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ow Is God Known? : General Revelation in the Theology of Abraham Kuyper
유정모(Jeong Mo Yoo)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6 No.-
본 논문의 목적은 타락 후 일반계시의 중요성 및 불충분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아브라함 카이퍼(1837-1920)의 일반계시론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특별히 본 논문은 카피어의 일반계시론을 개혁주의 전통의 배경 속에서 이해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개혁파 신학자인 존 칼빈(1509-1564)과 헤르만 바빙크(1854-1921)의 일반계시론과 비교하여 연구한다. 이러한 비교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을 보여준다. 첫째, 카이퍼, 칼빈, 바빙크는 타락 후에도 일반계시가 인간에게 여전히 주어지고, 이를 통해 불신자들도 어느 정도 하나님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타락 이후에도 여전히 유용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들 모두는 타락의 영향 때문에 특별계시를 통한 중생이 없이는 인간이 일반계시를 통해 구원에 이르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에 모두 동의한다. 이러한 사상들은 카이퍼의 일반계시론은 칼빈이나 바빙크의 일반계시론과 본질적으로 일치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전 학계의 평가와는 달리 카이퍼의 일반계시론은 칼 바르트(1886-1968) 보다는 역사적 개혁주의 전통과 연속선상에 있다. 둘째, 카이퍼, 칼빈, 바빙크는 일반계시론에 있어서 대체로 일치되는 견해를 보이지만 칼뱅과 바빙크는 카이퍼보다 일반계시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러한 차이점은 타락 후에도 계속되는 일반계시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에서 분명하게 확인된다. 하지만 이 세 신학자들의 비교연구는 이들의 일반계시론에서 발견되는 차이점이 크지 않고, 전체적으로 볼 때 카이퍼의 일반계시론이 전통적 개혁주의 신학의 입장을 충실하게 따르고 있음을 입증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Abraham Kuyper’s (1837-1920) doctrine of general revelation, focusing on his understanding of the insufficiency and the significance of general revelation for a post-Eden humanity. In order to perform substantive study of Kuyper’s doctrine of general revelation in the context of Reformed tradition, this study particularly compares Kuyper with two representative Reformed theologians, John Calvin(1509-1564) and Herman Bavinck(1854-1921). The comparative study of doctrine of general revelation between Kuyper, Calvin, and Bavinck shows two things in detail. First all three theologians agree that even after the fall, God continues to reveal Himself through general revelation and human beings see and comprehend it both inside and outside one’s own being. Despite the objective sufficiency of general revelation, however, the effects of sin are so devastating that general revelation never produces any saving knowledge of God apart from regeneration through special revelation. All three theologians also affirm the ongoing utility of general revelation after the fall. Thus, contrary to previous scholarship on Kuyper’s general revelation, Kuyper is essentially in agreement with Calvin and Bavinck on the subject of general revelation. Namely, Kuyper’s view of general revelation is more in continuity with the classic Reformed tradition than with Karl Barth’s(1886-1968). Second, even though all three theologians essentially agree on the subject of general revelation, there is a more positive attitude of general revelation in Calvin and Bavinck than in Kuyper. This is particularly clear in their discussions of the ongoing significance of general revelation after the fall. Despite some differences, however, the similarities far outweigh the differences. Kuyper is different from Calvin and Bavinck in some minor points, but he still works as a Reformed theologian.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 그리고 벤자민 워필드의 재림 이해 및 평가
송영목(Young Mog So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29 No.-
아브라함 카이퍼(1837-1920)는 76세 때부터 6년간 자신이 편집장으로 섬긴 주간지 ‘De Heraut’에 요한계시록에 관해 기고했다. 이 책은 그의 사후에 출판되었는데, 국내에는 생소하다. 그 무렵 헤르만 바빙크(1854-1921)는 『개혁교의학 4』(1895/1906)의 마지막 제11부에서 예수님의 재림을 포함하여 종말을 다루었다. 그런데 국내에서 넓게는 바빙크의 종말론, 좁게는 재림에 대한 조직신학 및 성경신학적 연구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워필드의 재림 이해도 큰 주목을 받지 못해 온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한 채 연구의 미진한 부분으로 남겨진 카이퍼와 바빙크 그리고 워필드의 종말론 가운데 예수님의 재림에 초점을 모아 그들의 이해를 소개하고 비교하며 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부들의 계시록 주석, 세 학자 당시의 네덜란드어 요한계시록 주석, 그리고 현대의 요한계시록 주석과 연구를 참고한다. 마지막으로 이 세 학자의 예수님의 재림 이해에 나타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올바른 주석의 방향을 간략히 제시할 것이다. 