, 사업수행을 위한 문제해결 노력, 사업의 성과,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 등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N-vivo 9을 활용하였다. 양적연구 결과로는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직무외상의 유형가운데 직무상 폭력경험이 53.2%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 19.8%, 대리외상 18.5% 그리고 상실(사망경험) 8.6% 순으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차분석결과 성별, 연령, 소속기관의 유형과 직무외상의 유형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직무외상을 경험한 사회복지종사자에게 다양한 회복지원을 제공한 한 결과 사전 · 사후의 ‘외상 후 성장’을 측정한 결과 외상 후 성장의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었다. 질적분석 결과로는 첫째, 그간 조명받지 못했던 사회복지종사자 안전과 인권에 대한 인식개선과 의식이 향상되고 문제해결에 대한 개인, 조직, 사회의 공동책임의식이 높아졌다. 둘째, 관련 조례제(개)정과 사회복지기관의 안전한 물리적 환경 조성 등 보호와 안전체계의 기본 틀이 갖춰졌다는 점이다. 셋째, 사회복지종사자의 회복과 역량이 강화되었다. 끝으로 본 사업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발전방안으로 다양한 회복지원서비스 마련과 안전교육, 대처훈련 등의 개발, 사회복지종사자의 안전과 인권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 조직(기관)과 지역사회 환경의 변화, 그리고 관련 법적, 제도적 근거 마련 등의 과제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hievements of the “Establishment of a Protective System for the Safety of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project, which has been supported by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from 2019 to 2022, and to propose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project. To do this, a mixed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Quantitative research utilized data from 1,235 individuals recorded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records of the projec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9.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tabulation. Changes in pre-post traumatic growth among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were analyzed through paired-sample t-tests. Qualitative research involved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ith 9 project managers to analyze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project implementation, problem-solving efforts for project execution, project outcomes, and strategies for project sustainability. Data collected through FGI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and N-vivo 9.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ypes of job-related trauma, the proportion of subjects who experienced job-related violence was the highest at 53.2%, followed by 19.8% for other types, 18.5% for vicarious trauma, and 8.6% for loss (death experience). Second, cross-analysis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ge, type of affiliated institution, and type of job-related trauma. Third, as a result of providing various recovery support to social workers who have experienced occupational trauma, positive changes in “post-traumatic growth” were observed when measuring pre- and post-traumatic growth. This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n improvement in awareness and consciousness among social workers regarding safety and human rights, which had previously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here was an increased sense of personal, organizational, and societal responsibility for problem-solving. Second, the framework of protection and safety systems has been established, including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related regulations and the creation of a safe physical environment in social welfare agencies. Third, the recovery and capacity of social workers have been strengthened. As a development strategy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is project, several tasks have been identified. These include the development of various recovery support servic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safety education and coping training programs, providing continuous education on safety and human rights for social welfare practitioners, fostering relevant professionals, adapting to changes in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environments, and establishing relevant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 KCI등재

        건설산업에서 안전보건경영활동에 대한 경영진 태도의 중요성 - 안전보건조치 품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황성연,이슬기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8

        The law focuses on punishment targets and intensity of punishment with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which is designed to ensure that executives with critical authority, including investment in safety, fulfill their dut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erefore, to confirm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we will analyze the effect of management's attitude on safety and health measure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s attitude and safety.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the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attitude' and 'safety behavior level,' the "201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data was used. A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Kenny (1986) was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are as follows. 1) All three factors of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partially affect management's influence o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on workers' safety behavior. 2) When the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was included as a parameter rather than the direct impact of management's attitude on safety and health standards, management's active attitude is the main prerequisit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3) Among the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the direct influence and explanation of management's attitude toward "sufficiency" were the highest. Still, the parameter that made management's attitude explain higher safety behavior was "useful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amines the basis for introducing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based on data.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safety and health measures by management'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is essential. Management activitie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sufficiency but also the usefulness of workers' safety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it is significant that we have prepared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quality evaluation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연구동향 분석

        이건희,최서연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4

        국내 근골격계질환은 1997년 IMF 이후 각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계화, 자동화, 분업화 등 작업환경 및 작업방식의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져 근골격계질환 발생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또한 근로자들의 관심과 인식이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정부에서는 2003년부터 산업안전보건법 39조 개정을 통해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대한 유해요인 및 원인조사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산업현장에서는 근로자들의 안전과 작업 손실의 사전 예방을 위하여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필요성이 요구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새로운 관점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동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헌수집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등의 검색엔진으로부터 2003년부터 2022년까지 총 20년간 ‘근골격계질환’ 키워드가 포함된 국내 학위·학술 논문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653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10년을 주기로 1차 시기와 2차 시기로 구분하였고,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해 빈도(TF), 네트워크 분석 후 이를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연구의 상위 키워드 빈도(TF)는 전체 시기(2003년∼2022년)의 경우 ‘작업’, ‘근골격계질환’, ‘증상’ 등이 상위 키워드로 나타났고, 1차 시기(2003년∼2012년)와 2차 시기 (2013년∼2022년)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 중요한 연구 주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차 시기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중 가장 많이 다루어진 키워드는 ‘자세’, ‘신체’, ‘환경’, ‘직무스트레스’, ‘시간’, ‘연령’ 등과 상위 키워드에서 ‘설문’이 나타났으며, 2차 시기는 ‘비교’, ‘개발’, ‘측정’, ‘방법’ 등이 나타났다. N-Gram 분석 결과 전체 시기에서 ‘근골격계-증상’ 키워드의 동시 출현 빈도가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근골격계’와 ‘통증’, ‘자각’, ‘부담’의 빈도가 높았다. 1차 시기는 ‘손-손목’, ‘어깨-허리’, ‘손목-손가락’, ‘허리-다리’의 신체 부위 관련된 키워드가 나타났으며, 2차 시기에는 ‘작업-부하’, ‘안전-보건’, ‘요인-조사’, ‘위험-평가’, ‘산재-보험’ 등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하나인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학위·학술 논문을 처음으로 분석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추후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 연구실 안전리더십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 분석 - 안전 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한진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5

        The main cause of university laboratory accidents is anxiety behavior of researchers, and it is time to strengthen safety behavi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safety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who has the greatest authority in the university laboratory, on the safety behavior of researchers and the safety climate of the laboratory. To this e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laboratory researchers. A total of 321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and as for the survey tool, the tool developed in previous studies was modified and us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university laboratory. Reliability analysis of the tool was perform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validity analysis. As a result, the validity of the tool was proven.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tool was higher than .90. SPSS PROCESS MACRO 4 was used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ransformational safety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safety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compliance behavior and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Through this, the supervisor, who is in charge of the university's laboratory, needs to lead the affiliated laboratory researchers wi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safety leader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transformational safety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safety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aboratory safety climat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aboratory safety climate had a positive effect on safety compliance behavior and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Through this, the safety clima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rengthening the safety behavior of university laboratory researchers in the future, so universities need to operate various programs to create a safety climate for laborator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afety climat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transformative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compliance behavior, safety participation consent relationship, transactional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compliance behavior, and safety participation consent. The safety behavior of university laboratory researchers is directly affected by the safety leadership of the supervisor, but it was also found that they are also affected by the safety climate of the laborator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detail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field of the university laboratory. Seco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ddition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reation of a safe climate in the laboratory.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the safety climate of the labora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