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계종단의 ‘한국불교 세계화’ 기획에 대한 비판적 논의

        우혜란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5 No.1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globalization on South Korean Buddhism are to be seen on various levels. One of them is the so-called “Multiple Buddhism” in South Korea, where a variety of doctrinal interpretations and practices of Buddhism as well as diverse Buddhist material cultures coexist. Even though this situation could produce important issues such as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e mainstream Korean Buddhism doesn’t show much concern about the situation. Rather, Korean Buddhism has a keen interest in the spread of Korean Buddhism abroad as the project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shows which are promoted by the Jogye Order, the biggest South Korean Buddhist community. Consequently, the discourse on and policy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are not oriented to “inside” but to “outside” of the country. In this paper, this author attempts to reveal problems the project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contains which has been pursued since the early 2000s by the Jogye Order. For the purpose, the infrastructure and undertakings are introduced and analyzed which were made to promote the project. This paper starts with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nstitutional device under which the project goes ahead. And some problematics of the project are identified as centered on monks/nones, hierarchical command structure, an entanglement of religion and state, commodification of Buddhist culture. Lastly, cultural nationalism is discussed as the world view or ideology which underlies the project,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project for current South Korean society where social exclusion of particular groups such as ethnic and religious minorities has become a serious issue. 조계종단은 2000년 초부터 ‘한국불교 세계화’를 주요과제로 채택하여 현재 까지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조직적, 제도적 정비 또한 꾸 준히 진행하고 있다. 이에 상응하여 ‘한국불교 세계화’에 대한 불교계의 학문 적 담론 또한 조계종 총무원의 사회부와 국제교류위원회가 2004년부터 2009 년까지 개최한 일련의 관련 정책세미나를 비롯하여 한국교수불자연합회가 2016년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주제로 개최한 교수불자대회에 이르기까지 지 속해서 생산되고 있다. 이들 학문적 담론의 특징은 내부자의 시각과 도구론적 접근방법이 주를 이루면서 ‘한국불교 세계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 는 구체적인 전략이나 방법에 초점에 맞추어져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이들 담 론에서는 승가교육의 개선, 국제포교를 위한 영어교육의 중요성, 해외포교의 활성화를 위한 조직적 지원과 관리방법 등이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면서, 종 단의 ‘세계화’ 과제에 대한 제한된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그 결과 이들 담론 에서 ‘세계화’와 관련하여 인접학문 – 사회학, 정치학, 인류학 등 - 의 접근 방식이나 관련 이론은 진지하게 검토되고 있지 않고, 경험적 조사연구도 소 수를 점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표적 불교종단인 조계종단이 ‘한국불교 세계화’를 추진하면서 구축한 인프라와 관련 사업의 내용을 분석하면서 종단 주도의 ‘한국불교 세계화’가 내포하고 있는 주요 문제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 해 본 논문에서는 종단의 종책인 ‘한국불교 세계화’가 어떠한 조직구조 속에 서 추진되며, 그 기저에 깔린 세계관 및 이데올로기는 무엇이며, 현 한국사회 의 다문화 상황에서 ‘한국불교의 세계화’가 가지는 함의는 무엇인가 등을 논 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의 현 종교지원정책과 문화자본주의

