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북서-유럽연합 간의 지역통합 프로세스 -발트 해 지역의 한자동맹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술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Russia and European Union are required the effective regional cooperation in the Baltic Sea region because of geographical changes and the relationship in Europe, the possibility of the bipolar system in Europe, and the conditions of the integration in the northwest region of Russia or the choice of modernization's chang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y of regional integration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between Northwest Russia and European Union.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gration process and regional cooperation through the Hanseatic League in the Baltic Sea Region from globalization and regional integration perspective. At the level of regional integration, it is not possible that a Russia's European Union will become membership, and Russia has not the possibility of the FTA Agreement between Europe and Russia, formation of the customs union or a single market. There is no possibility at all the Economic Union and full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Europe and Russia. In addition, realization of a common European economic space remains as the object of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is a dilemma to Russia in the orientation of economic integration and protection of sovereignty. In this situation, the experience of the Hanseatic League has many implications. The Hanseatic League was the main direction of globalization based on the trade economic through the process the region of integration. The Hanseatic League was the key of localization, it is composed of cities, not countries. The Hanseatic League is based on free merchants network, border cooperation and free trade economic system. It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Hanseatic economic community. Therefore, the New Hanseatic League is the most optimal format for the new regional integration in Europe and Russia. It is local resources. Moreover, the Hanseatic League is the unique and powerful tool which will give new opportunities to expand influence in the Baltic Sea to Russia. 유럽의 지형과 관계의 변화, 유럽에서 양극 모델의 가능성, 그리고 러시아의 북서 지역에서 통합의 필요조건과 현대적인 변화로의 선택의 기로에 선 러시아에게 발트 해 지역에서 효율적인 지역협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러시아의 입장에서 러시아 북서-유럽 연합 간의 지역협력에 나타난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통합의 가능성 여부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한자동맹을 통해 발트 해 지역의 글로벌화 관점에서 지역의 통합 프로세스와 지역통합이라는 관점에서 발트 해 지역의 현재의 지역화와 지역협력을 분석한다. 현재 지역통합 차원에서 러시아가 유럽연합의 회원이 되거나 유럽과 러시아 사이에 FTA 체결 가능성, 관세동맹 또는 단일시장 형성 가능성은 없어 보이며, 그리고 러시아가 유럽연합과 경제 연합이나 더 이상의 완전한 경제통합은 전혀 가능성이 없다. 또한 진행되고 있는 공동 유럽 경제 공간의 현실화 문제마저도 이론적 논의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이것은 한편으로 경제 통합에 대한 지향성과 다른 편으로는 주권에 대한 보호 지향성으로 러시아의 유럽연합에 대한 딜레마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자동맹의 경험은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볼 때, 무역경제에 기초한 한자동맹은 지역통합의 프로세스를 통한 글로벌화의 주요 방향이었으며, 한자동맹의 네트워크는 그 구성 주체가 국가가 아니라 한자도시들로서 지역화의 핵심이었다. 중요한 것으로 한자동맹의 경제공동체를 이룬 기초에는 경계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한자도시연합 상인들의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국경협력, 그리고 자유무역 경제 시스템 등이 그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지역통합의 모델로 새로운 한자동맹의 모색은 유럽과 러시아 사이의 상호 작용의 효과적인 조직을 위한 가장 최적의 형식뿐만 아니라, 지역 자원의 독특하며 강력한 수단이며, 그리고 러시아가 발트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는데 새로운 기회를 주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의 국제관계이론 구축 시도와 21세기 국제질서: 이론과 권력의 중첩적 동학

