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 수요자 이해분석을 통한 공모지침 개선방안 연구

        하승용(Ha, Seungyong)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1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 수요자의 이해분석을 통한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의 공모지침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모전 사이트를 통해 2020년 한 해 동안 국내에서 진행된 영상 콘텐츠 공모전 현황을 파악하고, 영상 전공 대학생 집단 및 비전공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UCC 영상 콘텐츠 공모전을 제작하였으며 UCC 영상콘텐츠에 대한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모 기간은 공모 주최기관의 상황 및 일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영상 길이에 따라서도 달라져야 한다. 영상길이에 따른 공모기간 설정은 수요자에게 질 높은 UCC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학년제 기준으로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으로 연령을 구분하고 제한 경쟁방식 공모전을 시행하는 타 분야의 공모전처럼 전공자 집단과 비전공자 집단의 공모자격 분류하여 제시한다면 수요자의 참여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UCC 영상 콘텐츠의 이해 및 공모 참여 확대를 위해 영상 제작 교육이 필요시 되며 이는 공모전 경쟁력을 높이며 공모기획 및 취지를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다수의 기관 및 단체에서 일관된 공모지침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는 없으나 공모전 시행담당자가 본 연구에 대한 공감과 수용적 자세가 전제된다면 보다 나은 공모지침으로 영상 콘텐츠 공모전의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asures to improve the competition guidelines for UCC video content contest through analysis of the interests of the UCC video content contest consumers. Through the competition site, the status of the video content contest held in Korea in 2020, the UCC video content contest was produced for the video college student group and the non-major college student group, and the understanding of UCC video content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duration of the contes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schedule of the host organization of the contest and should also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video. Setting a public offering period according to video length will provide consumers with the opportunity to produce high-quality UCC video content. In addition, consumers" particip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if they classify and present qualifications for competition among major and non-major groups, such as contests in other fields that distinguish ages by elementary, middle, high, and university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Finally, video production training is needed to understand UCC video content and expand participation in the contest, which will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test and promote the plan and purpose of the contest. Although consistent public offering guidelines cannot be applied equally by many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t is believed that if the competition"s implementers sympathize and acceptable attitude with this study, better public offering guidelines will achieve the expected effect of the video content contest.

      • 문화콘텐츠 교육연구(Ⅰ) - 동국대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김기정,이종대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08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문화의 산업화가 심화되어가는 가운데 정부는 지속적으로 문화산업 육성 정책을 실행하고있다.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세계의 문화산업과 정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에부응하듯 많은 대학은 문화산업에 적정한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교육시설, 전문교수 요원의 부족, 실질적 교육프로그램의 부재와 같은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글은 문화콘텐츠학과를 개설한 대학들이 교육 현장에서 겪는 몇 가지 어려움을 점검해보고 현재 문화콘텐츠 교육을 담당하는 대다수의 대학들이 추구 하고 있는 ‘실용적 인재 양성’이라는 구호가 공허한 외침으로만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비난이 아닌 비판적 지식’과 ‘산업 실무 지식’을 동시에 교육해야 함을 주장하기 위해 씌어졌다. 특히 동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가 무엇을 지향하며, 목적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어떠한 시행착오를 겪으며 지금의교과과정에 이르렀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논의하였다. Focused on Curriculum of Dept of Cultural Contents of Dongguk University Kim Ki Jeong, Lee Jong Dae The government executes culture industry promotion policy as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goes on. In corresponding with growing other countries' culture industry and the government's support, many universities also make efforts to supply with experts appropriate to culture industry. However, they are in difficulties for poor environment of education such as facilities, teaching staffs, and a curriculum. This is on purpose of suggesting that universities with a cultural contents department should consider its curriculum more practical way. And this argument will be discussed by drawing a case of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of Dongguk university as a model.