        우혜란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outh Korea's religious policy from an economic viewpoint and, specifically, to explain the current religious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policy an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of S. Korea. It is well-known that religious policy is a part of cultural policy de facto, and the prime purpose of cultural policy is to develop, utilize, and commercialize cultural resources to create profits for the sake of the cultural industry. Since we are in an era of cultural capitalism when culture is the main engine of economic growth and in the period of neo-liberalism when the boundary between culture and economy is gradually disappearing, investigating current religious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industry is inevitable. Firstly, this paper scrutinizes precedent research on religious supporting policy in S. Korea and summarizes their main concerns and issues. Secondly, the contents and backgrounds of a series of the government's big projects for religious culture are selected, and som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S. Korean religious policies are delineated. And lastly, it is confirmed that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religious policy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n the country, while the religious culture/heritage of Korea intertwins with the national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industry (promotion) policy. As a result, Korean religious culture is increasingly absorbed in the economic logic, becoming the object of investment and commod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현 종교(문화)지원정책을 경제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에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가의 종교지원정책을 정부의 문화정책 그리고 문화산업의 발전이라는 맥락에서 설명하는 데 있다. 이는 종교정책이 큰 틀에서 문화정책에 포함되며, 문화정책의 주요 목적이 문화자원을 개발, 활용하고 상품화하여 이윤을 창출하는 문화산업을 육성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필자가 한국의 현 종교정책을 한국의 문화정책과 문화산업의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동시대는 문화를 경제성장의 주된 동력으로 간주하여 자본의 적극적인 투자의 대상이 되는 문화자본주의 시대로, 문화가 경제화되고 경제가 문화화되어 문화와 경제의 구분이 사라지는 신자유주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한국의 종교지원정책을 다룬 선행연구의 주요 방향과 주장을 살펴보고 그 한계점은 제시하면서, 이를 보완 또는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접근방법으로 경제적 관점을 제안하였다. 이어서 종교지원사업의 종류와 그 배경을 살펴보고, 근래에 정부가 진행한 비교적 큰 규모의 종교지원사업들을 사례로 현 종교지원정책의 특징과 경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종교지원정책이 한국 문화산업의 발전과 함께 수립ㆍ전개되었으며, 그 결과 한국의 종교문화(유산) 또한 그간의 국가의 문화정책 그리고 문화산업 육성정책과 맞물리면서 경제 논리에 포섭되어 투자ㆍ개발ㆍ활용의 대상이 되어왔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정보화 사회와 불교 정보시스템

        박재철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7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3 No.1

        In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developed today, personal lives and social and cultural paradigms have been changed dramatically, and accordingly it rapidly evolves the ecological system of religious culture including Buddhism. In the information society, For preservation, protection, research, accumulation of Buddhist cultural resources including Buddhism culture relat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 propose construction of a desirable "Buddhist Information System", integrated management of Buddhist Culture Resources, by recognizing need. Also Considering the process of building the "Buddhist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is system, research on The Buddhism and academic access to Buddhist cultural resources. The role of Buddhist-based intellectuals is very important, I propose a construction the "Buddhist Information Association" Based on ‘he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Professors'. Als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Culture Promotion Team". 오늘 날 전개되는 정보화 사회에서 개인 생활과 사회 문화 패러다임은 급격하게 변화되고, 이에 따라 불교를 비롯한 종교 문화 생태계도 빠르게 진화되고 있다. 정보화 사회에서 불교 문화 관련 지적 소유권을 비롯한 불교문화 자원의 보존, 보호, 연구, 축적, 활용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불교정보시스템(Buddhist Information System)구축 필요성을 인식하고 바람직한 불교정보시스템 모델을 제안 한다. 아울러불교정보시스템 구축과정과 이 시스템을 통해 불교를 포교하고 외연을 확대하기 위한 포교 전략 수립과 불교문화 자원에 관한 학문적 접근을 통한 연구에 불교 기반 지식인들의 역할을 고찰하고 한국교수불자연합 중심의 불교정보학회(Buddhist Information association)와 관련 종단의 협업을 기반으로 불교문화진흥단( Buddhist Culture Promotion Team)설립을 제안 한다.