개혁주의 종말론 가운데 예수님의 재림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사적 개혁주의가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해 어떻게 이해해 왔는가를 동시적으로 살피는 의의가 있다. Abraham Kuyper(1837-1920) wrote about the book of Revelation in the weekly magazine De Heraut for which he served as the editor for six years from the age of 76. His commentary on the book of Revelation as one volume book was published after his death, but it is still unfamiliar in Korea. Around that time, Herman Bavinck(1854-1921) dealt with the eschatology including the Second Coming of Jesus, in the last part 11 of Volume 4 (1895/1906) of Reformed Dogmatics. In Korea, however, there are hardly any systematic theological and biblical exegetical studies on Bavinck’s eschatology in general, and the Second Coming in particular. Similarly, a proper attention to the eschatology focused on the Second Coming by Benjamin B, Warfield has not been pai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ompare, and evaluate their understanding by focusing on the Second Coming of Jesus in the eschatology of Kuyper, Bavinck, and Warfield. To evaluated the theories of the Second Coming of these three theologians, the present researcher refers to the commentaries of Revelation by the Church Fathers, a Dutch New Testament scholar at the time of theses three theologians, and recent scholars. Finally, a brief comment is to given for overcoming the weaknesses of Kuyper, Bavinck, and Warfield o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Second Coming.
개혁주의신학 관점에서 본 영계(靈溪) 길선주(吉善宙) 목사의 ‘자유의지론’
안수강(Su Kang Ahn)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4 갱신과 부흥 Vol.33 No.-
본고의 연구 목적은 영계(靈溪) 길선주(吉善宙) 목사의 자유의지론을 개혁주의신학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데 있다. 본 연구자는 그의 자유의지론에 나타난 핵심적인 사상들과 논점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숙고했다. 첫째, 거시적인 틀에서 길선주의 신학체계에 나타난 행위언약, 선천적 원죄와 자범죄, 부패와 타락, 자유의지, 모든 인간에게 내재된 종교심(宗敎心) 등에 관하여 분석했다. 둘째, 길선주의 ‘구원과 자유의지의 상관성 논지’에 기초하여 칭의론에 관한 논증, 자유의지와 칭의의 관계성, 창세기 15장 6절 진술에 관한 이해와 해석, 신인협동설 등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셋째, 길선주의 ‘선택과 자유의지의 상관성 논지’에 기초하여 예지예정, 선행적(先行的) 은총과 이 은총에 대한 인간 편의 응답 등에 초점을 맞추어 조망했다. 넷째, 길선주의 ‘심판과 자유의지의 상관성 논지’에 기초하여 하나님의 전능하신 속성과 심판 유형의 다양성, 심판의 정당성, 인간이 감당해야 할 모든 죄책(罪責) 등에 주안점을 두어 살폈다. 길선주의 신학사상에 비추어 추후 그와 관련된 담론을 외연하여 이 주제 외에도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시한부 종말론, 삼계론(새 예루살렘; 무궁안식세계; 지옥), 조상림보, 그리스도의 다섯 차례 강림, 그리스도의 다섯 차례 부활, 성경의 우화적 해석, 그리스도 재림의 내증과 외증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Rev. Yeong-gyae Seon-Ju Gil’s theory of free will from the reformed theological standpoint. I considered the important thoughts and points revealed in his theory of free will as follows. Firstly, in macroscopic approach I analyzed the covenant of works, the innate original sin and the actual sin, the corruption and decline, free will, religious mind of human beings, and so on in his theological system. Secondly, on the basis of Gil’s ‘demonst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salvation and free will’, I focused on the argument on justif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 will and justification,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Genesis 15:6, synergism between God and man, and so on. Thirdly, on the basis of Gil’s ‘demonst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ion and free will’, I studied foreknowledge predestination, antecedent grace and human response, and so on. Fourthly, on the basis of Gil’s ‘demonstr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judgment and free will’, I examined the divine omnipotence and the various types of judgments, the legitimacy of judgment, human responsibility for all sins, and so on. In light of Seon-Ju Gil’s theological thought, I suggest future extensions of this discourse into his other various themes such as dispensational premillennialism, the eschatology setting a date for the end, theory of the three boundaries(New Jerusalem; the world of endless rest; hell), limbus patrum, the five adventures of Christ, the five resurrections of Christ,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nternal and external evidence in relation to the second coming of Christ, and other related areas.
