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실과교과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 탐색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2

        실제적 삶에 도움을 주는 지식만이 가치 있는 것이라는 스펜서의 주장과 같이 실과교과 교육은 창의성이 강조되는 지식기반사회인 현대에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미 연구되어 있는 실과교과의 학문 구조, 내용 등을 정리하고, 초등교육의 각 교과의 목표 및 내용의 비교를 통해 초등교과 사이에서의 실과교과의 차별성 즉 전문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실과교육의 전문성을 학교교육에서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았다. 초등교원양성교육에서의 실과교육의 실제적 강화, 실과교육과정의 개정 및 보완, 초등학교에의 실습 시설 및 설비 확충, 마지막으로 원격연수를 포함한 연수기회의 확대 등을 초등 실과교과 교육의 전문성 신장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최근 미국 초등 역사교육 연구의 동향

        주웅영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9 No.2

        미국의 초등 역사교육이 획기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지금부터 20여 년 전이다. 종전 미국의 초등 역사교육은 대개 교실수업을 중심으로 교사의 강의와 학생의 암기, 그리고 단원의 마지막에 부과되는 시험으로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상황이 보편적이었다. 이러한 양태의 교실 수업은 역사의 사회과 통합과 지역확대 교육과정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서 교과서의 내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진도를 나아가는 '개관 강의' 중심의 수업 형태였다. 이 변화는 영국에서 시발되어졌다. 당시 영국에서 나온 새로운 연구성과들은 초등 역사교육의 연구에 대한 인식시각의 전환과 그를 토대로 한 연구동향의 변화를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이들 연구들은 그 이전부터 초등 역사교육의 성격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틀을 제공해 오면서 역사교육의 성격 규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소위 'Piaget-Peel-Hallam 모델'이 지닌 한계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의 결과에 따른 산물이었다. 당시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시각의 수립은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 초등 역사교육의 연구 경향에 영향을 미쳐 미국에서 초등 역사교육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다. 이들 미국의 연구성과들은 Paul Hanna에 의해 이론적 근거가 제공된 '지역확대 교육과정'이 지닌 단점을 극복하고 그 대안적인 접근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강하였다. 결국 이들 연구는 교육과정의 개정을 촉구하는 계기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토대로서 기능할 수 있었다. 원래 교육과정의 개정은 교과에 대한 인식시각을 토대로 개정되면서 교과 내용의 선정·조직문제로 귀결되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영국에서의 연구성과들은 National Curriculum의 성립, 미국에서의 연구성과들은 National Standards for History의 구안을 촉구하면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결과 역사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에서 점차 중심적인 교과로서의 위상을 회복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었다. American 2000은 그러한 점을 잘 보여주는 상징적인 예들 중의 하나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최근까지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이론연구들이 추천하는 교수·학습방법을 지지해 줄 만한 증거나 조사연구가 너무나 적다는 사실이 차후 미국 초등 역사교육이 해결해야할 문제로 남아 있다. 그러한 연구들은 현장교육을 토대로 민족지적 방법을 통하여 논증하는 실험연구의 형태로 수행될 경우에만 해명될 성질의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미국사 가르치기 프로그램에서 잘 드러나듯이 이들 초등 역사교육의 이론연구들이 현장교육의 교수·학습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실험연구와 결합하여 현장교육에 적용될 수 있을 때 초등 역사교육의 이론연구들은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되어 비로소 초등 역사교육으로서 완결의 의미를 지니면서 초등 역사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을 위한 학습자료 개발 연구

        정진현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0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2 No.-

