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구려연구재단과 동북아역사재단의 남·북 역사문화 교류와 성과

        고광의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0

        고구려연구재단과 동북아역사재단의 남북 교류 협력은 불안정한 남북 관계의 속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2004년 설립된 고구려연구재단은 2005년 북측과 남북 공동 학술연구 사업 진행 등의 내용을 담은 ‘남·북 고구려관련 공동학술사업 추진을 위한 합의서’를 체결하였다. 2년의 기간 동안 평양 일대의 고구려 유적에 대한 공동 학술조사, 관련 학술회의를 개최하는 등 양측이 협력해나가야 할 바람직하고 보편적인 학술 교류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2006년 설립된 동북아역사재단은 변화된 정세로 인해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였다. 2008년 캐나나 밴쿠버에서 열린 ‘동북공정과 고구려’ 국제학술회의에 동북아역사재단과 북측 사회과학원 관계자들이 참여하면서 제3국을 통한 학술교류를 지속할 수 있게 되었다. 그동안 고구려연구재단과 동북아역사재단의 남북 역사문화 교류는 고구려사와 발해사, 일본의 역사교과서, 독도, 일본군‘위안부’ 문제 등 분야에서 학술회의 8건, 직간접 발굴조사를 통한 발굴조사 보고서 발간 11건, 북측 연구 성과 출판 1건 등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였다. 최근 10여 년 동안 변동성이 심했던 남북 정세 속에서 고구려연구재단과 동북아역사재단이 얻은 이러한 성과들은 우리 정부의 남북 역사문화 교류 사업 전체의 수량적 측면에서도 일정 부분을 점하고 있어 기여한 바가 있다고 평가된다.

      • KCI등재

        중국의 역사지도 편찬에 관한 기초연구

        전종한(Jeon Jonghan),이명희(Lee Myeonghee)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6

        역사지도란 역사지리학의 고전적 전통인 ‘시간에 따른 지리적 변화(geographical changes through time)’와 ‘과거지리(past geographies)’를 지도학적 방법으로 표현 및 복원해 놓은 지도를 말한다. 20세기 이후의 현대 중국에서는 국가가 지원하거나 주도하는 가운데 『중국역사지도집(中國歷史地圖集)』(1982~1987)과 『중화인민공화국국가역사지도집(中華人民共和國國家歷史地圖集)』(2012~)을 잇따라 발간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중국에서 역사지도집의 연구와 제작, 그리고 편찬 작업은 중국 역사지리학의 가장 특징적인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분야 최대의 성과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현대 중국의 대표적 역사지도집인 『중국역사지도집』과 『중화인민공화국국가역사지도집』을 대상으로 역사지도집의 전체적 편찬 방향과 편집 지침, 내용 체계와 구성, 기본도, 지도학적 표현상의 특징을 분석하는 한편, 역사지도집의 전체 편찬 과정에서 작동한 제작 주체의 강역의식 및 역사인식과 같은 토대 개념을 파악하고 이를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현대 중국의 역사지도집은 중국 정부가 계기를 마련하여 시작된 사업이지만, 그 속에 담긴 내용은 온전히 탄치시앙을 비롯한 제작 주체들이 구상한 토대 개념, 즉 ‘역사상(歷史上)의 중국’과 ‘중국사상(中國史上)의 민족’의 재현이었다. 이들 역사지도집은 중국의 오랜 역사지도 전통을 계승한 것이면서도 실재에 있어서는 ‘역사적 사실’과 ‘국가의 이익’ 사이에서 고민한 결과였다. 따라서 현대 중국의 역사지도집은 역사적 사실과 국가적 이익과 정치적 목적이 혼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에서도 국가 차원의 역사지도집 편찬 전담 기구를 설치하여 역사지도집 편찬 시스템을 갖추고 토대 개념에 대한 논의를 비롯해 학제적 협력을 이끌어내는 일이 시급하다. Historical atlas consists of a series of maps that express and reconstruct ‘geographical changes through time’ and ‘past geographies’ which are classics of historical geography. Since the 20th century, modern China has published two historical atlas by supporting and leading by the state. One is 『Chinese Historical Atlas』(1982~1987, 中國歷史地圖集), and the other is 『Chinese National Historical Atlas』(2012~, 中華人民共和國國家歷史地圖集). As a result, today, the study, production and compilation of historical atlases in China is not only recognized as the most characteristic area of Chinese historical geography but also regarded as one of the greatest achievements in this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comprehensive guide to Chinese historical atlas, general compiling principles, contents, base map, mapping processes and cart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interpret the base concept or idea such as the consciousness and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producer(subject) who worked in the whole compilation process of the historical atlases. In conclusion, although the Chinese historical atlases are product of a business star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he contents contained in it are a representation of the base concept or idea that the producers envision on ‘historical china(歷史上的中國)’ and ‘historical Chinese ethnicity(中國史上的民族)’. These historical atlases are inherited from China’s long history of historical atlases, but in reality they are the result of concerns about ‘historical facts’ and ‘national interests’. In short, modern Chinese historical atlases are a mixture of historical fact, national interest, and political purpose. In order to cope with this situation, it is urgent for Korea to establish the national institute for historical atlas, to have a historical atlas compilation system, to discuss base concepts for national historical atlas, and to draw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 KCI등재

