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4차 (’13-’17)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평가 연구

        양한재(Yang, Han-Jae),안선회(An, Sun-Hoi)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목적: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추진되었던 「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특수정책의 체계적인 평가와 종합적인 논의를 통해 특수교육정책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평가연구에 적합한 정책평가 연구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와 설문 조사를 통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정책형성, 정책집행, 정책결과평가, 정책평가 및 환류 평가의 단계별 평가와 이를 종합적으로 논의한 종합평가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정책은 양적인 성과지표는 달성했으나 질적인 효과와 수요자의 만족도는 낮았다. 서울지역에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육교원과 특수교육대상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효과성, 정책이해도,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중도장애를 가진 특수교육대상자들을 위한 정책목표는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정책목표 달성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질적인 효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육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설문조사한 결과 정책이해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조사에서도「제4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정책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지금까지 우리나라 특수교육 정책평가 연구는 주로 정책과정과 일부 정책사업의 효과성 연구에 그치고 있으나, 향후 정책이론, 정책인과모형의 타당성 검증 연구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또 특수교육 정책에 대한 효과성과 만족도, 그리고 정책이해도는 전국적인 규모로 특수학교 뿐 만 아니라 통합교육을 포함하여 특수교육대상자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끝으로 특수교육대상자 중에서 소수이고, 더 많은 지원과 배려가 필요한 중도장애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도 병행하여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special education policy through systematic evaluation and comprehensive discussion on 「The 4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which was implemented from 2013 to 2017. Method: For this study, a policy evaluation research model that is suitable for policy evaluation was developed, and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proceeded in the order of policy formation, policy implementation, policy outcome evaluation, policy evaluation and feedback, and the comprehensive discussion was followed. Results: The policy of 「The 4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have been achieved quantitative performance indicators, but the quality indicators and user satisfaction on the policy have been indicated low. In the results of survey on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n 「The 4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targeted a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aregivers in Seoul, special education policie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oderate disabilities were found that the policy objectives have not been achieved. As a results of the survey on policy objectives achievement, qualitative effects indicated insufficient. A survey on the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policy showed that the level have been low. Also, the satisfaction survey figured out the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4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Discussion: Korea special education policy evaluation studi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policy implementation and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From now, policy researches on policy theory or policy valid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the future. In addition,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evaluation are needed on an national wide scale, not only special schools but general education including inclusive education. Finally, policies should also focus on students with severe and moderate disabilities who need more support and consideration.

