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지역공동체 再論: 인문학적 동아시아론의 함의

        심원필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5 No.-

        Regionalization of East Asia has raised discussions about East Asia, and the global trend of regionalism has led to new perceptions of East Asia region.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istic East Asia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hopes for a autonomous East Asia; second, it claims to overcome the ethnocentrism; and third, it imagines the East Asian regional community. In order to discuss the East Asian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imagine the future rather than stay in the past. Since the abstract and theoretical arguments cannot guarantee the East Asian Community, the measures should be presented beyond imagination. For the East Asian Community with high feasibility, the constraints should be identified and solutions should be sought. Above all, the Community must practice open regionalism, which is not exclusive. It should be a co-existence Community that embraces the heterogeneity and diversity of East Asian countries. Finally, voluntary communication, exchanges, and solidarity activities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openness and coexistence of the East Asian Community. The paradigm shift of the humanistic East Asia discussions requires the attention of the social sciences, which can increase the opportunity to share the interdisciplinary questions and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of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on the complex agenda of East Asia. 동아시아의 지역화 현상은 동아시아에 대한 논의를 키웠으며, 세계적인 지역주의 흐름은 동아시아 지역주의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논의는 그것이 갖는 정치경제적 구성물의 특성상, 사회과학적 관심이 커보였다. 그러나 복합적 의제로서의 동아시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논의의 지평을 넓히거나 새로운 방법론으로 새롭게 논의(혹은 再論)하는 계기가 필요하다. 그 하나가 동아시아에 대한 인문학적 논의를 탐색하는 일이다. 인문학적 동아시아 논의의 특징은, 첫째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동아시아를 희망하고 있다는 점, 둘째 자민족중심 또는 자문화중심의 극복을 주장하는 점, 셋째는 지역공동체를 상상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동아시아 지역공동체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과거에 머물기 보다는 미래를 상상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서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주장만으로 동아시아 지역공동체를 담보할 수 없기에 상상을 넘어 실천에 가장 가까운 방안들이 제시되어야 한다. 동아시아 지역공동체의 실현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약요인을 찾아내고 해결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먼저, 동아시아 지역공동체를 위해 배타성을 해체하는 개방적 지역주의를 실천해야한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이질성과 다양성을 포용하는 공존적인 지역공동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발적인 소통, 교류, 연대 활동을 통해 개방성과 공존성에 힘을 보탤 수 있어야 한다. 일부 인문학적 동아시아 논의가 보여준 패러다임 전환적 시도에 대해 사회과학의 관심이 필요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동아시아라는 복합적 의제에 대한 학문간 문제의식의 공유와 관점 및 방법론의 소통기회를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시대적 사명과 인문학의 역할