      • 종교 페스티벌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수륙재를 중심으로

        고상현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0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A Study of Religious Festival to make a Cultural Contents : Focusing on the Suryukjae Ko, Sang-hyun This study has been searched to make a Cultural Contents for the Suryukjae(水陸齋, the Buddhist Rite for Deliverance of Creatures) which is religious festival as well. The root of festival is based on the religious thought. Cultural Contents is all about research as well as industrial and popularize, knowledge of cultural. On the whole, making Cultural Contents of Suryukjae festival can be considered as approaching in that point of view. Suryukjae is festival of harmonization between God and man, man and nature, this life and eternity, man and man with equality without any wall or distintion. Suryukjae continues in day and night for 7days in the longest term. It reflects current social aspects of dance, music, buddhist painting as well as various tangible or intangible elements. Suryukjae is stand for contents of korean culture as well as buddhist culture, but it has not been studied deeply and has no firm foundation in a various use of Cultural Contents. Suryukjae seems to be on the decline, but recently it is starting to revive from the center of Jinkwan temple(津寬寺), Samhwa temple(三 和寺) etc. Meet the needs of the times, this study has been emphasized in terms of each period, classes and regional form of examples,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contemplated to make a method of Cultural Contents which are recently revitalized together with popular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a local festival. There are several ways of developing about Suryukjae and ritual series. 1. based on prototype of study 2. applying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historical education program 3. making use of video and audio contents: buddhist music of Beom-Pae, buddhist dance of Cymbals Dance, Dharma Drum Dance, Butterfly Dance 4. polytechnic contents making use of paper-flower, the making coins 5. contents of food which are set for Suryukjae 6. developing to make a festival contents of Suryukjae 7. fieldtrip of watching the Suryukjae in a temple. Making a culture and tourist industry contents 8. developing a product of culture and tourist industry contents 9. preparation of effective distribution. 수륙재라는 종교 페스티벌을 문화콘텐츠화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페스티벌은 종교적인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문화콘텐츠는 문화의 원형소스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산업화, 대중화를 아우르는 인문지식의 총합이다. 수륙재라는 페스티벌의 문화콘텐츠화도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했을 때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수륙재는 신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이승과 저승이, 인간과 인간이 평등하고막힘이 없이 원융화합하는 페스티벌이다. 수륙재는 길게는 7주야로 행해져, 그 속에서는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무용과 음악, 지화장엄 등 다양한 유ㆍ무형적 요소를 담고 있다. 수륙재는 한국의 문화, 그 가운데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콘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원형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이 빈약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인천 수륙재보존회, 서울 진관사, 강원도 삼척 삼화사, 전남 영광 법성포 등을 중심으로 한동안 명맥이 끊기는 듯 했던 수륙재가 복원되고있다. 이러한 시기에 맞춰 수륙재가 각 시대별, 계층별, 지역별 설행 형태에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최근에 활성화되고 있는 지역축제 콘텐츠로서의 대중화, 산업화를 아우러는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현행 수륙재와 의식집 등에 대한 ①원형연구를 바탕으로 ②역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 ③불교음악인 범패나 불교무용인 바라무, 법고무, 나비무 등의 영상 또는 음성콘텐츠 ④지화, 지전 등을 활용한 공예콘텐츠 ⑤수륙재에 차려지는 음식콘텐츠 ⑥수륙재의축제콘텐츠 개발 ⑦수륙재 설행 사찰순례 등 문화 관광산업 콘텐츠 ⑧문화 관광산업 상품 개발 ⑨효율적인 유통 방안 마련 등을 들 수 있다.