        한중 역사 갈등의 현황과 과제 - 동북공정을 넘어 미래로

        김현숙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7

        In recent Chinese studies of Korean history, an in-depth study of the history of Koguryo is being conducted. Reports on the excavation of the ruins of Koguryo and Balhae and thesis on Gojoseon and Buyeo increased. Interest in Gaya, Baekje, and Silla is increasing, and research in the Koryo and Joseon dynasties is rapidly increasing. All pre-modern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are organized into sect relations(宗藩關係). In addition, a large-scale publication project that summarizes the history of Manchuria is underway.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caused by the Northeast Project spread to the cultural aid debate. China’s patriotic tendencies intensified. In China, history is used as a national policy to solve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realities. If the tourism industry in Koguryo·Balhae and Mt. Baekdu becomes active, interest in local history will increase, and historical and cultural disputes and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will intensify. To respond to this, we must compile a history of Korean history that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organizes the temporal and spatial scope and flow of Korean history, along with in-depth research on Korean history, nurturing young researchers, and domestic and foreign education and publicity. A historical theory suitable for Korean history should also be develope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history of the northern reg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history. In order to protect historical sovereignty while promoting historical reconciliation and joint development, the Korea-China Joint History Research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as a historical dialogue organiz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duce joint history books and textbook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o provide joint history education. 최근 중국의 한국사 연구를 보면 고구려 역사에 대한 심화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구려·발해 유적 발굴보고와 고조선·부여 논문이 전보다 많아졌고, 가야·백제·신라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으며, 고려·조선 시대 연구가 급증하고 있다. 고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한중관계를 모두 종번관계(宗藩關係)로 정리하는 등 중국 중심의 한중관계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 만주지역 고대 민족과 왕조사를 총정리하는 대형 출판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동북공정에서 야기된 한중 갈등은 문화원조 논쟁으로 확산되었다. 중국의 자민족중심주의와 애국주의 경향이 전에 없이 강화되었다. 중국에서는 역사를 국내외 정치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정책과 전략적 대책의 일부이자 관광산업의 소재로 활용한다. 고구려·발해 유적지와 백두산 관광산업이 활발해지면 지역 역사에 대한 관심이 더 커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한중 간 역사문화논쟁과 갈등이 더 심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는 한국사 연구심화, 신진연구자 양성, 국내외 교육과 홍보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 이와 함께 한국사의 출발점과 시공간적 범위와 흐름을 종합적·체계적으로 정리한 한국사대계 등을 편찬해야 한다. 또 한국사에 맞는 역사이론을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북방지역의 역사를 한국사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역사화해와 공동발전을 도모하면서 역사주권을 지키기 위해 한중 역사대화기구로서 ‘한중역사공동연구위원회’를 설립하고, 한중 공동 역사서와 역사교재 제작, 공동역사교육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 KCI등재

