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이를 동반한 진행성대장암의 항암 치료에 대한 접근

        김현건,Hyun Gun Kim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3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1 No.1

        식생활의 서구화와 대장암 검진의 증가로 인하여 국내의 대장암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보고에 의하면 남자에서는 종양 발생률 2위, 여자에서는 종양 발생률의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비록 대장내시경이 대장암의 진단과 선별검사에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여전히 대장암의 20-25%는 이미 진단 당시에 전이를 동반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최근 10년 동안 이러한 전이성대장암의 고식적인 치료로 irinotecan과 oxaliplatin 등의 약제들의 개발과 이들의 다양한 조합에 관련된 연구들이 보고되어 왔으며, 분자생물학적인 발전에 힘입은 표적 치료제의 개발과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은 향후에도 진행성대장암 환자들의 종양 반응률과 생존기간을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악성 췌장 병변 진단에서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한 초음파내시경의 응용

        안재희,정회훈,박재근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4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JDCR) Vol.12 No.1

        췌장암(pancreatic cancer, PC)은 가장 치명적인 암으로 5년 전체 생존율(5-year overall survival rate)은 모든 병기에서 9%로 4기 질환의 경우 3%에 불과하다[1]. 현재 악성 췌장 병변의 진단에는 CT 스캔,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초음파내시경(endoscopic ultrasound, EUS) 등 다양한 기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중에서도 초음파내시경(EUS)은 췌관 암종(pancreaticductal adenocarcinoma) 및 췌관 선상세포 암종(pancreatic acinar cell carcinoma)과 같은 외분비계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뿐 아니라 신경내분비 종양(pancreatic neuroendocrine tumors, PNETs), 췌장 낭포성 병변(pancreatic cystic lesions)과 같은 내분비 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췌장 병변의 진단에도 매우 유용하다[2]. 하지만, 만성 췌장염(chronic pancreatitis,CP)이 동반된 경우 EUS는 특이도가 낮아 감별 진단이 어렵고[3], 또한 시술자의 의존도가 높아 진단이 주관적일수 있어 아직까지는 초음파내시경 유도하 세침 흡인 생검술(endoscopic ultrasound guided fine needle aspiration)을 이용한 세포학적 진단이 췌장암 진단의 goldstandard이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생물학적 두뇌를 학습하고 모방하기 위해 개발된 모든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술로 특히,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ML)은 대량의 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패턴을 찾아내는 AI의 한 형태다(Fig. 1) [4]. 이러한 ML에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 학습(reinforced learning)의 세 가지 유형이 있는데, 이중 지도 학습은 의학, 특히 진단 분야에서 연구되고 응용이 되고 있다. 특히, EUS에서는 신경망(neural networks, NN)이라고도 불리는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과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SVM)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지도 학습 방법이 연구되었다[5]. 딥 러닝(deep learning, DL)은 ANN에서 유래한 고급 개념으로, 인간 두뇌의 뉴런에서 영감을 받아 ANN의 여러 복잡한 층을 사용한다. 최근 널리 쓰이는 DL 알고리즘의 중 하나인 합성 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은 데이터에서 지식을 추출해 학습이 이루어졌지만,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특징들의 패턴을 파악하는 알고리즘이다. 반면, support vector machine (SVM)은 이미 입력 및 출력으로 훈련된 매우 많은 양의 데이터가 공급되는 지도ML 유형으로 훈련을 위해 더 많은 데이터 입력 없이는 더 많은 범주 지식을 자체 학습할 수 없다[6]. 지난 몇 년 동안 인공지능(AI) 활용이 의료 전반에 걸쳐 급격히 확대되었으며, Xu 등[7]은 EUS 영상을 이용하여 췌장암에서 예후 평가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발표하였다. 실제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PubMed 검색에서 인공지능, 췌장암을 핵심 용어로 조사해보면 발표된 연구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Fig. 2). 본고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한 췌장 악성종양 진단에 대한 EUS 기반 AI 연구에 대한 효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Pancreatic cancer is a highly fatal malignancy with a 5-year survival rate of < 10%. Endoscopic ultrasound (EUS) is a useful noninvasive tool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pancreatic malignancy and treatment decision-making. However, the performance of EUS is suboptimal, and its accuracy for differentiating pancreatic malignancy has increased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EUS-based AI models can facilitate early and more accurate diagnosis than other preexisting methods. This article provid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EUS-based AI studies of pancreatic malignancies.