신민석(Min Seok Shin)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7 No.-
이상규 박사는 교회사 연구에 있어서 뛰어난 역사학자이자 신학자이다. 2018년 2월 은퇴하기까지, 그는 공저와 편저를 포함해 총 57권의 단행본을 저술했고 177개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는데 그의 다작으로만 봐도 학자로서의 일가를 이루었음에 분명하다. 이상규가 일관되게 추구한 역사관으로 세 가지 원칙을 말할 수 있다. 첫째, 그는 통합사적 접근을 시도했는데 이는 본류로 비유되는 서양교회의 맥락에서 한국교회의 역사를 이해하고 또 서양교회의 전통과 유산을 한국교회의 눈으로 읽는 것을 말한다. 둘째, 그의 교회사 이해는 16세기 개혁주의 전통에 서 있었고, 좀 더 좁혀서 말한다면 화란의 개혁주의 신학의 토대위에 서 있었다. 셋째, 그는 사료와 사실에 정직해야 한다는 원칙으로 객관적 사실의 서술을 노력해왔는데, 이런 그의 연구는 실증주의 연구방법의 본을 보였다. 그의 연구 분야는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고신교회사 연구인데 초기 대표적인 작품인 『한상동과 그의 시대』(2006)는 인물 중심의 연구서이다. 둘째, 부산, 경남지방 교회사 연구로 당시 이 지역 기독교 운동 관련 연구는 거의 전무했다는 점에서 그의 연구는 개척의 길이었다. 셋째, 16세기 종교개혁사도 그의 주요한 연구 분야로, 『교회개혁사』(1997), 『종교개혁의 역사』(2016), 『교양으로 읽는 종교개혁 이야기』(2017)를 출간했다. 후자의 두 권은 청소년 세대와 일반대중을 위해 간명하고 평이하게 기술한 작품이다. 넷째, 그는 초기 기독교에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했는데, 23편의 논문을 기초로 한 『초기 기독교와 로마사회: 로마 제국 하에서의 기독교』(2016)는 주요 연구서이다. 마지막으로 그의 가장 중요한 연구분야는 호주장로교의 한국선교에 대한 연구라고 볼 수 있다. 그의 박사학위과정 연구 결과인, To Korea With Lov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Work in Korea, 1889-1941(2009)는 2009년 호주빅토리아장로교 150주년을 기념하여 출판된 서적이다. 이상규 박사는, 자신에게 주신 은사와 재능을 소중히 여기며 학문적인 영영과 삶에서 그 소명을 이루어 간 교회사의 ‘큰 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 Dr. Sang Gyoo Lee is a distinguished theologian and church historian. Until his retirement on February 2018, he published 57 monographs, including co-authored and edited books, and 177 academic essays. It is not surprising that he gained great fame. Three important principals are found in Lee’s entire view of history. First, he used integrative approach to history. He viewed history of the church in Korea in the context of the western church(mainstream), and understood the tradition and legacy of the western church in the eyes of the Korean church(tributary). Second, his comprehension of church history was based on the Reformed tradition of the 16th century and the Dutch Reformed theology. Third, he made constant efforts to describe objective facts by being honest with historical data and facts, and showed a good example for positivism studies. Lee’s study can be explained in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First, his stud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Kosin). Han Sang Dong and His Times(2006) is his representative study, focused on prosopography. Second, his pioneering research of Christianity of Busan and Kyung-Nam province. Third, the Reformation. He published not only academic books for students and scholars, but also gripping books for the broad public and teen readers. Fourth, the history of early Christianity in the Graeco-Roman world. Early Christianity and Roman Society(2016) is his insightful work. Last, history of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to Korea. To Korea With Lov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Work in Korea, 1889-1941, revised version of his doctoral dissertation, is a comprehensive work on this theme. It seems fair to evaluate that Dr. Lee was ‘a great mountain’ in church history, who tried to fulfill his calling on his life and academic field by using his talents and gifts.
