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례 분석에 기반한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의 시사점 탐색

        이경진(Lee, Kyung-Jin),최나영(Choi, Na-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 사례들을 통해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어떠한 특징이 있었는지 살펴보고 다른 대학들에서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탐색하여 비교과 교육과정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학부 교육의 우수성을 인정받으며 충실하게 비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국내 8개 대학을 선정하여 홈페이지와 대학알리미에 공개 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례 대학들은 핵심역량에 기초하여 비교과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틀을 설계하였다. 둘째, 사례 대학들은 비교과 전용 온라인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비교과 교육과정의 교육평가는 학습자의 성취나 성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성과 관리의 측면이 두드러졌다. 넷째, 핵심역량이나 학년에 따른 단계별 심화 설계 방식을 비교과 교육과정에도 적용하거나, 교내 소수 집단을 위한 맞춤형 비교과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편성, 운영에 있어 핵심역량과 비교과 교육과정의 명확한 연관성, 온라인 시스템의 활용을 통한 데이터 기반 교육의 질 관리, 위계와 연속성을 고려한 비교과 교육과정 설계, 비교과 교육과정에서 교육평가의 관점 전환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extra-curriculum through case analysis, and exploring implications that other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Method: We selected eigh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hich are recognized for their excellen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an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released on their website. Results: First, case universities have designed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extra-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Second, they have operated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dedicated to the extra-curriculum. Third, the educational evaluation of the extra-curriculum was more prominent in the aspect of performance management. Fourth, the stepwise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core competencies or grade level was applied to the extra-curriculum. Conclusion: We suggest a clear link between the extra-curriculum and core competencies, evidence-based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through the online system, curriculum design that reflects sequence and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perspective of evaluation.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에 근거한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남윤경(Nam Younkyeong),이효진(Yi Hyojin),김혜영(Kim Hyeyoung),정주훈(Jeong JuHu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을 바탕으로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에 대해 제안한 것이다. 연구방법: 2018년에 지방 거점 국립대학(P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교육실습에 참여한 537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경험에 대해 설문 내용 중 자유기술형 문항 응답 내용을 주요 자료로 활용하였다. 내용분석(content analysis)과 네트워크 텍스트분석(Network Text Analysis)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라 예비교사들이 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 교육실습의 개선점, 교원양성기관 교직과정의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 중 수업기술 미흡으로 인한 학생 통제 및 수업 준비에서 가장 크게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실습학교 차원에서는 교생에 대한 존중의 분위기 형성을, 교육부 및 교육청 차원에서는 실습기간 확대를 요구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교원양성 교육과정에서 수업시연 및 수업설계 기회 확대와 현장에 적용 가능한 강의 내용 강화를 적극 요구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직과목에서 수업시연 기회 확대 및 학생 동기유발 중심의 수업 역량 개발 강화, 교육실습 전․후로 교원양성기관과 실습학교 및 학교 현장과의 연계 필요, 교육실습 기간 확대 등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teaching practicu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Method: In 2018, 537 students who completed the required teaching courses for teacher certificate at the national university (P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open-ended questions the students conducted on the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um were used as the main data. The content analysis and the network text analysis were applied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course of the study, how to improve the teaching practicum, and how to improve the teacher training course respectively.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felt the greatest difficulty in student control and class preparation due to insufficient teaching skills during teaching practicum.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asked the formation of an atmosphere of respect for the students(preservice teachers) at the training school level and the extension of the training period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fice level. Third, preservice teachers actively demanded classroom demonstration, instructional design opportunity expansion, and reinforcement of lecture conte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ways to improve teaching practicum; 1) increase the opportunity of class demonstration in teaching courses, 2) strengthe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bility centered on student motivation, and 3) make a more concrete link between teacher training institute and practical training school and school site before and after training.