      • KCI등재후보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고찰: 계량서지학적 분석 및 시각화된 분석

        박재근,황지웅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4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JDCR) Vol.12 No.1

        췌장암(pancreatic cancer, PC)은 진단과 치료가 가장 어렵고 까다로운 암이다. 그중에서도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BRPC)은 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종양으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절제 가능한 췌장암과 질병이 너무 광범위하게 진행되어 수술이 불가능한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 사이의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1]. 일반적으로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BRPC)은 종양이 주변 혈관을 약간 침범했지만 적절한 수술 전 치료 후 수술로 제거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말하며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 환자(BRPC)의 치료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수술만 아니라 다양한 의학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5]. 서지학(bibliometric analysis)은 특정 연구 분야의 출판물의 성과와 영향력을 양적, 질적 관점에서 조사하는 문헌 분석 방법으로써 주요 연구 동향, 새로운 주제 및 해당 분야의 진화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며, 과학 분야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를 제공한다[6]. 또한 서지학은 과학 및 학술 커뮤니티에서 정보에 입각한 의사 결정과 전략적 계획을 용이하게 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의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7-10]. 그러나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에 대한 서지학적 분석은 아직 발표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지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최근 10년간의 경계성 절제가능형 췌장암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주요 특징을 평가함으로써 해당 연구의 현황과 동향을 더 잘 이해하는 것이다.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an intermediate stage between a completely resectable state and an unresectable state, requires a multidisciplinary treatment approach.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recent research trends regarding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to gain further insights into them. Data from published papers about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were collected from Web of Science (2014–2023) for the analysis. This study included 355 papers; data on major countries, publishing organizations, and keywor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urthermore, R studio and VOSviewer were used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keywords. Publication of papers on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was observed to be increasing annually by 12.8%, with the United States and Japan being the main publishing countries. In 2014, keywords related to surgery and chemotherapy were dominant; however, a shift toward more integrative approaches, such as neoadjuvant therapy, was observed over time. This study demonstrates rapidly evolving trends and paradigm changes in the research and management of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future research strategies and improving patient treatment outcomes.

      • 수술 후 재발한 췌장암에서 종양절제술과 정위적 체부 방사선치료로 장기간 생존을 보인 환자

        원종화,류지곤,유민수,Jong Hwa Won,Ji Kon Ryu,Min Su You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8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6 No.2

        췌장암으로 진단된 70세 여자 환자가 유문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 및 5-fluorouracil 동시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받았다.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pT3N0 (stage IIA)의 췌장선암이 확진되었다. 14개월 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10 mm 크기의 단일 간 재발 병소가 간 3번 분엽에서 발견되었다. Gemcitabine 12주기 및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9주기 항암치료를 시행했으나 전이병소는 27mm로 크기가 증가하였다. 이에 간 3번 분엽의 종양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종양절제술 시행 25개월 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23 mm 크기의 단일 공동성 폐결절이 발견되었고, 조직검사에서 전이성 선암으로 확인되었다. 환자는 두 차례의 정위적 체부 방사선 치료 후 질병의 진행 없이 진단 후 6년 이상 장기 생존 중이다. 본 증례를 통해 수술 후 단일 간 전이 혹은 폐 전이가 발견된 일부 환자들에서 수술적 절제를 비롯한 국소 치료가 장기생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췌장암에서의 선행보조항암요법

        안동원,Dong-Won Ahn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5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3 No.1

