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병원에서 노인정신건강 크리닉의 1년 경험

        전진숙(Jin-Sook Cheon),송혜란(Hae-Ran Song),오병훈(Byoung-Hoon Oh)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2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3 No.3

        연구배경 : 기억장애크리닉은 세계적으로 20여년 전에 시작되었다. 한국에서는 1995년에 개시되어 노인정신의학 분야의 특수크리닉은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최근에 이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서 치매크리닉의 구성과 목적, 치매크리닉의 업무(진단과 평가, 치료, 연구, 뇌기증) 등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실제적인 임상 경험의 검토를 통해서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2001년 6월 초부터 2002년 5월 말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신경정신과에 개설 '치매?노인정신건강크리닉'에서 1년간 진료한 자료를 정리 분석하여 참고가 되도록 하였다. 결과 : 1) 입원, 외래, 응급실 등 치료경로에 따른 노인환자의 내원 빈도는 계절별 분포의 차이가 없었다. 입원이나 응급실에 내원한 60세 이상의 노인환자는 59세 이하의 환자와 성별 분포의 차이가 없었다. 외래에 내원한 59세 이하의 환자는 남성이 유의하게 많은 반면에, 60세 이상의 노인 환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여성이 더 많았다(p=0.000). 2) '치매ㆍ노인정신건강크리닉'에 내원한 노인환자의 정신과적 진단명에 따른 빈도는 우울장애(31.3%), 알쯔하이머병(26.2%), 신체형장애(19.7%), 혈관성치매(10.6%), 불안장애(3.6%), 수면장애(3.3%), 알코올성장애(2.7%)순이었다. 3) '치매ㆍ노인정신건강크리닉'에 내원한 노인환자의 정신과적 진단에 따른 연령별 분포는 65세 미만에는 우울장애가, 그 이후는 치매가 유의하게 많았다(p=0. 000). 한편, 수면장애는 65∼74세(young-old)에 가장 많은 반면, 알코올성장애, 신체형장애, 불안장애는 60∼64세(초로기)에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4) '치매ㆍ노인정신건강크리닉'에 내원한 노인환자의 정신과적 진단에 따른 계절별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별 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알쯔하이머병과 우울장애는 여성에서, 혈관성 치매는 남성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00). 또한, 알코올성장애와 수면장애는 남성에서, 신체형장애와 불안장애는 여성에서 조금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 노인환자는 성인 환자와 다른 임상적 특징을 지니므로 노인의 특성에 맞는 개별화된 진료체제가 필요하다. Background : The history of memory disorders clinic began about 20 years ago. In Korea, the specialist clinic in psychogeriatric area steps into the beginning stage, though the first geriatric mental health clinic started since 1995. Practical information including settings and purposes, diagnoses and assessments, interventions, research and brain banks by reviewing articles and clinical experiences is provided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the memory clinics. Methods : A clinical data collected from one-year experience(from June 1st, 2001 to May 31st, 2002) in the 'DementiaㆍGeriatric Mental Health Clinic' established to th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were analyzed. Results : 1) The seasonal distribution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referral 6route such as admission, outpatient, emergency room. Sex distribu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geriatric patients with age over 60 and patients with age below 59 who were referred from admission or emergency room. While males were more prevalent among outpatients with age below 59, females were more among outpatients with age over 60(p=0.000). 2) The frequency of geriatric patients visited to the 'Dementia?Geriatric Mental Health Clinic' according to psychiatric diagnoses was depression(31.3%), Alzheimer's disease(26.2%), somatoform disorder(l9.7%), vascular dementia(10.6%), anxiety disorder(3.6%), sleep disorder(3.3%) and alcohol-related disorder(2.7%) in order. 3) The age distribution of geriatric patients visited to the 'Dementia?Geriatric Mental Health Clinic' according to psychiatric diagnoses revealed that depression was most prevalent among patients with age under 65, while dementia among patients with age over 65(p=0.000). Otherwise, sleep disorder was prevalent among young-old patients(65~74 yrs old), while alcohol-related disorder, somatoform disorder, anxiety disorder was prevalent among presenile age(60~64 yrs old).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asonal distribution according to psychiatric diagnoses for the aged psychiatric patients who had visited 'Dementia?Geriatric Mental Health Clinic'.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distribution. That is, Alzheimer' s disease and depression could be found more in females, while vascular dementia in males(p=0.000). Otherwise, alcohol-related disorder and sleep disorder was more prevalent in males, while somatoform disoder and anxiety disorder in females. Conclusion : A specialized clinical system for the aged psychiatric patients might be needed, because of their age-specific unique features somewhat different from other age groups.

