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기 국립국악원 개원 전후의 상황과 김동민 가(家)의 관계 연구

        김율희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8 No.-

        본 연구는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에서 개원한 국립국악원 태동기의 역사적 상황을 구술자료를 통해 밝힌 논문이다. 이 시기는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사료가 부족하여 학계에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피난 직후 약 3개월간 구왕궁아악부의 임시사무실을 제공한 김동민에 대한 과거 구술자료를 분석하여, 국립국악원의 태동기에 영향을 미친 김동민 가(家)와의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기초 사료가 되는 김동민의 구술음원은 1991년 강태홍 유적조사를 위해 민속국악학자 이보형이 녹음한 것이다. 이 자료는 국립국악원 태동기와 김동민의 인연이 자세히 녹음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김천흥의 저서, 국립국악원 개원 50 및 70주년 자료집, 신문기사 등을 종합하여 당시 상황을 정리하고, 김동민의 장녀 김온경과 구술면담을 실시하여 사실을 교차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국악원은 피난 직후 1950년 12월 말부터 1951년 4월 정식 개원까지 부산시 서구 토성동 3가 6번지 김동민 자택에 임시사무실을 제공받았다. 둘째, 국립국악원 개원 이후 첫 무용강습회를 김동민의 민속무용연구소에서 개최하였다. 셋째, 부산 최초의 무용극인 <춘향전>이 공연된 1952년 ‘제1회 민속무용발표회’의 해설과 반주를 성경린, 김천흥 등 국립국악원 악사들이 담당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국립국악원의 태동에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한 것으로, 국악애호가이자 국악계몽운동을 선동한 김동민의 열정과 후원으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국립국악원과 김동민의 관계는 단순한 후원관계를 넘어 동반자적 조력관계를 유지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국립국악원 개원 전후 상황을 새롭게 정립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which opened in Busan, the temporary capital during the Korean War. Due to a lack of historical records in this period, it analyzes the oral records about Kim Dongmin, whoprovided a temporary office for Guwanggung aakbu (舊王宮雅樂部) for about three months right after evacuation, to establish the influence of the Kim Dongmin's family that affected the birth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The oral materials of Kim Dongmin and Son Jaesook, which serve as the basic material for this study, were recorded by the folk music scholar Lee Bohyeong in 1991. They show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Dongmin and the early day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Based on them, this study summarizes the circumstance at that time by reviewing Kim Cheonheung's book, the National Gugak Center's 50th and 70th anniversary collections, and newspaper articles. Then, an oral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Kim Dongmin's eldest daughter, Kim Ongyeong, to cross-verify the fa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Gugak Center was provided with a temporary office at Kim Dongmin's house at 6 Toseong-dong 3ga, Seo-gu, Busan, from the end of December 1950 until its official opening in April 1951. Second, after the opening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the first dance class for beginners was held by Kim Dongmin's Folk Dance Research Institute. Third, in 1952, when Busan's first dance play, Chunhyangjeon, was performed on 'the 1st Folk Dance Presentation', the musician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including Sung Kyungrin and Kim Chunheung, were in charge of the commentary and accompaniment. This fac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irth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can be seen to be due to the passion and support of Kim Dongmin, a lov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nstigator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nlightenment movement. In summary, Kim Dongmin grea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Busan by providing a place for dance lessons and holding collaborative performa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newly established the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which has not been well known so far, and shed new light on its historical significance.