      • 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식생활교육 실태와 식생활교육 요구도

        박은숙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of dietary education and demand of dietary education of preschool children’s mothers in Jeonbuk province. The study was carried out us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s were 275 mothers. The questions were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perating status at their own house, and demands for dietary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the subjects were in their 30’s (74.9%). The frequency of eating a meal with the whole family once a day was 48.4%, the frequency of the dietary education at their own house was more than 3 times per week (44.0%), and education time was the meal time (83.6%). The desirable frequency of dietary education was once per week (40.4%). About two thirds of the subjects (70.2%) recognized the purpose of the dietary education was not only for preschool children but also their parents. The ratio in the core value of dietary education as environment, health, and thanks was 30.10%, 41.35%, and 28.48% respective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demand for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parents is necessary in preschools. 식생활 개선 등을 통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식생활교육지원법에서는 식생활을식품의 생산, 조리, 가공, 식사 용구, 상차림, 식습관, 식사 예절, 식품의 선택과 소비 등 음식물 섭취와 관련된 유⋅무형의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식생활 교육이란 개인 또는 집단으로 하여금 올바른 식생활을자발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말한다. 어린이 대상 식생활교육은 어린이가 올바른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부모, 보호자, 교육관계자, 농어업인, 식품 관련 종사자 등의 적극적인 참여하에 지속적으로추진되어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유아기는 신체 발달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식생활교육이 매우 필요한 시기이다. 우리나라 식생활교육 요구도에 대한 연구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및 교사, 영양교사, 주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아동 대상 식생활교육요구도는 유치원 교사와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아동의 식생활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학부모의 요구를 파악할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유치원 학부모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식생활교육 실태와 식생활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20대 3.6%, 30대 74.9%, 40대 21.5% 이고, 교육 수준은 고졸 15.3%, 전문대학 졸 24.4%, 대학 졸업 46.9%, 대학원 졸업 13.5%였으며, 45.5%가 직업을 가지고 있었으며, 54.5%는 전업주부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가족이 모두 식사를 하는 빈도는 하루 한번(48.4%), 식생활교육을 실시하는 빈도는 주 3회 이상(44.0%), 가정에서 식생활교육을 실시하는 시간은 식사시간(83.6%)이 가장 많았다. 어머니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에서 식생활교육 실시 빈도가 많아(p<0.05), 주3회 이상 식생활교육을 실시하는 대상자는 대졸 이상48.8%, 전문대졸 이하 36.7%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에서 식생활교육을 할 때 배려 영역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식생활교육 장소는 주로 ‘가정⋅유아교육기관(86.9%)’이었으며, 식생활교육 빈도는 대상자의 40.4%가 ‘주 1회’, 식생활교육 대상은 ‘유아⋅엄마⋅아빠’가 70.2%로 가장많았으며, 식생활교육은 ‘급식 시간(56.0%)’과 ‘일반 교육 시간(41.1%)’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효과적인 식생활교육 방법은 대상자 93.5%가 ‘체험⋅실습’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식생활교육을 할 때 체험⋅실습 비율은 50∼60%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고, 환경 : 건강 : 배려는 30.10% : 41.35% : 28.48%의 비율이 적절하다고 하였다. 식생활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환경 영역에서는 ‘음식물 쓰레기(4.31점)’, 건강 영역은 ‘이 닦기 습관(4.68점)’, 배려 영역은 ‘우리나라 식사 예절(4.25점)’이 가장 높았다. 체험⋅실습 영역의 요구도는‘유치원 텃밭 가꾸기 실습(4.45점)’이 가장 높았다. 위의 결과를 기초로 유아 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추후 지역별로 유아 어머니를대상으로 식생활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유아 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IBDP(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공교육 도입의 선결 조건 탐색