        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고조선(한4군)과 임나일본부에 대한 서술 변화 - 식민사학의 영향과 중화주의가 결합한 한국고대사상(像)

        권은주(Kwen Eunju)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4

        근대 중국의 역사학은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를 바라봤던 중화주의 역사인식에 기반하여, 근대 일본의 역사학(식민사학과 만선사관)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중국 학자들은 두 가지 역사 인식이 결합된 왜곡된 한국고대사 이미지를 만들었다. 중국은 일본의 중국 침략이 본격화되는 시기에는 일본의 만선사에 대항하여 중국의 동북사 체계를 확립해나갔다. 그러나 고조선(한4군), 고구려, 발해를 중국 동북의 역사로 여기면서, 모순되게도 오직 남선(南鮮)만 한국고대사의 역사공간으로 여겼던 만선사와 맥을 같이하였다. 이러한 역사 인식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비주류가 되었으나,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다시 주류가 되어 역사교과서에 반영되었다. 중국 대학에서 사용되는 주요 역사교과서에 이러한 인식이 잘 드러난다. 최근 중국은 초중등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이어 대학 역사교재도 국정화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어 향후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Modern Chinese history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Japanese colonial historiography and Manseon historiography, on the basis of the Sino-centric belief which regards China centered in East Asia. Consequently, Chinese scholars have created a distorted image of the Korean ancient history, derived from an inherently conflicting mixture of both historical perceptions. During the period when Japan’s invasion of China was in full swing, China established a historiography of Northeast China against Japan’s Manseon historiography. However, it was in line with the Manseon historiography in the sense that it regards Gojoseon including Four Commanderies of Han), Goguryeo, and Balhae as the history of northeast China, and views only Namseon as the historical space of the Korean ancient history. The Chinese perception of history did not become a mainstream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ut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t became a mainstream again and was reflected in their history textbooks. The perception has been inscribed in the major history textbooks in their universities. In recent years, China is showing its will to nationalize university history textbooks, following the nationaliz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and its insistence is likely to be intensified in the future.

      • KCI등재

        식민지기 지방사 편찬을 통해 본 지방 구현과 식민주의 역사학의 전개 - 『평안북도사(平安北道史)』(1938)를 중심으로

        정상우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9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whose invasiveness have been highlighted, is simultaneously defined in two factors: One is Japan’s invasion to the continent. The other is the establishment and spread of modern historiography of Japan. In particular, academic organizations which was established by Japan in Joseon such like 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Society of Joseon History Compilation(朝鮮史編修會) and Cheonggu Association(靑丘學會), submitted their achievements in the 1930s. These, as well as continental invasions, were driving changes in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s invasiveness and character as modern historiography at the same time. History of North Pyongan Province(『平安北道史』) commissioned and compiled by the North Pyongan Province Office(平安北道廳) to Inaba Iwakichi(稻葉岩吉) in 1938, is a booklet that intersects Japan’s invasion to the continent, History of Manchuria-Joseon(滿鮮史) which is one of the main discourses of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and academic institutions which is necessary for maintenance and spread of modern historiography. History of North Pyongan Province was a history book that summarized the history of North Pyongan Province in relation to the continent, and this historical story was supported by Joseon History compilated by Society of Joseon History Compilation in historical materials. In this sense, it can be seen that as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fortifies its attributes as modern historiography, North Pyongan Province has degenerated into a local history that fades without considering the continent. 사관을 중심으로 침략적 속성이 조명되었던 식민주의 역사학은 일본의 대륙침략만이 아니라 근대 역사학의 성립·확산이라는 두 가지 요소에 동시적으로 규정된다. 특히 1930년대, 제국 일본이 조선에 설치한 근대 역사학의 전개에 필요한 학술기구들(경성제국대학, 공문서관으로서 조선사편수회, 청구학회 등의 학회)은 그 성과물들을 본격적으로 제출했다. 대륙침략만이 아니라 이러한 것들 역시 식민주의 역사학의 변화를 추동하는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식민주의 역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지닌 침략성과 근대 역사학으로서의 성격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1938년 평안북도청에서 이나바 이와키치에게 의뢰하여 편찬한 『평안북도사』는 제국 일본의 대륙침략, 식민주의 역사학의 주요 담론 중 하나인 만선사, 근대 역사학과 그 유지·확산에 필요한 학술기구 등이 교차하는 책자이다. 『평안북도사』를 검토한 결과 이 책자는 평안북도의 역사를 대륙과의 관계 속에서 정리한 역사서였으며, 이러한 역사상은 식민지기 중앙의 역사편찬사업인 『조선사』에 의해 사료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식민주의 역사학의 역사 서술이 근대 역사학으로서 속성을 더해갈수록 평안북도는 대륙을 고려하지 않으면 그 의미가 퇴색하는 지방의 역사로 전락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북방의 역사가 대륙사의 일부가 된다는 것은 한국사의 왜소화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 KCI등재

