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국제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임선일,오영훈,조인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1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e Korean society quickly enter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result,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uddenly made an increase in schools, which made our society come face to face with educational problems that we had not experienced before. However, the education system that has to deal with these problems has its limitations because most of the curriculum is focused on Korean students. Therefore, a new educational system is in need to overcome the educational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students, while imposing education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internationalization for mainstream Korean stud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Multicultural International School’ as part of a new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model of multicultural international school in the aspect of integrative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students's characteristics and ideas to bring it in practice by examin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current polic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deviates from the current rigid curriculum focused on mainstream Korean students and mainly focuses on 'customized edu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international education appropriate for a multicultural and international era. Second, an integrative education rather than a separated system is proposed. Third, based on the ideology of integrative education, the multicultural international school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the purpose of students' career path and college entry so that the founding principle of the school is not disturbed. 초국적 이주가 급증하면서 한국사회도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로인해 일선 학교에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다문화학생들이 급증하였고 다문화학생의 증가는 우리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교육문제들을 직면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교육시스템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는 현재의 교육과정이 한국 학생들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문화학생에 대한 교육적 한계를 극복하고, 주류 한국학생들에 대한 ‘다문화 이해교육’과 ‘국제화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육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다문화교육 시스템의 하나로써 ‘다문화국제학교’ 설립과 운영방안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기존 다문화교육 정책 및 다문화대안학교들의 문제와 한계를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통합교육 차원의 다문화국제학교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실천하기 위한 설립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학교의 주류 한국학생 중심의 경직된교육과정에서 벗어나 ‘다문화학생의 특성에 맞춘 맞춤형교육’, ‘다문화·국제화 시대에대비한 국제화 교육’을 주요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다문화학생만을 위한 분리교육이 아닌 통합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학교상을 제시하였다. 셋째, 다문화국제학교는통합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학생의 진로 및 진학이라는 목적에 맞게 설립하고 운영함으로써 학교설립의 목적이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민간영역 국제문화교류의 양상에 대한 고찰 :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의 문화교류를 중심으로

        강현정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5

        이 연구는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의 문화교류에서 발생된 ‘쌍방향의 문화교환’과 ‘다자간의 문화횡단’을 주목하여 민간영역의 국제문화교류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민간영역의 국제문화교류에서 보여지는 교류방식은 과거 국가 간에서 이루어졌던일방향의 국제문화교류와 차이가 있으며 그에 따라 변화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첫째, 쌍방향의 문화교환은 동등한 위치를 가진 주체로 가능해지는데 이 주체들은 문화행위를 주고받으면서 문화교환이 나타나고 문화행위뿐만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행위에 담긴 내적 의미의 교환까지도 주고받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더 나아가 한국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의 지속적인 쌍방향의 문화교환은 다자간의 문화횡단으로의 발전을 보여준다. 둘째, 다자간의 문화횡단은 다층적으로 이루어진 다양한집단이 문화교류를 통해서 서로 얽혀지면서 발생하게 된다.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우타고에운동에서 보여지는 다자간의 문화횡단은 상호 간 소통하면서 새로운 공존의문화를 만들어 낸다. 이렇게 서로에 의한 공존의 문화가 만들어지면서 집단 간 영향을주고 실질적인 문화행위의 변화까지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에서 보여주듯이 민간영역의 국제문화교류는 문화교환에 대한 경험이 축적되고 반복되어 문화횡단의 양상으로 변화됨으로써 문화교환을 경험하는 사이에 문화횡단으로 이행된다. 이렇게 민간영역 한일문화교류에서 쌍방향의 문화교환에서 다자간의 문화횡단으로 연결되는 과정은 상호소통적인 관계가 단순히 문화교류뿐만 아니라 삶의 문화적 소통으로 확장됨으로써 이루어진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aspects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by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and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that appears in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n private cultural organizations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The current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differs from the one-way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etween countries in various aspects in the past. First, in the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subjects in an equal position not only interchange cultural actions, but also actively interchange the inner meaning of the actions. Furthermore, in the case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a Korean private cultural organization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it shows that the continuous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develops into a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Second, various multilayered groups are intertwined through cultural exchanges, resulting in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The Korean cultural organization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created a new culture of coexistence as mutual communication occurred due to transculturation. This culture of coexistence by each other can be created and influenced between groups, resulting in substantial group changes. As shown by the Korean private cultural organization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does not appear as a separation of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and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s can occur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s they change into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and interchanges and crossings are mixed and intermediate.

      • KCI등재

        지역의 국제문화교류 현황과 과제 - 경상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

        변철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3

        This thesis aimed to seek for the tasks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regional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focusing on the case of Gyeongsangnam-do. For this, this thesis colle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various data such as Gyeongsangnam-do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usiness plan, press release of regional newspaper with public trust, online survey, and untact interview.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regional level could be analyzed as inter-regional cooperative/exchange project, and internationalization & localization project for regional cultural resources. As the tasks for the vitalizations of region-centere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is thesis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mid/long-term pla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y regional subjects, support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cultivation of regional specialized manpower in private sector, and vitalizations and specializa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using regional resources. 본 논문은 경남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의 국제문화교류 진흥을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도 국제문화교류 사업 계획서 분석, 공신력있는 지역신문 보도자료 분석, 온라인조사, 비대면 인터뷰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 차원의 국제문화교류는 지역 간 협력 및 교류사업, 지역 문화자원의 국제화 및 지역화 사업으로 분석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역 중심의국제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서 지역 주체의 국제문화교류 중장기 계획 수립, 민간 영역 국제문화교류 지원과 지역의 전문 인력 양성, 지역 자원을 활용한 국제문화교류 다양화 및 특성화를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