      • KCI등재

        범패수행의 전거와 의미에 대한 一考

        이병진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8 No.3

        The traditional name which classified BUMEUM(梵音)ㆍBUMPAE(梵唄) for the Korean general BUMPAE is systematic classification method rather than the name EOSAN(魚山)ㆍJAKBUB(作法) which as attach importance historical origin as the SEON Order(禪宗) of BUMPAE. In this, I tried to assort this as a meaning of praise practice the tradition of Bumpae(Hotsori) which have transmitting with BumeumㆍBumpae in notice there is general property of practice what they have been come to believe in and put in practice as like praising, providing, reciting since the monks have practice followed the shape of Buddha's voice and teaching. In Korean Buddhism tradition, Bumpae practices are likely to sort to shape of play instrument, dance, repetition of Buddha, Bumpae, ceremonies, praise, I tell the basic purpose is the praise and providing to Buddha who the foundation of teach also origin of devotion, and tell the most model of praise and devotion is the tail of practice for Buddha Sakyamuni's past life which to praise Buddha BOOLSA(弗沙) and get Buddha‘s promise. However, in situation for difficult to meet the actual Buddha, the general Bumpae practice which practicer possibly choose is mean much that it's be formated faith and joy become to foundation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because the practicer who practice to praise general Bumpae praise the Buddha's Darma body(法身) also selves and other people. Meanwhile, I suggested Bumeum(Jitsory) the tradition of practice in total Bumpae is possibly should be an item of transmitted shape as the Jamo(字母) practice what it's the teaching to get wisdom of empty(般若知慧) through the voice resonance practice that which allowed ancient India Veda culture since the origin age of Buddhism history and I suggested Smaguijakbup(三歸作法;Darma formula devotion to three kind of treasure) which have been transmit through the Yeongsanjae(靈山齋) the Korean national treasure 50th presently for the example. like this, on the form of transmission for a part of our Buddhism society that which have been writing as Bumeum(梵音)ㆍBumpae(梵唄) that recognised just Bumpae(梵唄) or Eosan(魚山) without other distinguished usually, I payed attention about the possibility for there be different qualities for each other as Bumeum and Bumpae, and I discovered finally the systemicity of Bumpae practice which have been transmitted in Korean Buddhist society. If summary this, I may refer the methodology Bumpae practice as heritage of Korean Buddhist society it's consisted like the system for length and breadth which both be able to supplement to each other and ascension each other by enlightenment practice(般若) and praise(讚嘆) practice both. But also this trait is not just confined in Bumpae practice which have been practiced by group in temple or by a practicer in hermitage but the true principle of Buddhist practice turned out from the property of Bumpae and ritual ceremony which have been transmitted with integrating the methodology of Buddhist practice from our traditional Buddhist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불교의 교단에 전해오는 범패라는 문화의 정체성을 수행으로 보고 범패를 수행한 경전적 전거를 찾아서 고찰함으로서 그러한 수행의 의미를 규명하는데 있다. 한국불교의 범패는 범음ㆍ범패와 어산ㆍ작법이라는 두개의 명칭으로 주로 일컬어지는데 그 중 범음(梵音)ㆍ범패(梵唄)라는 명칭은 범패의 법리를 구분한다는 점에서 범패의 선종적 연원을 중점으로 보는 어산(魚山)ㆍ작법(作法)이라는 명칭보다 체계적인 분류방식으로 볼 수 있다. 논자는 범음ㆍ범패적 체계에서 전하는 범패(홑소리)의 전통에 원시불교시대부터 출가승들이 붓다의 음성과 법문의 형태를 따라 수행한 이래로 찬탄, 공양, 암송 등 붓다께 귀의하고 가르침을 실천해 온 보편적 수행의 특성이 있음에 주목하고 이를 찬탄적 수행으로 분류했다. 한국불교에서 전해지는 범패형태를 대략 기악, 가무, 염불, 범패, 재공, 찬탄으로 분류하면서 볼 때, 이들 수행의 목적을 가르침의 근원이자 수행자들의 귀의처인 붓다에 대한 찬탄과 공양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찬탄과 공양의 가장 수승한 표상은 과거 불사불(弗沙佛)을 찬탄하고 수기를 받았던 석가모니불의 전생수행으로 보았다. 그러나 전세의 석가모니불처럼 현신불(現身佛)을 만나기 어려운 상황에서 수행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범패(홑소리)적 수행은 붓다의 법신과 가르침을 찬탄하고 자타의 수행을 찬탄함으로서 형성되는 믿음과 환희심이 수행과 깨달음의 기반이 된다는데 깊은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한편, 통상적인 범패 중에서 짓소리라고 하는 분야가 있는데 기능적인 면에서도 익히기가 어려워서 수련경력이 오래된 구참승(久參僧)이라야 제대로 구사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고 수승한 범패라는 의미에서 범음(梵音)이라는 존중어로 불리운다. 짓소리는 홑소리와는 형태와 느낌이 사뭇 달라서 처음 듣는 이들도 신비로운 느낌을 받는다. 이 짓소리가 불교 역사의 초기부터 고대인도 베다 연원의 문화를 수용하여 음성공명수행으로 공반야(空般若)를 깨달았던 자모(字母)수행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주장의 예로 논자는 현,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靈山齋)를 통해서 전승되고 있는 삼귀작법(三歸作法)의 설행형태를 제시했다. 논자는 이처럼 통상 구분 없이 범패(梵唄), 내지 어산(魚山)이라고 인식하는 범패를 범음ㆍ범패로 표기해 온 한국불교의 전승양식에서 범음(짓소리)과 범패(홑소리)에 서로 다른 특징이 있음에 주목하며 고찰하였다. 그 결과 범패수행의 체계성을 발견했는데 이를 요약한다면 전해오는 범패수행의 방법론적 특징은 범음(짓소리)의 반야수행과 범패(홑소리)의 찬탄수행이 종횡(縱橫)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두 분야의 수행법이 상호보완ㆍ상승하게 되는 수행체계라는 결론을 내렸다. 한편, 불교계 전체의 수행방법론을 집약하며 전승되는 것이 범패의례의 특성이라는 점에서 범패의 이런 특징은 비단 범패수행에만 국한되지 않고 불교수행의 보편적인 이치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청년·대학생의 종교성(宗敎性)과 청년 불교 중흥의 새로운 접근