        『중외역사강요』 속의 중국식 글로벌 가치관 ‘인류운명공동체’의 서술과 시사점

        우성민(Woo Sungmin)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0

        신중국 건국 70주년을 맞이한 2019년 가을학기 시작에 맞춰, 중국 교육부는 일반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인 신판 보통고중역사교재 『중외역사강요(中外歷史綱要)』를 공식 출간하였다. 이 글에서는 『중외역사강요』에서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기본방침이라고 강조한 ‘인류운명공동체’ 담론 서술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로써 ‘중국이 어떠한 세계를 추구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사회주의 대국으로서의 중국이 인류사회 발전을 위해 반드시 맡아야 할 역사적 책임을 인식하게 하는 목적 의식을 명시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중국은 세계 정치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인류문제를 해결하되, 중국의 지혜와 중국 스타일로 기여할 것임을 재차 반복하여 서술한 내용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궁극적으로 중국이 국제사회에서 중국이 신형 국제관계를 구축하고 새로운 질서를 만들며 중국의 역할의 당위성을 확대할 것을 시사한다. 그 안에는 한반도에 대한 강력한 영향력 행사도 포함되어 있다. 중국 당 지도부가 인민에게 요구하는 애국주의와 민족주의를 사명으로 받아들일 중국의 중고등학생들이 앞으로 차세대 리더가 되었을 때 동아시아 교류와 협력에 방해가 되는 외교적 마찰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역사교과서는 차세대의 역사인식 형성에 큰 영향을 주며 주변국의 상호 이해를 위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기에 중국 역사교과서의 새로운 시각과 변화에 대한 총체적 연구와 분석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한중수교 30주년을 앞두고 한중관계를 어떻게 정립하고 발전시켜야 하는지 모색하는 가운데 ‘인류운명공동체’가 지향하는 상호 존중의 가치가 진정성을 발휘하도록 학계의 공동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beginning of the fall semester in 2019, which marked the 7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New China,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China officially published its new edition of history textbook for ordinary high schools, Zhongwai lishi gangyao [中外歷史綱要, Outline of Chinese and foreign history]. This article reviews the discourse and narrative on “a community of shared destiny for mankind,” which the textbook emphasizes as a basic policy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for a new era. The textbook answers the question, “What kind of world does China want to see?” by specifying a sense of purpose to raise awareness of the historical responsibility that China, as a socialist power, must assume for the sake of the advancement of human society. In particular, an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epetitive description that China will address the challenges facing mankind by promoting changes in the global politics in an active manner while contributing Chinese wisdom in Chinese style. Such description implies that China will ultimately build new international relations, create new order, and expand the legitimacy of its rol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trong influence over the Korean Peninsula is also suggested. When Chines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ill accept patriotism and nationalism, that the leadership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demands from its people, as their mission become the leaders of next generation, it will be difficult to avoid diplomatic friction that will hinder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East Asia. History textbooks greatly affect the next generation’s perception of history and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mutual understanding among neighboring countries, and thus comprehensive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new perspectives and changes of Chinese history textbooks must be continued. It is hoped that joint research will gain momentum to allow the value of mutual respect supported by the “community of shared destiny for mankind” to fulfill its true purpose as we seek ways to define and develop Korea-China relations in the lead up to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마공정(馬工程) 『중국근현대사강요』의 중국계 이주민 서술의 특징 - 싱가포르 및 대만 역사교육과의 비교 분석