      • KCI등재

        농촌 지역 노인들에서 척추골절의 임상 양상과 유병률

        정태석(Tae-Seok Jeong),강석정(Seok-Jung Kang),윤동환(Dong Hwan Yun),김현정(Huyn Jung Kim),이강식(Kang Sik Lee),김홍준(Hong Joon K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6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7 No.4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vertebral fracture in the rural elderly community and to understand the clinical features of vertebral fracture. Methods: The subjects were 240 people age over 70 years old who had resided in the rural community. For each patient, an X-ray of thoraco-lumbar veretbrae and brief questionnaire were taken. Results: In this study, the total prevalence of vertebral fracture was 26.3%, and each prevalence of male and female was 22.9% and 39.6% (P<0.05). Among the patients, each frequency of traumatic and non-traumatic vertebral fracture was 25.4% and 74.6% (P<0.05). The most common fractured vertebrae were the 12th thoracic and the 1st lumbar vertebra. Only 9 (14.3%) patients with vertebral fractures had been diagnosed with osteoporosis. Of these, only 4 (6.3%) had received treatment for osteoporosi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emale prevalence of the vertebral fracture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and the vertebral fracture without severe trauma was predominant. In addition, a spinal X-ray was simple and useful method for detection of non-traumatic vertebral fracture in the elderly. 연구배경: 본 연구는 농촌 지역의 70세 이상 노인에서 접근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단순 방사선 검사를 통해 척추골절의 임상 양상 및 유병률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70세 이상의 노인 240명을 대상으로 외상의 과거력에 관한 간단한 병력 청취를 통해 심한 외상의 경험 유무를 파악하였고, 또한 허리통증의 유무 및 골다공증의 검사와 치료 경험 유무를 조사하였으며, 흉요추부 단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척추골절의 위치와 개수를 파악하였다. 결과: 본 연구 집단에서의 척추골절의 유병률은 26.3%이었고, 이 중 남자는 22.9%, 여자는 39.6%으로 여자에게서 척추골절의 유병률이 높았다(P<0.05). 척추골절 환자 중에서 심한 외상의 과거력이 없는 환자는 63명 중 47명(74.6%), 심한 외상의 과거력을 가진 환자는 63명 중 16명(25.4%)으로 심한 외상의 과거력이 없는 척추골절 환자의 빈도가 높았다(P<0.05). 척추골절 부위는 제12 흉추와 제1 요추에서 각각 23명씩으로 가장 많았고 척추 골절이 있는 63명 중 골다공증 검사를 받은 환자는 9명(14.3%)이었고, 골다공증 치료를 받는 환자는 4명(6.3%)에 불과하였다. 결론: 70세 이상 농촌 지역 노인에게 있어서 척추골절의 유병률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며, 외상의 과거력이 없는 흉요추부 척추골절의 빈도가 높았다. 노인에서 골밀도 감소로 외상이 없거나 혹은 경미한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척추골절의 진단을 위해 노인의 건강검진 및 일차 진료에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흉요추 부위의 단순 방사선 검사가 시행되어야할 것으로 생각하며, 이를 통해 적극적인 골다공증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노인들의 추가적인 척추골절 발생률을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노인 환자에서 만성 변비의 임상적 특징 및 진단

        신경수(Kyung Soo Shin),황용희(Yong Hee Hwang),정용환(Yong Hwan Jung)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2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3 No.2