        류영규(Ryu, Young-Kyu),김대현(Kim, Dae-Hyu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IBDP를 우리나라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에 도입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 가능성, 선결 조건 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로서, IBDP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 보고서와 논문들을 철저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자들의 견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 첫째, 상황단계에서 우리나라 공립고등학교에서 IBDP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IBDP성적 결과를 대입 제도에 반영하는 평가 기술적 문제들이 선행적으로 논의하여 구제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투입단계에서 IBDP는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에 보다 적합한 교육과정이기 때문에 그 한계를 가지며, 거버넌스 측면에서 IBO가 공립학교의 승인하고, 평가하고, 교육활동에 개입하는 것이 정단한지에 대한 심각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과정단계에서 IBDP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 간, 교사 간 협력적인 문화를 조성하지만, IBDP 교육과정의 요구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IBDP 교사들은 업무량의 증가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경직된 IBDP 교육과정으로 인해 IBDP 학생들은 일반 학생과 구별되는 고립감을 느낀다. 따라서 IBDP를 공교육에 도입할 경우, 학교 계층화 문제, 교육적 불평등 문제, 공교육의 공공성 및 형평성 문제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산출단계에서 IBDP 학생들은 높은 수준의 학습 동기와 자신감으로 학업성취도가 우수하며, 일반 학생들에 비해 대학 입학률과 졸업률 그리고 학업의 지속성이 훨씬 높았다. 하지만 학업 성취기준이 낮고 학습동기가 부족한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맞춤형 교육과정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측면에서 이에 대한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결론: 우리나라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에 IBDP 교육과정을 도입하는 것은 매우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국가교육과정과의 양립가능성을 모색해야 하고, 학교의 자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을 저해할 수 있으며, 교육 주권을 침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IBDP 교육과정의 도입을 위한 소요 예산이 막대하여 개별 학교와 학부모가 부담할 수 없고, 교육청이 부담한다면 일부 학생들을 위한 재정지원이라는 점에서 예산 배분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IBDP 교육과정의 운영이 교수·학습 측면과 대학 준비 및 대학에서의 학업 적응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하더라도 상기한 교육 주권과 과다한 교육비 그리고 교육재정 배분의 형평성 문제 등을 감안하여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에 IBDP의 도입은 신중을 기하여 면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easibility, possibility, and prerequisites for introducing the IBDP curriculum into public high school in Korea. Method: The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a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earch reports and papers about IBDP curriculum. These materials were analyzed thoroughly and the authors opin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m. Results: First, in order to operate the IBDP in the public high schools in Korea, evaluation technical problems that reflect the results of the IBDP results in the substitution system should be discussed in advance. Second, during the input stage, the IBDP would be a more appropriat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high achievement levels, and has a serious debate as to whether the IBO should approve, evaluate, and engage in educational activities in terms of governance. It should be preceded. Third, during the process stage, IBDP creates a cooperative cultur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However, as the requirements of the IBDP curriculum are increased, IBDP teachers are exposed to extreme stress due to increased workload, IBDP students feel a sense of isolation from ordinary students. Therefore, when introducing IBDP into public education system, it will be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problem of school stratification, educational inequality, and publicity and equity of public education. Fourth, during the output stage, IBDP students have to have high academic motivation and confidence,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have a much higher college admission rate, graduation rate and academic continuity than general students. However, a supplementary plan should be prepared in order to provide various customized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standards and lack of learning devices. Conclusion: Although the IBDP curriculum has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and learning, college preparations, and academic adaptation in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BDP in Korea in consideration of the issue of education sovereignty, excessive education costs, the introduc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 careful consideration.