        김종호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9

        “The Project of Marxism Theoretical Research and Establishment(馬克思主義理論 硏究和建設工程)”, also known as the “Marxism Project,” demonstrates the Chinese government and Communist Party’s intention to build national identity based on Marxism through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 textbooks in university-level education. This study delves into the nature of Chinese history education,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writing structure of modern history via the “Marxism Project”-published Outline for Modern History of China. This paper examines the description patterns of overseas Chinese, in particular by analyzing narratives related to overseas Chinese and Taiwan, which have a deep connection with the history of Chinese immigrants during the modern period. Furthermore, what three countries seek to reveal in terms of the view of country, view of people, and view of history is explor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interpretation with the relevant history educational regulations of Singapore and Taiwan, which formed through Chinese migration during this period. The perception of the overseas Chinese revealed in the Chinese history textbook is that the history is described under the broad national narrative of pluralistic unity of the Chinese nation, also known as ‘Chinese Big Family’. In the case of Singapore, however, rather than highlighting overseas Chinese activities through textbooks in compulsory education, it is emphasized that Chinese immigrants were beings who thoroughly conformed to British law and system in order to overcome Singapore’s immediate challenge of ethnic harmony. In the case of Taiwan, they attempted to solidify their Taiwanese identity by pursuing an independent history narrative centered on the island of Taiwan, as well as a view of history that contradicted China’s view of history. The history education trend in these three countries demonstrates that the three countries have solidified their national identities in the decades since they established separate national communities. “마르크스주의 이론 연구와 건설 프로젝트(馬克思主義理論 硏究和建設工程)”, 소위 “마공정”이라 칭하는 교재 편찬사업은 중국이 10대를 대상으로 한 의무교육뿐 아니라 대학 교육에서도 마르크스 사상으로 대표되는 국가 정체성을 심어주려고 시도하는 사업이다. 이 글에서는 “마공정” 아래 편찬된 2018년판 『중국근현대사강요(中國近現代史綱要)』를 중심으로 현재 중국 대학 교육에서의 근대사 서술구조를 파악함으로써 현재 중국 고등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교육의 실체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근대 시기 중국인 이주민의 역사와 깊은 연계를 지닌 화교 및 대만 관련 서술을 분석함으로써 중국계 이주민에 대한 서술방식을 분석한다. 아울러 분석 결과를 이 시기 중국인 이주를 통해 형성된 두 국가, 싱가포르와 대만의 관련 역사교육 규정과 비교해봄으로써 세 국가가 추구하고자 하는 국가관, 민족관, 역사관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중국의 역사교재에 드러난 중국계 이주민에 대한 인식은 ‘중화민족’이라는 광범한 민족적 서사 아래 그 역사를 서술한다는 것이다. 반면 싱가포르의 경우 의무교육에서 행해지는 교과서를 통해 중국계 이주민의 활동을 부각하기보다는, 다양한 민족 간의 화합이라는 당면한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중국계 이주민들이 영국의 법과 제도 속에서 철저히 순응한 존재였음을 역설한다. 대만의 경우 중국의 역사관과는 배치되는 역사관과 더불어 대만섬을 중심으로 한 주체적인 역사 서술을 지향함으로써 중국계 이주민이자 대만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려 하였다. 이와 같은 세 국가의 역사교육 경향은 세 국가가 개별적인 공동체를 성립한 이후 수십 년에 걸쳐 자체적인 국가 정체성을 확고히 했음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재일한국학교의 ‘한국역사’ 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이경훈(Lee Kyunghoon)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3