      • KCI등재

        포스트휴먼 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교육적 시사점 탐색

        이조은,강승지,이연선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st - human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explore implications for education. Method: To do this, a total of 14 papers with 'Post Human' and 'Education' as main keywords were selected for analysis using the online database provided by RISS and KER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ost - human and education - related researches have started to be done relatively recently with the papers published within the last 3 years. Results: Thus, in most cases,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Post Human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m to education. Also, the most of researches was made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cluding art and music.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research that explores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post - human era, research that develops curriculum, or suggests educational methods. In the field of education, studeies based on post-human perspective seem to have started very recently. Recent studies showed us that we need to take post-human perspective seriously when we apply it to physical education, art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Particulary, there were critical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It plays an emphasis on generative and emergent art curriculum based on aesthetic and affective competencies. Conclusion: Finally, we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to change our perspective on students from fixed identity as learners to moving and affective material as post-human subjectivi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과 교육에 관련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인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포스트휴먼’과 ‘교육’을 주요 키워드로 하는 총 18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포스트휴먼과 교육 관련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그리고 예술교육 분야에서 가장 많았고, 포스트휴먼 시대의 교육적 방향을 탐색하거나 교육과정의 개발 및 방법론적 제안을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토대로, 포스트휴먼 교육 관련 연구가 태동기에 해당하므로 포스트휴먼에 대한 풍부한 사유와 심도 있는 고찰을 토대로 교육에 적용하려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체육 등의 교과 교육과 특수교육, 평생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교육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감각 중심의 예술적이고 정의적인 역량에 강조를 두고 생성적이고 발현적인 교육과정을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포스트휴먼으로서 학생의 주체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결론: 이는 앞으로 포스트휴먼과 관련하여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이에 대한 문헌고찰 및 현장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공지능교육 관련 연구주제 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김영환(Kim, YoungHwa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이후 국내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실린 인공지능교육 관련 연구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RISS에서 논문 제목 검색에 인공지능 또는 AI , 그리고 교육 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하여 추출된 276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도별 논문 수와 추세, 학술지별 빈도, 워드클라우드와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클러스터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초등 인공지능교육 관련 논문의 양은 2016년부터 서서히 증가하다가 2020년부터 급속히 증가했다. 이는 정부가 2019년 말부터 시작한 인공지능 관련 산업육성 정책 및 ‘인공지능융합교육전공 대학원’ 개설 및 운영정책의 영향으로 보인다. 연구주제 면에서는 ‘초등’이 연결정도, 매개성, 근접중심성 모두 높았다. 교과 내용 면에서도 주로 활용에 관련된 키워드들이 영향력이 높았다. 이런 영향인지, 논문 출판도 초중등 교과교육과 컴퓨터교육을 주로 다루는 몇 개의 학술지에 편중되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전체적으로 인공지능교육의 철학, 개념, 목적 등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보이지 않았고, 주로 단순 활용 관련 연구가 많았다. 인공지능교육은 물론 인공지능융합교육의 방향이 올바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전자에 관련된 연구들은 물론 강인공지능에 관한 논문들, 그리고 인공지능 융합교육 전반은 물론 인공지능, 융합과 같은 하위 요소들에 대해서도 철학적 담론이 많이 나타나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arching research recommendation for the emergent field of ‘AI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a research trend analysis of 183 journal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since 2012 or have been approved for publication on Korea Citation Index (KCI)-listed journals. Method: For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nly journal articl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education” listed in the title were gathered through a key word search o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ystem (RIS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lated to primary education and AI education, while having shown incremental growth since 2016, started to rapidly increase since 2020. It attributes the sudden preponderance of publications to: (a) the Korean government’s national AI industry fostering policy undertaken since late 2019; and its subsequent implementation of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policy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elementary’ had the highest connectivity and centrality degree. Key words related to utilizing AI also showed high relevance to education subjects. In a similar vein, journal article publications were also concentrated on select journals about computer education in basic/secondary education. Discussion and Conclusion: Our network text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articles were focused on operationalizing AI convergence education as opposed to articles that discussed the philosophy, conceptualization, and purpos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our findings, we recommend that research related to Strong AI and substantive philosophies that undergird the implications of AI be expanded.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양성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임지현(Lim, Ji-Hyun),금미정(Geum, Mi-Jeong),이경화(Lee, Kyeong-Hwa)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양성교육과정의 이수 교과목에 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유아교사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부산시 소재 유치원의 교사를 대상으로 현행 유치원교사 양성교육과정의 전공 및 교직과목의 중요도와 개선 사항에 대해 평정형, 순위형 및 개방형 문항으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300명의 응답자 자료를 양적,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전공과목을 교직과목에 비해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과목 중에서는 ‘유아안전교육’, ‘유아관찰 및 실습’, ‘영유아발달과 교육’, ‘유아놀이지도’, ‘유아교육과정’ 등의 과목을, 그리고 교직과목에서는 ‘학교현장실습’과 ‘생활지도 및 상담’의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양성교육과정 개선과 관련해서는 교육실습 기간 확대 및 실습운영의 표준화, 유아교사의 교직관 및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목의 증설, 교직과목 축소 및 유아교육 현장성을 반영한 교직과목의 운영 등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교사 양성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 후속 과제를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n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the rating scale, ranked type, and open-ended items on the importance of subjects in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was conducted to 300 kindergarten teachers in Busan. The data wa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sult: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generally perceived their major subjects as more important than the teaching subjects. the respondents perceived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 , observation in the educational setting ,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education , play guidance and early childhood curriculum are more important than other major subjects. Additionally they recognized that practicum in kindergarten and guidance and counseling ar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teaching subjects. Finally, the respondents suggested improvements such as the expansion of the period of educational practicum, standardization of the practicum, the increase of subjects concerning teacher’s character education, the reduction of the teaching subjects, and the reflection of educational setting in teaching subjects.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the pre-service educ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 aimed at understanding child development and children’s play and practicing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교육내용과 관련한 유아 교사의 역할 탐구 : 국가와 유아 ‘사이 존재자’를 중심으로