        연구배경: 노인에게 있어 만성변비는 흔한 증상이기는 하나 그에 대한 정의는 확실하지 않으며 원인과 진단 수단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만성변비의 원인과 그 진단 수단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장내시경, 바륨 조영술 및 직장수지검사를 통해 기질적 원인이 배제된 평균 연령 71.2±5.4(65∼83)의 32명의 변비 환자(남자 9명, 여자 23명)에 대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32명의 환자에서 배변조영술을 시행하였고 이중 21명에서 항문압 측정술을, 20명의 환자에서 대장통과시간 측정술을, 30명에서 항문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배변조영술 및 배변영화촬영술을 시행한 32예에서 치골직장근 이완 부전증, 직장류, 직장중첩증, 항문성 배변 곤란증, 에스 결장류가 각각 14예(44%), 15예(47%), 7예(22%), 1예(3.1%), 3예(9%) 관찰되었고 2예(6.3%)에서 정상 소견을 보였다. 11예(34.4%)에서는 한가지 이상의 이상 소견을 보였다. 대장통과시간 측정술을 시행한 20예에서 3예(15%)에서 대장 무력증 소견을 보였고 정상 대장통과시간을 보인 경우는 17예(85%)였다. 항문압 측정술을 시행한 21예에서 항문관 긴장 항진증 소견을 보인 경우가 2예(9.5%) 있었고 이들 중 배변 영화촬영술 시행시 항문과 이완 부전증을 보여 항문성 배변 곤란증으로 진단된 경우가 1예 있었다. 항문 근전도 검사는 모두 30명의 환자에서 시행되었고 이중 13예(43.3%)에서 치골직장근 이완 부전증 소견을 보였다. 치골직장근 이완 부전증 진단에서 배변조영술과 항문 근전도 검사, 배변조영술과 대장통과시간 측정술, 대장통과시간 측정술과 항문 근전도 검사 사이에서 각각 73.3%, 55%, 55.6%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만성 변비의 증상을 보이는 노인 환자에서 대장 외적인 원인 및 기질적 원인을 배제한 후 대장 항문 생리기능검사(배변조영술 및 배변영화조영술, 항문압검사, 항문 근전도 검사, 대장통과시간 측정)를 시행하여 정확한 원인을 규명한 후 그 원인에 따른 선택적 치료를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배변조영술과 항문 근전도 검사를 동시에 시행한 경우 골반 출구 폐쇄, 특히 치골근 이완 부전증에서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대장통과시간과는 그렇지 못하였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asses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tool of idiopathic chronic constipation in elderly patient.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32 constipated patients (9 male, 23 female) of mean age 71.2±5.4(65∼83) years who had no abnormalities in colonoscopy, barium enema and rectal exam were done. 32 patients underwent defecography and cine-defecography, of which 21 patients underwent anal manometry, 20 patients underwent colonic transit time study (CTT), and 30 patients underwent anal plug electromyography (EMG). Results: Nonrelaxing puborectalis syndrome (NRPR), rectocele, rectal intussusception, anal dyschezia and sigmoidocele were observed in 14 (44%), 15 (47%), 7 (22%), 1 (3.1%) and 3 (9%)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Normal cine-defecography finding was observed in 2 (6.3%) patients. More than one abnormal finding was found in 11 (34.4%) patients. Abnormal findings included colonic inertia in 3 (15%) patients. Normal colonic transit time was observed in 17 (85%) patients. Anal hypertonia was observed in 2 (9.5%) patients by manometry, of which 1 (4.8%) patient was diagnosed with anal dyschezia in cine-defecography. 13 (43.3%)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NRPR in anal plug EMG. The correlation rate between cine-defecography/EMG, defecography/CTT, and CTT/EMG were 73.3%, 55%, and 55.6% respectively in the diagnosis of NRPR. Conclusion: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constipation should be evaluated with physiological tests (defecography and cine-defecography, anal manometry, anal electromyography, colonic transit time test) after structural disorders and extracolonic causes have been excluded. Defecography and EMG were complements each of the other in diagnosis of pelvic outlet obstruction especially NRPR, but CTT has no role.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한국 노인의 자살관련 행동에 영향미치는 인자