        이상훈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8 No.1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decreasing number of young Buddhists is not irrelevant to the degree of trust in religion in general, especially Korean Buddhism. The expansion of young Buddhists should not be viewed only as a matter of the number of believers in a temple. It should be viewed from a more macroscopic and grand perspective, such as making young Buddhists a great example of our society and talented people who contribute to the social community through Buddha's teaching and practice. In order to achieve the revival of Buddhism,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religious nature of young people and suggested alternative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fact that the elderly, even though they are the same Buddhists, lack the attitude to view young and college students as Buddhists like them. This perception is limited in forming an opportunity and atmosphere to guide the systematic study or performance of doctrines for young people and college students. Second, young people and college students tend to hate being labeled "religious" despite their religious beliefs. It is also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existence of such young libertarians. Third, the religious life of young people tends to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ttending religious activities, and internal conviction or religious life is characterized by being viewed as a secondary evaluation factor. Fourth, in the view of its essence and characteristics, college student Buddhist clubs require religious counseling and performance or more mentor programs. Therefore, basically, the appointment of a professor who provides religious help and a Buddhist monk who provides religious help in the campus life is important. Fifth, missionary efforts of the universities established by a religious organization need to highlight the differentiation compared to general universities in terms of missionary linkage with student education programs. 청년 불자들이 줄어드는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종교 일반, 특히 한국불교에 대한 신뢰의 정도와 무관하지 않다. 청년 불자의 확대는 비단 한 사찰의 신도(信徒) 수의 문제로만 보아서는 안된다. 부처님의 가르침과 수행을 통하여 청년 불자들이 우리 사회에 훌륭한 본보기가 되고, 사회공동체에 기여하는 인재가 되도록 하는 등의 보다 거시적이고 대승적인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이 연구는 불교의 중흥을 이루어내기 위하여 청년들의 종교성(宗敎性)에 주목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같은 불자이면서도 장년층과 노년층이 청년·대학생을 자신들과 같은 불자로서 보려는 자세가 부족하다는 점을 개선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인식은 청년·대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교리공부나 수행을 지도하는 기회와 분위기를 형성하는데 제약이 된다. 둘째, 청년·대학생들은 자신의 종교적 신념에도 불구하고 ‘종교인’이라는 딱지가 붙는 것을 더 싫어하는 경향도 보인다. 이러한 젊은 자유주의자(Young Libertarians)의 존재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청년들의 신앙생활은 종교 활동 참석 빈도수에 따라 평가되는 경향이 있으며, 내적 확신이나 종교적 생활은 부차적인 평가요인으로 보는 특징이 있다. 넷째, 대학생 불교 동아리는 그 본질과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종교적 상담과 수행 혹은 그 이상의 멘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지도교수와 지도법사의 선임이 중요하다. 다섯째, 종립대학의 포교 노력은 재학생 교육 프로그램과의 포교 연동성에서도 일반대학에 비하여 차별성을 부각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한불교조계종의 포교방향과 전국여성불자회 창립

