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금속 재질상의 금속화 (metallizing) 에 관한 연구

        조종수,한상목,최상흘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0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전기의 부도체인 플라스틱 및 유리와 같은 비금속 재질 표면에 금속을 피복하여 비금속 재질의 여러 성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비금속 재질은 전기도금이 불가능함으로 화학도금 방법을 택하였으며 우선 재료는 PS 수지와 유리표면에 니켈 및 동의 금속화를 시도하였다. 각 재질에 대한 금속화의 최적조건과 온도, pH 및 농도에 의한 영향 등을 고찰하고 피복층 계면조직에 대한 현미경 관찰 등을 주로 하였다.

      • KCI등재

        연료유에 의한 금속 표면의 고온부식 연구

        조종수,정호광,강성군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0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8 No.2

        X-선 회절법과 금속현미경에 의하여 방커 C유를 연료로 쓰는 boiler나 heater에서 채취된 금속 재질 표면의 부식현상을 조사 연구 하였다. X-선 회절법에 의하면 이 부식표면 성분은 V₂O_5, V₂O₃, vanadyle vanadate 및 소지 금속 산화물 등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연료류 중에 함유되어 있는 바나듐 성분이 금속 재질 표면에 증착 용융되어 부식을 촉진시킨 것으로 믿어진다. 부식 시편의 채취장치와 위치에 따라 표면에서 검출된 바나듐 산화물의 형과 양이 달랐다. 또 부식 표면의 금상 학적 고찰을 금속 현미경에 의하여 시도하였다.

      • KCI등재

        원자의 열운동진폭 및 금속의 융해현상

        조성암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8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16 No.4

        Debye-Waller 및 Lindemann 方程式을 利用하여 54種金屬의 融點 및 實溫에서의 Lindemann 系數δ및 結晶格子調和振動의 平均自乘振幅平方根値 √ V(_i²) 를 計算했다 計算結果 平均 Lindemann 系數値 δ(_(fi)^r) 및 이의 比率은 다음과 같다. δ_(f1)^r=0.226, δ_(f2)^r=0.185 및 δ_(f3)^r=0.131 δ_(f1)^r : δ_(f2)^r : δ_(f3)^r=1 : 0.821 : 0.578 여기서 i=1,2 및 3은 A₂→融液, A₁→融液 및 A₃→融液의 相變態를 表示한다. 이어서 格子振動에 依한 融解現象에 關한 Lindemann, Givarry 및 Shapiro 의 假說을 正當化하고 融解에 對한 格子構造의 役割을 論證했다. The Lindemann parameters δ, and the root-mean square thermal vibration amplitudes √ <V(_i²)> of 54 metallic elements both at fusion and at room temperatures are calcul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Debye-Waller and the Lindemann equations. The magnitude and ratio of the average Lindermann parameters δ^r_(fi), with i=1, 2 and 3 for the fusion transitions; A₂→liquid, A₁→liquid and A₃→liquid, are respectively δ_(f1)^r=0.226, δ_(f2)^r=0.185 and δ_(f3)^r=0.131 δ_(f1)^r : δ_(f2)^r : δ_(f3)^r=1 : 0.821 : 0.578 The hypotheses of Lindemann, Gilvarry and Shapiro on the fusion phenomena due to lattice vibration of metals are justified. The role of lattice structure of fusion is also demonstrated.

      • KCI등재
      • KCI등재

        Zirconium base 다성분 합금계에 있어 수소의 용해도에 미치는 합금 원소의 영향

        이재영,박중근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5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13 No.3

        이미 보고되어 있는, Zr-이원합금들의 α 및 β상에 대한 수소의 용해도 data를 가지고 각각의 온도에서 각 합금 원소들의 interaction coefficient를, 5at%까지의 농도범위에서 계산하였다. 600℃-800℃ 온도 범위에서 α상에서의 Nb, In, Sb, O, Ti에 대한 interaction coefficient의 온도 함수와 β상에서의 Nb에 대한 그것이 계산되었고, 그 온도 의존도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Interaction coefficient의 의미를 알아보고 그것을 이용하여 가상의 다성분 합금계의 α-zr상에서 수소의 용해도를 예견하였다. With published solubility of hydrogen in the α-phase and β-phase of binary alloys of Zirconium with various alloying elements, the interaction coefficient of each alloying element is calculated at each temperature up to 5 atomic percent of alloying elements.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interaction coefficients of niobium, indium, titanium, antimony, oxygen in α-phase and niobium in β-phase is discuss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00℃-800℃ an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interaction coefficient of above elements is calculated. The physical meaning of interaction coefficient is discussed and the terminal solubility of hydrogen in the α-phase of hypothetical multicomponent alloys of Zirconium has been predicted by means of it.

      • KCI등재

        금속 중석 분말의 저온소결 연구

        문인형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2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10 No.4