      • KCI등재

        국립국악원의 정재 전승양상

        김채원(Kim Chae won) 국립국악원 2013 국악원논문집 Vol.27 No.-

        This paper is aimed at forming a fundamental material to help seeking the methodology and the acceptable extent of Jeongjae(court dance) created by National Gugak Center. In order to do so, I have examined the transmission aspects of Jeongjae by National Gugak Center(NGC) conducted since its opening to 2012, on the basis of the regular performance-related records, such as performance programs and producing documents. As a result, it can be described in different periods: A period(1952-1976) that the reconstituted Jeongjae was accepted, a period(1977-2004) that the contents were expanded while reproducing Jeongjae, and a period(1991~) that Jeongjae went through creative transformation. There were 12 events in Jeongjae transmitted by Yiwangjik Aakbu, and Jeongjae that Kim Cheon-heung reconstituted for regular performance, Gugak Gamsanghoi, which was conduc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NGC, settled as the repertories of Jeongjae by NGC. Jeongjae began to be reproduced in earnest since 1980, and as a result, 44 events were reproduced,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Jeongjae contents as well as to carrying on the transmission. From 1991, when the first center s original Jeongjae, Hwapyeongjimu was introduced, to 2012, 18 works of Jeongjae(or Jeongjae variation, Changjakchum) were undertaken. This is due to deep concerns of how to creatively transform the tradition as the source of creation. While there are pros and cons on created Jeonjae, National Gugak Center has a difficult task of creating new traditions, not only of preserving the traditions. This paper would be a little help in seeking the methodology and the acceptable extent of created Jeongjae. 본고는 개원이후 국립국악원의 정재 전승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국립국악원 창작정재의 수용범위와 방법론을 찾는 데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개원이후 2012년까지의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관련 기록물(공연 프로그램, 생산 문서 등)과 관련 문헌을 근거로 하여 정재 전승양상을 살펴본 결과 재구성정재의 수용시기(1952~1976년), 재현정재를 통한 콘텐츠 확충시기(1977~2004년), 정재의 창조적 변용시기(1991~현재) 등으로 정리되었다. 이왕직아악부를 통해 전승된 정재종목은 12종이었으며, 국립국악원 개원 이후 개최되었던 [국악감상회] 공연을 통해 김천흥이 재구성한 정재가 수용되어 국립국악원의 정재 레퍼토리로 정착되었다. 1980년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정재 재현작업으로 총44종목의 정재가 재현되어 국립국악원 정재의 맥을 이었을 뿐만 아니라 정재 콘텐츠 확충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1991년 첫 창작정재 <화평지무>가 발표된 이후 2012년까지 수차례에 걸쳐 총 18작품의 창작정재(혹은 정재변주, 창작춤 )가시도되었다. 이는 창작의 원천으로서 전통을 어떻게 창조적으로 변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산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작정재에 대한 찬반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전통의 보존에만 머물지 않고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 나가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국립국악원이 창작정재 창조의 수용 범위와 방법론을 찾아가는 데 작은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국립국악원의 정재 전승양상 - 정기공연을 중심으로 -

        김영희 국립국악원 2013 국악원논문집 Vol.27 No.-

        This paper is aimed at forming a fundamental material to help seeking the methodology and the acceptable extent of Jeongjae(court dance) created by National Gugak Center. In order to do so, I have examined the transmission aspects of Jeongjae by National Gugak Center(NGC) conducted since its opening to 2012, on the basis of the regular performance-related records, such as performance programs and producing documents. As a result, it can be described in different periods: A period(1952-1976) that the reconstituted Jeongjae was accepted, a period(1977-2004) that the contents were expanded while reproducing Jeongjae, and a period(1991~) that Jeongjae went through creative transformation. There were 12 events in Jeongjae transmitted by Yiwangjik Aakbu, and Jeongjae that Kim Cheon-heung reconstituted for regular performance, Gugak Gamsanghoi, which was conduct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NGC, settled as the repertories of Jeongjae by NGC. Jeongjae began to be reproduced in earnest since 1980, and as a result, 44 events were reproduced,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Jeongjae contents as well as to carrying on the transmission. From 1991, when the first center's original Jeongjae, Hwapyeongjimu was introduced, to 2012, 18 works of Jeongjae(or Jeongjae variation, Changjakchum) were undertaken. This is due to deep concerns of how to creatively transform the tradition as the source of creation. While there are pros and cons on created Jeonjae, National Gugak Center has a difficult task of creating new traditions, not only of preserving the traditions. This paper would be a little help in seeking the methodology and the acceptable extent of created Jeongjae. 본고는 개원이후 국립국악원의 정재 전승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국립국악원 창작정재의 수용범위와 방법론을 찾는 데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개원이후 2012년까지의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관련 기록물(공연 프로그램, 생산 문서 등)과 관련 문헌을 근거로 하여 정재 전승양상을 살펴본 결과 재구성정재의 수용시기(1952~1976년), 재현정재를 통한 콘텐츠 확충시기(1977~2004년), 정재의 창조적 변용시기(1991~현재) 등으로 정리되었다. 이왕직아악부를 통해 전승된 정재종목은 12종이었으며, 국립국악원 개원 이후 개최되었던 [국악감상회] 공연을 통해 김천흥이 재구성한 정재가 수용되어 국립국악원의 정재 레퍼토리로 정착되었다. 1980년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정재 재현작업으로 총44종목의 정재가 재현되어 국립국악원 정재의 맥을 이었을 뿐만 아니라 정재 콘텐츠 확충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1991년 첫 창작정재 <화평지무>가 발표된 이후 2012년까지 수차례에 걸쳐 총 18작품의 창작정재(혹은 정재변주, ‘창작춤’)가 시도되었다. 이는 창작의 원천으로서 전통을 어떻게 창조적으로 변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산물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작정재에 대한 찬반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전통의 보존에만 머물지 않고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 나가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국립국악원이 창작정재 창조의 수용 범위와 방법론을 찾아가는 데 작은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복원된 문화유산을 활용한 향유여건 조성방안 : 국립국악원의 공연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황경숙(Hwang Kyung Sook),백재화(Back Jai Hwa)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19 No.-