        김도연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8 No.2

        Since COVID-19, the number of people who believe in religion has decreased, and awareness of religious influence has also decreased. The third keynote of the 8th Dharma propagation Bureau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re mission-oriented, communication strategy support, and specialization of missionary capabilities. It also presents future-oriented missionary directions through program development by sector, strengthening new media content, mobile membership apps, and revitalizing the National Women's Buddhist Association, a women's missionary organization. Therefore,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founded the National Women's Buddhist Association, a missionary organization, to promote female Buddhists who participated in Korean Buddhism. From 1922 to 2021, women's organizations steadily worked with Buddhism as they chang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In the future, The Dharma propagation Bureau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will be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long-term policies so that people can maintain their online new lives through active missionary work by utilizing media in line with the Ontact era. 코로나19 이후 종교를 믿는 인구가 감소했으며 더불어 종교영향력에 대한 인식도 낮아졌다. 대한불교조계종 제8대 포교원의 3대 기조는 신행중심 포교, 소통하는 전법지원, 포교역량 전문화이다. 또한 분야별 프로그램 개발, 뉴미디어 콘텐츠 강화, 모바일 신도증 앱, 여성포교단체인 전국여성불자회 활성화를 통해 미래지향적인 포교방향을 제시한다. 따라서 대한불교조계종은 한국불교 참여자인 여성불자들의 신행활동을 위해 포교단체인 전국여성불자회를 창립했다. 1922년부터 2021년까지 여성단체들은 시대적 상황에 맞게 변화해가면서 꾸준히 불교와 함께 활동했다. 앞으로 포교원은 온택트 시대에 맞춰 미디어를 활용하여 적극적인 포교로 사람들이 온라인 신행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종단의 정책을 시행하는 책임이 막중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불교의 전환기시대에 대한 대응

        김성규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7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3 No.1

        During the age of the Silla Dynasty, Sung-gol (Saint-bone), the top-level class of Gol-poom (Bone-rank) system that led Silla, and Jin-gol (True-bone) classes produced many Buddhist priests including Monks Jajang and Uisang, who established the spiritual pillars of Silla. During the time of Goryeo, in succession to unified Silla, the Buddhist priests from Yukdupoom (6th Head-rank class) who studied Zen Buddhism in China and came back to Silla were connected with powerful local families, forming the age of Goryeo as a society entered on Buddhism. When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in 1392, the Confucianism became the state religion and expelled Buddhism, which made the Buddhists deviated from the center and escaped to mountains to barely keep themselves in existence. As Zen monk Kyeongheo who was born in 1847 became a monk and his seeing of the nature, the Korean Buddhism at the late period of Joseon faced a new renaissance. In a new system where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after emancipation in 1945, Buddhism was not able to enter the institution but remained as a religion existing outside the system. When defining the transition period,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1950s and the religious reformation in the 1990s may be discussed. In the 1950s, the issue was combined with social problems, and the incident in the 1990s may be considered as the problem confined to the internal Buddhist order. Every organization in the world needs its own education system to maintain the organization itself, and depending on that education system, the organization may be developed and maintained by well-educated people. In this aspect, the education system of Buddhism has Sutra school or Zen school. The greatest mistake made in the reaction of Buddhism to the transition period was that the education system of Sutra school could not be part of the education system recognized by the society and country. Students can receive a bachelor’s degree if they graduate from numerous 4-year-course theological colleges. However, students who graduate from Sutra school (now a Buddhist monk university) after completing 4-year courses cannot have a college diploma, and they have to go to college again. This is the reality Korean Buddhism faces. By looking at the 1950s, the limit of the times Buddhism had would be reflected, and the direction the future Buddhism must pursue would also be examined. 신라시대에는 신라를 이끌어가는 골품제도의 최상위 계층인 성골, 진골계급에서 자장스님과 의상스님 등 많은 출가자를 배출하여 신라의 정신적 기둥이 되었다. 고려시대에도 통일신라에 이어 중국으로부터 선불교를 유학하고 온 육두품계급의 출가자들이 지방 호족들과 연결되면서 고려시대를 불교중심의 사회를 이루어내게 되었다. 1392년 조선 왕조의 성립으로 국교가 유교가 되고 척불을 하면서 불교는 중심에서 이탈하여 산중으로 도피하여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 상태였다. 1847년에 태어난 경허선사의 출가와 견성으로 구한말의 한국불교는 새로운 부흥기를 맞이하게 된다. 1945년 해방을 맞이하여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는 새로운 체제에서 불교는 제도 속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제도 밖에 존재하는 종교가 된다. 여기서 전환기시대를 정의하면 1950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시기와 1990년 종단개혁 사건을 들 수 있다. 1950년대는 대 사회적인 문제와 병합되어 있으며, 1990년대 사건은 종단 내부에 국한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세상의 어떤 조직도 그 조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조직 나름의 교육제도가 있어야 하고 그 교육제도에 따라 잘 교육된 자에 의하여 조직은 발전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불교가 가지고 있는 교육제도는 강원이나 선원이 있다. 전환기 시대 불교의 대응에서 가장 큰 착오는 강원의 교육제도가 사회와 국가가 인정하는 교육체제로 속으로 들어오지 못한 것을 들 수 있다. 수 없이 많은 신학대학 4년제를 졸업하면 대학 학사학위 졸업장을 받게 된다. 그러나 강원(지금은 승가대학)을 4년 졸업하여도 나라에서 인정하는 학사학위의 대학 졸업장이 없어서 다시 대학을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다. 이것이 한국불교의 현실이다. 1950년대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서 불교가 갖고 있었던 시대적 한계를 되돌아보며, 미래불교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SGI 육근청정 법화삼매 연구