        유희복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4 아태연구 Vol.31 No.1

        이 글은 중국의 주요 국제관계이론 유파의 시각 고찰과 전략에 의한 검증을 통해 중국의 21세기 국제질서 구상과 실현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국의 주요 국제관계이론 유파의 주장과 2011년 ‘평화발전’ 백서 및 2023년 ‘인류운명공동체’ 백서에 나타난 중국의 대외전략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론과 전략의 중첩을 통해 나타난 중국의 2세기 국제질서 인식을 파악하고, 기존 국제질서의 수립자이자 유지자인 미국의 21세기 국제질서 및 관련 대중국 인식을 ‘국가안보전략’ 보고서에 기초해 분석함으로써 중국이 구상하는 국제질서의 실현 가능성을 검토했다. 연구 결과, 중국의 국제관계이론 유파들은 공히 중국 고유의 정치문화에 착안한 이론 개발을 통해 현행 국제질서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기존 국제질서 개혁에 신흥 강대국으로서 중국이 건설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본다. 두 백서 역시 기존 국제관계이론과 거버넌스 이념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이를 중국의 고유문화 개념과 경험에 기초해 개혁하려 한다. 그러나 중국 국제관계이론 자체의 한계, 기존 국제질서의 수립자인 기성 강대국 미국의 전략 등을 고려할 때, 21세기 국제질서의 개혁이 중국의 국제관계이론과 전략에 따라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China’s conception of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order and its feasibility through examination of the perspectives of China’s major school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verification through strategy. To this end, this article examines the feasibility of China’s vision of international order through the overlapping of theories and strateg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rguments of China’s major school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hina’s foreign strategies in the 2011 White Paper on China’s Peaceful Development and the 2023 White Paper on Global Community of Shared Future. It then examines the feasibility of China’s envisioned international order through an analysis of the United States’ perceptions of China and the 21st-century international order, the founder and supporter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The result of the study finds that Chinese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commonly criticiz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through theories based on China’s own political culture, believing that China should play a constructive role in reforming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The two white papers also criticiz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governance ideology, and try to reform them based on China’s unique cultural concepts and experiences. However, it is unlikely that the reform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e 21st century will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China’s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strategy, given the limitations of China’s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itself and the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the dominant power that has established and maintained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der.

      • KCI등재

        국제질서의 다면성과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미래: 중국의 시각을 예로

        유희복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8 아태연구 Vol.25 No.4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many serious international crisis happened in various realms including international politics, security, economy, etc. As a result, different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hanges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including the return of geopolitics and the crisis or end of liberal international order.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purports to reexamine the contents of international order, including what is international order, what constitutes it, and how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can be characterized. The international order is composed of multiple material and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power, institutions, norms, and values, and therefore, rather than defining it from one specific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ponents and the changes of their combinations to maintain the objectivity and balance of the view of international order. Despite the realist view and the U.S.-Sino competition for leadership, the future international order can be expected to remain liberal rather than realist in character. 21세기 초입부터 전 세계 각지에서 정치, 경제, 안보 등 여러 영역에 걸친 많은 사건들이 발생함에 따라 세력전이, 지정학의 귀환,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 등 현행 국제질서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분석이 진행되어 왔다. 동 배경하에서 본문은 국제질서란 무엇이며 현 질서의 특징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 등 국제질서에 관한 내용을 재검토하고 있다. 국제질서는 힘, 제도, 규범, 가치관 등 복수의 물질 및 비물질적 요소로 구성되므로 이러한 구성 요소들과 그 조합의 변화를 함께 고려할 때 국제질서에 대한 시각의 객관성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냉전 이후 미국이 주도해 온 국제질서를 자유주의 국제질서라고 보는 시각과 이를 부정하는 현실주의적 시각은 미국은 물론 세력전이의 당사자로 주목 받아온 중국에도 존재한다. 중국은 미국 주도의 혹은 미국의 시각에 입각한 국제질서가 패권적이고 수정이 필요하다고 보며, 전통적 ‘천하관’을 비롯해 ‘공정과 합리’를 강조하는 글로벌 거버넌스관 등 자신의 질서관이 갖는 장점과 우위를 주장한다. 질서에 대한 미중 양국의 현실주의적 시각과 주도권 경쟁에도 향후의 국제질서는 현실주의로 경도되기보다는 자유주의적 성격을 일정 정도 유지할 것이다.