        Pancreatic cancer is an aggressive tumor and only 10-20% patients are considered candidates for curative resection at diagnosis. While surgery remains the only chance for cure, prognosis is poor even after surgery due to high rate of recurrence. A complementar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a multimodal approach has been attempted to improved prognosis after surgery. Since adjuvant chemotherapy has yielded an only modest outcome improvement, various neoadjuvant approaches with chemotherapy, chemoradiation, or chemotherapy followed by chemoradiation have been attempted. In this article, current knowledge of the various neoadjuvant approaches for pancreatic cancer will be reviewed and the role of the neoadjuvant strategie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위암과 미생물총

        김유진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4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JDCR) Vol.12 No.1

        위암은 한국에서 2020년 기준 암 발생 순위 4위(10.8%)이며 세계에서 발병률이 가장 높은 암이다. 위암의 주원인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H. pylori )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를 1994년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였다. 최근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률 감소가 위암 발생의 감소가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을 보였으나, 미국 등 일부 지역에서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률 감소에도 불구하고 위암 발생률이 증가하였고[1,2], 제균 치료가 위암 발생을 완전히 막지 못하였다[3]. 자가면역위염, 분문부 위암 등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와의 연관성이 낮으나, 비분문부 위암에서도 이를 완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외에 다른 원인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촉진시켰다. 지난 20년 동안 배양 외에 DNA sequencing을 이용한 미생물 군집의 검출 방법의 도입과 2007년 시작된 Human Microbiome Project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발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위는 위산, 담즙 역류 등의 영향으로 가장 세균이 존재하기 힘든 장기로 생각되어 왔으나 2006년 상부위장관 내시경 조직 생검으로 채취한 조직에서 DNA sequencing을 시행한 연구에서 128개의 phylotype이 발견되어[4] 생각보다 위내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후 위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어 왔다. 여기에서 최근까지 발표된 위 마이크로바이옴의 발견, 연구 방법, 위암의 발암 기전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Gastric cancer is the 4th leading cause of death worldwide. The primary cause of gastric cancer is known to be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The advancement of molecular biology has enabled the identification of microbiomes that could not be confirmed through cultivation, and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microbial communities vary among normal mucosa, atrophic gastritis,intestinal metaplasia, and gastric cancer.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the microbial community differ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H. pylori. Whether changes in the microbiome are causative factors in the carcinogenesis process is not yet clear. Experiments using animal models and in vitro studies on the role of microbes other than H. pylori in the carcinogenic process are underway, but the data is still insufficient.

      • KCI등재후보

        약제의 신규등재 절차와 급여기준 관리

        배윤경,유미영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23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JDCR) Vol.11 No.2

        우리나라는 전국민 건강보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질병, 부상, 출산 등에 대한 진찰, 검사, 약제, 치료재료 등의 요양급여를 적용하고 있다[1]. 신약 등 의약품의 건강보험 급여는 임상적으로 유용하면서 비용효과적인 약제를 선별하여 등재하는 선별등재제도(positive list)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3년 7월 기준 약 2만 3천여 개의 의약품이 급여되고 있다. 급여되는 의약품의 목록 및 약가는 보건복지부 고시(급여목록 및 급여상한금액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급여기준은 항암제가 아닌 약제(일반약제)는 보건복지부 고시로, 항암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심평원장) 공고로 정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의약품 급여와 관련된 제도를 설명하고, 약제의 신규등재 절차와 급여기준 관리에 대한 소개를 통해 약제의 건강보험 급여 절차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성인여성의 인유두종바이러스와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에 대한 지식, 암예방 수행 및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수용도 분석

        송갑선,전은미,김주연 대한암예방학회 2013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1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knowledge of HPV and HPV vaccines and the acceptance of cancer preventive vaccine targeting adult women. The convenience sampling was conducted on subjects of 271 adult women who have visited Gynecologic Clinics residing in the B-city. For data analysis, it conducted the analysis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knowledge about HPV vaccine was higher in less than 40's in their age, subjects over college-graduates, single status in marriage condition, and subjects who have jobs, but the knowledge appeared to be very low with mean score, 5.34 (range 0∼22). In terms of the performance of cancer prevention, subjects of college graduates, those who have religion and were in higher economic level, those who are married, have no job, have a sex-partner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experience specially made an effort to prevent cancer. Of the subjects, 66.7% responded that they had a will to receive HPV vaccination and 86% subjects wanted to make their children vaccinate. In addition, there was no correlation found between the knowledge of HPV vaccine and the cancer- preventive performance.