      • KCI등재

        대학 인성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기반 구축방안

        김영준 ( Kim Young-jun ),강경숙 ( Kang Kyung-soo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일선 대학 현장에서 기초교양교육의 일환으로 꾸준하게 강조 운영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촉구하기 위해 교육과정 개선 기반의 구축방안을 마련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인성교육과정은 표면적으로 교양교과 단위에서 실시되어 종결되는 운영체제를 갖고 있지만, 학생의 인성교육 함양도 관점에서 볼 때 단기적인 학습과정에서나 교양교과 자체의 이론 및 실제 차원으로 인성교육의 성과가 관리되는 부분에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학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촉구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인성교육 함양의 학교-사회 간 전이 효과를 최대한 증진시키는 데에 실효적인 교육과정 개선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고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기반 구축방안 요소로써 (1) 인성교육 덕목 기반의 교과교육 생성 구체화, (2) 인성교육 교과교육의 적용 맥락 심화·발전, (3) 인성교육 기반 소외계층 지원 전문인력 양성 및 연수기여와 같이 세 가지를 고찰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가 일선 대학 현장에서 활성화되기 위하여 현실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구성조건의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 및 제언을 시도하였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creating a basis for a curricular upgrade with a view to activating character education, which continues to be emphasized and operated as part of the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Character education as such has an operating system that is implemented and concluded at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on the surface. However, we need to be more careful about the short-term curriculum or the performance of character education being managed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liberal arts courses when we consider students’ cultivation in character education. In this light, in urging the activation of the university character education, it should be imperative to create a basis for a curricular upgrade, which is effective in boosting the students’ transfer of their cultivation in character education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This study has examined the three factors of a plan to create a basis for a curricular upgrade with a view to activating the university character education: a) specifying the formation of a curricular subject based on the virtues of character education, b) deepening and development of the context in which the curricular subject in character education is applied, and c) contributing to fostering and training professionals who support the socially disadvantaged on the basis of character education. Lastly, I mak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ith a focus on the constitutive requirements that should in fact be provided to put these research results into action in the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사범대학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송신철 ( Shin Cheol Song ),이치하 ( Chi Ha Lee ),심규철 ( Kew Cheol Sh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변화의 필요성,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사 생활에 대한 유용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증가 또는 감소시켜야 할 분야, 교과교육학 과목의 중요성, 교육과정에서 지식과 실습 영역의 중요성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수 참여 과학 교사 130명(남자 38명, 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으며 현행의 이러한 교육과정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의 우선 순위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결과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등을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증가시켜야 할 영역으로는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교육실습 등을, 감소시켜야 할 교육과정 영역으로는 일반교육학, 교양과목, 일반선택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과교육학 과목 중에서 과학교재연구, 과학교수법 등을 특히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 교사들은 교사 양성 교육과정 중 지식영역에서는 교과내용학 지식,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중·고등학교 교과내용 등을, 실습영역에서는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의 분석,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에 대한 수업 실습,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의 활용, 실험(탐구) 수업 실습 등을 지금보다 더 강화시켜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과학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필요하다고 절감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여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instrument consisted of seven components: the adequacy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need of change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usefulnes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n teacher`s life, the need for field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s and pract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cience teachers(38 males and 92 female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wasn`t adequate, and should be changed, and the ratio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contents as well as science education should be heightened. They perceived that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theory and literacy, and selective subjects should be reduce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science teaching material, and science teaching method among science education fiel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related to science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es related to secondary content analysis,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teaching experiments and inquiries. It seems desirable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considering science teachers` needs.

      • KCI등재

        부산 미래교육 비전 및 실현방안 탐색

        남창우 ( Nam Chang-woo ),이동엽 ( Lee Dong-yub ),이영태 ( Lee Young-tae ),권종실 ( Kwon Jong-si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바람직한 인재 양성을 위해 부산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초·중등 교육의 방향 및 역할을 탐구하고, 부산의 고유한 교육 정체성을 바탕으로 지능정보기술의 교육적 활용을 통한 미래형 교육체제 구축 교육 패러다임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의 일환으로 미래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부산 미래교육 연구 및 사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는데, 델파이 조사를 위한 전문가 집단은 초·중등 교원 2명, 정책집행전문가 2명, 정책연구 전문가 3명 그리고 미래교육 전 문가 2명의 총 9명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 문항은 부산 미래교육 기본방향, 부산 미래교육 비전 및 목표, 부산 미래교육 추진 전략, 부산 미래교육 추진과제(아젠다) 그리고 부산 미래교육 추진 과제에 대한 타당도의 총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총 2차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1차 델파이 조사 실시 후 델파이 조사지의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여 2차 델파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부산의 교육 환경 및 특징에 기반한 교육정책의 방향 및 전략을 구안하여 ‘인성 중심의 미래지향적 본(本) 교육 (New-tro: 뉴트로)의 구현’ 이라는 부산형 미래교육의 비전을 도출하였다. 또한, 미래교육에 맞는 중점 과제와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추진 과제를 설정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실행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promotion of human resources to prepare for the fourth round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Busan’s education is facing how to find the direc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nd their role.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Busan’s future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based on Busan’s educational identity.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mplemented a literature review about future education by analyzing some previous studies about how to respond to future society and about the basic directions of Busan’s education. This study employed delphi technique by organizing an expert group of two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two experts in policy implementation, three experts of policy research and two experts of the future education, totally nine members. Delphi survey questions are basic direction, vision, goals, practice strategies, and agenda for future education in Busan and the validity of the five domains was checke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two rounds. After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first delphi survey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the contents of the delphi-survey. After the process,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developed and conducted. As the result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Busan c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olidified the meaning of the Busan’s future education, which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sonality-oriented "new-tro"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and systematic implementation plans by establishing the main tasks and the implementation tasks to realize Busan’s future education.