        이구의(ku-eui Lee)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4 No.-

        본고에서는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라는 말에 착안하여 현재 인문학의 현상과 앞으로 인문학을 회복 또는 부흥시키는 길, 앞으로 우리사회에서의 인문학의 역할과 사명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인문학이 침체된 까닭은, 첫째 인간이 인간 대접을 받지 못한다. 현재 우리는 인문(人文) 시대가 아니라 반인문(反人文), 비인문(非人文)시대에 살아가고 있다. 둘째 공동체 의식이 무너졌다. 셋째 국가 지도자 또는 사회의 원로들 가운데 도덕적으로 결함을 가진 사람이 많다. 넷째 TV를 비롯한 대중 매체들이 남의 장점보다는 단점을 들춰내고 있다. 다섯째 공동체 의식보다는 개별 의식이 강하다. 여섯째 세대 또는 계층 간 소통(疏通)이 되지 않는다. 일곱째 자신이 한 일에 대하여 책임지려 하지 않는다. 여덟째 물질문명을 중시한 나머지 인성이 메말랐다. 인문학을 회복시키고 이를 부흥하는 지름길은 지역 인문학을 활성화 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몇 가지를 실천하여야 한다. 첫째 지방화 시대 지역 인문학이 세계 인문학이라는 생각으로 지방의 인문학 민(民)・관(官)・학(學)이 서로 협력하여야 한다. 둘째 이 세 부류의 사람들이 협력하여 지방의 문헌(文獻)을 조사(調査)한 뒤 이를 바탕으로 지방 인문학을 연구하여야 한다. 셋째 문헌을 통한 인문학 자료를 조사하는 일을 마치면 그 문헌이 생성되었던 현장을 조사하여야 한다. 넷째 사람이 살았던 곳이나 그 인물들이 활동하였던 범위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여야 한다. 다섯째 인문학 자료를 정리하여 문화지도를 만들어야 한다. 여섯째 지역을 단위로 인문자료를 종합한 자료지(資料誌)가 나와야 한다. 일곱째 각 지역의 인문학 요소 가운데 그 지역의 특징적인 것을 부각시켜야 한다. 미래 사회에 인문학과 이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적으로 인문학을 다른 그 무엇의 목적을 위한 수단이나 도구로 삼지 말아야 한다. 둘째 인문학에 종사하는 학자들부터 명예욕(名譽慾)을 비롯한 부당(不當)한 욕심을 버려야 한다. 셋째 흩어 진 마음을 융합(融合)하는데 인문학이 앞장서야 한다. 넷째 인문학이 전통문화 계승의 주체자(主體者)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세계를 주도하는 인문학을 정립하여야 한다. 여섯째 인문학의 궁극적 목표인 인문주의(人文主義)를 이루는데 인문학이 앞장서야 한다. 일곱째 이 인문주의를 이루는 지름길인 순리(順理)에 인문학이나 이를 연구하는 인문학자들이 선두가 되어야 한다. At this article based on the word ‘Crisis of humanities’ that we are facing, considered the current phenomenon of humanities and the way to restore or revive humanities in the future, and the role and mission of humanities in our society in the future. The first reason for the decline in humanities is that humans are not treated as human beings. At present, we live not in the age of humanities but in the age of anti-humanism and non-humanism. Second, the sense of community has collapsed. Third, many of the nation"s leaders or elders of society have moral flaws. Fourth, TV and other media outlets are uncovering their shortcomings rather than their strengths. Fifth, individual consciousness is stronger than community consciousness. Sixth, no communication between generation or classes. Seventh, he refuses to take responsibility for what he has done. Eighth, the character was dry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material civilization. The shortcut to restoring and reviving humanities is to revitalize local humanities. To achieve this, several things must be implemented: First of all, local humanities should cooperate with the three classes of people, namely inhabitants government official and scholar each other, with the idea that local humanities are the world"s humanities in the era of localization. Second, the three classes of people should cooperate to research local literature or documentary records and then study local humanities based on it. Third, after completing the investigation of the humanities data through the bibliography, the site where the bibliography was created should be investigated. Fourth, person shall organize data on the place where he or she lived or the scope of his or her activities. Fifth, we need to organize the humanities materials and create a cultural map. Sixth, region should have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humanities materials. Seventh, among the humanities elements of each region, the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should be highlighted. The roles of humanities departments and people engaged in them in future societies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consciously not use humanities as a means or a tool for anything else. Second, scholars working in humanities should give up their desire for fame and injustice. Third, humanities should take the lead in converging scattered minds. Fourth, humanities should be the main body of traditional culture. Fifth, the humanities leading the world should be established. Sixth, humanities should take the lead in achieving the ultimate goal of humanities. Seventh, humanities or humanities should be at the forefront of the study in reasonableness or rationality, a shortcut to achieving this humanities.

      • KCI등재

        한국의 동아시아론과 정체성의 문제

        정남희(Jung, Nam-Hee),노상래(Roh, Sang-Rae) 동아인문학회 2014 동아인문학 Vol.29 No.-

        한국의 동아시아론은 냉전의 종식과 민주화의 달성을 원동력으로 삼아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두 동인은 완전히 성취된 것이 아니라 현재진행중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냉전은 소련만의 붕괴로 종식되었다. 미국은 여전히 건재하며, 한반도의 분단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둘째, 한국의 민주화 운동은 군사 독재를 극복하고 문민정부를 탄생하게 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민주주의는 완성품이 아닌 과정이며, 현재의 한국은 ‘생명(관리)정치’가 만연한 비민주적인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동아시아론은 한반도의 분단과 안보에 깊이 주목한다. 한국의 동아시아론은 특히 동북아시아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반면, 중국과 일본의 동아시아론은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경제 관계나 경제 통합을 중시한다. 중국과 일본의 동아시아론은 동남아시아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지역을 다루며, 동아시아 내에서 이 둘은 주도권 경쟁을 하고 있다. 미국은 ‘아시아-태평양’이라는 지역 개념을 주장하며, 이를 통해 미국이 배제된 ‘동아시아’ 개념과 경쟁하고 있다. 동아시아론은 내셔널리즘을 극복하려는 의지에 기원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주도형의 동아시아론은 내셔널리즘처럼 ‘정체성의 정치’를 따라가기 쉽다. 본고는 조르조 아감벤(Agamben, Giorgio)의 ‘정체성 없는 특이성’ 개념을 사용하고, ‘정체성의 정치’의 위험성을 지적하며, 동아시아론은 사람들의 특이성에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 have made East Asian discourses of South Korea possible. However, these two events have not been completely accomplished, but are in progress. There are two reasons why. First, the Cold War ended because of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United States is still alive and well. The division on the Korean Peninsula does not have a satisfactory solution. The growth of China raises the possibility of a new Cold War. Secondly,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of South Korea contributed to overcoming the long-lasting military dictatorship and launching of a civil government. However, democracy is not a finished product but a process. South Korea is an undemocratic space where ‘biopolitics’ prevails. East Asian discourses of South Korea pay attention to the security and the divis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hey have focused particularly on Northeast Asia. On the contrary, East Asian discourses of both China and Japan attach importance to economic relations and integrations among East Asian countries. Moreover, they have covered a wider range including Southeast Asia. Inside East Asian discourses, China and Japan are struggling for leadership. The United States insists upon a regional concept called ‘Asia-Pacific’. This ‘Asia-Pacific’ concept competes with the ‘East Asia’ concept exclusive of the United States. East Asian discourses originated from the intention of overcoming nationalism. But, The state-led East Asian discourses tend to follow ‘politics of identity’ like nationalism. This paper uses the concept ‘singularity without identity’ of Giorgio Agamben, points out the dangerousness of ‘politics of identity’, and proposes that East Asian discourses should pay attention to people’s singularity.