        임부연(Lim, Boo-Yeun),손연주(Son, Yeon Ju)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으로 고시된 ‘누리과정’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교사역할의 문제를 교육내용과 연결하여 탐구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Aoki가 제안한 ‘간 거주자’로서의 역할, 즉 ‘국가와 유아 사이에 거주하는 자’로서의 교사역할에 초점을 두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시도하였으며, 특히 국가교육과정에서 주요한 의제를 제안하고 있는 Ted Aoki 논문에 초점을 두어 해석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역할에서 ‘국가’의 의미를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의 문제는 국가교육과정의 성공적 안착에 중요한 요소이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은 교사의 역할을 ‘유아를 지원하는 자’로 제안하고 있는데, 현재 ‘국가와 유아, 놀이’를 둘러싼 교사의 역할변화에 따라 가져오는 혼란을 교사의 국가가 제시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를 유아와 연계하여 실행하는 관점에서 풀어보고자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를 위하여 개정 누리과정의 시행 이전부터 오랫동안 유아교사의 역할로 인식되어온 1) 주제중심 교육과정과 유아의 사이의 존재자 2) 놀이와 유아 사이 존재자로서의 의미를 먼저 살펴 본 이후, 개정 누리과정의 시행에 따라 변화가 요구되는 교사역할을 3) 국가와 유아(놀이)사이의 존재자로서의 관점에서 논의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관점에서 교사가 충실하게 지각하고 있어야 할 국가교육고정에서 국가가 제안한 교육내용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이를 유아의 놀이를 통한 배움과 연결해 내는 교사역할의 필요성을 강조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유아교사는 본인이 명료하게 지각하고 있어야 할 대상으로써 ‘국가’와 ‘유아’의 의미에 기반하여 국가와 유아 사이의 존재자로서 역할에 충실하고, 이를 통해 유아가 중심이 되는 놀이가 살아나는 국가 교육과정의 실행이 가능함으로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a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for National Nuri Curriculum based on a perspective of an existent indwelling in between a nation and student. Especially, the term ‘nation’ in this study means to refined to ‘content’ named ‘five areas’in Nuri curriculum. Method: In o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heoretical analysis regarding philosophical approaches of role of teachers in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ories particularly focused on teachers in dealing with national curriculum,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dea of Ted Aoki. who sees role of teachers as indwelling between, which is very complex and important in oder to success of national curriculum in schools. Results: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eemed to misunderstand their royalty to teaching themes as if content. They had omit teaching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but teaching theme of knowledge. In other ways, som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nded to take care of only children’s play as if contents, so not concerning with real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t all. This tendency seem to proble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ing not administrational of national curriculum. Conclusion: Thus,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intended to overcome this problems of misunderstanding of practice of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successfully administer National Nuri Curriculum.,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recognize firmly their role of indwelling between nation and young children.

      • KCI등재

        유아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권기남(Kwon Ki-Nam),장유진(Jang Yu-Ji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도, 지식 정도, 전통문화교육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파악함으로써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7개 지역의 유치원 6곳과 어린이집 7곳을 선정하여 이곳에 재직 중인 누리과정 담당 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 자료를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첫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자신들의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지식 정도를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지각했으며, 경력이 많은 유아교사일수록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전통문화교육 계획 시에는 ‘교사의 전문성 부족’을 들었고, 전통문화교육 운영 시에는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중요성 및 이해 부족’을 들었다. 넷째, 유아교사들은 유아기 전통문화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통문화교육 운영 지침서 및 교재교구 개발’, ‘전통문화교육 연수 및 교육 강화’ 등의 순으로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eek direction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identifying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interest, degree of knowledge, problems and activating methods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Method: From 7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6 kindergartens and 7 daycare centers were selected.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28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s a high level, but the interests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at low level.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knowledge about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to be slightly higher than median, and knowledge level was higher in teachers with longer work experience.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felt that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the planning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the education operation. Fourth, early childhood teachers pointed out that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program , development of instruction manual and teaching materials , and training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re needed to facilitate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Conclusion: In order to substantialize and revitalize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With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traditional cultural education programs, operating guidelines and teaching materials, which can be easily used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교육디자이너의 역할과 역량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박지순(Park, Ji-Soon),배달샘(Bae, Dal-Saem),신지연(Shin, Ji-Yeon),한정규(Han, Jeong Gyu)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교육디자이너에게 실제로 요구되고 있는 직무와 역량을 분석하여 교육디자이너의 역할을 탐색함으로써 교육디자이너가 교육 현장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전문적 역할을 수행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교육디자인은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교육의 주체가 새로운 교육체제를 설계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말한다. 교육학 분야에서 양성된 교육혁신 전문 인력은 생애 진로-경력과 교육조직, 교육생태계 그리고 국제교육협력 수준에서 다양한 내용의 교육디자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문적 역량이 요구된다. 연구방법: 이러한 교육디자이너의 역할과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국내와 달리 국외의 경우 교육현장에서 교육디자이너라는 이름의 전문가가 실제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은 교육현장에 디자인 개념을 적용하여 창의적인 변화를 이끌어가고 있다. 이들의 역할과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국외의 교육디자이너 직무명세서와 구인광고 글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빈번하게 나타난 키워드를 파악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러한 연구를 통해 빈번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디자이너의 역할 및 역량뿐만 아니라 주로 짝을 이루어 나타나고 있는 역할과 역량을 바탕으로 교육디자이너의 주요 역량과 역할을 도출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외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육디자인 개념을 우리나라에 적용하고 교육디자이너의 역할과 역량을 수립하는 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s and functions of education designers in educational field by analyzing the duties and competencies that are actually required for educational designers. Educational design refers to comprehensive method for new subject of education to design and implement a new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e of future society. Research method: In order to examine the role and capacity of the education designers, we used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In foreign country, howeer, there is a specialist named education designer at the educational field. They are applying creative design concept to educational field.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roles and competencies, we have collected a wide range of job descriptions and job advertisements from foreign educational designers.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main competencies and roles of educational designers were derived based on the role and capacity of education designers, which are frequently showed up, as well as the roles and competencies that are mainly expressed in pair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to apply the concept of educational design which will be being used abroad and to establish the role and capacity of education designers in Korea.

