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변동에 따른 경영자의 기간이익 유연화 행위 : 회계변경기업을 중심으로

        신준용,최기범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1996 경영논총 Vol.40 No.1

        본 연구는 경영자가 경기변동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GAAP)이 허용하는 회계처리 방법의 임의적 선택이나 변경을 통하여 이익을 유연화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경영자는 경기가 불경기(호경기)일 때 미래를 예측하면 더욱 비관적(낙관적)이어서 이익이 더욱 감소(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게 되므로 이 예상에 따라 행동하면 실질적으로 기업활동이 더욱 불경기(호경기)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익을 안정적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경기순환에 있어서 비고나주의(낙관주의)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시적인 경기변동에 따라서 경영자는 과연 기간이익을 조정함으로써 외부이해관계자의 욕구와 경영자 자신의 기대효용을 충적시키는 방향으로 행동할 것인가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986년부터 1993년까지 임의적인 회계변경을 한 225개 기업을 선택하였다. 이렇게 선택된 기업들을 다시 전문경영자가 경영하는 기업(MC기업)과 소유경영자가 경영하는 기업(OC기업)으로 세분화 하였다. 회계변경년도 이전의 보고이익을 이용하여 평균순이익을 계산하고 이를 정상이익으로 간주하였다. 유연화여부는 Moses(1987)의 판정방법을 이용하였다. 이익유연화행위의 유무에 따라 유연화기업과 비유연화기업으로 분류한 다음 독립변수로 선정한 5가지변수에 대하여 단일변량 t검증을 실시하여 두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적인가를 검증한후 다시 다변량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회계처리방법 변경유형에 따른 추가적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의 가설을 제시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한 검증과 회계변경유형별 하위표본 검증에서 똑같이 회계변경전이익과 기대이이고가의 편차가 크고 이익의 변동폭이 클수록 이익을 유연화하려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익이 증가(감소)하는 회계변경을 한 기업일수록 비유연화(유연화)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이 검증절차에서 주목할 만한 검증결과는 회계변경 전 이이고가의 편차의 경우, 거의 모든 검증절차에서 일관되게 예상된 부호와 일치하는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냈다는 것이다. 즉, 회계변경 전 이익과 기대이익간의 편차가 크면 클수록 경영자는 이익을 유연화시키고자 한다는 이익유연화가설을 강하게 지지하는 검증결과를 나타냈다. 전문경영자가 경영하는 기업과 소유경영자가 경영하는 기업의 이익유연화행위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 검증결과는 아직까지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우, 진정한 의미의 전문경영자기업이 거의 없다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가 있다. 또한 경기침체기하에서 경영자가 이익을 유연화시키는가를 검증한 결과는 경영자가 경기호황기 뿐만 아니라 경기침체기에도 이익을 유연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검증겨록는 경기호황기 뿐만 아니라 경기침체기에도 경영자는 계속해서 이익을 유연화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호황업종과 불황업종기업 경영자의 이익유연화행위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호황업종은 호황업종 나름대로 불황업종은 불황업종 나름대로 이익을 유연화하려는 동기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면 우리나라 경영자는 경기호황기 뿐만 아니라 경기침체기하에서도 이익을 유연화시키고 경기침체기하에서 호황업종기업의 경영자 뿐만 아니라 불황업종기업의 경영자도 또한 이익을 유연화시키며 회계변경전이익과 기대이익간의 편차가 클수록 이익을 유연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

      • 한국과 중국의 휴대폰 세분시장의 특성비교 : 이용동기를 중심으로

        박철 ( Cheol Park ),강유리 ( You Rie Kang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15 경상논집 Vol.35 No.1

        본 연구는 이용동기에 의해 한국과 중국의 휴대폰 시장을 세분화하여 그 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휴대폰 사용자 5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용동기에 의한 휴대폰 세분시장은 커뮤니케이션형, 관계유지형, 다중이용동기형, 업무효율형으로 나누어졌다. 커뮤니케이션형과 관계 유지 형은 대부분 여성 사용자가 많았고, 다중 동기 형과 업무 효율 형은 남성 사용자가 많았다. 업무 효율형 집단과 다중 동기형은 전자 전문 매장 구매가 많았다고, 관계 유지 형 집단의 경우 용돈 수준은 제일 낮은 반면, 휴대폰 이용 금액은 가장 많았다. 다중 동기형 집단의 경우는 가장 많은 휴대폰 구매 속성과 통신사 선택 속성을 고려하면서 온라인 구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커뮤니케이션 형은 여성이 많았고, 기능 정도만을 고려하는 반면 중국의 경우는 여성이 많았지만 기능, 가격, 회사 이미지, 멤버쉽 카드 혜택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하면서 광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또한 관계 유지 형의 경우 한국은 남성이 좀 더 많은 반면, 중국은 여성이 좀 더 많았고 요금 제도만을 고려하는 반면, 한국의 관계 유지 형 집단의 남성들은 기능, A/S, 요금제도, 회사 이미지, 멤버쉽 카드 혜택 등의 고려와 매장 점원, 인터넷 정보, 주변 사람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compared the market segmentation of mobile phone by usage motiv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 questionnaire survey of 551 Korean and Chineses mobile phone user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gmentation of mobile phone. As the results, there found 4 groups among mobile phone users; communication, relationship maintanance, multi-usage, and work-efficiency groups. Thr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s, iimportance of attributions, usage behaviors of mobile phone among 4 segmentations and between Korea and China. The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in conclusion.

      • 국내외 학생들의 상생(相生)을 위한 교수법 개발

        김진민 ( Kim Jinmin ),김재영 ( Kim Jaeyoung ),구상회 ( Koo Sanghoi ),권용현 ( Kwon Yongyun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19 경상논집 Vol.39 No.1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비중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학교의 입장에서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중요한 과제이다. 유학생들이 지출하는 학비나 생활비는 국가경제에 있어서 보탬이 될 수 있으며, 국제화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로서도 유학생의 수는 의미가 있다. 대학의 입장에서도, 대학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에는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유학생 유치를 위한 새로운 재원확보는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에는 인구구조상 대학 재학생의 수가 점점 더 줄어들 수밖에 없는 환경으로서, 유학생 유치를 위한 노력은 대학에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외국인 학생만이 아닌 내국인 학생과의 상생(相生)을 위한 교수법 제고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부적응과 외국인 학생 관리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 하에서 내외국인간의 인식의 차이를 밝히고, 이를 통한 국내학생들이 외국인 유학생과 교환학생들과 함께 학습하고 함께 생활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방안을 연구한다. 결과적으로 외국인 학생들의 국내 생활 적응 및 학업 역량 제고를 위한 상생의 교수법 탐색과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is increasing every year. At the school's side,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is an important task. The tuition and living expens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spend can be helpful to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s meaningful as an indicator of the level of globalization. From the standpoint of universities, new funding for attracting international students can be an important task, given that government funding for universities is limited. In particular, in Korea, th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is gradually decreasing due to the demographic structure, and efforts to attract international students are essential for universities.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study how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 for coexistence with Korean students, not just foreign students. Under the circumsta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maladjustment and manage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is revealed, and the motivation for domestic students to learn and live together with foreign students and exchange students. As a result, the aim is to explore and develop win-win pedagogy for foreign students' adaptation to domestic life and to enhance their academic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