        This research is purposed on developing the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practical arts and maker education, based on proper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and maker education. This research implemented field test about developed maker education learning materials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to elementary students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earning materials were evaluated from expert group’s validity test as appropriate for elementary maker education and has positive effects. By expert evaluation result, about the learning materials, all categories in validity is fine This informs that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are appropriate for elementary maker education and has positive effects on actual maker education. 2. The learning materials were evaluated very helpful for increasing motivation for study and interest in maker education, by learner’s satisfaction surve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eld test, shown average 4.50 higher in all satisfaction category. This informs that learning materials help increase satisfaction in learning and i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Therefore, elementary practical arts maker education learning materials not only are appropriate and has positive effects for elementary maker education, but also evaluated meaningful for increasing maker interest and ability of understanding. 본 연구는 초등 실과와 메이커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이를 초등 실 과 메이커 교육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메이커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PDIE의 수업자료 개발 모형절차에 맞추어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초등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테스트를 실시하고 만족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 음과 같다. 1.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적합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문가들의 평가 결과에 따르면 메 이커 교육 학습자료에 대한 타당도에 있어서 모든 항목이 양호하게 나왔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개발된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가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부합하고, 실질적인 메이커 교육에 있어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학습자 만족도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대한 흥미와 학습의욕을 높여주는데 상당한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학생들의 만족도 의 모든 항목이 평균 4.50 이상으로 현장테스트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초등학생들이 해결하기에 알맞은 자료로 학생 들로 하여금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는데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 실과 메이커 교육 학습자료는 학생들로 하여금 초등학교 메이커 교육에 충분히 적합하여 긍정적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메이커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로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전환교육의 시각에서 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진로연계교육 운영 방안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의 진로연계교육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전환교육 그리고 진로연계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고찰하는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위한 전환교육으로 첫째, 기본학습능력, 둘째, 아동과 초등학교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 셋째, 체험중심의 방법 적용, 넷째, 통합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초등학교로의 입학에 적응에 필요한 내용 및 학교의 상황에 맞는 내용, 다섯째, 초등학교 입학 초인 3월에 시행, 여섯째, 부모를 위한 전환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이었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위한 전환교육으로는 첫째, 6학년 2학기에 실시, 둘째, 상급학교 생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해소 및 긍정적 자기 인식을 목적으로 구성, 셋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육과정 차이점 설명, 넷째,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의 학교생활 차이 설명, 다섯째, 전환기 학생의 인지, 정서, 신체적 특성에 대한 이해, 여섯째, 학부모 대상 전환교육, 일곱째, 6학년 2학기부터 중학교 입학 후까지 지속되는 전환교육 등이었다.

      • KCI등재후보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정남용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0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6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교육에서 필수적인 아동의 문제해결능력의 증진에 대한 연구를 초등학교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초등 교사 교육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학년별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여, 대학 교육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이 증진되는지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실과교육학과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측정을 위해서 Th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level Z가 사용되었다.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한 결과 평균은 15.51이었으며, F검증을 한 결과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의 학년별 문제해결능력의 평균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해결능력의 7개 하위 영역별 수준 역시 학년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대구교대 실과교육과 학생들은 학년에 상관없이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거의 동질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대학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이 신장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초등실과교과에서의 진로교육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정미경,안남규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1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진로교육의 개념과 발전과정,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 진로교육과 실과교육을 살펴보고, 제 1 교육과정기에서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실과교과에 반영된 진로교육 내용을 제시한 후, 진로교육의 내용을 나의 이해, 일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가치관, 일과 직업의 세계, 진로 의사결정의 4가지를 분석 기준으로 삼아 분석함으로서 진로교육 내용 구성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실과내의 진로교육은 교육과정 개편 시마다 변경되는 학년과 주당 배당시간으로 인해 교육 내용 면에서도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지도되는 내용에도 학년간의 연계성이나 지속성, 계속성이 결여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초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은 현실이나 미래사회에 좀더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그 목표나 내용이 구성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초등실과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체계를 확립과 이에 따른 올바른 진로교육의 목표 및 내용설정이 필요하다. 또한 실과 교과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진로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육과정 개발 시 진로교육 내용의 일관성 있는 구성, 교과서에서의 진로교육단원 이외의 단원에서의 관련 직업의 탐색기회 제공과 아울러 진로와 관련된 학습내용을 직접 경험하거나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는 실과교과에서 다루는 진로교육 내용이 타 교과와 재량활동, 특별활동 등과 유기적인 관련을 지어 지도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준한 초등 실과 식생활교육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김유정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0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2 No.-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learning modules related to food & nutrition education at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in order to analyze the elements of career education that can be found in the food & nutrition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which the relevant content from the NCS was analyzed by key concept of the food & nutrition area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hrough research into literature and content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CS has 70 learning modules in five of the smallest category related to food & nutrition education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 local community hygiene management, cooking Korean food, dining space creation, food quality management and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Second, the area of “family life and safety” in the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 revised in 2015, is relevant to the food & nutrition education of NCS learning modules. However, the content about a balanced diet and the importance of refreshments and how to choose them is found to be irrelevant to the elements of food & nutrition education of NCS learning modules. Third, NCS learning modules related to how to make refreshments, which is among the key concepts of “life culture” in the area of food & nutrition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included personal hygiene, measuring and cooking instruments, how to heat and cook food, and table manners; as for NCS learning module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there were characteristics of various food ingredients and sensory tests. Fourth, NCS learning modules related to how to choose safe and hygienic food, which is among the key concepts of “safety” in the area of food & nutrition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ontained food labeling, hygienic storage and choice of food, food poisoning, and cross-contamination, and NCS learning modules related to how to cook one-bowl food with rice consist of basic knowledge and functions about how to cook food in a safe and hygienic way. 본 연구에서는 초등 실과 식생활 영역에서의 직업소양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국 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식생활교육 관련 학습모듈을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 실과 식생활영역의 핵심개념별로 NCS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 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에는 지역사회위생관리, 한식조리, 식공간연출, 식품품질관리, 농산식품유통의 5개 세분류에 총 70개 초등 실과 식생활교육 관련 학습모듈이 있었다. 둘째, 2015개정 실과교육과 정에서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이 NCS 학습모듈의 식생활교육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 중 균형 잡힌 식사와 간식의 중요성 및 선택 방법에 대한 내용은 NCS 학습모듈의 식생활교육 내용 요소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실과 식생활 영역 ‘생활문 화’ 핵심개념 중 간식 만들기와 관련된 NCS 학습모듈은 개인위생, 계량기구 및 조리기구, 가 열조리법, 식사예절이었으며, 오감교육과 관련된 NCS 학습모듈은 다양한 식재료의 특성, 관능 검사이었다. 넷째, 초등 실과 식생활 영역 ‘안전’ 핵심개념 중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 선택과 관련된 NCS 학습모듈은 식품표시, 위생적인 식품 보관 및 선택, 식중독, 교차오염이었으며, 밥 을 이용한 한그릇 음식 만들기와 관련된 NCS 학습모듈은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음식 만드는 과정에 대한 기초 지식 및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대한 인식과 육상교육의 실태