      • KCI등재

        ‘담화공동체’로서의 글쓰기 교육 효과 연구 : 대학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윤현진(Yun, Hyeon-Ji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통해 ‘담화공동체’로서의 글쓰기 교육 효과를 살펴보고, 대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목적과 목표를 제안하는 데 있는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첫째,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의 304편의 글을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대학 글쓰기 교육 효과 입증을 위한 연구 결과물에는 테마별, 글의 수준 및 학습자의 프로그램 참여도를 고려하여 간추려 제시하였다. 둘째, 온라인 댓글에 적힌 동료 및 교수자의 조언 내용을 분석하여 비교과 글쓰기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도를 유도하고 온라인 글 공유가 구성원에 대한 이해와 관계로 나아가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을 통해 대학 글쓰기가 지향해야 하는 새로운 목적과 목표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의 사례 및 댓글, 설문지 분석을 통해 대학에서 인간 지성의 해방, 담화공동체의 중요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대학에서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은 글쓰기 교육이 읽기와 쓰기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눔과 협력의 힘을 키울 수 있다는 점이다. 대학이라는 지식 공동체 안에서 학문을 한다는 것은, 결국 지식의 이해, 수용, 적용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하고 나아가 지식을 올바른 방향으로 활용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글쓰기 교육 방안이 거시적인 측면에서 대학 교양교육 교과내용을 구성하는 데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글쓰기센터에서 글쓰기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데도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셋째,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과 교육 방법은 최근 평생학습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지역의 평생학습관이나 도서관, 구청 등의 글쓰기 강좌에서도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writing education as a “discourse community” through comparison and case studies of writing small group programs, and to suggest new goals and goals for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Method: First, 304 articles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arison and writing small group program were analyzed as the object of analysis, and the study result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were briefly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each theme, the level of writing, and the learner 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Second, by analyzing the advice of peers and teachers written in online comments, a comparative writing program guides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and online article sharing was further linked to their understanding. Third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for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e considered the new goals and objectives that university writing should aim for. Results: Through the case study, comments and questionnaire analysis of the small group program for comparative writing,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liberation of human intelligence and the importance of the discourse community in universities. Conclusion: The comparative writing small group program in college is that writing education can foster the power of sharing and cooperation through reading and writing interactions. Researching in a knowledge community called a university means that knowledge will be properly understood, accepted, and applied, and that knowledge will be used in the right direction. Second, such a writing education plan can present a direction for constructing the liberal arts subject content of a university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and even when developing a writing program model at a writing center, Hope we can provide suggestions. Third,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lifelong learning is emphasized, the comparison and writing consumption program and education method can be practically used in writing courses in local lifelong learning centers, libraries, and ward offices.