        재일한국학교는 민족차별과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재일한국인 자녀들이 한국어와 한국역사, 전통문화 교육을 통해 민족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민족교육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일본으로 귀화하거나 일본인과 결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일본에서 태어나고 생활하는 3세, 4세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재일한국인에 대한 민족교육도 민족 정체성을 가지면서 일본에서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변해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재일한국학교의 한국역사 교육은 재일한국인의 형성과정과 현재의 모습을 고려한 교육과정은 물론 정식 교과서조차 없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변화하는 재일한국인 사회에 보조를 맞추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재일한국학교 재학생 설문조사와 한국역사 교과담당 교사 인터뷰,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결과를 통해 재일한국학교의 한국역사 교육현황, 학생들의 한국역사 지식수준을 파악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한국역사’ 교과교육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재일한국학교에서 가르치는 ‘한국역사’의 교육목표와 내용은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하는 것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재일한국인 사회의 환경을 고려하여 일본 사회에서 조화를 이루며 살 수 있는 힘을 길러줄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학생들의 언어 수준과 한국역사에 대한 지식수준, 생활환경을 고려하여 교재를 제작해야 한다. 둘째 한반도와 일본의 역사적 관계를 주요 항목으로 선정하여 교육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이때 양국 사이에 다양한 교류와 갈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려는 노력이 있었다는 것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실제 생활에서 민족차별과 갈등에 부딪혔을 때 문제를 해결하는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단순히 전통문화와 과거 역사에 대한 지식전달에 그치지 않고 민단과 총련, 재일한국학교와 조선학교로 나뉘어 있는 사실 등 남북분단으로 인한 역사가 자신들의 생활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려주어 통일과 동아시아 평화에 대한 생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넷째 한국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한국역사’ 수업시수를 확보하고 중·고등학교 계열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생에게는 한국현장체험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교실에서 배운 한국역사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또한 한국역사를 담당할 우수 교사를 확보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고 지속적인 연수를 통해 내실 있는 한국역사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Korean schools in Japan have conducted ethnic education in order to maintain ethnic identity. They have provided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even despite the problems of ethnic discrimina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However, as time passes, with increasing numbers of people who are naturalized in Japan or married to a Japanese person, the next generations, who were born and raised in Japan, are experiencing ethnic identity confusion. Thus, ethnic education in Japan must be changed to a direction that will raise people who can proudly live in Japan as Koreans. However, education at Korean schools in Japan is not able to keep pace with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because that education is conducted without formal textbooks, and, needless to say, without a regular curriculum. I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South Korean history education at Korean schools in Japan and the knowledge level of Korean history through an interview with a Korean history teacher, questionnaire surveys, and the results of the Korean history Proficiency Test. Based upon these sources of data I presented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in Korean history. Educational goals and the content of the “History of Korea” course to teach in Japan’s South Korean schools must be set not only to recognize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but also to foster a force that can be in harmony in changing Japanese society. First,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composed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level, the knowledge level, and the life conditions. Second, we must select teaching curriculum that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t is necessary to set the educational content to display the variety of exchange and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However, there has been an effort to try to overcome this situation wisely. Through these efforts, students will be able to gain the power to solve problems when encountering ethnic discrimin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rd, not merely knowledge transfer regard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past history, the Mindan and Chongryŏn organizations, as these are divided into Japan Korea schools and Korean schools, also have an impact on the life history of their students due to the North-South divide. Thus it is necessary to set the content so that it can lead to the idea of peaceful unification and East Asia. Lastly, it must ensure that education is carried out in a systematic manner taking into account the middle and high school series and to complement the “History of Korea” lesson time shortage compared to South Korea. And we must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rough a field trip to Korean historical sites so that students may experience in person the history of South Korea about which they have learned only in the classroom. Further, by providing a system that can ensure excellent teachers in charge of Korean history there must also be substantial Korean history education through continuous training.