      • 지역축제와 문화브랜딩 전략 연구

        백승국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0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A study on the strategy for the regional festival and cultural branding Baik, seung kuk In recently, many government in cities and counties holds over 900 area festivals. but in these festivals, we just can see few strategic approaches. and because programs in festivals are similar and formal, these festivals degrade as annual events hold by governments. Hence, In this research, we researched plan methodology of area festivals as a cultural contents, by using cultural semiotics that expends concept of cultural contents at area cultural brand level. With consideration for area studies that spotlights as new paradigm of globalization epoch, Area culture branding that helps to raise area brand identity and image by develop area-city enlargement model, and area cultural contents, we presented five value elements(ecology, taste, heritage, meditation, spirit) and symbolical and empirical images in area, as core concept of area cultural branding. And, for revitalize area festivals, we needs development of new contents, what can create Infortainment and edutainment values, by analyze signification of contents in targeting participant of area festivals. And because of lifestyles, value types, and trend about area festivals are changing, in this research, we established hypothesis about plan process model in festival contents, and presented models : generative model of meaning in festival, and storytelling scheme in festival. By using Methodology that using ecology-history-culture resource in area and plan process model in festival contents, we expect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on development of festival contents plan, and development of science and scientific discourse by further researches, over simple methodologic tool level. 최근 각종 지자체에서 900개가 넘는 지역축제를 개최하고 있으나, 이들 축제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부족하고, 프로그램도 유사하거나 정형화된 상태로서, 결국 지자체의 연례행사 수준으로 전락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최근 문화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문화콘텐츠 개념을 확장시키고 있는 문화기호학을 사용하여, 하나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지역축제를, 지역문화브랜딩 차원에서 문화원형을 통해 지역축제의 기획방법론을 연구하였다. 우선, 세계화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지역학과, 지역의 생태역사문화자원을 바탕으로 한 지역도시 발전 모델과 지역문화콘텐츠개발을 통해, 지역 브랜드 정체성과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역문화브랜딩, 그리고 도시 공간 평가 요소들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브랜딩의 핵심 콘셉트로 다섯 가지 평가 요소(생태환경, 맛, 문화유산, 종교문화, 공동체 의식)와 지역의 상징적, 경험적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축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축제의 콘텐츠를 향유하는 참가자를 중심으로 콘텐츠의 의미작용을 분석, 인포테인먼트 및 에듀테인먼트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지역 축제에 대한 라이프스타일과 가치 유형 및 트렌드가 변화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본 연구에서는 축제콘텐츠 기획 프로세스 모델의 가설을 설정하고, 축제 설계를 도울 수 있는 모델로서 축제의 의미생성모델과 축제 콘텐츠 스토리텔링 도식을 제시하였다. 지역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방법론과 문화기호학 분석도구들을 활용한 축제콘텐츠 기획 방법론 및 축제콘텐츠 기획 프로세스 모델을 통해 문화기호학이 단순한 방법론적 도구 차원을 넘어서 축제콘텐츠 기획의 발전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앞으로 후속연구를 통한 학문의 발전 및 학문적 담론 형성이 기대된다.

      • KCI등재

        [논문] 시각 문화콘텐츠로서의 TV 영상자막 연구

        변성광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3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6 No.-

        오늘날 TV예능프로그램에서 영상자막은 매우 중요한 영상연출 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많은 자막을 사용하는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서는 오히려 영상보다 자막이 더 중요한 메시지 전달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TV 영상자막은 그동안 영상의 보조적 장치이자 수단이며 방송영상의 열린 미디어텍스트의 기능을 제한하는 닫힌 미디어텍스트로서의 부정적인 기능이 부각되어왔다. 하지만 오늘날 오락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영상자막들은 이제 시청자들에게 더 이상 영상시청 방해의 대상이 아니다. 오히려 화면의 내용보다 더 재미있는 내용을 영상자막을 통해 접하고 즐길 수 있는 하나의 독립적인 시각 문화콘텐츠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가장 화제가 되고 있는 ‘무한도전’, ‘1박2일’, ‘꽃보다 할배’ 등 리얼버라이어티 프로그램에 사용된 영상자막을 분석했다. 각각의 프로그램에 사용된 영상자막을 1) 상황 설명형 자막, 2) 대사형 자막, 3) 코믹 및 효과 자막, 4) 관찰자 시점형 자막으로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고 다시 그 자막들이 수행하고 있는 기능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TV 영상자막은 TV 영상매체가 표현하고자 하는 화면을 보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던 영상자막의 범주를 벗어나 TV 영상자막 자체가 또 다른 하나의 의미생성소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은 화면을 통한 재미는 물론 영상자막으로 인해서 새로운 즐거움을 느끼고 있었고 바로 이러한 영상자막의 2차적인 의미생성 기능이 본 연구에서 분석하려고 했던 TV 영상자막의 독립적인 시각 문화콘텐츠로서의 역할이다. TV 영상자막은 문화콘텐츠가 가지는 기본적인 속성인 스토리를 가지고 즐거움을 생산하며 그 자체로 유통 판매 할 수 있는 문화상품의 역할을 하고 있었고, 또한 화면을 분석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의 성격과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이제 TV 영상자막은 더 이상 영상의 부수적이고 보조적인 표현수단이 아니고 그 자체로 가치와 의미를 갖는 시각 문화콘텐츠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Today visual subtitles in TV entertainment programs have become a very important means to create images. Particularly in real variety programs, which use lots of subtitles, subtitle is used as the more important means to deliver important messages, rather than images. TV image subtitle had emerged its negative function as a closed media text which restricted the function of open media text of broadcasting image, which used to be the accessorial equipment and means of image in the meantime. However, today’s image subtitle used in entertainment programs does not interrupt the audience with watching images any more. The other way, it is developing as an independent visual culture content through which the audience can meet and enjoy more interesting content rather than that on the screen. In order to analyze this phenomenon, this research analyzed image subtitles used in the real variety programs, e.g. ‘Moohandojeon’, ‘Ilbak-Yi-yil(1 Night 2 Days)’, ‘Kkotboda halbae(Grandfathers than flowers)’, etc., which are becoming national topics.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image subtitles used in each of the programs largely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1) situation explaining subtitles, 2) dialogue subtitles, 3) comic and effect subtitles, 4) observer’s viewpoint subtitles, and again investigated the functions that the subtitles perform. As the result, TV image subtitles were turned out to function another creator of meaning by itself, going beyond the range of image subtitles which had been used to assist the images that TV media of image intended to express. In conclusion, the audience of programs enjoyed a new pleasure thanks to image subtitles as well as fun through the screen, and this secondary meaning-creating function of the image subtitles is the role of independent visual culture contents of TV image subtitles that this research intended to analyze. TV image subtitle produces fun with the story, which is the basic attribute that culture contents have, taking the role as a cultural production which can distribute and sell by itself, also, as it was turne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screen, it can display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programs. Now, TV image subtitle is not an ancillary and accessorial means of expression of images any more, but it can be said to take a role of visual culture contents, which has value and significance in itself.