        문화는 역사보다 시시각각 처하게 되는 현재적 시점에 탄력적으로 작용하는 현상이다. 역사만큼 거창한 틀을 지닌 문화는 현대의 발전상과 더불어 그 변모를 하루가 다르게 보여주고 있다. 다문화의 향유, 개성의 색채라는 표상 아래 우후죽순과 같은 수많은 현상들이 한낱 유행과도 같은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인양 혼돈의 형태로 이 시각, 우리의 사회현상으로 존재양상을 보이고 있는 지금, 전통문화는 보존되어야 살아남고, 활용되어야 발전할 수 있으며, 국가적 정통성을 확보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필수불가결한 포괄적 문화형태이다. 전통문화는 우리문화의 뿌리이며, 주체성의 원천인 것이다. 21세기 문화의 세기에 문화경쟁력은 우리의 전통문화와 전통예술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으며, 또 그래야만 한다고 힘을 실어 말하고 싶다. 전통문화예술은 다양한 문화예술의 근간이며 다변화된 세계에 자랑스럽게 내놓을 수 있는 우리 민족의 기본정신인 것이다. 문화의 세기 라는 말이 세간의 화두가 된 이래 문화로 향한 관심이 사회 전 분야에서 부각되고, 더불어 우리 전통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그 어느 때보다 확산, 고조되었다. 우리 것, 가장 한국적인 것은 곧 전통에 바탕을 둔 문화요소를 의미하지만 이러한 문화적 조류의 배경에는 우리의 전통만이 세계 다른 지역의 문화와 구별되는 특수성으로 대우받을 수 있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이 가정 속의 의도는 곧 우리의, 우리만의 문화적 특수성을 간직한 전통문화가 대내적으로는 문화적 정체성을, 대외적으로는 문화적 우수성을 담보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중심으로 한다. 특히 전통문화의 복원과 재현을 중점적으로 행하는 국립국악원의 공연사례연구와 비교가 이루어졌으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문화의 복원을 통해 다각적이고 현실적인 문화수용 단계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기에 국립국악원의 사례연구를 통해 방안 제시가 주된 연구 방법이다. 국립국악원의 극장공연에서는 전통문화원형의 고수라는 기틀위에 프로시니엄 극장적 특성효과가 자아낼 수 있는 재미의 요소를 첨가하는 기본 틀로 작품의 특성화를 삼자는 제안이다. 전통문화의 재현과 전승이라는 양대 산맥의 화두를 세계적 문화시대에 맞춰 국제적인 위상과 후속세대로의 문화적 물림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차별화되고 활성화된 접근방식을 택하자는 것이다. 또 다른 제안은, 조금 더 활성화된 방안으로, 서울시에 존재하는 가시적인 전통건축 유산물인 경복궁, 창경궁, 경희궁과 같은 상징적인 역사물의 궁 안에서 행해지는 국악원의 작품재현형태이다. 무대 위의 재현작업이 아닌, 그 옛날 궁에서 행해지던 지리적인 공통점에 재현의 주안을 두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해 실사와 같은 재현작업에 총력을 기하는 공연은 궁궐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Traditional culture is our roots of cultures and the source of subjecthood. In the 21 century, the culture periods, cultural competitive power comes from our traditional cultures and arts and also it should be. Traditional cultures and arts are the roots of various cultures and arts and our national fundamental spirits which can be introduced very proudly all of the world. Since culture century has a topic of conversation interests about cultures have increased all of the field in the society. In the mean time, perceptions related to importance of our traditional cultures have been spread and risen dramatically. As ours or the most Korean style mean cultures component based on tradition, our tradition only can treat distinctiveness and differ from other countries cultures. This could be explained that our distinctive traditional cultures guarantee cultural identity domestically and demonstrate superiority internation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xamining sundry records and previous studies. Especially this study utilized case study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ian which performed restoration and reappearance of traditional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plan for diverse and actual culture acceptance steps through restoration of traditional cultures. This study proposes hat fun factors should be added to effect proscenium stage characteristics on the foundation to stick to original tradition cultures when performances are held in the National Classical Musician. It could be the most effective way to enhance international position and transmit our traditional cultures to the next generations when recently the topic of condensations are reappearance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al cultures. Another proposal is the reappearance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ian performs art works in the historical palaces such as Kyngbok Place, Changgyeong Place, and Kyunghee Place in Seoul. This is not a meant that just reappearance works on the stage, but focusing on reappearance of geography common. In other words, actual art works to reappear must be performed within the Place. This works could effect positively on various benefits in many ways. Because the Place is located in Seoul, many domestic or foreign tourists are likely to visit to view the performances. Particularly it is expected that a lot of family units and students will visit the Place. This study wants to emphasize that the most perfect tradition culture reappearance is intangible cultural assets will be actually performed in the Place exists tangible historical treasures.