조나단 에드워즈의 개혁파 양립주의 : 필연과 우연에 대한 에드워즈의 견해
김찬영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3 갱신과 부흥 Vol.31 No.-
It is not doubtful that Jonathan Edwards is the outstanding philosopher and theologian of America. He is commonly regarded as New England's premier Reformed Pastor. But There have been several dissenting voices in the scholarships on Edwards as to whether his views of freedom of the will are classic Reformed doctrine or not, although he saw his theory of freedom of the will as common Calvinistic doctrine. While there are scholars that esteem Edwards' understanding of the will as standard Calvinism, some studies maintain that his notion of freedom of the will is a form of philosophical determinism and departs from the older Reformed tradition. The latter argument is allegedly based on the judgement that Edwards' understanding of necessity and contingency has been changed from classic Reformed thought. This essay compares their views and languages of necessity and contingency in the theologies of Edwards and Reformed orthodox theologian Francis Turretin. Although Edwards does not use the terms "necessity" and "contingency" in the same way of the Turretin, he distinguish between types of necessity, especially natural necessity and moral necessity. In addition, both Turretin and Edwards certainly deny absolute contingency incompatible with the divine foreknowledge and decree (perfectly consistent with certain theological determinism). Both fully agree that nothing including freedom of the will happens but by the divine will and knowledge. Edwards' views as much as Turretin's views can be called as Reformed compatibilism. 조나단 에드워즈가 미국의 탁월한 철학자며 신학자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는 뉴잉글랜드의 최고 개혁파 목회자로 흔히 간주된다. 그러나 에드워즈 학계에서 의지의 자유에 대한 그의 견해가 고전적 개혁주의 교리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분명 다른 소리들이 있다. 비록 에드워즈가 의지의 자유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공통적인 칼빈주의 교리로 간주했지만 말이다. 의지에 대한 에드워즈의 이해를 표준적 칼빈주의로 간주하는 학자들이 있는 반면, 어떤 연구들은 의지의 자유에 대한 에드워즈의 개념이 일종의 철학적 결정론이며 오랜 개혁주의 전통으로부터의 이탈이라고 주장한다. 후자의 주장은 필연과 우연에 대한 에드워즈의 이해가 고전적 개혁주의에서 달라졌다는 판단에 기초한다. 본고는 에드워즈와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 프란시스 투레틴의 필연과 우연에 대한 그들의 용법과 견해를 비교한다. 비록 에드워즈가 “필연”과 “우연”의 용어를 투레틴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을지라도, 에드워즈는 필연성의 종류를 구별하되, 특히나 자연적 필연성과 도덕적 필연성을 구별한다. 뿐만 아니라, 투레틴과 에드워즈 둘 다 (모종의 신학적 결정론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신적 예지와 작정과 양립할 수 없는 절대적 우연을 확실히 부정한다. 둘 다 신적 의지와 지식으로 말고는 의지의 자유를 포함해서 어떤 것도 발생하지 않는다는데 완전히 동의한다. 에드워즈의 견해는 투레틴의 견해만큼이나 개혁파 양립주의로 일컬어질 수 있다.