      • KCI등재

        핵군축 거버넌스와 시민사회:핵확산금지조약(NPT) 평가회의와 국제NGO의 역할

        김현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INGOs) contributed to the 2010 Non-Proliferation Treaty(NPT) Review Conference in order to explore the role of civil society in nuclear disarmament governance. As a background case,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INGOs in the 2000 NPT Review Conference. In the case of the 2000 Review Conference, INGOs largely contributed to setting the issue of nuclear disarmament again on the agenda of international security governance. They also took part in promoting the international norm of nuclear disarmament. In addition,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aching a substantial agreement on nuclear disarmament among member states in the Conference by actively engaging in advocacy and lobbying activities designed to support and advertise the position of the New Agenda Coalition in favor of global nuclear disarmament. In the case of the 2010 Review Conference, INGOs drafted a Nuclear Weapons Convention as a starting point toward its conclusion, This role contributed to forming a basis on which to promote the norm of nuclear disarmament and to develop it into an international regime. They also took part in inducing member states to adopt the issue of a nuclear weapons convention as one of the key agenda in the conference and to actively negotiate with each other. Furthermore, INGOs successfully pushed member states to include the term, ‘nuclear weapons convention’ and its related content in the final document of the conference. In addition, INGOs played a role in causing member states to reach a concrete agreement on a nuclear free zone in Middle East. 이 논문은 핵군축 거버넌스에 있어 시민사회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핵확산금지조약(NPT) 평가회의와 관련하여 국제NGO들이 어떠한 역할과 기여를 해왔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의 배경사례로서 2000년 NPT 평가회의도 분석한다. 우선 2000년 평가회의와 관련해서 국제NGO들은 초국적 네트워크를 결성하여 핵군축문제를 주요 의제로 재설정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또한 핵군축 국제규범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핵군축을 추진하는 신의제연합(NAC)의 입장을 지지하고 홍보하는 주창활동과 자국 정부들이 NAC의 입장을 지지하도록 설득하는 로비활동을 통해서 핵군축에 관한 최종합의를 이끌어내는데 기여하였다. 2010년 평가회의에서는 국제NGO들은 궁극적으로 핵무기금지협약이 창출되기 위한 시발점으로서 협약의 구체적인 내용을 마련함으로써 핵무기금지 규범을 촉진하고 국제레짐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처음으로 회원국들이 평가회의에서 핵무기금지협약을 주요 의제로 채택하여 집중적으로 협상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핵무기금지협약을 NPT 평가회의 역사상 처음으로 최종문서에 언급하며 관련내용을 명시하는데 일조하였다. 게다가 국제NGO들은 중동 비핵지대에 관한 구체적인 합의가 이루어지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환동해 지역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2 아태연구 Vol.19 No.1

        This paper aims to shed some light on the "regionality(reality of a region)" of East Sea Rim region which is simultaneously influenced by the glocalization process - the recursive relations between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territorial boundary of East Sea Rim region includes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the western coast of Japan,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and the far-eastern region of Russia. East Sea Region has been experienced the dynamic regionality. Researchers and specialists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now face to the necessity of conceptualizing this new feature of the region. In other words, they need to conceptualize East Sea Rim region as a multi-layered region experiencing multi-dimensional regionalization process, which is recently discussed as a new concept, "regionness"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When a certain region enters into the process of glocalization, the region needs to be recognized as a field in which self-organization process(active and dynamic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objects) is continuously operating. Therefore, for fully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East Sea Rim region, it is pre-requisite to recogniz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ed and stratified featu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 certain region, it is necessary to shift our epistemological paradigm to a new one that implies trans-national and relational networks'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이 논문의 목적은 세방화(glocalization)의 맥락에서 복잡하게 변화하는 환동해지역의 실재(reality), 즉 지역성(regionality)을 새로운 개념인 ‘지역성(regionness)’으로 규명하는 데에 있다. 환동해지역은 일반적으로 동해를 중심으로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반도 동해안, 일본의 서해안, 중국의 동북 3성, 러시아 극동지역을 포함한 범위다. 오늘날 이 지역은 다양한 지역성을 내포하고 있다. 세방화 맥락에서 이 지역은 영토에서부터 네트워크 개념까지 매우 다양하게 이해되고 있다. 이런 현상을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이 필요하다. 본고는 환동해지역의 다층적이고 다차원적인 지역화 과정을 중층적으로 관념화하고, 동시에 그 실재를 ‘지역성’으로 개념화하고자 한다. 지역은 단순한 공간이 아닌 능동적인 주체가 환경과 상호 교류하여 역동적으로 형성되고, 자기조직화되는 장(場)이다. 따라서 환동해지역의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중층구조를 가정하고, 근본적으로 세계는 층화되어 있다는 인식이 전제돼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지역의 실재를 국가 중심 단위의 실체적인 영토성뿐만 아니라 탈영토적이고 구성적인 관계성을 함께 지닌 환동해 지역의 중층성을 고찰하기 위한 개념화 작업의 일환이다.