        전진숙(Jin Sook Cheon),변인우(In Woo Byun),변현우(Hyun Woo Byu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9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0 No.4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에서 자살관련 행동의 빈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 미치는 인자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법: 서울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100명(남자 37명, 여자 63명)을 대상으로, 이들에 대한 사전정보가 없는 두 명의 대학생이 직접 구조적 면담을 통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인구학적 자료 및 자살관련 자료를 얻었다. 결과 : 1) 지난 1년 동안 62%에서 자살사고를 경험했으며, 이에 대한 동기는 가족문제(24%), 외로움(19%), 경제적 문제(18%), 질병(8%) 순이었다. 2) 4%에서 실제로 자살을 기도하였다. 3) 63%는 자살을 계획하였으나 기도는 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로서는 죄책감(24%), 용기가 없어서(16%), 자녀들 때문에 (9%), 추해서(6%), 두려움 때문에(5%) 순이었다. 4) 치료적 중재로서 44%는 스스로 극복, 20%는 종교의 도움, 6%는 가족이나 친구에게 도움을 요청하였으며, 단지 6%만이 의사에게 내원하였고, 응급전화는 1%에서만 이용하였다. 5) 자살에 대한 태도/가치관은 72%가 용서받을 수 없는 죄악이므로 절대로 자살해서는 안된다고 답하였고, 죽음은 자신의 권리이므로 왈가왈부할 수 없다(14%), 말기암의 경우 주는게 더 낫다(8%), 동반자살이 더 낫다(6%) 순이었다. 6) 자살사고는 성별(ρ=−0.339, P<0.01), 연령(ρ=0.317, P<0.01), 월수입(ρ=−0.198, P<0.05), 질병(ρ=0.357, P<0.01), 우울증(ρ=−0.206, P<0.05), 암(ρ=−0.215, P<0.05), 관절염(ρ=−0.204, P<0.05), 자살기도 없이 자살계획(ρ=0.680, P<0.01), 동기(ρ=−0.522, P<0.01), 치료적 중재(ρ=−0.412,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7) 자살기도 없이 자살계획은 성별(ρ=−0.271, P<0.01), 월수입(ρ=−0.272, P<0.01), 질병(ρ=0.297, P<0.01), 디스크(ρ=−0.258, P<0.01), 자살사고(ρ=0.680, P<0.01), 동기(ρ=−0.747, P<0.01), 치료적 중재(ρ=−0.493,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8) 자살기도는 교육수준(ρ=0.218, P<0.05), 동기(ρ=−0.204, P<0.05), 골다공증(ρ=−0.336, P<0.01), 치매(ρ=−0.562,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한국 노인에서 자살사고의 빈도는 매우 높으나, 실제로 자살기도는 적다. 한국 노인의 자살관련 행동에는 가족분쟁, 외로움, 경제적 빈곤, 정신 및 신체적 질병이 중요하다. Backgroun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isclose frequency of having suicide-related behavior in Korean elder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it. Methods: To obtain demographic and suicide-related data for 100 (37 males and 63 femlaes) Korean elders with age over 60 who were living in Seoul, the structured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by two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blind to the subjects. Results: 1) During last one year, suicidal thoughts were experienced in 62% of Korean elders, and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s were family discord (24%), loneliness (19%), economic poverty (18%) and illnesses (8%) in order. 2) The suicide attempts were performed only in 4% of Korean elders. 3) The planning of suicide without attempt was occurred in 63% of Korean elders, and the most frequent reasons were guilt (24%), no courage (16%), for children (9%), feeling ugly (6%), fear (5%) and for spouse (3%). 4) In regard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the Korean elders having suicidal thoughts tried to overcome by themselves (44%), none (23%), religion (20%), doctor (6%), talking to family or friends (6%), and hot-line (1%). 5) The most common Korean elders' attitudes/values toward suicide were as following; suicide shoud not be performed because it is unforgivable sin (72%), suicide is not arguable because it is one's own right (14%), suicide seemed to be better in case of terminal cancer (8%), and suicide with companion seemed to be better (6%). 6) The suicidal though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x (ρ=−0.339, P<0.01), age (ρ=0.317, P<0.01), monthly income (ρ=−0.198, P<0.05), illnesses (ρ=0.357, P<0.01), depression (ρ=−0.206, P<0.05), cancer (ρ=−0.215, P<0.05), arthritis (ρ=−0.204, P<0.05), suicide planning without attempt (ρ=0.680, P<0.01), motivation (ρ=−0.522, P<0.01)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ρ=−0.412, P<0.01). 7) The suicide planning without attemp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x (ρ=−0.271, P<0.01), monthly income (ρ=−0.272, P<0.01), illnesses (ρ=0.297, P<0.01), disc (ρ=−0.258, P<0.01), suicidal thoughts (ρ=0.680, P<0.01), motivation (ρ=−0.747, P<0.01)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ρ=−0.493, P<0.01). 8) The suicidal attemp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levels (ρ=0.218, P<0.05), motivation (ρ=−0.204, P<0.05), osteoporosis (ρ=−0.336, P<0.01) and dementia (ρ= −0.562, P<0.01). Conclusion: Though the frequency of having suicidal thoughts in Korean elders was very high, actual attempt of suicide was r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 suicide-related behavior seemed to be family discord, loneliness, economic poverty, and mental and physical illnesses.