      • KCI등재

        <자료> 국립국악원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향 모색을 위한 수요조사 분석

        우해인(Woo, Hae-In) 국립국악원 2021 국악원논문집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국립국악원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 방법, 신규 연수 등에 대한 참여자 수요를 파악하여 국악원 교원연수 중장기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등 음악수업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무선표집)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초등 483명, 중등 239명, 총 722명이 참여하였다. 연수 내용 면에서 연수 영역 희망 비율은 실기(52.9%), 감상 및 이론(22.6%), 수업설계(24.5%)로 나타났다. 국악 수업 관련 희망 강좌는 ‘놀이형’, ‘교과연계형’, ‘학생공연형’ 등 순이며, 실기 희망 강좌는 사물놀이, 장구 반주, 민요/ 판소리 등 순으로 나타났다. 연수형식 면에서 원격연수 방식 도입에 대해 블렌디드형 찬성, 원격연수 별도 개발, 원격연수 도입 반대순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연수 시수는 초급과정은 15시간, 중급과정은 30시간이었다. 희망 신설 연수로는 ‘선택실기 지역거점형(30시간)’, ‘타악 집중 연수 3박 4일 숙박형(20시간)’, ‘다양한 국악수업 집합형 1일 연수(6시간)’ 등 순이었다. 국립국악원 교원연수 중장기 개발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 대상 규모를 온·오프라인 양방향으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현장 맞춤형 연수 내용 적용 및 다양한 운영 방식의 신규 연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립국악원 교원연수와 자체 국악교육 사업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국립국악원은 국악교원연수 전국적 생태계 조성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needs of participants for the ideal contents and management methods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design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the time and supervision direction for the mid-and long-term improvement of the Center s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examiner conducted a (random sampling) of online survey with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to music lesson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around the nation. A total of 722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ith 483 and 239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respectively. In terms of in-service training contents, 52.9% of the respondents hoped to receive in-service training in the area of performance practice, followed by music appreciation and theory classes (22.6%), and class model (24.5%). The majority of teachers wanted “play-type” lectures, preceded by “subject-connected” and “student performance” styles. They chose Samullori first for the performance practice class, followed by janggu accompaniment and Minyo (folk song)/Pansori classes. When asked about the introduction of remote in-service training program, the biggest percentage of teachers asked for a mixed-type, heralded by separate devices of remote in-service training classes and by the disagreement to the introduction of distant in-service training program. They preferred 15 and 30 hours of in-service training classes for elementary and intermediate courses, respectively. The biggest number of the respondents hoped to add a “local-based selective practice type training program (30 hours),” followed by an “accommodation style classes, concentrated on percussion instruments courses for three nights and four days (20 hours)” and “one-day in-service training type program with a collection of various gugak lessons (6 hou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or the mid-and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First, the scale of teachers eligible for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expanded, both online and offlin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apply so called “customized-to-field” content to the training program, and also to develop new in-service training sessions applying various management methods. Thirdly,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onnection between the Center s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its in-house Gugak education projects. And finally, the Center should serve as the platform to build a nationwide ecosystem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Gugak.