      • KCI등재

        환동해 지역 고래 생태계 파괴의 원인과고래 생태계 보전의 가치

        여민경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3

        Whales in East-sea rim are the symbol animals have related with culture and histological perspectives of East-sea rim. Although it was called the whale sea at Ming dynasty and Yuan dynasty, but we can’t show many whales in this area anymore. These whales are the ecological crisis animals of East-sea rim. In this study, I have the purpose to know the reason of whale crisis in East-sea rim. I suggest, there are three major reasons of the ecological crises. First is indiscriminate fishing for eating purpose. The reason of the whale crisis by-catch is known that the materials of fishing tools but Korea and Japan government are not active to find the solutions. The problem of eating whale has been considered as traditional food culture of this area. Second i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East-sea rim particularly by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In the several reports, these whales of East-sea rim were shown high concentration of POPs or mercury. It is related with the rapid industry development of this area’s surrounding countries like Korea, Japan, and China. The increase of the water temperature in this area due to the climate change can be another important factor controlling the whale populations. There are several reports the number of whale in East-sea rim increased in 2009~2010.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increase water temperature is related with increase the number of whale, but it is just a temporary status. Basically, we have to find the solution for whale conservation of East-sea rim and the cooperation with other surrounding centuries likes Japan, China and Russia. I suggest it can be the basic solution of peace sharing in this area and win-win situation for surrounding countries in East-sea rim. 환동해 지역의 고래는 이 지역과의 문화적, 역사적인 연관성이 깊은 생물체다. 그러나 과거 경해(鯨海)로 불렸던 이 지역은 더 이상 고래의 바다가 아니며, 이 지역의 고래는 생태학적인 위기를 맞고 있다. 고래의 생태학적인 위기의 원인으로 남획, 환경오염 및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상승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 세계적인 멸종 위기종이지만 여전히 이 지역에서 소비되고 있고, 고래 혼획의 원인을 파악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환동해 지역 국가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해양생태계의 오염은 이 지역 고래의 체내에 높은 농도의 잔류성 유기오염물질과 중금속인 수은의 농도와 관련성이 깊다.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상승이 일시적으로는 이 지역 고래의 빈번한 출현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근본적인 고래 생태계 보전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은 환동해 지역 국가들의 국제적인 공조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환동해 지역 고래의 생태계 보전 뿐 아니라 평화와 상생의 해법으로도 제시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의 소프트파워에 대한 평가 및 함의 - 국제 여론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이영학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This article presents that whether the strategic external goals that China is making an effort to achieve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are consistent with its actual awareness, to evaluate Chinese Soft Power in an analytic manner. Considering that strategic external goals of Chinese Soft Power are to eliminate public opinion of anti‐Chinese like ‘China threat theory’ and to build up the positive national brand image as a ‘responsible power’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is article utilizes the public opinion poll to measure on how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aware of Chinese influence and the national image. The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poll on Chinese influence showed that ‘China threat theory’ has been almost disappeared and instead ‘China opportunity theory’ has been widely spread out in the developing countries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At the same time, however, ‘China responsibility theory’ is coming in the developed countries in and around USA and Europe, which demands more responsibilities from China. With regard to the evaluation on Chinese national image, the poll comparatively showed the big differences from the geographic perspective. Even though the 3.14 Tibet Riots and the negative report of western media made a huge impact, Chinese national image is being built on in a positive way as a whole. But it can be assured that there still remain many difference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major powerful na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Considering that the awarenes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n Chinese influence and the national image, known through the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poll, is the most immediate results of China’s efforts to establish Chinese Soft Power, though gained achievements, there is still long way to go further. Therefore, I contend that China consistently focuses on economic development going forward, which is the core resources of Chinese Soft Power and at the same time, effectively manages the demand on ‘China Responsibility Theory’, political reformation and the other social issues, and especially reinforces the communication with western nations. 중국은 21세기에 들어와서 ‘평화발전’,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지역차원의 강대국을 넘어서 ‘글로벌 파워’로의 발전과 같은 강대국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국이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으면서, 우호적인 국제환경 속에서 강대국화의 국가발전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략적 수단이 바로 ‘소프트파워’이다. 본 논문은 중국의 소프트파워에 대한 분석적 평가를 위해서, 중국이 소프트파워를 통해서 실현하고자 하는 대외전략 목표, 즉 중국이 국제사회로부터 얻고자 하는 목표와 중국의 소프트파워 운용에 대한 국제사회의 실제 반응의 결과와의 일치 여부를 평가 기준으로 제시한다. 또한 중국의 소프트파워 대외전략 목표는 ‘중국위협론’과 같은 반(反)중국 여론을 불식시키고 국제사회에서 ‘책임지는 대국’으로서의 국가 이미지 제고로 보고, 이러한 목표와 국제사회의 실제 반응 결과와의 일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 중국의 영향력 및 국가 이미지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 여론조사를 평가방법으로 활용한다. 중국 영향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조사 결과, ‘중국위협론’은 거의 소멸되었고 ‘중국기회론’이 개발도상국이나 저발전 국가들에서 주류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에서는 중국에게 더 많은 책임을 요구하는 ‘중국책임론’이 새롭게 유행하고 있다. 중국 국가 이미지에 대한 평가는 국제사회 지역별로 비교적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고, 또 최근에 ‘3.14’ 티베트 사건과 서구 매스컴의 부정적 보도 등으로 비교적 커다란 타격을 입었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중국 국가 이미지는 긍정적으로 보여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주요 강대국이나 국제기구와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여전히 커다란 격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제 여론조사를 통해 드러난 중국의 영향력과 국가 이미지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은 중국의 소프트파워 건설 노력의 가장 직접적인 결과물임을 고려해 볼 때, 중국 소프트파워 건설 노력은 일정 정도 성과를 얻기는 하였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은 향후 중국 소프트파워의 핵심 자원이라고 할 수 있는 경제 발전을 지속시키는 동시에 ‘중국책임론’과 정치 개혁에 대한 요구 및 제반 사회 문제를 지혜롭게 풀어나가면서 국제사회, 특히 서구 국가들과의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일본 쿠시로 산탄지역의 지역사회 재활성화 사업에 관한 연구