      • KCI등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고위험 남성 노인에서 체질량지수가 생존에 미치는 효과

        박주성(Joo-Sung Park),Judith O Harker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5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6 No.2

        연구배경: 노인의 경우 질환이 심각할수록 비만이 이환 및 사망을 예방하는 경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고위험 남성노인을 대상으로 이전의 체중감소, 나이, 동반질환, 지난 일년의 기능상태 및 그 변화 등을 보정한 후 비만이 2년간의 사망률 감소와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미국 로스앤젤레스 VA 병원의 외래진료를 받는 환자로서 10개의 위험평가 조사에서 4개 이상 양성으로 대답한 고위험 노인 중, 지난 1년 동안 체중 감소가 5% 이하이고, 초기 평가 후 1년 이상 생존한 653명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기능평가, 동반질환, 인지점수, 우울증척도 그리고 다른 예후 인자 등을 초기와 1년 후 전화설문을 통해 조사했다. 초기에 체중과 키를 측정하고 초기의 1년 전과 1년 후의 체중, 키를 차트를 통해 구했다. 누락된 자료는 EM algorithm법을 이용하여 채워 넣었다. 2년 사망률에 대한 BMI의 상대위험도는 Cox의 proportional hazards model로 분석했다. 결과: 조사의 응답률은 88% (2,722 중 2,395)였고 1,008명(42%)이 고위험군이었다. 이 중 792명(79%)이 초기면담을 했고, 653명(82%)이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초기 평가 1년 후 2년간 사망률은 14.1%였다. 노인 사망의 상대위험도는 71세 미만 군에 비해 86세 이상 군에서 3.94, BMI 30 이상 군에 비해 20미만 군과 20~25사이 군에서 각각 4.11, 1.98, IADL 점수가 12 미만 군에 비해 12 이상인 군에서 0.52였다. 결론: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고위험 남성노인에서 체중 감소 및 다른 알려진 사망률 관련 요인을 보정한 후의 BMI와 2년 사망률 사이에 역의 관계가 있었다. 고위험 남성 노인에서 체중감량을 권유할 때 신중해야 하겠다. 저체중 혹은 정상체중을 가진 고위험 남성 노인이 체중을 증가시키면 사망률이 감소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연구가 더 필요하다.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BMI and 2-year mortality in community dwelling at-risk male elders after adjusting for prior weight loss, comorbidity, functional status and functional change at one year. Methods: Functional status, co-morbidity, cognitive score, depression score and other prognostic factors were obtained by phone interview at baseline and 1 year after baseline. Body weight and height at baseline, 1 year before and 1 year after baseline were obtained by chart review. Missing data from subjects were imputed by EM algorithm.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2-year mortality (relative risk) was analyzed by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Results: The survey response rate was 88% (2,395 from 2,722), and 1,008 (42%) were identified as high-risk subjects. Of these, 792 (79%) completed baseline interview, and 653 (82%) were available for final analysis. Two-year mortality from 1 year after baseline was 14.1%. The relative risk for mortality of elders age ≥86 years compared to elders <71, elders whose BMI <20 and those between 20 and 25 compared to those whose BMI was 30 were 3.94 (P<0.001), 4.11 (P<0.001), and 1.98 (P<0.05),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2-year mortality was inverse after controlling for weight loss and other known mortality-related factors in community dwelling high-risk male elders. Providers should be cautious in recommending weight loss for high-risk overweight male elders. The possible protective effect of weight gain in lower BMI or normal weight elders with geriatric risk factors deserves further investigation.