      • KCI등재

        문화콘텐츠 유형분류의 전제

        김수영(Kim Su-young)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4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7 No.-

        문화콘텐츠는 산업분야와 매체 특성, 기존의 대중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영역 등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세분화 되어 있다. 그러나 기술 발달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다양한 산업 영역들이 융섭, 융화됨에 따라 그 구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또한 다양한 플랫폼의 개발과 새로운 소비자의 등장에 따라 유형도 다양화되고 있다. 문화콘텐츠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지표를 정할 때, 전제되어야 할 사항은 다양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문화콘텐츠의 중요한 속성인 소통의 다양한 관점들과 문화콘텐츠의 환경 변화에 따른 제작 프로세스, 가치사슬의 생성과 변화를 검토해보았다. 문화콘텐츠를 구분하는 분류의 기준이 어떤 목적에 따라 상정되는가에 따라 유형이 달라질 수 있으며 모든 문화콘텐츠들을 실제적으로 명확하게 가름할 수 있는 분류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도 않다. 따라서 위에서 논의한 근원적으로 숙고해야할 세 가지 사항을 전제로 문화콘텐츠의 유형을 검토할 때 IT발전에 따라 급변하는 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불변하는, 문화산업의 논리와는 차별되는 문화콘텐츠의 유형 분류 기준 및 제작/유통 프로세스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Cultural content is divided into various fields depending on the areas that comprise industry, media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 pop culture. However, the boundary is becoming blurred according as variety of industrial areas are converged and collaborated by a number of factors such as technological advances. In addition, the type is also diversified by the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platforms and the emergence of new consumers. Although various precondition is consist to set the index to classify the types of cultural content, this paper review communication which is the important properties of communication of cultural content, the production process depending on environmental change in the cultural content and the creation and changing of value chains.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that separates the cultural content that determine assumed for some purpose, the type can be changed. In fact, the classification does not even been established which can clearly be a separator practically all cultural content. Therefore, when reviewing the type of cultural content on the premise underlying the three things to ponder as discussed above, it can be established which Unchanged despite the changing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 changing IT development, discrimination with the logic of the culture industry and the type of cultural content classification and production / distribution process.

      • KCI등재후보

        영상문화콘텐츠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 현황과 방향성

        김관섭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media in the field of visual culture content. Based on this concept,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cultural heritage embraced by the mass media and recommende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on cultural heritage media. The agent was not media studies or communication studies, but the more broadly defined humanities (history, folklore, cultural heritage studies, and cultural content studies). Here, the researcher’s awareness of media criticism played an important role. Broadcasting content was regarded as a form of archive, and this can be seen as an expansion of the academic responsibility to analyze and criticize the archiving of cultural heritage as archetypes and models. The recommendations made in this study emphasize the value of humanities and also serve as pre-conditions for the convergence of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content. At the same time, they are a value judgment of broadcasting content studies in the field of visual culture content and a useful reference for the production of such content. 본고에서는 영상문화콘텐츠, 나아가 방송콘텐츠 영역 ‘문화유산 미디어’의 개념을 설정하고, 그 개념을 바탕으로 매스미디어에 수용된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 현황을 살피고,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 주체는 미디어학이나 커뮤니케이션학이 아닌 광의의 인문학(역사학, 민속학, 문화유산학, 문화콘텐츠학)이며, 중요한 것은 연구자의 미디어 비평인식임을 제기하고자 했다.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의 방향성’은 방송콘텐츠를 아카이브의 한 형태로 보고, 문화유산이 원형과 전형에 적합하게 기록되고 있는지를 분석, 비평하는 학문적 주제의 확장을 뜻한다.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는 인문학의 존재 가치를 견고히 하려는 방향성이며, 소재로서의 문화유산과 문화콘텐츠 융합의 선결 조건이기도 하다. 동시에 영상문화콘텐츠 영역에서의 방송콘텐츠 연구의 가치판단과 방송콘텐츠 제작의 방향성 제시이다.