        최윤서,최민욱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9 아태연구 Vol.26 No.2

        This study reviewed the role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coal-mining business operators, and related research expert groups in the regeneration projects for coal-mining regions in Kushiro, Japan.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this study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the Kushiro Regeneration Model that has been promoting coal-mining regions and communities regeneration projects, not only by utilizing region-cultural resource and coal-industrial heritage, but also by carrying out discovery,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n the memory of coal mine. Lastly, this study tried to present the political implications for discussing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revitalization of Korea’s abandoned coal-mining regions. 본 연구는 산탄지역의 지역사회 재활성화 추진에 있어서 일본 쿠시로 산탄지역의 재활성화 관련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지방 정부, 석탄사업 운영기업, 관련 연구 전문가 집단의 역할 및 사업 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본 중앙정부의 산탄지역 재활성화 추진 관련 법제도 구축과 해당 지방정부인 홋카이도·쿠시로시 정부의 산탄지역 진흥정책 시행, 둘째, 타이헤이요탄광을 계승한 쿠시로콜마인(KCM)의 산탄지역 재활성화 관련 사업 운영, 셋째, 산탄지역의 ‘근대 산업발전 유산으로서의 석탄산업 관련 자료 보존’ 및 ‘탄광 기억의 전승’과 관련한 연구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하는 민관 연계·협력의 공동연구 사업 추진 등 세 가지 측면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한국형’ 폐광지역 지역사회 재활성화 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모색과 향후 방향성 논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산탄지역 재활성화와 관련한 법제도 설계에 기반을 두고 산탄지역 재활성화 관리체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고, 둘째, 산탄지역의 역사·인문·사회적 배경과 맥락을 고려하여 지역 자체의 특색 있는 산탄지역 재활성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셋째, 정부 주도의 산탄지역 재활성화 사업 추진의 틀에서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민관 연계협력 모델을 통해 산탄지역 재활성화 사업을 추진하는 등 무리한 개발사업의 추진보다는 도시재생을 통한 지역 재활성화에 더욱 주안점을 두고 있음이 확인된다.