      • KCI등재
      • KCI등재

        Factors Associated with Functional Dependence in Alzheimer's Disease

        조주연(Choo-Yon Cho),조항석(Hang-Suk Cho),조경희(Kyung-Hee Cho),최경규(Kyoung-Gyu Choi),오희종(Hee-Jong Oh),김대현(Dae-Hyun Kim),정승필(Seung-Pil Jung),최규동(Kyu-Dong Choi),이홍수(Hong-Soo Lee),배철영(Chul-Young Ba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 No.1

        연구배경 : 노인의 인지장애는 노인성 치매로 잘 알려진 알쯔하이머병의 기능적 상태가 감소한 경우와 연관이 많다. 그러나 이러한 인지장애가 기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및 가족적 문제와 어느 정도까지 병존하고 있는지는 아직도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흔한 노인성 조건들, 가족기능, 그리고 영양학적 문제들이 기능적 의존성과 독립적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1997년도 12월부터 1998년도 6월까지 우리나라의 9개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신경과 및 노인병클리닉에 내원하거나 입원한 53명의 알쯔하이머병 환자들이 대상이 되었다. 모든 환자들은 치매에 관한 DSM-IV 진단기준 및 NINCDS-ADRDA 기준상 probable Alzheimer's disease에 부합하였으며, 모두 경도 내지 중등도의 인지장애를 보였고, 언어소통이 가능하였다. 종속변수는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DLs)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s) 이었고, 주요 독립변수에는 정신상태, 우울, 흔한 노인성 조건들 19가지, 가족기능, 영양상태 등이 포함되었다. 기술통계학과 사회인구학적 및 건강변수들과 같은 혼란변수를 통제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알쯔하이머병 환자들의 56%가 하나 이상의 ADLs 의존성을 보였으며, 그중 목욕하기 (55%), 옷입기 (47%) 등에서 어려움을 보였으며, IADLs 의존성중에서는 여행 (79%), 집안일 (79%), 재정관리 (79%) 등에서 의존성이 높았다. 알쯔하이머병 환자들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노인성 조건들, 그중 특히 피로, 요실금, 구갈, 수면장애, 낙상력, 눈의 통증, 어지러움, 슬관절통, 체중감소, 요통 등의 경우 IADLs 의존성과 다발성 연관관계를 보였고, 낮은 교육수준, 요실금 등은 ADLs 의존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ADLs, IADLs 개개항의 의존성, 조건들이 독립적인 예측인자가 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의학적 가료를 요할 것을 의미하며, 하나의 조건을 예방하는 것으로는 그 이상의 IADLs 의존성을 방지하는데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즉, 여러 가지 활동의 의존성 및 조건들이 개개인의 결과변수에 독립적으로 관련하기 때문에 그들의 기능적 의존성 이 예견된다면 이러한 다발성 조건들은 동시에 치료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결론 : 알쯔하이머병의 기능적 의존성과 흔한 노인성 조건들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일부 조건들이 알쯔하이머병의 기능적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개개인에 맞게 이루어져야 하고, 다발성 질환들을 다스려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알쯔하이머병에 대한 성공적인 평가 및 치료는 환자의 개개 의학적 조건들의 기능적 상태에 독립적으로 기여하는가에 대해 사려깊게 짚어보아야 할 것이다. 그 개연성의 문제에 대하여서는 알쯔하이머병에 대한 종적 및 기타 실험적 자료들이 계속 나와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ommon geriatric conditions, family function, and nutritional problems had an independent association with functional dependence beyond the effect of cognitive impairment in 53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s. Methods : The 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53 in-patients and out-patients of nine hospitals in Korea. All subjects met DSM-IV criteria for dementia and NINCDS-ADRDA criteria for probable Alzheimer's disease. Among fifty-three patients with probable Alzheimer's disease, all were mildly to moderately impaired and communicable. Chi-square tests were performed to assess bivari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lected 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common geriatric conditions, nutritional status, and functional status. Multivariate analyses were done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to adjust for the potentially co nfounding effects of sociodemographic and health variables. Results : 56.6% of the study population was dependent on one or more items in ADLs. The most prevalent items of ADL dependence were bathing (54.7%) and dressing (47.2%). Subjects with lower education level, poor cognition, and poor nutrition were more likely to be dependent. Low educational level, poor cognition, and urinary incontinence wer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risk of ADL dependence. Several conditions a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items of IADLs. Each item of IADL dependence of the patient has its own set of independent predictors. Some conditions are more universal in independently predicting IADL dependence.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some common geriatric conditions affecting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s appear to have multiple and differential relationships with the specific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s) dependences.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medical care. Preventing one condition may not be sufficient to prevent future IADL dependences since in most cases more than one condition is independently related to each outcome variable. Thus, multiple conditions may need to be managed concurrently if further functional dependence is to be expected.