      • KCI등재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

        임미선(Lim, Misun) 국립국악원 2016 국악원논문집 Vol.34 No.-

        국립국악원에 악기연구소가 개소된 것은 2006년으로 설립 당시 악기연구소의 주요 목적은 악기연구 및 개발에 있었다. 국립국악원에서는 일찍이 1965년부터 악기개량 사업을 시작하였고, 이후로 국악기 개량 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악기개량 사업에서 한 단계 나아가 1989년부터 악기연구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본격적인 연구사업이 실시되었다. 악기 음향연구, 음고측정 프로그램 개발, 음향 특성과 방사패턴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2005년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2004년 창작악단의 출범은 안정적인 기반에서 체계적인 악기연구를 위한 전문연구소의 필요성을 더하게 되었다. 국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하여 현대인의 미감에 맞는 악기연구의 필요성과 더불어 국악 대중화 실현을 위한 악기 보급 등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도 악기연구소 설립의 목적이 되었다. 2006년 악기연구소가 출범하여 악기연구를 위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지 어느덧 10년의 세월이 지났다. 악기연구소 개소 10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국립기관으로서 악기연구소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립국악원의 비전과 목표에서 강조하고 있는 국악의 창조적 계승과 미래전략 수립에 악기연구소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숙고가 필요하다. 본고는 악기연구소 개소 10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악기연구소의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 그간 추진해온 사업 성과와 그 이면의 한계를 진단하고, 악기연구소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에 대하여 악기연구, 음향연구 창작, 교육 등의 측면에서 제시하는 데에 목적으로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악기연구소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연구소 기능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행정 조직의 확대와 전문연구원 확충이 시급하다. 또한 중장기 발전방안에 대한 실천전략이 구체적이고 유기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편으로 국악원의 사회적 역할로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교육에 기여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교육용 국악기, 국악교구 개발을 강조하고 싶다. National Gugak Center launched a project to improve musical instruments in 1965 and the improvement of Gugak instruments was continued until 1989. Since then, efforts had been made to study the sound of instruments, to develop a program for measuring the pitch and to investigate features of sound and radiation patterns till 2005. As National Gugak Center established a special orchestra for creative music in 2004, people suggested the necessity of creating a professional institute to systematically study musical instruments. As a result, the korean musical instrument research office was built in National Gugak Center in 2006. It already has been a decade since the National Gugak Center was launched to prepare the basis for new development in the studying of musical instruments. It is a state-funded research center and from such an a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center has inherited the historicity of Akgidogam created during the era of Great King Sejong when the independent culture of Korean people was blooming and Akgijoseongcheong was established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era. This paper proposes development plans to activate the korean musical instrument research office focusing on a study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gugak sound, creation and education, in order to diagnose results of projects that the center had pursued and their limitations and to find ways to develop the center. The details are as follows. The center, first of all, should strengthen its functionsin order to enhance its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it is urgent for the center to expand i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fessional researchers. The most important part of National Gugak Center s social roles is to make a contribution to education. For this, gugak instruments for education and relate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practical strategies for mid-term development plans should be formed specifically and organically. It is time to deeply think about how the center will cope with the creative inheritance of gugak and the establishment of future strategies which have always been emphasized regarding the vision and goals of National Gugak Center.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for the center to think about its roles to promote the globalization of gugak.