        김용환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2

        The faith in the dharma fruit of six senses purification in SGI-Korea is reviewed based on the one-vehicle. The essence of Buddha's teachings, the dharma fruit suggests the seed of the dharma in the three lives. Buddha had dedicated his life to realize Buddhahood. 'All the sentient beings have abilities to attain Buddhahood in the future’ can not be different from me. One-vehicle has given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Zen practice. The idea of pouring dharma fruits on modern people has led to a title-reciting of dharma fruits in Korea SGI, and it is also exercising its value as a modern religious reform movement. In a departure from the tradition of legalization centered on the Lotus samadhi, the SGI-Korea seeks a great change in consciousness based on the ritual of practice of the title reciting. Above all, the dharma fruit of six senses purification in SGI-Korea emphasizes the practice of title-reciting of dharma fruits in everyday life to transform ourselves together. The transition phase in the ritual of title reciting has opened the way for many persons to become Buddha in one’s life. The consciousness of title-reciting ritual plays the role of social healing and enables consciousness transformation. The title-reciting ritual secures the community's consensus, and as the area of empathy expands, it becomes more aware of escape from daily life by expectations of daily discipline. The cultivation of title-reciting ritual leads to a modern religious reform, enabling the life solidarity. In the Lotus samadhi during the title-reciting, the performance will take the lead in implementing public common happiness as well as realizing the buddhahood. By practicing the title-reciting ritual practice repeatedly in daily life, the religious reform that is integrated with modern culture is implemented by fostering the six sense purification in the practice the realization of Buddha by expanding consciousness through Lotus samadhi practicing. It can be said that One-vehicle can comprehend Three-vehicle, the Lotus Sutra is based on One-vehicle through such respect and the good deeds in the title-reciting, the attainment of Buddhahood would be possible later on. 이 글은 한국 SGI의 육근청정(六根淸淨) 수행에 의한 법화삼매(法華三昧) 구현을 고찰한 글이다. 일찍이 중국의 천태지의 대사는 『법화경』은 불교의 진실에 도달하기 위해서반야지혜의 ‘권실이지(權實二智)’의 관점에서 법화삼매 구현을 중시하였다고 한다. 붓다의 연기적 발상은 한국 SGI에서 ‘만인성불(萬人成佛)’로 매개되어, 현대종교의 개혁운동으로 자리매김한다. 한국 SGI는 제목창제에 법화삼매 구현으로 생활불교이자 현대불교로서 의식전환을 모색하였다고 할 것이다. 『법화경』이 표방하는 ‘개삼현일(開三顯一)은 성문, 연각, 보살을 방편으로 수용하지만시방불토 중에는 오직 일불승만 있을 뿐이요, 이승도 없고 삼승도 없다고 한다. 『유마경』에서는 성문과 연각의 수행을 잘못된 것이라고 하며, 이승의 작불(作佛)을 부정한다. 그러나 『법화경』은 대승 차원에서 성문(聲聞)과 연각(緣覺)을 포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비유가 『법화경』 「신해품(信解品)」에 나타난 ‘장자궁자(長子窮子)’의 비유로서 나타나 있다. 중생들도 붓다와 동일한 자비성품을 지니고 있지만, 성급하면 놀라 ‘해태심(海苔心)’ 을 내며 달아날까 염려해서 방편으로 차츰 차츰 마음을 닦게 한 뒤, 일불승으로 유도하는 방편이 시설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오종법사를 수행하여 ‘사안락(四安樂)’을 이루기에 오종법사의 수지는 의업(意業)으로, 독(讀)과 송(誦)은 구업(口業)으로, 서사(書寫)는 신업으로 육근이 청정하게 된다. 삼업의자리이타를 실천하여 여래행이 되기에, 이를 일컬어 일불승 보살도라고 한다. 삼업이청정해지기에 육근이 청정해지며, 육근이 청정해지면 진실에 들어 불안(佛眼)을 뜨게 된다. 이처럼 육근청정 계위는 초심에 보리를 감득하고 불성의 과위(果位)를 이루기 위한‘원교(圓敎)’ 수행이 된다고 할 것이다. 불계의 근원적 생명력과 연계한 상행보살이 되어 자타변혁의 법화삼매 참회를 실천한다.