개혁주의 전통 안에서 살펴본 윌리엄 퍼킨스와 데이비드 딕슨의 언약신학의 특징
류재권(Jae Kwun Ryu)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6 No.1
본 논문은 개혁주의 전통 안에서 윌리엄 퍼킨스와 데이비드 딕슨의 언약신학의 특징들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로, 본 논문은 초대교회에서부터 퍼킨스와 딕슨이 활동한 시기,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개혁주의 언약신학의 형성사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개혁주의 언약신학이 퍼킨스와 딕슨의 시기에 이르러서 보다 구체화되었음이 밝혀졌다. 환언하면, 개혁주의 언약신학의 형성사를 통해 퍼킨스와 딕슨의 언약신학을 연구할 당위성을 증명된 것이다. 둘째로, 앞선 두 명의 신학자들의 언약신학의 특징에는 구속협약, 기독론적 체계, 그리고 그리스도와의 연합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구속협약은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협의하신 것으로서 하나님의 작정의 실행과 방식에 대하여 그리스도께서 동의에 의한 것인데, 하나님의 작정 그 자체로서의 언약을 의미한다. 기독론적 체계는 성육신 하신 그리스도의 중보자로서의 사역 즉, 두 본성(신성, 인성)의 연합 안에서 삼중직(선지자, 제사장, 왕)을 통한 하나님의 작정에 대한 순종(능동적, 수동적)을 드러냈다.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성령을 통해서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작정의 실행을 신자에게 적용하는 것으로서, 그리스도께서 의를 전가하여 신자가 구속의 은혜를 누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기존의 칼빈 중심의 연구들을 넘어서 퍼킨스와 딕슨의 언약신학의 특징들을 논함을 통해 개혁주의 언약신학의 풍성함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venant theology by William Perkins and David Dickson within the Reformed tradition. For this object, in the first place, this paper examined the formative history of Reformed covenant theology from the early church to the times of Perkins and Dickson, and the present day. It was made clear that Reformed covenant theology became more concrete in the period of Perkins and Dickson through this study. In other words, through this history, this paper proved the rationale to study Perkins and Dickson’s covenant theology. Secondly, this paper mad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venant theology of the two previous theologians, which are the covenant of redemption, the christological system, and union with Christ. The Covenant of Redemption is by the agreement of Christ as to the execution and manner of God’s decree as the Council of the Trinity, which is the covenant as God’s decree in itself. The Christological system revealed the obedience (active, passive) to God’s decrees through the threefold office (prophet, priest, king) within the union of the two natures, as the ministry of the Incarnate Christ, the Mediator. Union with Christ is the application of God’s decree to the believer through he Holy Spirit, and Christ imputes the righteousness to the believer in order to enjoy the grace of redemption. Therefore, this paper showed the richness of Reformed covenant theology by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Perkins and Dickson’s covenant theology beyond the existing Calvin-centered researches.