      • KCI등재

        지역연구 대상으로서 환동해 지역의 설정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2

        This paper reviews the East-Sea rim as a research region in the field of area studies based on the level of normative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When a area specialist investigates regional problems, he/she needs to answer a few of questions relates to normative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for instance, why do I need to study about a certain region? How do I conduct the research with this specific region?The concept of East-Sea rim as a research agenda has not been seriously recognized in scholarly field and seems to be used as an abstract terminology in social and natural science. However, the existential meaning of the East-Sea rim region tends to arouse researchers' interest and have become a generalized concept from the last decade. Therefore, the concept of East-Sea rim is regarded as a specialized research agenda which includes the necessity of systematized study. The purpose of East-sea rim research, as a whole, i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regional mechanism which could be revealed in terms of the very existence of regional reality. I regard East-sea rim region as one of regions implying ‘complex adaptive system’ at the primary category, and presume the unit level of this region which cannot be reducible to the level of element. I also assume that the whole system of the region is not the same as a sum of independent parts. In sum, I emphasize, the East-Sea rim region needs to be recognized as a composite of multi-layered properties. In other words, it shouldn't be understood as a strictly hierarchical system organized in mechanistic manner, rather, it can be better represented as a form of ‘complex adaptive system.’ Such a system in which the behavior of the whole system cannot be predictable b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ts components' behaviors, and each property of the whole system tends to emerge from the initial level into the next level - these multi-leveled analysis can be overlapped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이 논문의 목적은 환동해 지역연구의 기초적 단계로서 환동해 지역을 규범적 차원과 인식론적 차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지역연구는 특정 지역을 왜 연구하는가라는 규범적 차원의 질문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사회적 실재를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의 문제인 인식론적 차원의 논의가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된다. 환동해권에 대한 관심은 아직 사회적으로나 학문적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환동해 용어가 추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더라도 지금은 환동해 지역의 존재가 사회적으로 점차 통념화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환동해라는 개념은 그 현실성을 부여받음으로써 환동해라는 지역단위는 연구의 실천적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다. 환동해라는 지역은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하고 구성되는 세계이다. 이 지역은 단순한 공간이 아닌 능동적인 주체가 환경과 상호 교류하며 역동적으로 형성되고, 자기조직화되는 장(場)이다. 이러한 지역은 특정 요소로 환원하는 방법을 통해 특정 부분을 이해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그것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복잡적응체계로서 환동해 지역은 존재론적으로 창발되기 때문에 그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중층구조를 가정하고, 근본적으로 세계는 층화되어 있다는 인식을 전제해야 한다. 환동해 지역은 정체성 및 그 유지양식, 메커니즘에 따라 타 체계와 구분되는 체계로 볼 수 있다. 이런 공간은 ‘개념’, ‘메커니즘’을 통해 우리가 인식할 수 있다. 결국 복잡한 현상을 궁극적인 차원으로 설명하는 환원주의를 벗어나 현상을 존재론적 층위에 따라 구분하고, 각각의 층위를 고유한 분석수준으로 삼아 고유의 메커니즘을 밝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 KCI등재

        방법으로서의 북방인식과 환동해 지역인식 방안

        이선이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2 아태연구 Vol.19 No.2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method of formation regionality in the East Sea Rim regional studies. Yoshimi Takeuchi has proposed such a critical concept "Asia as a method of thinking" as criticizing western-centered idea of modern times by asking the question of ‘what means modern times for Asia.' This study adopts the Takeuchi's critical perspective in East Sea Rim regional studies. Especially, this study tries to speculate the Takeuchi's critical perspective in detail with the northern area which implies frontier and alternation. The regionalism could be discovered in the East Sea Rim region which is conflicting area with each states' strong and firm statism and nationalism, also with inflexibility characterized as changeable dynamics. This argument is far from understanding the East Sea Rim region as the institutionalized and sectionalized geographical category but close to recognizing it as a horizon of thinking.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so called "northern area recognition as a method" can be regarded as an introduction of the East Sea Rim region as a horizon of thinking and the practice through the discussion in detail. The main topic of this specific analysis deals with the Korean poetries of modern times, which presented the meaning of northern area. From here, it proceeds to look into the area in the context of the cross-border recognitions which have not been focused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Related to lack of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northern area of East Sea Ri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poetries dealing with northern area in modern times recognizing the boundary of people and nation critically, showing democratic conscience solidarity among the many immigrants who have such emotions as the stateless person in further. That kind of emotions and thinking help us to overcome the imaginary boundary imposed by the western-cemtered modern times poetries when we begin to reread these poetries with the other point of view. 이 글은 환동해 지역연구에 있어서 지역성의 형성 방법을 모색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다케우치 요시미는 아시아에 있어서 ‘근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서양 중심의 근대를 비판하며 아시아를 인식하는 방식의 하나로 ‘방법으로서의 아시아’를 제안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요시미의 문제의식을 환동해 지역연구에 창조적으로 적용하여 환동해 지역인식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변방과 변경에 놓인 북방공간의 재인식을 통해 요시미의 문제의식을 환동해 지역연구에 적용하였다. 현재 환동해지역은 강고한 국가주의와 민족주의가 충돌하는 접경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에 대한 연구에서는 접경지역으로서의 경직성을 변경적 역동성으로 읽어내는 작업을 통해 하나의 지역성을 형성해나가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는 환동해지역을 제도화되고 구획화된 지리적 범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유지평으로 인식하는 태도라 할 수 있다. 변경적 특성을 지역성 형성의 한 방안으로 삼기 위해 여기에서는 방법으로서의 북방인식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은 한국 근대시에서 북방의식을 보인 시편들이며, 이 시편들의 다시읽기를 통해 환동해지역의 지역성 형성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