        금속활성제 및 소위 소결분위기에 활성화에 의해서 소결효과를 촉진시킴으로서 1000-1300℃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전성있는 중석금속을 얻을 수 있었다. 0.3 w/o Ni을 W분말에 혼입하고 소결분위기 조절용 H₂는 30℃의 포화증기압에 해당되는 수증기를 혼합시켜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활성화 분위기를 만듬으로서 활성소결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었다. 이와같은 2중 활성소결법으로 중석분말성형체를 1300℃에서 1시간 소결하면 17.1g/㏄, 또 1200℃에서 1시간 소결시켰을땐 16.3g/㏄의 밀도를 갖게 소결시킬 수 있었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얻은 소결체의 기계적 및 물리적인 성질은 전기전도도가 좀 떨어진다는 점 이외에 재래의 coolidge 방법의 제품보다 뒤떨어지지 않는다. 소결의 활성에너지를 850-1300℃의 온도 범위에서 측정했는데 그중 활성시에 있어서는 1000℃이상의 온도에서 43㎉/mole 그 이하의 온도에선 57㎉/mole, 그리고 다만 Ni활성제만 사용했을 경우는 1000℃ 이상에선 52㎉/mole 그리고 그 이하의 온도에선 75㎉/mole이었다. 2중 활성법이 가능할 몇몇 활성소결 기구도 살펴보았다. The ductile metallic tungsten was obtained at low temperature (1000-1300℃), using the metallic activator and the so called "chemical agitation" to facilitate the sintering effects. About 0.3 w/o Ni was impregnated into W as activator and the sintering atmosphere was chemically activated in the atmosphere of the mixture of H₂ and H₂O vapor saturated at 30℃. With this atmospheric control the activated sinterings effect was improved by 30%. With this double activation method, the sintered tungsten of the density 17.1 g/㏄ and that of 16.3 could be obtained by the sintering at 1300℃ for 1 hour and at 1200℃ for 1 hour, respectively. The mechanical-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ductile tungsten metal obtained by this method were superior compared to those obtained from the traditional "coolidge method", except their electrical conductivity. The activation energy E for the sintering was calculated with the temperature range of 850℃ to 1300℃. E for the double activated sintering was 43 ㎉/mole above 1000℃ and 57 ㎉/mole under 1000℃, and E for the activated sintering with 0.3% Ni-activator was 52 ㎉/mole above 1000℃ and 75 ㎉/mole under 1000℃. The microstructural observation and the study of sintering mechanism were also performed and discussed.

      • KCI등재

        Fe-3 % Si 단결정의 (001) 과 (111) 면에 대한 Nd:YAG 레이저 펄스 조사와 기계적 압입에 의한 변형기구 비교

        신정철,김도훈,신규식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88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26 No.11

        In order to compare the slip deformation modes of Fe-3%Si singe crystals created by mechanical indentation and Nd : YAG laser pulse, they were indented with the Rockwell diamond brale and irradiated with the Nd : YAG laser pulse. The slip traces generated on (111) and (001) surface planes were analysed by trace analysis method. The microstructures in both deformed specimens were observed by Nomarski microscope and TEM. Mechanical indentation on (111) and (001) surface planes resulted that the slips had taken place on {110} and {112} planes along $lt;111$gt; direction. Meanwhile laser irradiation showed that the slips had also taken place on {123} planes in addition to {110} and {112} planes due to thermal effect. It seems that a strain rate had larger effect on the spacing of slip bands in Fe-3% Si single crystal compared with temperature increase. Dislocation density was higher in mechanically indented specimen and they were tangled each other. Mean while dislocation density was lower in laser irradiated specimen and the were aligned along the characteristic orientation.

      • KCI등재

        고규소-Al 합금의 초정미세화에 관한 연구 (2)

        김수영,남태운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74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12 No.1

        1. 緖論 熱膨脹係數가 적은 高珪素-Al 合金의 重要性은 피스톤재료 등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合金의 缺陷 하나는 初晶珪素의 粗大化現象이다. 이러한 現象이 합금의 기계적 성질을 저하시키고 기계가공에도 영향을 주므로 初晶珪素의 微細化에 對한 硏究는 지금까지 多角度로 행해지고 있다. 著者도 이미 이 문제에 대하여 특히 소량의 금속을 접종시키므로 初晶微細化가 可能하다는 것을 硏究發表한 바 있다. 本硏究에서는 이 合金에 添加元素로서 많이 사용되는 Mg을 接種시키므로 일어나는 初晶珪素의 徵細化 傾向에 對하여 Mg 添加量, 주입溫度, holding에 의한 변화에 대하여 조사 검토하였으며 이미 微細化劑로 알려져 있는 Cu, S 와의 復合處理의 效果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2. 實驗方法 사용된 원료는 純 Al(99.7%)와 金屬 Si(98.0%)를 고주파 유도로에서 12번 흑연도가니를 사용하여 Al-Si 母合金(30%Si)를 제조하여 그것을 전기로에서 3번 흑연도가니를 사용하여 Al과 함께 熔解하여 Al-20%Si 合金 熔湯을 만들었다. 소정의 金屬 Mg을 steel pipe로 만든 접종기구를 使用하여 접종한후 200℃로 예열시킨 20 ㎜ø 100 ㎜ 길이의 주철재 金型에 주입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시편은 시료 底面에서 20 ㎜ 부근을 절단 채취하여 조사 검토하였다.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Mg 첨가량과 초정 Si의 미세화 Mg을 0.2%∼2.5% 첨가하여 초정 Si의 미세화를 조사하였다. 0.2%와 1.2% Mg 사이에서 초정 Si는 미세화가 일어나며 1.5%Mg이상에서는 초정 Si가 더욱 粗大化현상이 일어났다. 3.2. 주입온도와 초정 Si의 미세화 Al-25% Si 합금에 1%Mg을 첨가한 후에 각주입온도(750℃, 800℃, 850℃)에서 주형에 주입하여 조사한 결과 850℃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3.3. Holding time과 초정 Si의 미세화. 소정의 온도에서 接種前의 維持時間이 길수록 미세화 경향이 크며 접종후는 5분 사이에서 微細하여지며 維持時間이 길수록 미세화 경향은 나빠진다. 4. 결론 1. Mg첨가에 의한 高珪素-Al 合金의 初晶 Si의 微細化는 0.2%∼1.2%Mg사이에서 일어나며 1.5%Mg이상은 粗大化現象이 일어난다. 2. 주입 온도의 영향은 주입온도가 높을수록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3. Holding효과는 접종前은 길수록 微細化 경향이 크며 접종後는 5분사이에서 미세화되며 더욱 길면 微細化 效果는 減少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