      • KCI등재

        총유(寵綏)의 음독(音讀)에 관하여

        양명석(Yang Myung suck)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20 No.-

        이 글은 <정대업>의 8번째 곡인 총유(寵綏) 의 음독에 관한 글이다. 寵綏 는 세종대에 지어진 정대업이 세조7년(1464년)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된 이후 <정대업>의 여덟 번째곡 이름으로 그 이름은 현재에 이르기 까지 변형되거나 바뀐 적이 없이 전해 내려왔다. 寵綏 는 한자로만 그 이름이 전해져 내려오고 1955년도 설립된 국립국악원부설국악사양성소의 교과과정에서 종묘제례악을 교육하기 위한 <기악보>가 처음으로 총유(寵綏) 로 한글과 한자 곡명이 함께 기록되어있다. 이후 국립국악고등학교 <기악보>, 각종 학교와 대학교에서의 교과과정에 포함된 전공별 종묘제례악 악보, 국립국악원에서 발간된 국악전집류, 한국음악선집류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간된 여러 책자에 寵綏 의 음독이 총유 로 기록되었는데, 1979년 발간된 『국역 악학궤범』, 2001년에 발간된 『신역악학궤범』, 국악학회에서 발간된 『한국음악연구』 제39집 등에 寵綏 의 음독이 총수 로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00년대 이후 국립국악원에서 발간된 모든 국악전집과 한국음악선집, 공연프로그램 등의 해설서에서 寵綏 의 음독이 총수 로 이름이 뒤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문화재청에서 공동저자로 편집되어 발간된 『중요무형문화재 보고서 종묘제례악』에서는 공동 저술한 저자마다 총유 , 또는 총수 로 제각각으로 표기되어있어 곡명의 혼란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곡명의 혼란에 대해 국립국악원의 공식적인 설명은 없었고, 매년 종묘제례를 봉행하고 매달 수회씩 종묘제례악을 전수하는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보존회조차도 곡명의 혼란에 대한 공식적인 대응은 없었다. 단지 국악학회에서 발행된 『한국음악연구』 제39집의 「종묘제례악 악장의 음악적 변화」라는 논문에 寵綏 는 총유 또는 총수 의 두 가지가 사용되고 있고, 그 내용은 『강희자전』의 해석에 따라 편안 수 가 깃발 늘어질 유 보다는 그 내용에 부합되고 문화재청의 사적 명칭에서 綏 의 음독을 유 에서 수 로 변경함에 따라서 총수 로 표기했다는 내용만이 있을 따름이며, 곡명의 혼란 또는 병용에 관한 논의는 전혀 없었다. 寵綏 라는 곡 이름이 한자로만 기록되어 전해져서 20세기 이전에는 어떻게 읽혔는지 알 수 없지만, 20세기에 이르러 1934년 이왕직아악부 4기생 교과철의 내용에 종묘제례악 희문의 악장가사 중에 綏 를 편안 유 로 기록한 부분이 보여 총유 로 읽혔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왕직아악부원 양성소의 교과철 이후 현재까지 많은 악보와 저서에서 寵綏 는 총유 로 기록되고 읽혀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에서 18세기에 지어진 『강희자전』만을 전적으로 따르게 된다면 寵綏 가 총유 가 아닌 총수 로 읽혀져야 하지만 『강희자전』 보다 훨씬 이전 16세기에 우리나라에서 왕명에 따라 편찬된 『신증유합』, 『석봉 천자문』 그리고 『광주본 천자문』 등에 따르면 綏 는 편안유 , 또는 안덩 유 로 읽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을 바탕으로 綏 는 16세기에 편안 유 , 혹은 안덩 유 로 읽혔고, 이 음독은 1934년 이왕직아악부 <제4회 아악생 교과철>의 <보태평> 중, <희문>의 악장가사 중에 綏 의 음독을 편안 유 로 적은 부분과 함께 寵綏 는 총유(寵綏) 라는 곡명으로 근대에 까지 이르렀으며 이왕직 아악부 출신의 노악사들의 전승노력에 의해 현재까지 전해진 것이 확실하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은 1765년(영조41년)에 신제악장을 <보태평>이나 <정대업>에 추가하지 않도록 결정함에 따라서 <보태평>과 <정대업>은 인조(1623년-1649년)이후 현재까지 더 변천되지 않고 전승될 수 있었다. 라는 이전의 역사적 사실과도 확실하게 부합한다. 寵綏 is the name of the eighth chapter in Jeongdaeup for Jongmyojerye. Many musicians who have studied Jeongdaeup have pronounced 寵綏 as Chongyu . From 1934, in lots of music books and dictionary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name has been pronounced as Chongyu . In some books 寵綏 is printed as Chongsu . And some scholars also has written so by the Chinese dictionary called Ganghijajeon printed in 1710. Even in a national institut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 NCKTPA - does not have any exact definition about the name. And a researcher has read it as Chongyu or Chongsu even in the same book. What is the proper reading for 寵綏 ? Chongyu? or Chongsu? As shown above it is so confused. By the Chinese Dicitionary Ganghijajoen in 18th century, the reading is Chongsu . But many scholars of chinese classics in Korea have known the differences between Sino-Koreans and Chinese letters. By the books for learning Sino-Korean called Sinjeungyuhap, or Cheonjamun printed in 16th century 綏 in 寵綏 was pronounced as yu for centuries. And on a music book for learning Jeongdaeup in Yiwangjikaakbu, the letter 綏 was read as yu . So 寵綏 has been read as Chongyu in Korean. This music book was printed in 1934 for teaching Jongmyojeryeak. From 1934 till now 寵綏 has been read as Chongyu in Sino-korean like learning books for Sino-Korean as shown above : Sinjeungyuhap and Cheonjamun printed in 16th century. 寵綏 has been named in 1463 and has been read as Chongyu in 16th century. Till 20th century, 寵綏 has been read as Chongyu on the traditional customs and old learning books. Also many musicians who have studied or have played for decades have pronounce it as Chongyu . From 16th century, Chongyu is the proper name for 寵綏 according to the Sino-Korean learning books. The name is not for the scholars who have not played any chapter in Jeongdaeup but for the musicians or students who have been playing and studying 寵綏 for decades on the traditional custom from the beginning of the music Jongmyojeryeak .