      • KCI등재

        재가노인 환자의 사망예측지표로서 일상생활수행능력 평가의 유용성

        김윤진(Yun-Jin Kim),이상엽(Sang-Yeoup Lee),최상한(Sang-Han Choi),김영주, 민홍기(Hong-Gi Min),이해균(Hae-Gyun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2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3 No.4

        배경 : 재가노인환자는 신체기능상태가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사망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재가노인환자의 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재가노인 환자의 사망률이 재가장년 환자와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재가노인 환자의 사망에 미치는 인자를 조사했다. 방법 : 본 연구를 위해 1998년 10월에 부산 시내의 한 지역 아파트에 살고 있는 재가환자에 대하여 전수조사를 하였다. 연구 대상은 60세이상의 '재가노인 환자'와 60세 미만의 '재가장년 환자'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 재가노인환자와 재가장년환자와의 사망은 양군간에 의미있는 차이(P=0.029)가 있었으며 재가노인환자가 재가장년환자보다 사망이 많았다. 고도 기능저하를 보이는 재가노인환자에서는 연구기간 중에 5명중에 5명(100%)이 사망하였고, 재가장년 환자에서는 4명 중 1명 (25%)만이 사망하여 양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025). 재가노인환자 중의 생존군과 사망군 사이에 일상생활수행능력(ADL)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이 양군간에 차이가 있었다. ADL의 세부항목 중에서는 옷 입는 것, 식사히는 것, 침대나 의자에 앉았다 일어나는 것, 그리고 화장실 이용이 양군간 차이가 있었으며 IADL에서의 세부항목에서는 전화 사용 능력, 음식을 할 수 있는 능력, 청소를 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약 복용 능력이 양군간 차이가 있었다. 결론 : 신체적기능이 저하된 재가노인환지는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의사의 주의가 필요하다. 재가노인환자의 사망에 일상생활기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한다면 재가노인환자의 사망률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d : The daily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is associated with death. The decreased functional health status is associated with the mortality of home bound elderly patien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factors which affect death of home bound elderly patients. Methods : At October 1998 we investigated 25 home bound patients in apartment in Busan. We divided 25 subjects into 11 of 'home bound elderly patients(>60 years)' and 14 of 'home bound younger patients(<60 years)'. Results : The mortality rate of home bound elderly patients is higher than that of home bound younger patients (P=0.029). Among severe functional disability group, home bound elder patients had high mortality rate than home bound younger patients (P=0.025). Among home bound elderly patients, ADL and IADL i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iving group and death group. The ADL items (Dressing, Feeding, Transfer, Toileting) and the IADL items (Using telelphone, Cooking, Cleaning and Managing medic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living group and death group of home bound elderly patients. Conclusions : The motarity rate of home bound elder patients with high functional disability is high. Medical providers should have more concern to the home bound elderly patients with decreased functional health status.

      • KCI등재

        척추 압박 골절의 임상 양상 및 노인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박경채(Park Kyung Chae),김소림(Kim So Lim),강영곤(Kang Young Gon),신경균(Shin Kyung Kyun),김문종(Kim Moon Jong),이영진(Lee Young Jin),배철영(Bae Chul Young)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2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3 No.3