      • KCI등재

        중국 초중등학교 인문교육의 특징과 실천

        鄭鎔敎(Chung, Yongkyo),陸潭晟(Lu, Tansheng)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0 No.-

        이 연구는 중국현장 학교교육 여건에서 인문정신은 무엇이며, 또 이의 실현을 위한 인문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데 중요한 목적을 둔다. 인격형성과 인격완성에 인문교육이 어떤 영향을 미치고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에 덧붙여 인문교육이 지향하는 바의 현장특징을 동파초중학교의 사례를 통해 밝히려 한다. 강소성 의흥시에 소재한 동파초등학교와 동파중학교에 비추어 인문교육이 실천되는 사례를 교과교육적 측면과 비교과교육적 측면에서 나누어 논의한다. 교과영역 차원에서 동파초중학교 교육은 한국과 같은 교과위주의 교육에 큰 비중을 두지 않았으며, 또 체육활동과 동아리활동을 소홀하게 취급하지 않았다. 이는 교과교육과 비교과교육 간의 적절한 균형이 보장된 주간 시간표운영에서 잘 드러났고, 교과영역과 비교과영역 간의 균형을 통해 학과공부에 지나치게 치우침으로 초래될 수 있는 학습 부담감에서 벗어나 전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학교와 동일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도 동파학교는 동파정신의 재조명에 건학이념을 두었고, 학교운영의 곳곳에서 동파정신을 구현하려는 다양한 실천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는 중국식 인문교육의 좋은 실천사례로서 상급의 명문학교 입학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는 한국의 학교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았다. 비교과교육 측면에서 동파학교는 다양한 비교과교육의 활성화를 통해 학생들의 인문적 소양능력 육성에 주력하고 있었다. 동파학교의 이름에 걸맞게 동파 시와 문학으로 대표되는 동파정신을 학교교육의 곳곳에서 되살리려는 다각적인 교육활동을 다하였다. 이런 동파정신의 재조명에서 동파서원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학교에서는 동파서원의 풍부한 인적, 물적자원을 활용하여 학생교육에 접목시켰고, 또 그런 교육적 노력에 교사와 학생, 심지어 학부형들도 적극적으로 응답하였다. 동파정신의 재조명을 위한 다양한 노력은 동파관련 동아리활동의 활성화로 이어졌고, 그런 동아리활동의 결과는 동파관련 문예작품의 창작으로 나타났다. 동파학교에서 동파정신은 건학이념이자 학교교육이 추구해야 할 교육목표로서 학생들의 정신세계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학교에서는 이런 동파정신의 실현을 통해 학생들의 정서와 행동을 순화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학교교육의 구심점으로 삼고자 하였다. 학교의 모든 구성원은 ‘동파처럼 살 필요가 있다’라는 슬로건에서 동파교육의 핵심이념을 볼 수 있었고, 그것은 인문교육의 대표적 실천사례라 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humanities’ spirit is in the Chinese education field and what kind of humanities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promote the spirit of humanities in the fields. In doing so, we studied the roles and influences of an education program of humanities as a personality training program by investigating the cases of Dongpo Elementary & Middle School located in Yixing City, Jiangsu Province. The school curriculum show the character of Dongpo Elementary & Middle School that do not solely emphasize on the subject education unlike the education in Korea. Also, they do not neglect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The time schedule of the schools reflects the philosophy of Dongpo Education well that aims at the balance of regular cours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t could give many implications to schools in Korea that only focus on the entrance of good universities. The schools also emphasize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humanities spirit and abilities by encouraging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especially poem and literature, for students. In doing so, Dongpo lecture hal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Dongpo educational philosophy. The schools’ endeavors were well supported by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parents that result in the highly qualified literary work created by students. The Dongpo educational philosophy affects the students in Dongpo schools a lot. Given that the philosophy of Dongpo and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the Dongpo case is an excellent case of the practice of education of humanities studies in school field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