      • KCI등재

        사교육 유형이 초등학생 학습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이유나,이상수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혁신연구 Vol.22 No.2

        Our education systems rely on private education more than necessary.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private education are dominant in the society but there is no systematic approach to reduce the private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we rely on the private education is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There can be many reasons for the private education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but study skill can be one of the reasons. The study tried to find useful information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types on the study skills. The study randomly selected 3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iagnosed their study skills according to the types of privat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rivate education affects on the study skills. The students who took the private edu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scores in every five sub-categories of the study skills: self-managing, instruction participating, task solving, test-tak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Second, the types of private education affect on the study skills. The most affecting type of private education was paper-based self studying and then cyber learning, private tutoring, and private institution are the next order of influence.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of study skills. The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private education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redesign learning contents by themselves and do self-regulated learning therefore enhance study skills. Therefore we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same opportunity systematically in public education system so that they can enhance their academic achievement without the assistance of private education. 우리나라는 사교육에 필요 이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보다는 비판적인 시각만이 팽배해 있는 실정이다. 사교육에 의존하는 가장 큰 이유는 학업성취도의 향상일 것이다. 사교육이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으나, 그 중 하나로 학습기술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교육 여부에 따라 학습기술에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학습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사교육 유형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공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 시내 소재의 초등학교 5개교 5, 6학년 316명을 학교 급지에 따라 무작위로 선정하여 사교육 수강 여부, 수강하는 사교육 유형, 그리고 학습기술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사교육이 학습기술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기술의 하위요소인 자기관리, 수업참여, 과제해결, 시험 치기 그리고 정보처리 5개 영역 전부에서 사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받지 않은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 사교육이 모든 학습기술 하위요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유형인 사이버학습, 학습지, 개인과외, 학원 모두 학습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기술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사교육 유형은 학습지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사이버학습, 개인과외, 학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습기술을 구성하는 하위요소에 따라 사교육 유형의 영향도 조금씩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사교육이 상대적으로 강의내용을 전달하는 공교육 형태와는 달리 스스로 학습내용을 재구조화하고 자기조절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기술의 발달을 유도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교육에서도 수업과정에서 각 과목마다 수업내용과 통합하여 다양한 수업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자기조절적인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적절한 지도를 해 줄 수 있다면 사교육이 가진 학업성취도 향상 요인들을 공교육에서 보충해 줌으로써 학업성취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 교사 양성 기관의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강현구,김경린,류재규,소금현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 양성기관인 부산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교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Kember와 Leung(2009)이 개발한 도구를 교육대학교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으며, 완성된 검사도구는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해 함양될 수 있는 개인적 소양에 대한 인식(8항목, 16문항)과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9항목, 1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한 개인적 소양 함양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으나,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중요성이 높은 만큼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에서의 커리큘럼 개선을 통해 교사로서의 소양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에서 수업비평공동체 활용사례 연구: 초등 사회과 경제영역을 중심으로

        김영현 ( Kim Younghyu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사교육과정에서 수업비평 공동체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예비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관점의 변화와 그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교육대학교 예비교사들을 참여자로 하여 수업비평공동체 활동에 기반한 사회과 교육의 실제 강의를 구성하고 운영한 뒤 수집한 연구자료인 수업에세이, 수업비평문, 수업설계 및 시연영상, 수업비평공동체 활동에 대한 소감문 등을 근거이론연구의 개방코딩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교육에서 수업비평공동체는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공유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수업비평문을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수업을 반복적으로 간접체험하며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다양한 관점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었다. 향후 예비교사교육에서 수업비평공동체가 보다 유의미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에게 입체적인 해석이 가능한 다양한 관점의 수업비평영상이 요구되며 수업비평을 수업의 잘못된 점을 찾아 비판하는 것이라 생각하는 예비교사들의 오해가 수정되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use of the instruction criticism community on the change of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teaching. A preparatory teacher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collected research data after experiencing a lecture based on the activities of the instruction criticism community. Research data were analyzed using open coding of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lass criticism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llowed pre-service teachers to share their experiences and insights about class and to make various interpretations of instruction possible. The process of sharing instruction criticism is to experience the class repeatedly.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can experienc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various perspectives on the instruction. In order for the instruction criticism community to be meaningfully utilize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videos tha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re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misconception that instruction criticism is only focused on for finding fa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