      • KCI등재

        국립민족예술단과 북한의 민족음악

        배인교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7 No.-

        This article aim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Folk Art Center (hereafter, the Center) through dividing its 75-year history and activities into three periods, and to review the trend of changes in North Korean national music, From 1947 to 1965, the Center had been reorganized as the Joseon Classical Music Research Institute, the Classical Orchestra directly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and Propaganda, the Hyeopryuldan within the National Arts Theater, the Classical Orchestra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National Arts Theater, the National Classical Arts Theater, and then National Folk Arts Theater. During this period, traditional music capabilities such as changgeuk (Korean opera derived from pansori) and instrumental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 who crossed the border to North Korea had a great impact on the North Korean music scene. From 1965 to 1992, the Center had been renamed as the National Folk Opera Theater, the Pyongyang Art Organization, the Moranbong Art Organization, and then the Pyongyang Art Organization; the content of activities had changed. At this time, the pibada ("Sea of Blood") style of national opera was established, and the comprehensive music and dance performances were vitalized while many folk dance and national dance works were created. Since 1992, when the Center worked as a National Folk Art Center, it has created and performed works such as national operas, folk dance suites, and national songs and dances. Since the 2000s, the Center focused on creating large-scale art performances together collaborating with various music organizations, rather than solo performances. After the Kim Jong Un era, the Center has been pursuing activities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Through the activities from the Joseon Classical Music Research Institute to the National Folk Art Center, we can get a glimpse of the way in which the modern transformations of national music were realized in North Korea, and confirm that the activities of those who crossed the border to North Korea were at the base. The activities and roles they played in North Korea serve as a point of contact for South and North Korea to confirm their traditional musical culture and national identity. 이 글의 목적은 북한 국립민족예술단의 75년간의 연혁과 활동양상을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 봄으로써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않은 국립민족예술단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있으며, 더불어 북한 민족음악의 변화의 추이를 검토하는데 있다. 1947년부터 1965년까지는 조선악연구소, 조선고전악연구소, 문화선전성 직속 고전악단, 국립예술극장 내 협률단, 국립예술극장 직속 고전악단, 국립고전예술극장을 거쳐 국립민족예술극장으로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으며, 월북국악인들의 창극과 그들의 악기연주와 같은 전통음악 역량은 북한 음악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1965년부터 1992년까지는 국립민족가극극장, 평양예술단, 모란봉예술단으로 명칭을 바꾸며 활동 내용도 변화가 있다가 다시평양예술단으로 재개명하였다. 이때 <피바다>식 민족가극이 확립되었고 민속무용과 민족무용작품을 창작하면서 음악무용종합공연을 활성화시켰다. 국립민족예술단으로 활동한 1992년부터는 민족가극의 창작과 민속무용조곡, 민족가무와 같은 형식의 작품을 창작 공연하였으며, 2000년대 들어서는 여러 음악단체와 협업하면서 단독공연보다는 대규모의 예술공연을 함께 만들어 나가는 것에 치중하였다. 그리고 김정은 시대 이후에는 다시 독자적인 단체로써의 활동을 추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조선고전악연구소부터 국립민족예술단까지의 활동을 통해 우리는 북한에서 민족음악의 현대적 변용이 구현되는 방식을 엿볼수 있으며, 그 기저에 있는 월북국악인의 활동과 역할은 현재 남북한의 전통음악문화와 민족적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접점으로 작용한다.

      • KCI등재후보

        국립국악원 공연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관객 만족도 분석

        강여주 국립국악원 2012 국악원논문집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nvigoration way of performance through analysis on performance satisfaction rate and characteristics of watching of audiences for performance in National Gugak Cent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audiences who are selected as main group from self-performance of National Gugak Center and samples were extra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n, survey were distributed for each performance and audience directly answered through self- administration method. SPSSWIN Version 18.0 was used for analyzing data for this study. To analyz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al variables of study participants, descriptive analysis was executed. Crosstabs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watching features for performance such as route to acquire information on performance, motivation and frequency, watching tendency on genre of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reover,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executed to analyze difference of satisfaction rate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irst result of this study is finding differences on watching features for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and education level, job etc. At second, there was differences on satisfaction rate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and education level, job etc. Thirdly,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on satisfaction rate in accordance with performance genres such as representative brand, projected performance and regular performance, seasonal performance etc. This result proposed that National Gugak Center should present new direction to develop in terms of long run for popularization to expand domain of performing arts and systemic and effective operation and continuous development should accomplish with expand of performing art's territory and let audience enjoy cultural life and abundance. Therefore, analysis on satisfaction rate of audience will be reflexed as basic data for future performance project and development to be used as various improvement devices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of performing art project. 본 연구는 국립국악원 공연 관객들의 공연 관람 특성과 공연 만족도 분석을 통해 공연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립국악원 자체 공연 관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고 각 공연마다 설문지를 배분한 후에 관객들이 직접 가입하는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WIN Version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일반 사항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연 장르별 관람, 관람빈도, 관람동기, 공연 정보 획득 경로 등의 공연 관람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교차 분석(crosstabs)을 사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공연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공연 관람 특성 차이를 분석하였고,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공연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공연 장르(대표브랜드, 기획공연, 상설공연, 절기공연)에 따른 공연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국립국악원은 국악의 대중화․생활화 더 나아가 장기적인 측면에서 국악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 공연 예술의 영역을 확장하고, 문화적 삶과 풍요를 누릴 수 있도록 하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과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국립국악원 공연 마케팅 활성화를 위한 관객 만족도 분석은 향후 공연 기획 및 개발의 기초 자료로 반영되어 공연 기획의 양적, 질적 향상과 다양한 개선방안으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국악공연장의 공연공간적 특성과 실태에 관한 연구