      • KCI등재

        인지과학과 融合冥想 : AI, 감성, 창의 융합

        이종수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5 No.2

        The article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AI,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The second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research on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AI,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The analytical variables of a characteristic of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AI,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are artificial intelligence, blockchain, emotion creation convergence, so forth. The third section presents analysis variables about case studies of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AI,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For example, those are artificial intelligence, blockchain, emotion & creation convergence, so forth. The forth section suggests research effect & limitations of effect analysis of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AI,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The last section concluded. There were some suggestion & expectation effect of emotive & creative convergence of AI society in modern age & suggested research effect & limitations of effect analysis of their subjects in the early era of the modern age. 이 연구는 포스트모던 사회 이후 제4차 산업혁명시대 블록체인, AI 등의 대두에 따라우리나라 정치, 사회계가 어떻게 변화를 인지하고, 기존의 접근법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학문융합적 접근 필요성과 그 대응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전통적인 六藝的 융합명상 개발과 적용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질문은 먼저 인공지능사회 인지과학과 감성과학은 무엇이며, 둘째, 그 대응을 위한 감성, 創意融合冥想의 방법과 효과에 대하여 安心法인 ‘융합명상’ 에 답이있음을 제시한다. 융합연구의 필요성으로는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제부분의 전문가들의 협력하는 융합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人智啓發과 경제성장의 돌파구를 뚫어야 하기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인문, 사회과학, 예체 융합을 구체화 한 감성, 창의융합형인재를 키울 수 있는 전통 삼교융합명상법과 융합형 인재 특성화 내용을 상정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문제의 그 창의적 접근 수단의 하나로 4차 산업혁명시대 人類의 진로를선도하고, 안식과 창의적 감성을 제공할 한국적 융합명상의 장점과 가능성 및 주요 효과를 개인의 창의성과 한국불교 위상제고 방향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물(聖物), 전시물, 상품: 진신사리의 현대적 변용에 대하여

        우혜란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7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3 No.3

        In South Korean society large amounts of Buddha relic or śarīra have been flowing in from Southeast Asian nations. As a result several Buddha relic museums emerged that gathered Buddha relics in one place and show them to the public while śarīra exhibition is held now and then. In this way, Buddha relic which exposed itself only in special occasions in earlier days, has became an object of easy access to the public.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and supply of Buddha relic as well as the massiv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śarīra in Korean society indicate that the way how to perceive and approach Buddha relic is changing and consequently, the function of śarīra is diversified.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whole process - how Buddha relic of foreign origin is brought into the country and reframed as exhibit and turned into a commodity eventually, putting focus on Buddha relic, the most sacred object in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the core of Buddhist material culture. 현 한국사회는 진신사리의 ‘범람’이라고 할 만큼 동남아 여러 국가로부터 부처의 진신사리가 대량으로 유입되면서, 사리를 한 곳에 모아서 대중에게 공개하는 사리전문 박물관도 여럿 등장하였으며, 사리 전시회도 종종 열리고 있다. 이로서 전에는 특별한 기회에만 친견할 수 있었던 부처의 진신사리는 불자는 물론이고 일반대중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대상이 되었다. 한국사회에서 부처의 진신사리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급증하고, 사리의 대량 수집과 전시가 일상화되는 현상은 진신사리에 대한 인식과 수용방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와 함께 진신사리의 역할과 기능도 다변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불교에서 가장 귀중한 성물이자 불교의 물적문화에서 핵심을 구성하는 부처의 진신사리에 초점을 맞추면서 사리박물관과 사리 전시회를 사례로 동시대 한국사회에서 진신사리가 어떻게 유입, 수집되어 전시물로 재구성되며, 이와 동시에 상품화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