      • KCI등재

        영상문화콘텐츠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 현황과 방향성

        김관섭(Kim, Kwan-Seob)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1 No.-

        본고에서는 영상문화콘텐츠, 나아가 방송콘텐츠 영역 ‘문화유산 미디어’ 의 개념을 설정하고, 그 개념을 바탕으로 매스미디어에 수용된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 현황을 살피고,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 주체는 미디어학이나 커뮤니케이션학이 아닌 광의의 인문학(역사학, 민속학, 문화유산학, 문화콘텐츠학)이며, 중요한 것은 연구자의 미디어 비평인식임을 제기하고자 했다.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의 방향성’은 방송콘텐츠를 아카이브의 한 형태로 보고, 문화유산이 원형과 전형에 적합하게 기록되고 있는지를 분석, 비평하는 학문적 주제의 확장을 뜻한다. ‘문화유산 미디어 연구’는 인문학의 존재 가치를 견고히 하려는 방향성이며, 소재로서의 문화유산과 문화콘텐츠 융합의 선결 조건이기도 하다. 동시에 영상문화콘텐츠 영역에서의 방송콘텐츠 연구의 가치판단과 방송콘텐츠 제작의 방향성 제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media in the field of visual culture content. Based on this concept,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cultural heritage embraced by the mass media and recommende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on cultural heritage media. The agent was not media studies or communication studies, but the more broadly defined humanities (history, folklore, cultural heritage studies, and cultural content studies). Here, the researcher’s awareness of media criticism played an important role. Broadcasting content was regarded as a form of archive, and this can be seen as an expansion of the academic responsibility to analyze and criticize the archiving of cultural heritage as archetypes and models. The recommendations made in this study emphasize the value of humanities and also serve as pre-conditions for the convergence of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content. At the same time, they are a value judgment of broadcasting content studies in the field of visual culture content and a useful reference for the production of such content.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애니메이션의 민족서사 변화분석

        오정(Wu, Ting),김미진(Kim Mi Jji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7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3 No.-

        중국 애니메이션에서 민족서사는 민족의 유구한 역사 속에서 독특한 생활 방식, 문화와 심리상태를 형성해 민족정신, 언어와 풍습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중국문화의 시대적 구분을 바탕으로 중국 애니메이션에서의 민족문화의 내포, 민족서사 방식의 변화를 고찰하여 중국 애니메이션의 민족서사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초창기, 번영기, 신시기의 애니메이션 창작환경과 관객의 심리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주제, 스토리, 표현방식 측면에서 중국 애니메이션의 민족서사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고 애니메이션의 서사요소와 연출영상미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글로벌 시대의 문화발전 요구와 국가 경쟁력을 부각시키는 특유의 민족적 특색을 표현하는 애니메이션 서사전략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첫째, 사회주의 핵심 가치관을 접목한 민족정신의 새로운 해석적 접근, 둘째, 민족정서에 부합하면서도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심미성을 갖춘 고유한 캐릭터 발굴, 셋째, 고전적 전통문화의 창의적 각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In the chinese animation, the national narrative form is a unique lifestyle, culture and psychological state in the long history of the nation, so that it can express the national spirit, language and customs. In this paper, we try to find out the national narrative strategy of Chinese animation by examining the changes of national narrative style and the inclusion of national culture based on the division of chinese culture. The animation environment of the early days, prosperity period, and new period shows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psychology to the audience. This led to changes in the national narrative style of the Chinese animation on the subject, story, and expression, and influenced the narrative elements and visual effects of the animation. Therefore, in order to explore the animation narrative strategy and expressing unique national characteristics that emphasize the cultural development needs of the global era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first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new interpretive approach of the national spirit that incorporates socialist core values, Secondly, to discover unique characters with aesthetic qualities that can be used worldwide while meeting ethnic sentiment, Thir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reative adaptation of tradition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