        정민경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8 No.-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운영중인 국악공연장의 실태조사를 통해 공연장의 적합한 형태에 관한 검토와 논의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악공연을 원형에 가깝게 즐길 수 있는 공연 환경을 갖추어 국악공연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국악공연장으로 운영 중인 국내 4개 지역의 5개 국악원(국립국악원,국립민속국악원, 국립남도국악원, 국립부산국악원, 서울돈화문국악당)을 대상으로 형태를 분석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존하는 국악공연장의 무대 형태는 대부분 프로시니움 형식이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공연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이기 때문과, 서양의 공연장 형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둘째. 공연장의 객석형태는 의자가 배열되는 평면적 형상을 기준으로 국악공연장의 객석형태는 말굽형과 슈박스형 두가지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첫 번째로 공연장의 형태 중 가장 흔히 쓰이는 형태이기 때문이고, 두 번째는 공연자의 육성을 전달하거나 음향적 특성을 고려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형태가 그것이기 때문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셋째. 서양의 무대와 달리 국악의 판에서는 관객의 참여를 위해 공연자와 관객과의 접촉과 거리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유형이 보는자와 노는자의 구별보다는 상호간의 관계가 동적, 입체적으로 결합되어있음을 고려해야한다. 넷째. 무대와 객석의 규모, 평면적 시야각과 가시거리는 공연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뉜다. 따라서 공연장에 따라 공연 유형을 특정짓거나, 가변적으로 사용가능한 공연장을 제시해야할 것이다. 다섯째. 최신 공연 현황을 보면 기악, 판소리 등 작은 규모의 공연장에서도 가능한 공연의 비중이 많다. 최근에 새로 생긴 국악공연장들(풍류사랑방, 돈화문국악당 공연장)의 규모가 작은 이유로 추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야외국악공연장의 형태는 3가지유형으로 구분되는데, 남도국악원의 달빛마당과 같은 원형, 별빛마당과 같은 세로가 긴 직사각형, 그리고 부산국악원 야외마당과 같은 반원형 등이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viewing and discussing appropriate type of performance hall through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halls. Furthermore, it ai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gugak performances by establishing a performance environment where gugak performances can be enjoyed close to their original form. It analyzes the form of five gugak centers--National Gugak Center, National Folk Gugak Center, National Namdo Gugak Center, Busan National Gugak Center, and Seoul Donhwamun Gugak Center--which are currently operating as major gugak ven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existing stages of gugak performance halls are in the form of prosinium. The reason is that it is generally the most commonly used form in concert halls, and it can be assumed that it was influenced by the form of Western concert halls. Second,based on the two-dimensional shape in which chairs are arranged, the most common types of seats in the gugak performance halls are horseshoe-shaped and shoebox-shaped. The reason why these appear most frequently is because, firstly, they are the most commonly used forms among performance halls, and secondly, it is presumed that they are the most effective forms when conveying the voice of the performer or considering acoustic characteristics. Third, unlike the Western stage, the contact and distance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is very important for audience participation in gugak performance. In most type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er and the player is dynamically and three-dimensionally combined, rather than distinguishing between them. Fourth, the size of the stage and audience, the two-dimensional viewing angle, and the viewing distance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type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hall or to suggest a performance hall that can be used variably. Fifth, considering the tendency of the latest performances, such many performances as instrumental music and pansori have been performed in small-scale performance halls. It can be inferred why the recently opened gugak concert halls such as Pungnyu Sarangbang and Donhawmun GugakdangHall are in small-scale. Sixth, there are three types of outdoor gugak performance halls: a circular shape like the Moonlight Yard of the Namdo Gugak Center, a long rectangular shape like the Starlight Yard of the Namdo Gugak Center, and a semicircular shape like the outdoor yard of the Busan Gugak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