      • 새로운 치료 방법 접근을 위한 C26 선암세포 기반의 Cancer Cachexia 동물모델 수립

        강은아,박종민,한영민,홍성표,조주영,유인경,오지영,함기백,Eun A Kang,Jong Min Park,Young Min Han,Sung Pyo Hong,Joo Young Cho,In Kyung Yoo,Ji Young Oh,Ki Baik Hahm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7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5 No.2

        Cancer cachexia는 지방조직과 근육계 조직의 손실에 따른 체중의 현격한 감소를 특징으로 하고 있어 궁극적으로는 암 치료제에 대한 반응을 낮출 뿐만 아니라, 삶의 양은 물론 질도 낮추게 되는 시급히 해결되어야 하는 미충족 의료수요중의 하나이다. 아직까지 임상에서는 수많은 노략에도 불구하고 일부 완화시킬 수 있는 약제가 있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해결이 가능한 약제나 치료 방법이 아직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동물모델이 필요한 질환이라 하겠다. 이러한 배경하에 연구자 등은 우선 동물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치료제를 개발하기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C26 대장 선암 세포를 이용한 Cancer cachexia 동물모델을 수립하여 이 모델에서의 변화를 소개함으로써 향후 더 진보된 치료제 개발이나 병태생리를 연구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26 adenocarcinoma를 대퇴부 주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몸무게의 변화가 현저하여 2주 이후에 유의한 몸무게의 감소, 식욕부진, 활동감소가 관찰되었고, 이때의 혈청 Cytokine 및 이를 조절하는 여러가지 전사인자의 변화가 선행되었고, 현저한 근육계의 근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실험동물은 3주에 40%가 사망하는 변화를 보였다. 연구자 등은 본 동물모델은 향후 새로운 치료약제 개발이나 Cancer cachexia 병태생리 연구에 매우 도움이 되는 수립하기 간편하며, 기저 분자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우수한 Cancer cachexia 모델이라 결론지을 수 있었다.

      • 췌장암 절제 후 잔여췌장에 발생한 췌장암에 대한 반복절제를 시행한 2례 - 췌장암의 반복절제 -

        김영일,우상명,이우진,Young-Il Kim,Sang Myung Woo,Woo Jin Lee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3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1 No.1

        There have been very few reports related to pancreatic cancer developing in the remnant pancreas after a resection for pancreatic cancer. We report two cases of repeated pancreatectomy for second primary pancreatic cancer. A 58-year-old man with a 2.3 cm sized low attenuated pancreatic tail mass on abdomen CT scan, received a distal pancreatectomy (adenosquamous carcinoma, stage IIB) and adjuvant chemoradiotherapy. A follow-up abdomen CT scan revealed a 2.0 cm sized pancreatic head mass in the remnant pancreas at 35 months after the distal pancreatectomy. He received a pancreaticoduodenectomy and diagnosed as ductal adenocarcinoma (stage IIA). Another 62-year-old female was declared pancreatic head mass on a regular health examination. An abdomen CT scan revealed a 3.6 cm sized mixed solid and cystic mass. She received a pylorus-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ductal adenocarcinoma, stage IB) and 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At 20 months after the resection, a 1.8 cm sized ill-defined low attenuated mass developing in the tail of remnant pancreas was detected on a follow-up abdomen CT scan. The patient received a distal pancreatectomy and diagnosed as ductal adenocarcinoma (stage I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