박광현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KACR). KACR was founded in 1981 with the help of Henry M. Morris who established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ICR) in the USA. During the last 40 years, KACR has done a lot of things for Korean churches, Christians, and the society. KACR has about 1,300 members and most of them are scientists and professors. This is the reason why KACR focuses on creation science education for next generation and church members to formulate faith for the Creator, God. KACR has tried to form creation faith, to defense creation against evolution, to teach creation in public education, to make science educational books and materials, to develop scientific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 to suggest the Good News through science wit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of creation scienc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ACR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First of all, we will survey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KACR. After then, we will analyze the meaning of ‘creation’ and ‘science’ from the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ACR.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e can find the educational aims, purposes, contents and methods of KACR. Lastly, we will discuss the meanings of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ACR. This study focuses on the educational meanings and values of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ACR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이 글의 연구 목적은 한국창조과학회(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KACR)의 창조과학교육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창조과학회는 1970년 미국에서 창조과학연구소(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ICR)를 세운 헨리 모리스(Henry M. Morris)의 도움으로 1981년에 설립되었다. 한국창조과학회는 지난 40년 동안 한국교회와 성도들 뿐 아니라 사회를 위해 많은 활동을 하였다. 한국창조과학회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약 1,300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가 교육자이기에 설립 초기부터 다음 세대와 성도들의 창조신앙 형성을 위한 창조과학교육에 집중해 왔다. 한국창조과학회는 창조신앙의 형성, 창조의 변증을 통한 진화론 반대, 공교육에서의 창조론 교육의 시도, 창조에 근거한 과학교육 책자와 자료 제작, 창조에 근거한 과학 학술연구, 과학을 통한 복음의 제시 등 다양한 창조과학교육을 진행해오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창조과학회의 교육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한국창조과학회의 배경과 역사를 살펴본 후, 한국창조과학회의 창조과학교육에서 ‘창조’와 ‘과학’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이런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창조과학회의 창조과학교육의 교육목적,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어서 창조과학교육의 의의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 글은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창조과학회의 창조과학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가치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유정모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3 갱신과 부흥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omas Hobbes’ (1588-1679) and John Locke’s (1632-1704)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Reformed doctrine of free will in the late eighteenth and the early nineteenth centuries. Specifically, this study will achieve the goal by examining the works of Edward Williams (1750-1813) who positively accepted Hobbes’ and Locke’s philosophical ideas to explain and defend Reformed orthodox theology. The influence of the philosophies of Hobbes and Locke on Williams’ doctrine of free will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of all, discarding traditional Aristotelian faculty psychology, Williams presents his view of human free will on the basis of Lockean faculty psychology. Consequently, unlike Reformed orthodoxy which identifies the nature of human freedom with spontaneity and alternativity, Williams explains it focusing only on human spontaneity without considering the interaction between intellect and will. Thus, for Williams, human freedom is only freedom from coercion or compulsion. Second,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Hobbes and Locke, Williams also argues that unlike traditional Reformed view, human will is not self-determining power and never be indifferent in nature at all time. Finally, William’s understanding of necessity and contingency follows closely that of Hobbes and Locke. Consequently, since Williams denies the freedom of contrary choice and the existence of genuine contingency in the world, and explains human actions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absolute causal necessity, his doctrine of free will strongly implies deterministic nature which is very similar to that of Hobbes and Locke. 본 연구의 목적은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1588-1679)와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의 근대 합리주의 철학이 후기 개혁파 정통주의 시대의 자유의지론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개혁파 신학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개혁주의 자유의지론을 설명하기 위해서 홉스와 로크의 사상을 긍정적으로 수용했던 에드워드 윌리엄스(Edward Williams, 1750-1813)의 저작을 연구함으로써 월리엄스의 신학에서 나타나는 개혁파 신학과 계몽주의 철학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다음과 같은 내용은 그의 자유의지론이 홉스와 로크의 철학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윌리엄스는 개혁파 정통주의가 따랐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능력심리학 대신에 로크의 능력심리학을 근거로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논의를 펼쳐 나간다. 그 결과 자발성과 대체성으로 인간 자유의 특성을 이해한 전통적 개혁신학의 입장과는 달리 윌리엄스는 지성과 의지 사이의 자유로운 상호작용에 대한 고려 없이 의지의 자발성에만 초점을 두고 인간의 자유를 설명한다. 따라서 윌리엄스는 인간의 자유를 단순히 ‘강압이 없다는 의미에서의 자유’로 이해한다. 또한, 윌리엄스는 로크와 홉스의 영향 아래서 기존 개혁주의의 설명과는 달리 인간의 의지는 자기 결정적이 아니며 중립적인 성격을 전혀 갖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필연성(necessity), 및 우발성(contingency)과 같이 인간의 자유의지를 설명하기 위해 중요한 개념들에 대한 윌리엄스의 이해는 홉스와 로크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다. 결과적으로 윌리엄스의 자유의지론은 기존 개혁파 정통주의의 입장과는 달리 인간의 의지와 세상의 질서에서 우발성의 존재를 부인하고 모든 것을 절대 필연적 관점으로 해석함으로 말미암아 홉스와 로크의 사상과 매우 유사한 결정론적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