      • KCI등재

        ‘public’의 개념적 의미 확장을 통한 공교육사상의 재구성

        심성보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공교육은 교육을 국가행정의 영역으로 설정한 국가조직화 계획으로 등장한 국민교육 체제의 산물이다. 그런데 1990년대 들어 공교육 제도의 체제적 결함, 즉 효율성, 경쟁력 등에 있어 결함을 갖고 있다는 비판적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이러한 비판적 도전을 받은 공교육사상은 새로운 시대에 부응하는 논리를 만들어야 했다. 사실 그동안 공교육의 ‘공(公)’ 사상은 ‘사(私)’가 아닌 국가의 주도성을 강조하여왔다. ‘共’이 결여된 ‘公’의 강조는 교육의 관료화와 전체주의화 그리고 시장화로 변질될 가능성이 있다. 결론: 따라서 공교육의 변질 가능성을 제어하려면 공교육의 ‘공’ 개념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공(公)’은 ‘국가’ 및 ‘관’의 의미를 넘어 ‘공정한’, ‘함께’, ‘더불어’, ‘공동의’ 그리고 ‘공공성’의 의미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동시에 ‘公’과 ‘共’이 결합된 ‘public’의 개념은 ‘공통성’, ‘정치성’, ‘공론장’, ‘공평성’, ‘공중’의 의미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Purpose & Method: Public education is the product of the national education system that emerged as a national organization plan that set education as the domain of state administration. In the 1990s, however, the voices pointing to systematic deficiencies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increased. Among them, the logic of neo-liberalism raised the criticism that it transformed education into business and devastated public education. In front of this challenge, public education thought had to establish new logic. In the meantime, the ‘public’ idea of public education has emphasized the initiative of ‘state’, not ‘private’. Therefore, there is a danger that ‘public’ lacking ‘common’ will be transformed into bureaucratization, totalitarianism and marketization of education. To prevent the distortion of publ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ncept of ‘public’ in public education. Conclusion: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it is seen that ‘public’ extends beyond the meaning of ‘dominant power’ and refer to ‘fair’, and also expands to the meaning of ‘together’ and ‘common’. The meaning of 'commonality', ‘politics’, ‘public sphere’, ‘fairness’, and ‘public’ are included in ‘public’ which has the meaning of ‘publicity’ and ‘commonality’ at the same time.

      • KCI등재

        백워드 매핑에 기반한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구

        정승아,강현석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current school curriculum design problems by diagnosing them and discussing one solution to the problem. Method: For the study, relevant literature analysis and critical exploration were conducted. First of all, due to the problem of curriculum design, it suggested that the purpose and goals of the curriculum were ambiguous, second, the curriculum was designed and operated mainly based on content, and third, it was not suitable for evaluating the capabilities of the 21st century.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we proposed a school curriculum design plan that utilizes backward mapping design based on a blueprint of learning outcomes-oriented curriculum that corresponds to educational effec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plan a cornerstone task-oriented evaluation to check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to plan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for students to display their abilities and functions in these assessments and real situations. Results: These design measures present a potential for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in the development of school curriculum and for changes in classes and evaluations. Conclusion: To prepare for an uncertain future, this study hopes for a school curriculum that can be meaningful and truly helpful to students' lives, and suggests a school curriculum design based on backward mapping, focusing on blueprinting the curriculum and the design of the cornerstone task. 연구목적: 본 연구는 현행 학교 교육과정 설계의 문제를 진단해보고 그 문제에 대한 한 가지 해결방안을 논의하여 그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하여 관련 문헌분석과 비판적 탐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교육과정 설계의 문제로 첫째, 교육과정의 목적과 목표가 모호하고, 둘째, 주로 내용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이 설계되고 운영되며, 셋째, 1, 2세대의 교육과정 매핑에 안주하고 있어 21세기 역량을 평가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교육효과에 해당하는 학습성과 중심의 교육과정 청사진을 기반으로 하여 백워드 매핑 설계를 활용하는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그 핵심적 설계 방안을 통해 교육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초석과제 중심의 평가를 계획하고 이러한 평가와 실제 상황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경험 계획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이러한 설계 방안은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서 도입, 적용 가능성과 수업과 평가에서의 변화 가능성을 제시한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되는 새로운 방안은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학생들의 삶에 의미 있고 진정한 도움을 줄 수 있는 학교 교육과정을 가능케 하는 실효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