      • KCI등재

        최근 대만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인식 변화 - 101과강 『선수역사(選修歷史)』와 108과강 『역사(歷史)2』 비교 분석

        김유리(Kim Yuryee) 동북아역사재단 2021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1

        이 글에서 필자는 최근 대만 역사교과서 한국사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남일판 101과강 『선수역사』와 108과강 『역사2』의 한국사 서술 내용을 비교 분석했다. 또 남일판 『역사2』의 특징을 확인하고자 삼민판 『역사2』도 아울러 분석했다. 남일판 『선수역사』에 비해 『역사2』는 한국사 분량이 2배 이상 늘어났으며, 교과서의 구성방식, 한국사를 보는 시각, 서술 내용, 자료 활용 등이 크게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기본적으로 108과강에 따른 것이지만, 남일판 『역사2』는 삼민판에 비해 변화의 폭이 매우 컸다. 남일판은 ‘단군조선’, ‘병탄’, ‘자주독립’ 등 한국 학계의 연구를 적극 수용하는 한편, 삼민판이 강조한 ‘번속관계’·‘번속국’ 등에 대해서는 서술을 피했다. 두 판본의 차이는 단순한 한국사 내용서술의 차이를 넘어, 한국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남일판은 논쟁적 사안에 대해서는 가급적 한국의 입장을 고려하여 한국사를 서술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남일판 『역사2』에서 나타난 이러한 변화는, 대만에서 한국사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기 시작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I compared and analyzed the descriptions about Korean history in Elective Course History (2014/2019) , and History2 (2020) published by Nani Book Enterprise co. in order to explore the changes in perception about Korean history in the recent Taiwan history textbooks. In addition, I analyzed History2 (2020) of the Sanmin Book Company (Sanmin version) in order to verify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2 (2020) Nani version. Compared to Elective Course History , History2 Nani version has not only the amount of pages describing about Korean history more than doubled, but also the textbook structure, the perspective of Korean history, the content, and the use of materials significantly have changed. Although the changes in History2 was based on the History Course in 2018, Nani version had a very large change compared to Sammin version. That is, Nani version actively accepted Korean studies such as ‘Dangun Joseon,’ ‘Byeongtan’, and ‘independence’, while avoiding descriptions of the ‘Vassal relationship’ and ‘Vassal state’ emphasized in Sammin version.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Nani version is in that it describes Korean history in consideration of the Korea’s stance on issues that are controversial internationally. History2 Nani version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Korean history in Taiwan has begun to change.

      • KCI등재

        『중외역사강요』의 한국고대사·동아시아사 서술 내용과 역사인식 분석

        권은주(Kwen Eunju)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0

        중국은 최근 초·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통해 마르크스 유물론에 입각한 중국특색사회주의와 통일적 다민족 국가를 강조하고, 애국주의 교육을 강화하여 현 중국의 역사적 정당성을 확보하려고 하였다. 나아가 중국 중심의 세계사를 기술하며, 세계사에서 중국의 역할과 중국 체제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새 국정 역사교과서의 내용에 그대로 반영되어, 중국사 자체를 새롭게 정리하고, 세계사는 중국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주변 민족과 나라의 역사도 중국 중심으로 서술되어, 이를 교육받는 중국 학생들이 중국의 문화적·정치적 영향만을 받은 동아시아사라는 불평등한 역사 인식을 가질 우려가 크다. 이 글에서는 중국 고등학교 국정 역사교과서 중 필수 과목인 『중외역사강요』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사와 동아시아사 관련 서술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교과서에 사용되는 ‘역사용어’의 함의, ‘첨삭’을 통해 드러나는 중국의 신(新)중화주의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Through the recent nationalization of history textbooks for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China has sought to emphasize the country’s multi-ethnic yet unified identity as well as characteristic socialism based on Marxist materialism, thereby reinforcing patriotic education, in what is seen as an attempt to secure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modern Chinese state. Furthermore, by rewriting world history to make it centered on China, China has emphasized the superiority of the Chinese political system and the nation’s role in world history. These elements are reflected in the new nationalized history books, wherein Chinese history has been reorganized while world history has been rewritten in a China-centric fashion. As a result, the history of the peoples and countries surrounding China has also been described in a China-centric way. Thus, there are concerns that Chinese students who are educated through such textbooks may perceive East Asian history solely as a culmination of Chinese cultural and political influenc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oblems in the descriptions of ancient Korean history and East Asian history in The Outline of Chinese and Foreign History (『中外歷史綱要』), one of the nationalize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used in China. Furthermore, we examined the rise of the new Sino-centricism, which is evident in the editing of the textbooks, and the undertones of historical terminologies used in the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