        연구배경 : 척추 압박 골절은 노인에 있어 신체적, 정서적 활동 및 일상 생활에 제한을 가져올 수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척추 압박 골절이 신체적, 정서적 활동 및 일상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척추 압박 골절의 임상 양상과 노인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95년 9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분당의 모 대학병원 가정의학과에 입원한 60세 이상의 환자들 중에서 과거 척추 압박 골절로 진단된 68명을 대상으로 척추 압박 골절의 부위와 골절수, 요통유무, 골대사율(골흡수율, 골생성율) 및 골밀도를 조사하였다. 신체 기능 평가를 위하여 일상 생활 동작 수행 능력(ADL)과 도구적 생활 동작 수행 능력(IADL) 및 노인 우울 척도(GDS)를 평가하였고, 척추 압박 골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군의 평균 연령은 74.16(±6.88)세였고, 68명중 여자가 62명(91.2%)이었다. 낙상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77.8%, 요통이 있는 경우는 71.2% 이었으며, 휠체어와 지팡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각각 6.1%, 12.2%였다. 평균 척추 압박 골절수는 2.63(±0.29)개였으며 척추 압박 골절이 가장 많은 부위는 제1요추였으며 다음으로 많은 부위는 제 12 흉추였다. 척추 압박 골절수의 증가에 따라서 골밀도가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고(age adjusted, r= -0.179, p=0.239) 동통에 따른 척추 압박 골절 수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1) 다발성 척추 압박 골절군(2개 이상)과 1개의 척추 압박 골절 군에 따른 일상 생활 동작 수행 능력, 도구적 생활 동작 수행 능력 및 우울 정도와의 차이는 없었다(P>.05). 결론 : 척추 압박 골절수에 따른 기능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동통에 따른 척추 압박 골절수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고위험군이나 이미 척추 압박 골절이 있는 대상자들에서 이에 대한 진단 및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Background :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cause the limitation of physical, emotional, and daily living activity in elderly persons. There is no work that evaluates the effects of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on the physical, emotional, and daily living activity among Korean elderly patients. Thus, we undertook this study to learn about the clinical consequences and the functional impairment among elderly persons with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Methods : The 68 patients over 60 years of age who had vertebral comperssion fractures documented in their medical records and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ndang CHA general hospital from September 1995 to June 1999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ir medical records and investigated the site and the number of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the presence of the associated pain, bone turnover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BMD). The Katz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IADL) were used to asses the patient's physical function, and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was used to asses the patient's depression. Results: 62 women and 6 men comprised the study population. Their mean(±SD) age was 74.16(±6.88) years. 77.8%, 71.2%, 6.1%, and 12.2% of the patients had documented the past medical history of fall, back pain, use of wheel chair and cane,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was 2.63(±0.29).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were most commonly located in the L1 and Tl2 spines in sequence. The number of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D,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age adjusted, r=-0.179, p=0.239). There showed no difference of ADL, IADL, and GDS between single fracture and multiple fractures groups(p>.05). Conclusions : These data showed that the most common sites of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were LI and Tl2 spin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functional status between single fracture and multiple fractures groups. But,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number of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between the two groups who had or dindn't have back pain was noted in this study population.

      • KCI등재

        노인병원 입원환자 보호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장원혁,박중현,최종은,김한승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7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8 No.4

        연구배경: 최근 노인병원이 증가하고 있지만 노인병원 입원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병원 입원환자 보호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여 향후 장기 입원이 필요한 환자의 전원시 요양기관 선택 및 노인병원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노인병원에 1달 이상 입원한 환자의 보호자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일상생활동작 수준과 보호자의 병원선택요인, 입원 중 진료서비스 만족도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병원선택요인과 만족도 문항은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각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직접 기입하게 하였다. 병원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 순차적 다중회귀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노인병원의 선택요인은 간병, 간호, 기능회복시설 항목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인병원의 만족도는 간호, 병원환경의 청결도, 냉난방 시설 항목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적인 노인병원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영향력이 큰 병원선택요인은 간병, 기능회복시설 순이었으며, 만족도 문항은 진료나 치료일정의 계획성, 편의시설의 편리성 순이었다(P<0.05). 또한 향후 환자의 호전 기대도와 노인병원 만족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유병기간, 환자의 장애 정도 등은 전체적인 노인병원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병원 환자 보호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향후 환자의 호전 기대도가 중요하며, 간병, 기능회복시설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는 경우에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병원 환자 보호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진료나 치료일정의 계획성, 편의시설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re were not enough researches about patients and carers in geriatric hospital, although a lot of geriatric hospitals were established late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factors to select a geriatric hospital as long term care unit and to investigate the carer satisfaction of geriatric hospitals. Methods: Total 131 carers of patient who had been in a geriatric hospital for more than 1 month were surveyed. Our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factors on choosing a geriatric hospital and carer satisfaction of a geriatric hospital.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actors that influenced carer satisfaction of a geriatric hospital. Results: Total carer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person tending the sick, functional improvement equipments in the factors to select a geriatric hospital and a favorable process of medical program, convenient facilities in the factors of carer satisfaction (P<0.05). Total carer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xpectation to be restore to health (P<0.05). Conclusion: The carer satisfaction of a geriatric hospital were related with the expectation to be restore to health, and the consideration of importance about a person tending the sick, functional improvement equip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