        김만의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8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3 No.2

        본 연구는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 대회 대구 유치를 계기로 초등학교 교사들의 대회 유치에 대한 인식과 초등현장에서 육상 교육과 관련된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지역의 초등 교사 179명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첫째,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관련된 인식에서 교사들은 대구 유치에 대하여 대부분 인지하고 있었으며,유치에 대한 자긍심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대회의 효과에 대한 조사에서는 경제적 파급효과,육상경기 발전,정치적 효과 등에 높게 응답한 반면 생활체육 활성화에 낮게 그리고 학교체육 전반의 발전 등에는 거의 응답하지 않아 육상 대회를 체육을 뛰어넘는 행사로 보는 매스컴의 논리를 벗어나려는 교육자적 고민이 없는 것이 아쉬운 부분이다. 대다수의 교사들이 경기를 관람할 의향이 있으며 또한 역할이 주어진다면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다만 학생들의 참여 역할로서 교사들은 초,중등 모두에서 경기관람이나 도우미를 추천하여 매우 편향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단순한 역할을 넘어 교사,학생 각각의 역할은 물론 함께 할 수 있는 역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초등학교 육상 교육과 관련된 실태와 인식에서 우선 많은 교사들이 세계육상선 수권대회와 관련된 수업을 하지 않았다. 체육수업의 내용에서 교육과정 편재를 고려할 때 구기에 대한 지나친 편중이 우려되지만 육상 수업의 비중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오래달리기,높이뛰기,포환던지기 등의 수업이 시설미미,지도능력부재 및 안전대책미흡 등의 이유로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자질과 관 련하여 30% 이상의 교사들,특히 여교사의 55%가 육상경기 종목과 경기방법에 대하여 알지 못한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결과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전체적으로 성별보다는 직무와 육상 활동 지도경험 및 체육 에 대한 선호도와 참여도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와 육상 활동의 체계적인 교육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서는 정치,경제적 효과를 거두기 위한 노력 못지않게 학교 체육의 발전을 토대로 한 생활체육의 발전을 통한 스포츠문화의 정착이 궁극적인 과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수학 특기 적성 교육활동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박기훈, 최창우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8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4 No.1

        지식과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교과교육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혀 정부에서는 과중한 사교육비를 경감하고 학생의 특기와 학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특기 적성교육을 실시하게 되었다. 근래에는 거의 모든 학교현장에서 특기 적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또 특기 적성교육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이 컴퓨터나 예체능 과목에 관한 연구로써 초등 수학과 특기 적성 교육에 관해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특기 적성의 운영 실태와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학생들의 적성과 소질 계발을 목표로 하는 초등학교 수학 특기 적성 교육 활동이 나아갈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방(棒)과 할(喝)의 교육적 의미

        정재걸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1 초등교육연구논총 Vol.17 No.1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에 있어서 발전은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교감을 통한 인간의 변화를 의미한다. [주역(周易)]의 "택산함(澤山咸)" 괘에는 "하늘과 땅이 교감하여 만물이 화생(化生)하고, 성인(聖人)이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켜 천하가 화평하나니, 그 교감하는 바를 관찰하면 천지와 만물의 정(情)을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성인이란 오늘날 교사를 의미한다. 즉 진정한 발전이란 교육을 통해, 그리고 교사에 의해 이루어져야 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교감을 통한 발전의 이념을 우리는 상생과 조화라고 표현한다. 이 글은 21세기에 우리 교육이 추구해야 할 상생과 조화라는 이념이 불교교육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선종의 교육 방법인 방과 할의 교육적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